KR101781969B1 -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 Google Patents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969B1
KR101781969B1 KR1020170008374A KR20170008374A KR101781969B1 KR 101781969 B1 KR101781969 B1 KR 101781969B1 KR 1020170008374 A KR1020170008374 A KR 1020170008374A KR 20170008374 A KR20170008374 A KR 20170008374A KR 101781969 B1 KR101781969 B1 KR 10178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fle
foam
fastening
rib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모
임태근
유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석티브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0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969B1/ko
Priority to PCT/KR2018/000533 priority patent/WO20181358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 E04G11/4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of hat-like or trough-like shape encasing a rib or the section between two ribs or encasing one rib and its adjacent flat floor or ceiling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하단부분에 상기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며,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로 형성되는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와플폼 내측에 지지리브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와플폼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복수 개를 손상없이 적층할 수 있고, 지지리브도 또한 별도로 용이하게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지지리브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상기 와플폼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플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리브의 설치에 의해 와플폼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리브를 별도로 제조하면 되므로, 와플폼의 성형이 보다 간단하고 용이해지며 와플형 슬래브의 콘크리트 경화후에 탈형시 지지리브를 간단하게 탈형시킬 수 있으므로 탈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WAFFLE STYLE SLAB FOAM WITH FIELD INSTALLABLE SUPPORTING RIB}
본 발명은 와플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와플폼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폼 부분과 지지부를 분할하여 보관이나 운반시 적층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설치가 용이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구조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는 각각의 단위 슬래브를 보에 의해 구획하고 슬래브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량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슬래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달받기 위한 보나 거더 등의 지지부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나 거더의 높이가 소요되므로 층고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높이가 건축법상의 사선제한에 의해 제한되므로 많은 층수를 확보하기 어렵고, 지하층의 경우에는 깊은 굴토가 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건물의 낮은 층고와 자유롭고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라멘구조에서 보와 거더를 제거하는 대신 슬래브(slab)의 두께를 늘려 강도를 높이거나, 경량화나 차음성능 개선을 위해 슬래브 내부에 매설물을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 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체 또는 경량체를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슬래브 자중을 줄이고 비교적 우수한 단면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 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slab)의 장점 구현은 물론 층간 소음저감과 장기처짐을 해결할 수 있는 등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중공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시에 경량체와 콘크리트 사이의 밀도의 차이로 인하여 경량체가 콘크리트의 표면위로 떠오르려고 하는 부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이러한 부력발생으로 인하여 중공 슬래브에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중공슬래브의 대안으로서, 기존의 와플형 슬래브가 다시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와플형 슬래브는 층고의 높이도 커지지 않고 자중 증가 없이 경량화를 기대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상 호감이 가는 천정면을 구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다만, 와플 형태의 거푸집이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재사용이 어려운 형태로 가설공사비의 증가 문제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와플형 슬래브로서, 일본 공개특허 평4-131464호에는 와플형 거푸집에 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와플 플레이트 슬래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돔 형상의 거푸집을 격자형상으로 배치하여 와플형 슬래브를 구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플형 거푸집을 이용한 와플형 슬래브에 있어서는, 와플형 거푸집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플형 거푸집의 내측에 지지리브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지리브의 형성에 의해 와플형 거푸집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복수 개를 적층하기 어렵고 적층하더라도 적층되는 갯수에 제한이 있거나 적층시 지지리브에 손상이 갈 염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를 와플형 거푸집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와플형 거푸집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지지리브가 온전히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와플형 거푸집의 하중성능이 향상될 수 있지만, 와플형 거푸집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된 지지리브는 그 제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층에 부적합하여 운반 및 보관하기 어렵고 와플형 슬래브의 콘크리트 경화후에 탈형시 지지리브의 강성으로 인하여 탈형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평4-1314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이나 운반시 적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와플폼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지지리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와플폼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와플폼을 각각의 변이나 모서리에서 서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탈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 와플폼의 설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거푸집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와플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하단부분에 상기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 또는 장선 프레임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체결될 때에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며,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는, 상단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하단으로부터 기다랗게 형성된 하단 체결슬릿을 가지는 제 1 지지리브와, 상기 제 1 지지리브에 직각으로 교차하여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며 상기 하단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단으로부터 기다랗게 형성된 상단 체결슬릿을 가지는 제 2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단 체결슬릿과 상기 상단 체결슬릿은 각각 제 1 지지리브와 제 2 지지리브의 높이의 절반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체결될 때에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와플폼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플레이트형 지지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형 지지리브는 일정 폭을 가지며, 수평리브와 수직리브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새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에는 복수의 체결용 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상기 체결용 홈과 인접하는 와플폼의 날개부에 형성된 체결용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를 갖는 테두리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외측끝단에는 날개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날개부의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의 상기 날개부의 코너에는 복수의 코너 체결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인접한 4개의 와플폼의 상기 코너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코너 체결돌기를 갖는 코너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와플폼 내측에 지지리브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와플폼을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 복수 개를 손상없이 적층할 수 있고, 지지리브도 또한 별도로 용이하게 적층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상기 와플폼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플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리브의 설치에 의해 와플폼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리브를 별도로 제조하면 되므로, 와플폼의 성형이 보다 간단하고 용이해지며 와플형 슬래브의 콘크리트 경화후에 탈형시 지지리브를 간단하게 탈형시킬 수 있으므로 탈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와플형 거푸집을 각각의 변이나 모서리에서 서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탈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 와플형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거푸집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지지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리브가 격자형태로 조립된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을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에 지지리브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지지리브 어셈블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와플폼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와플폼의 날개부 및 테두리 체결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그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코너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테두리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10)은 사다리꼴 육면체 형상 또는 돔 형상 또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부(11)와, 벽부(12)와, 지지리브 어셈블리(13, 14)와, 날개부(15)를 구비한다.
상기 벽부(12)는 경사져 형성되어 상기 와플폼이 상협하광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플폼의 벽부를 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와플폼(10)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플폼을 탈형할 때에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다.
상기 벽부의 하단부분에는 날개부(15)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부(11)는 상기 벽부(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부(12)의 상부끝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11)의 내측에는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각각 체결홈(11a, 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체결홈(11a, 11b)은 연장되어 상기 벽부(12)의 내측에도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홈(11a, 11b)에는 복수의 지지리브 어셈블리(13, 14)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13, 14)는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현장에서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현장에서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지지리브로 형성되며, 각각의 지지리브는 상기 체결홈(11a, 11b)에 삽입된 후 상기 지지리브의 하부끝단이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와플폼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제 1 지지리브(13)와 제 2 지지리브(14)의 한 쌍의 지지리브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리브와 상기 제 2 지지리브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체결되어 격자형상이나 그리드 형상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리브(13)는 상기 와플폼의 수평부 및 벽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지지리브의 높이의 1/2에 상응하는 길이에 이르기까지 기다랗게 형성된 하단 체결슬릿(13b)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단 체결슬릿(13b)의 양측에는 하단지지리브 탄성편(13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리브에 제 2 지지리브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에 용이하게 하단 체결슬릿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리브(14)는 상기 와플폼의 수평부 및 벽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리브의 높이의 1/2에 상응하는 길이에 이르기까지 기다랗게 형성된 상단 체결슬릿(14b)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단 체결슬릿(14b)의 양측에는 상단지지리브 탄성편(14a)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리브에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지지리브를 삽입하여 조립할 때에, 상기 제 2 지지리브의 상단체결슬릿과 상기 제 1 지지리브의 하단체결슬릿을 대략 위치맞춤한 후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지지리브와 복수의 제 2 지지리브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형성한 후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상기 체결홈에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로써, 상기 제 1 지지리브와 제 2 지지리브를 판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복수개를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리브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상기 와플폼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플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지지리브의 설치에 의해 와플폼의 하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와플폼의 내측에 큰 지지리브를 형성할 필요 없이 상기 지지리브를 별도로 제조하면 되므로, 와플폼의 성형이 보다 간단하고 용이해지며 와플형 슬래브의 콘크리트 경화후에 탈형시 지지리브를 간단하게 탈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격자 형상이 아니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일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리브 어셈블리(30)는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체결될 때에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30)의 형상은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30)는 상기 와플폼의 내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상기 와플폼의 내부에 2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30)는, 상기 와플폼의 내측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 지지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형 지지리브의 본체(31)는 상기 와플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플폼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때에 판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31)의 상부에는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거나,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내측리브가 형성될 경우에는 내측리브가 삽입되는 돌기(3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형 지지리브의 본체(31)에는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수평리브(33)와 수직리브(34)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새리브(3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인접한 와플폼과의 안정적인 체결 및 용이한 탈형을 위하여 테두리 체결부재(60, 61) 및 코너 체결부재(50)를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와플폼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와플폼의 날개부 및 테두리 체결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그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코너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테두리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플폼(10)의 상기 날개부(15)에는 테두리 4변을 따라 복수의 체결용 홈(15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용 홈(151)에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두리 체결부재(60)가 체결된다.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0)는 상기 체결용 홈(151)에 삽입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60a)가 마련된다. 상기 와플폼과 인접한 와플폼을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0)를 상기 날개부의 상부측으로부터 가압하면서 상기 체결용 홈(151)에 상기 체결돌기(60a)를 삽입시켜 서로 인접한 와플폼이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시공시 시공하중에 의해 와플폼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테두리 체결부재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부터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5)의 외측끝단에는 상기 날개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걸림돌기(152)가 형성된다. 또한, 테두리 체결부재(61)는 체결돌기(61a)가 상기 날개부(15)의 하부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에 삽입된다.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1)의 본체부는 상기 슬래브 거푸집의 바닥면에 맞닿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152)가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1)의 상기 체결돌기 사이의 본체부에 맞닿으면서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고정된다.
하부측으로부터 체결되는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1)에 의해 상기 와플폼을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탈형시에는 슬래브 거푸집을 탈형한 후에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61)를 상기 와플폼의 탈형이전에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으므로, 와플폼을 체결하지만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와플폼(10)의 상기 날개부(15)의 4개의 코너(153)에는 1/4의 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코너 체결용 홈(153a)이 형성된다.
상기 코너 체결용 홈(153a)에는 코너 체결부재(50)의 코너 체결돌기(51)가 삽입된다. 상기 코너 체결돌기(51)는 상기 코너 체결용 홈(153a)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1/4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플폼 4개를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코너 부분에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코너 체결부재(50)를 상기 날개부의 상부측으로부터 가압하면서 상기 코너 체결용 홈(153a)에 상기 코너 체결돌기(51)를 삽입시켜 서로 인접한 와플폼이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각각의 와플형 거푸집을 각각의 변이나 모서리에서 서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고 탈형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현장에서 와플형 거푸집의 설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거푸집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0 : 와플폼
13, 14 : 지지리브
15 : 날개부

Claims (9)

  1.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경사져 형성되는 벽부와, 상기 벽부의 하단부분에 상기 벽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구조물의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날개부와, 상기 벽부의 상부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지지리브 어셈블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리브 어셈블리는,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에 체결될 때에 상기 슬래브 거푸집 상부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벽부와 상기 수평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와플폼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트형 지지리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지지리브는 일정 폭을 가지며, 수평리브와 수직리브와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새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에는 복수의 체결용 홈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상기 체결용 홈과 인접하는 와플폼의 날개부에 형성된 체결용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를 갖는 테두리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의 외측끝단에는 날개부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날개부의 하부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체결돌기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의 상기 날개부의 코너에는 복수의 코너 체결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은 인접한 4개의 와플폼의 상기 코너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코너 체결돌기를 갖는 코너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KR1020170008374A 2017-01-18 2017-01-18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KR101781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74A KR101781969B1 (ko) 2017-01-18 2017-01-18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PCT/KR2018/000533 WO2018135802A1 (ko) 2017-01-18 2018-01-11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74A KR101781969B1 (ko) 2017-01-18 2017-01-18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969B1 true KR101781969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74A KR101781969B1 (ko) 2017-01-18 2017-01-18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866A (ko) * 2020-01-13 2021-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플 슬래브 최적 설계 장치 및 최적 설계 방법
KR20230000268U (ko) *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대형 와플폼 지지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22Y2 (ja) * 1990-11-30 1997-04-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床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722Y2 (ja) * 1990-11-30 1997-04-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床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866A (ko) * 2020-01-13 2021-07-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플 슬래브 최적 설계 장치 및 최적 설계 방법
KR102344814B1 (ko) * 2020-01-13 2021-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와플 슬래브 최적 설계 장치 및 최적 설계 방법
KR20230000268U (ko) * 2021-07-27 2023-02-03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대형 와플폼 지지기구
KR200497421Y1 (ko) 2021-07-27 2023-11-03 주식회사 비에스티산업 대형 와플폼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366B1 (en) Lost mould element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crete flat slabs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10155560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리브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81969B1 (ko) 지지리브 조립형 와플폼
JP200202124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スラブおよび構造物
JP4018740B2 (ja) 内外装材下地兼用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RU2601883C1 (ru) Пустотообразующий элемент несъёмной опалубки для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многопустотных плит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781968B1 (ko) 적층가능한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KR101388248B1 (ko) 유로폼 타입의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및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의 시공방법
JP6283169B2 (ja) 大スパンコンクリート床版型枠および該床版型枠を用いた施工方法
WO2018135802A1 (ko) 와플형 슬래브 거푸집
KR20170111300A (ko) 탈형 보조 판넬을 갖는 거푸집 판넬
KR20120066878A (ko)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1489140B1 (ko) 와플 타입의 이중 거푸집
KR101111349B1 (ko)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CN213952451U (zh) 一种预制池壁单元构件及装配式池塘
EP3059350B1 (en) Formwork edge element and method for forming a foundation for a building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180089808A (ko) 벽 단부 형성용 거푸집 패널
CN203669175U (zh) 一种钢筋混凝土空心楼板
WO2000053858A1 (en) Construction element
EP1584766A2 (en) Prefabricated modular element for lightening floors with lattice beams
KR101693743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20170069315A (ko) 경량블록 일체형 리브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