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21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218B1
KR101781218B1 KR1020110021407A KR20110021407A KR101781218B1 KR 101781218 B1 KR101781218 B1 KR 101781218B1 KR 1020110021407 A KR1020110021407 A KR 1020110021407A KR 20110021407 A KR20110021407 A KR 20110021407A KR 101781218 B1 KR101781218 B1 KR 10178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cam member
stopp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252A (ko
Inventor
최창봉
이재열
김일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21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좌우 양측 중 선택된 회전축이 락킹부재와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고, 다른 일측의 회전축은 락킹유닛과 구속상태를 유지하여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좌우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사용 환경이나 사용 상태에 따라서 회동식으로 개방되는 도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모두 개방 가능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냉장고들은 복잡한 기구적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어의 단열구조에 문제가 있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을 위한 조작시 가스켓이 밀리게 되어 손상이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좌우 양측 중 선택된 회전축이 락킹부재와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고, 다른 일측의 회전축은 락킹유닛과 구속상태를 유지하여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좌우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부와 하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힌지부재; 상기 도어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누름 조작 위치에 따라 좌우 양측 중 대응하는 일측의 상기 힌지축과의 구속이 해제되고, 타측의 힌지축을 구속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도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힌지축이 출입되도록 개구되는 안내부가 절개 형성되는 구속장치 커버와; 상기 구속장치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의 위치와 대응하는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안내부와 편심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외측면에서 상기 캠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절개되며, 상기 힌지축의 삽입시 회전되어 상기 힌지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수용홈과, 상기 캠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캠부재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캠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시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하부 양측의 경사면과 상부 양측의 돌기를 가지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제 1 안내부 상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돌기의 사이에서 좌우 양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누름 조작시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며, 상기 힌지축이 구속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한 누름 조작시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며, 상기 힌지축이 구속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부재는, 판상의 고정판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판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이 상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힌지축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홈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의 조작 방향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스토퍼를 밀어 상기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상기 캠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재는 접촉센서 또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는 유도기전력 전송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유도기전력 수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힌지축이 록킹유닛에 구속된 상태에서 도어를 누르거나 개방장치를 조작하게 될 경우 해당하는 위치의 힌지축과 상기 록킹유닛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을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개방 조작시 록킹부재 자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도어의 개방이 시작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초기의 힘을 줄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록킹유닛을 힌지축과 대응하는 도어에 장착시키는 것으로 좌우 개폐가 가능하게 되므로 보다 구성을 간결하게 하여 제조공정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킹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상기 락킹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개방되는 도어의 일측을 누른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어가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상기 냉장고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
도 11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가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저장공간의 배치와 상기 도어의 배치 및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캐비닛은 하나의 공간을 가지고 하나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가 장착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전면이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저장공간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좌우 양측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의 상면과 하면의 선단에는 좌우 양측 한쌍의 힌지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부재(30)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 좌우 양측과 하면 좌우 양측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재(30)는 상기 도어(20)와 결합되어 상기 도어(20)의 선택적인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부재(3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상하면에 고정되는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31)에서 상방 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힌지축(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1)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며,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전방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된 단부에는 힌지축(32)이 상기 고정판(3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20)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구속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4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상측에 별도로 장착되거나,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매립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40)는 상기 도어(20)에 장착되는 구속장치 커버(41)와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내측에 구비되는 록킹유닛(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 커버(41)는 내부에 상기 록킹유닛(50)이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2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속장치 커버(41)는 별도의 부재로 성형된 후에 상기 도어(20)의 상면과 하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와 동일소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속장치 커버(4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장치 커버(41)는 상기 힌지부재(30)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에는 안내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411)는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내측에 배치되는 록킹유닛(50)에 상기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부재(30)와 인접한 후단에서 전방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411)의 절개된 폭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어(2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더라도 상기 안내부(41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유닛(50)은 상기 힌지부재(30)와 대응하는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록킹유닛(50)은 상기 힌지부재(30)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힌지축(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록킹유닛(5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락킹유닛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와 도 5는 상기 락킹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유닛(50)은 상기 록킹유닛(50)의 외형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하단에 록킹유닛 케이스(51)와,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힌지축(32)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캠부재(52)와,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는 내부에 상기 캠부재(52)와 스토퍼(54)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캠 탄성부재(53)와 스토퍼 탄성부재(55)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유닛(50)이 상기 구속장치(4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의 전면과 일측면 일부에는 상기 도어(20)의 회전시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캠부재(52)측으로 이동 및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개구부(5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52)는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52)의 회전 중심부에는 토션스프링 형상의 캠 탄성부재(53)가 구비되며, 상기 캠 탄성부재(53)는 상기 캠부재(52)와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를 연결하여 캠부재(52)의 회전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캠부재(5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52)에는 상기 힌지축(32)이 삽입되는 수용홈(52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521)은 상기 도어(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힌지축(32)이 삽입되어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록킹유닛(50)의 내측에 구속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축(32)이 수용홈(521)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수용홈(521)의 개구된 방향은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안내부(411)와 교차되는 방향이 되어 상기 힌지축(32)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52)의 외측면에는 일반적인 누름 조작에 의해 구속 및 해제가 반복되는 스위치에 형성되는 돌기 또는 홈 형상과 같은 걸림부(5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22)의 형상은 상기 누름 조작에 따라 스토퍼(54)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림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 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52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22)는 하부 양측의 경사면과 상부 양측의 돌기를 가지는 제1안내부(522a)와 상기 제1안내부(522a) 상방에 구비되며, 좌우 양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는 제2안내부(522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22)는 상기 수용홈(521)과 대향되는 상기 캠부재(52)의 둘레면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52)가 회전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제1안내부(522a)의 하방에 상기 스토퍼(54)의 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수용홈(52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캠부재(52)를 회전 시키게 되면, 상기 스토퍼(54)의 단부는 경로①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안내부(522a)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52)는 상기 힌지축(32)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32)에 의해 상기 캠부재(52)가 눌려져 일시적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54)의 단부는 경로②를 따라 이동하여 다시 상기 제1안내부(522a) 하방의 최초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4)의 단부는 상기 제2안내부(522b)의 경사면에 의해 안내된다. 즉, 상기 경로①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제2안내부(522b)의 우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1안내부(522a)의 상면으로 유도될 수 있으며, 상기 경로②를 따라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제2안내부(522b)의 좌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제1안내부(522a)의 상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축(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부재(52)가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캠부재(52)의 회전 및 스토퍼(54)에 의한 고정에 의해 상기 캠부재(52)와 힌지축(32)의 선택적인 구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캠부재(52)의 하방에는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4)가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54)는 하단이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축결합 또는 그에 준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단은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522)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4)의 상단은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522)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4)는 스프링과 같은 스토퍼 탄성부재(55)에 의해 상기 록킹유닛 케이스(51)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4)는 상기 스토퍼 탄성부재(55)의 탄성에 의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개폐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로서, 상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개방되는 도어의 일측을 누른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도어가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 양측의 힌지축(32)이 상기 캠부재(52)의 수용홈(521)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4)는 상기 캠부재(52)의 걸림부(522)에 걸림 구속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캠부재(5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52)는 상기 수용홈(521)의 개구된 방향이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안내부(41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냉장고(1)의 진동, 충격 또는 예상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 상하면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각각의 힌지축(32)은 대응하는 상기 록킹유닛(50)의 상기 수용홈(521)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도어(20)는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을 누르게 된다. 즉, 상기 도어(20)가 우측단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우측을 누르게 되고, 상기 도어(20)가 좌측단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여 개방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좌측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면 좌우측을 누르게 되면 도어(20)가 회동 될 수 있으나, 상기 도어(20)의 보다 용이한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좌우 양측의 힌지축(32) 연장선상과 대응하는 부분의 상기 도어(20) 전면을 누르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용이한 도어(2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도어(20) 전면의 대응하는 지점에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인쇄 또는 식각등의 방식으로 표시하여 보다 용이하게 누름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어(20)가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반대방향으로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개방될 때의 상태와 각 구성의 동작 방향이 대향될 뿐 동일한 방식이므로 불필요한 설명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20)의 전면 좌측을 누르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도어(20)의 좌측은 후방으로 다소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도어(20)에 구비되는 가스켓(11) 중 좌측부분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우측은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20)의 좌측부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5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좌측의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좌측의 캠부재(52)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힌지축(32)에 의해 밀리는 좌측의 캠부재(5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54)는 상기 걸림부(522)를 벗어나게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좌측을 누른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도어(20)의 좌측은 상기 도어 좌측부의 압축되었던 가스켓(11)의 탄성과 더불어 상기 캠부재(52)의 반시계방향 회전시 압축되었던 캠 탄성부재(53)에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도어(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부재(52)는 상기 스토퍼(54)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캠 탄성부재(53)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상기 캠부재(52)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면, 상기 캠부재(52)의 수용홈(521)과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안내부(411)가 서로 일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캠부재(52)의 수용홈(521) 및 안내부(411)를 빠져나갈 수 있게 되고, 상기 도어(20)는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좌측이 개방되면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 상부의 우측에 구비되는 캠부재(52)는 상기 도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우측의 힌지축(32)은 상기 우측의 캠부재(52)에 형성되는 수용홈(52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521)은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안내부(411)와 교차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도어(20)의 회전시에도 상기 수용홈(521)과 상기 안내부(411)는 서로 교차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힌지축(32)은 상기 수용홈(52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2)은 상기 도어(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중심이 된다.
한편, 상기 도어(20)가 열린 후에는 상기 좌측의 캠부재(52)는 도 8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도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닫히게 되면, 상기 좌측의 힌지축(32)은 다시 상기 구속장치(40)의 안내부(411)를 통해 좌측의 캠부재(52)에 형성된 수용홈(52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를 완전히 닫게 되면,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수용홈(521)의 내측에서 상기 캠부재(52)를 밀어 상기 캠부재(5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캠부재(52)가 상기 스토퍼(54)에 의해 구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도 6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고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개방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구속장치에 엑츄에이터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장치의 조작시 엑츄에이터가 구동하여 힌지축과 캠부재 사이의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개방장치와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것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는 상기 냉장고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럭도.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10-10'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어가 우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캐비닛(10)과 도어(20)로 구성되며, 도어(20)는 힌지축(32)이 형성된 힌지부재(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3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단의 좌우 양측과 하단의 좌우 양측 모두 4개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힌지축(32)과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도어(20)의 개방 방향이 결정되는 구속장치(4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도어(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힌지축(32)과 상기 구속장치(40)의 선택적인 구속을 결정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2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부재(61)와, 입력된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구속장치(40)의 스토퍼(54)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61)는 기구적으로 눌러서 엑츄에이터(62)를 동작시키거나 스토퍼(54)를 밀어서 동작시키는 스위치 또는 버튼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센서가 사용된 조작부재(61)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조작부재(61)는 정전식 또는 압력식의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터치센서 외에도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전기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61)는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 엑츄에이터(62)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조작부재(61)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메뉴선택 타입으로 구성되어 좌우 양측 중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61)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투명한 부재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터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재(6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부재(61)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인쇄 또는 식각 처리하여 상기 조작부재(61)의 위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 또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재의 배면과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1)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21)가 나타나지 않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1)가 켜진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통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61)가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62)는 상기 조작부재(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작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토퍼(54)를 밀어 상기 캠부재(52)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62)로 전달되는 동작신호는 상기 조작부재(61)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엑츄에이터(62)는 상기 스토퍼(54)를 순간적으로 밀어낸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엑츄에이터(62)는 필요에 따라서 다른 동력수단 또는 기구적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54)를 선택적으로 밀어서 상기 캠부재(52)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전원부재(22)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부재(22)는 상기 조작부재(61) 및 상기 엑츄에이터(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재(22)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61)와 엑츄에이터(62)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재(22)는 충전지 또는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유도기전력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는 유도기전력 송신부(12)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전원부재(22)와 연결된 유도기전력 수신부(2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기전력 송신부(12)와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23)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유도기전력 송신부(1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도기전력 수신부(23)는 상기 도어(20)의 배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전류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전원부재(22)의 충전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작부재(61)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61)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해 조작하는 것이므로 상기 전원부재(22)는 유도기전력에 의한 충전으로도 충전이 충분히 가능할 만큼의 소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0)의 상하단에는 구속장치(40)가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40)의 내부 좌우 양측에는 각각 록킹유닛(50)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유닛(50)은 록킹유닛 케이스(51)의 내부에 캠부재(52), 스토퍼(54), 캠부재 탄성부재(53), 스토퍼 탄성부재(55) 그리고 엑츄에이터(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40) 및 록킹유닛(50)의 구성은 상기 엑츄에이터(62)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방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도어(20)가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축(32)은 각각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캠부재(52)의 수용홈(521)에 수용된 상태로 구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상기 수용홈(521)과 상기 구속장치(40)의 안내부(411)이 서로 교차되어 상기 힌지축(32)이 상기 수용홈(521) 및 안내부(411)에 의해 모두 구속되므로 안정적으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도어(20)의 장착 또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의 조작부재(61)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재(61) 또는 상기 조작부재(61)와 대응하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61)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상기 엑츄에이터(62)로 전달하여 상기 엑츄에이터(62)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재(61)는 상기 도어(2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경우 해당 위치의 조작부재(61)를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개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61)가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경우 도어(20)의 개방 방향의 결정을 위해 상기 도어(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엑츄에이터(62) 중 어느 일측의 엑츄에이터(62)가 동작되도록 지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엑츄에이터(62)가 구동되어 우측의 힌지축(32)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도어가 회전하면서 개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6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62)는 상기 스토퍼(54)를 밀어 상기 스토퍼(54)가 상기 캠부재(52)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캠부재(52)는 상기 캠 탄성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도 12에서 볼 때)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부재(52)의 회전으로 상기 힌지축(32)과 상기 캠부재(52)의 구속은 해제되고, 상기 힌지축(32)은 상기 수용홈(521) 및 안내부(411)을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 우측의 힌지축(32)은 우측의 캠부재(52)에 형성된 수용홈(52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부재(52) 및 상기 스토퍼(54)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도어(20)의 회동시에도 상기 힌지축(32)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도어(20)의 회전 중심이 된다.
특히, 상기 도어(20)의 회동시에도 상기 수용홈(521)과 상기 구속장치 커버(41)의 안내부(411)이 서로 교차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힌지축(32)은 상기 수용홈(521) 및 안내부(411)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우측에 위치되는 힌지축(3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다시 닫을 경우, 상기 도어 좌측의 힌지축(32)은 상기 안내부(411)를 통해 상기 수용홈(52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좌측의 캠부재(52) 또한 회동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닫힌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54)에 의해 상기 캠부재(52)의 회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61)의 조작에 따라서 도어(20)는 좌측의 상기 힌지축(32)이 회전 중심이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되며, 다만 그 위치만 서로 반대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0. 힌지부재 32. 힌지축
40. 구속장치 50. 록킹유닛
51 록킹유닛 케이스 52. 캠부재
54. 스토퍼 60. 개방장치
61. 조작부재 62. 엑츄에이터

Claims (15)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부와 하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힌지부재;
    상기 도어의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누름 조작 위치에 따라 좌우 양측 중 대응하는 일측의 상기 힌지축과의 구속이 해제되고, 타측의 힌지축을 구속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구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도어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힌지축이 출입되도록 개구되는 안내부가 절개 형성되는 구속장치 커버와;
    상기 구속장치 커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축의 위치와 대응하는 좌우 양측에 각각 이격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안내부와 편심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외측면에서 상기 캠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절개되며, 상기 힌지축의 삽입시 회전되어 상기 힌지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수용홈과,
    상기 캠부재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캠부재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되며, 상기 캠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와 연결되며, 상기 스토퍼의 회전시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하부 양측의 경사면과 상부 양측의 돌기를 가지는 제 1 안내부와,
    상기 제 1 안내부 상방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돌기의 사이에서 좌우 양측면이 경사면을 가지는 제 2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누름 조작시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2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며, 상기 힌지축이 구속해제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한 누름 조작시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제 1 안내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며, 상기 힌지축이 구속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판상의 고정판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판의 선단에 상기 힌지축이 상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힌지축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홈과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홈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수용홈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의 조작 방향을 선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스토퍼를 밀어 상기 스토퍼가 선택적으로 상기 캠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캠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접촉센서 또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삭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에는 유도기전력 전송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유도기전력 수신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부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21407A 2011-03-10 2011-03-10 냉장고 KR101781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07A KR101781218B1 (ko) 2011-03-10 2011-03-1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07A KR101781218B1 (ko) 2011-03-10 2011-03-1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52A KR20120103252A (ko) 2012-09-19
KR101781218B1 true KR101781218B1 (ko) 2017-10-23

Family

ID=4711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07A KR101781218B1 (ko) 2011-03-10 2011-03-1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191B1 (ko) * 2016-12-05 2019-04-10 박은호 기울림을 이용한 냉장고 양측 개폐 도어 장치
CN111174522B (zh) * 2020-03-05 2020-09-15 东阳坎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双向打开的冰箱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1993A1 (de) * 2008-11-06 2010-05-14 Euchn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zustandes einer schutzeinrichtung einer mas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1993A1 (de) * 2008-11-06 2010-05-14 Euchn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s zustandes einer schutzeinrichtung einer 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52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77716B2 (en) Refrigerator
US6051334A (en) Battery lock mechanism for portable device
EP2613114A2 (en)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3919708A1 (en) Refrigerator
KR101295955B1 (ko) 김치냉장고의 다이얼노브 장착구조
KR2018008556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US8596085B2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EP3935331B1 (en) Home appliance including display module
WO2014196755A1 (en) Button latch device of dual door type inner door
KR101781218B1 (ko) 냉장고
KR102227959B1 (ko) 냉장고
CN216565340U (zh) 一种摄像头和麦克风的组合开关结构及电子设备
JP3597424B2 (ja) ドア開閉機構
JP2003262457A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JP2005011773A (ja) タッチスイッチ装置、およびタッチ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20190115667A (ko) 오븐
CN209202997U (zh) 一种料理机
KR20150074233A (ko) 냉장고
KR101621537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장치
KR20240130336A (ko) 냉장고
KR20170022087A (ko) 냉장고
JP3944346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615647B1 (ko) 메인 스위치 오조작 방지장치
CN112219078A (zh) 门开闭机构、收纳柜及把手构造
CN117145305A (zh) 门组件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