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566A -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566A
KR20180085566A KR1020170009276A KR20170009276A KR20180085566A KR 20180085566 A KR20180085566 A KR 20180085566A KR 1020170009276 A KR1020170009276 A KR 1020170009276A KR 20170009276 A KR20170009276 A KR 20170009276A KR 20180085566 A KR20180085566 A KR 2018008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latch member
stopper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416B1 (ko
Inventor
박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16B1/ko
Priority to US15/873,414 priority patent/US10393425B2/en
Publication of KR2018008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16B1/ko
Priority to US16/507,914 priority patent/US1060551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05B65/0046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배면에 돌출되는 구속장치;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장치;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구속장치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래치부재 상방까지 연장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장치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재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푸시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에 연결되며 서로 접촉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치부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의 도어에 별도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개폐할 수 있는 홈바 도어가 구비되어 저장공간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15989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에 래치구조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래치를 오픈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을 도모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부재와 스토퍼가 걸림 구속된 상태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회전되어 상기 래치부재와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회전되는 상기 스토퍼와 래치부재는 도어의 개방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손잡이에 버튼이 구비되는 구조의 특성상 당기면서 버튼을 눌러 개방시키는 도어의 조작 특성상 도어를 당기면서 버튼을 누르게 될 경우, 상기 도어를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서로 더 구속될 수 있으며, 따라서 버튼을 누르는 힘이 커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의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스토퍼와 래치부재의 구속이 해재될 때 강한 회전에 의해 딸깍거리는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개폐장치의 조작성이 개선된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조작시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조작시, 보다 적은 힘으로 도어 개폐장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도어 저장공간이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도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돌출된 구속장치;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장치; 상기 서브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구속장치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보다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래치부재 상방까지 연장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재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푸시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터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손잡이에 노출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푸시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전달 유닛과;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후크 개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 상방의 상기 래치부재에는 제 1 탄성부재 고정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 상방의 스토퍼부재에서 제 2 탄성부재 고정부가 돌출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와 제 2 탄성부재 고정부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탑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에서 스토퍼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탑 돌기와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장치의 단부가 상기 래치부재에 구속되는 위치에서 서로 걸림 구속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래치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탑 돌기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접촉상태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부재에는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을 수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스탑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푸시부재의 전단은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푸시부재의 후단은 상기 스토퍼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는 상기 푸시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푸시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 배면에 돌출되는 구속장치;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구속장치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보다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래치부재 상방까지 연장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재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푸시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터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베리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는 조작장치의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하게 될 때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스토퍼부재와 래치부재의 회전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와 래치부재의 구속 해제시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의 조작시 상기 스토퍼부재와 래치부재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토퍼부재와 래치부재의 걸림 구속을 해제하는데 많은 힘이 소모되지 않게 되어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조작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잇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래치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핸들과 조작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래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가 개방 조작된 상태에서의 상기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서브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히기 직전의 상기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은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2)과 냉장실(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냉장실(11)은 한쌍의 냉장실 도어(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독립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서랍과 같은 형태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인출입되어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의 배치와 구조는 냉장고(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냉장고(1)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모든 형태의 냉장고(1)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메인 도어(21)와 서브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2)는 상기 메인 도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도어(21)에 형성되는 도어 저장공간(212)을 개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도어(21)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1)의 내측에 다수의 바스켓(213)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 저장공간(2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211)는 상기 메인 도어(21)의 둘레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211)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저장공간(212)으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22)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메인 도어(21)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2)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메인 도어(21)에 구비되는 어퍼 힌지(214)와 로어 힌지(215)에 축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힌지(214)와 로어 힌지(215)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 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 중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 축과 먼 일측단에는 상기 메인 도어(21) 및 서브 도어(22)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23)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 조작을 위해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3)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하로 연장되며 손잡이 바(231)와, 상기 손잡이 바(231)의 양단에서 상기 서브 도어(22)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바(231)를 상기 서브 도어(22) 전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한쌍의 손잡이 장착부(232)와, 상기 한쌍의 손잡이 장착부(232)의 사이에서 상기 손잡이(23)와 상기 서브 도어(22)의 사이를 연결하는 손잡이 연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3) 전면에는 조작장치(50)를 구성하는 버튼(52)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버튼(52)은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22)의 개방 조작을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52)의 위치는 평균 정도의 키를 가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름 조작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52)과 연결되는 제 1 푸시로드(53)가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를 관통하여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23)의 구조는 상기 손잡이 장착부(232)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 바(231)가 상하 방향으로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바(231)의 양단이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에 직접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21)에는 래치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서브 도어(22)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래치장치(9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22)의 선택적인 구속과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메인 도어와 래치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메인 도어(21)의 전면에는 상기 래치장치(90)가 수용되는 래치장치 수용부(216)가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 수용부(216)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래치장치(90)의 상단과 하단이 안착될 수 있는 래치장치 안착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 수용부(216)의 둘레에는 플레이트 단차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단차부(217)의 개구는 상기 래치장치 수용부(216)의 개구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단차부(217)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90)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는 상기 래치장치(90)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단차부(217)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는 상기 플레이트 단차부(217)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21)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 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홀(241)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S)는 상기 래치장치(90)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래치장치 안착부(218)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와 상기 래치장치(90)가 상기 메인 도어(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후크부재(82)가 출입되는 후크 슬롯(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슬롯(242)은 상기 후크부재(82)가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부재(92)와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슬롯(242)과 인접하는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홀(243)은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장치(90)의 푸시부재(94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스토퍼부재(93)의 동작을 강제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서브 도어의 핸들과 조작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23)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3)에는 조작장치 장착부(23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 장착부(234)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와 연통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장치 장착부(234)의 높이는 상기 손잡이(23)의 중앙 또는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형성되어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 장착부(234)에는 상기 조작장치(5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50)는 상기 조작장치 장착부(234)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조작장치 케이스(51)와, 상기 조작장치 케이스(51)의 내측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52), 그리고, 상기 버튼(52)과 연결되어 상기 버튼(52)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푸시로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 케이스(51)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52)을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52)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52)이 상기 손잡이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52)의 전면은 상기 손잡이(23)의 외측면과 동일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조작장치(50)와 상기 손잡이(23)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푸시로드(53)는 상기 버튼(5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52)의 누름 조작시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의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푸시로드(53)의 길이는 상기 버튼(52)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 1 푸시로드(53)의 후단이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를 통과하여 상기 서브 도어(22) 전면의 전달유닛(70)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70)은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와 대응하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버튼(52)의 누름 조작시 돌출되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의 후단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70)의 전면은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유닛(70)에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와 접촉되는 접촉부재(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72)는 상기 서브 도어(22) 전면의 프론트 홀(221)을 통해 일부가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홀(221)을 통과하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의 후단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홀(221) 및 상기 접촉부재(72)는 상기 손잡이 연결부(233)에 의해 차폐되어 상기 손잡이(23)의 장착 후에는 상기 전달유닛(70)은 물론 상기 프론트 홀(2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도어 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도어 개폐장치(40)의 전체적인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 개폐장치(40)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개폐와 구속을 위한 구성 전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3)에 구비되는 조작장치(50)와, 상기 서브 도어(22)에 구비되는 구속장치(60), 래치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50)는 상기 손잡이(23)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조작장치 케이스(51) 내부에서 탄성 지지되는 버튼(52)과 상기 버튼(52)에서 상기 구속장치(60)까지 연장되는 제 1 푸시로드(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60)는 상기 서브 도어(22)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을 상기 래치장치(90)에 전달하고 동시에 상기 래치장치(90)와의 선택적인 구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60)는 상기 전달유닛(70)과 구속유닛(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70)과 구속유닛(80)은 서로 이격 배치되지만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 및 배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전달유닛(70)은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래치장치(90)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전달유닛 케이스(71)와, 접촉부재(72) 그리고 제 2 푸시로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유닛 케이스(71)는 상기 전달유닛(70)의 외형을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전달유닛(70)이 상기 서브 도어(22)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케이스 베이스부(711)와 케이스 연장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베이스부(711)는 상기 전달유닛(70)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베이스 고정부(711a)가 형성되어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22)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연장부(712)는 상기 케이스 베이스부(7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배면과 접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케이스 연장부(712)는 내측에 상기 접촉부재(72)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연장부(712)의 내측에는 상기 접촉부재(7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부재(72)는 누름 조작 후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 또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부재(72)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홀(221)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접촉부재 리브(7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 리브(721)는 상기 프론트 홀(221)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 리브(721)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부(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722)는 상기 제 1 푸시로드(53)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재(72)의 전면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72)의 배면에는 제 2 푸시로드(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시로드(73)는 상기 접촉부재(72)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성형된 후에 상기 접촉부재(7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시로드(73)는 상기 조작장치(50)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접촉부재(72)의 후방 이동에 의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메인 도어(21)의 상기 래치장치(90)를 누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시로드(73)는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장치(9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푸시로드(53)가 상기 접촉부재(7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래치장치(90)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속유닛(80)은 상기 래치장치(90)와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서브 도어(2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유닛(80)은 후크 케이스(81)와 후크부재(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케이스(81)는 상기 후크부재(82)가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속유닛(80)은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제 1 면(811)과 상기 제 1 면(811)의 일단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서브 도어(22)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전달유닛(7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812a)가 형성되는 제 2 면(812) 그리고, 상기 제 2 면(812)과 반대측에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22)의 내측에서 스크류(S)가 체결되는 케이스 스크류 홀(813a)이 형성되는 제 3 면(8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811)에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출입되는 관통홀(8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811a)은 상기 제 1 면(811)에서 돌출되는 케이스 안내부(811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안내부(811b)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면(811)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안내부(811b)의 중앙에 상기 관통홀(81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상기 관통홀(811a)을 지나 상기 메인 도어(21)의 래치부재(92)를 누르게 될 때에도 상기 메인 도어(21)와 서브 도어(22) 사이로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안내부(811b)가 형성되는 상기 제 1 면(811)의 배면에는 상기 전달유닛(70)의 케이스 베이스부(711)에서 돌출되는 베이스 보스(711b)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보스 수용홈(8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보스(711b)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스 수용홈(811c)에 삽입되어 상기 전달유닛(70)의 고정을 보다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면(811)에는 상기 관통홀(811a) 하방에 상기 후크부재(82)가 삽입되는 후크부재 장착부(811d)가 장착되며, 상기 후크부재(82)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 장착부(811d)에는 상기 후크부재(82)의 전방에서 스크류(S)가 체결되는 스크류 보스(811e)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 보스(811e)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후크 케이스(81)에 일체로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래치장치(90)에 삽입되어 래치부재(92)와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래치부재(92)와의 구속시 상기 서브 도어(22)는 닫힌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후크 케이스(81)에 고정 장착되는 후크 베이스(821)와 상기 후크 베이스(821)에서 돌출되어 상기 래치부재(92)와 구속되는 후크 바디(8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베이스(821)는 상기 후크부재 장착부(811d)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재 장착부(811d)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베이스(821)는 스크류 보스(811e)를 관통하는 스크류(S)와 체결되어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후크 베이스(821)와 일체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바디(822)는 상기 후크 베이스(821) 즉 상기 서브 도어(22)의 후면에서 수직하게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바디(8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바디(82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후크 개구(8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개구(823)는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래치장치(9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부재(92)의 일측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 개구(823)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래치부재(92)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래치장치(9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크 개구(823)의 후단 즉, 상기 후크부재(82)의 후단은 상기 래치부재(92)와 걸림 구속되는 구속부(8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824)의 상면(824a)과 하면(824b)은 각각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부(824)의 상면(824a)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재(82)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래치부재(92)의 일측이 상기 상면(824a)의 경사를 따라 지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824)의 하면(824b) 또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재(82)의 삽입시 상기 래치부재(9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동시에 상기 래치부재(92)의 일측과 접촉되면서 상기 래치부재(92)를 밀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구속장치(60)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도어(21)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메인 도어(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홀(243)과 상기 후크 슬롯(242)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스토퍼부재(93) 및 래치부재(9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전체적으로, 상기 래치장치(90)가 상기 메인 도어(2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다수의 구성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래치 브라켓(91)과, 상기 래치 브라켓(91)에 장착되어 상기 후크부재(82)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래치부재(92), 상기 래치부재(9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부재(93),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945)가 상기 스토퍼부재(93)와의 접촉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푸시 가이드(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래치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래치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래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브라켓(91)에 상기 래치부재(92)와 스토퍼부재(93) 그리고 푸시 가이드(94)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세히, 상기 래치 브라켓(91)은 상단과 하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전면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절곡 형성되어 래치 고정부(9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 고정부(911)는 상기 래치장치(90)가 상기 메인 도어(21)의 래치장치 수용부(216)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장치 안착부(218)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고정부(911)에는 스크류 홀(911a)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S)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90)가 상기 래치장치 수용부(216)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측면에는 브라켓 절개부(9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절개부(912)는 상기 후크부재(82)의 출입시 상기 후크부재(82)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일부가 상기 후크부재(82)의 두께보다 더 크게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재(82)와 동일 높이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내측 하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장착부(9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장착부(913)는 상기 스토퍼부재(9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측면으로 부터 이격 또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장착시 상기 스토퍼부재(93)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측면과 다소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부재(92)와 걸림 구속되고 상기 푸시부재(945)의 후단과 접촉될 수 있는 위치상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 브라켓(91)에는 상기 스토퍼부재 회전축(97)이 결합되는 결합홀(913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후크부재(82)와의 선택적인 걸림 구속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22)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것으로, 상기 래치 브라켓(9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래치부재(92)에는 상기 래치부재(92)의 회전 중심이 되는 래치 회전축(95)이 관통되는 래치 홀(9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래치 홀(9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래치 회전축(95)과 상기 래치 홀(921)의 결합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래치 회전축(95)은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대략 중앙 또는 중앙보다 다소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회전축(95)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래치 홀(921)을 관통한 후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결합홀(91a)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래치 회전축(95)은 상기 래치 브라켓(91)에서 상기 래치 홀(921)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홀(9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 전방에는 상기 래치부재(92)의 일측이 돌출되며 탄성부재(96)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는 상기 래치부재(92)의 외측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부재(96)의 고리부(96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고리 홈(922a)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가 당겨지게 될 경우 상기 래치부재(9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 홀(921)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는 상기 래치부재(92)의 일측이 돌출 또는 함몰되어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스탑 돌기(933)와 걸림 구속될 수 있는 걸림부(9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923)는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래치부재(9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토퍼부재(93)에 돌출된 스탑 돌기(933)와 걸림 구속되어 상기 래치부재(92)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래치 홀(92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방에는 제 1 돌출부(924)와 제 2 돌출부(925) 그리고 상기 제 1 돌출부(924)와 제 2 돌출부(925) 사이의 후크 수용부(9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924)는 상기 제 2 돌출부(925) 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돌출부(925)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수용부(926)는 상기 제 1 돌출부(924)와 제 2 돌출부(925)의 이격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수용부(926)의 폭은 상기 후크부재(82)의 단부 즉, 상기 구속부(824)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92)의 전체적인 두깨는 상기 후크부재(82)의 후크 개구(823)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상기 래치부재(9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후크 수용부(926)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후크부재(82)의 전단 즉, 상기 구속부(824)가 상기 후크 수용부(926)를 빠져나와 상기 제 2 돌출부(925)의 단부를 통과하여 상기 후크 슬롯(242)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후크부재(82)가 삽입될 때에는 상기 구속부(824)가 상기 후크 슬롯(242)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구속부(824)의 단부는 상기 제 2 돌출부(925)의 단부를 지나 상기 후크 수용부(926)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 1 돌출부(924)를 누르게 되어 상기 래치부재(9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래치부재(92) 후방의 상기 래치 브라켓(91) 내측에는 상기 스토퍼부재(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재(93)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하부에서 상기 래치부재(92)를 지나 상기 푸시 가이드(94)의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하단에는 스토핑 홀(9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핑 홀(931) 상기 래치 홀(921)보다는 하방 및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93)는 상기 래치부재(92)와의 구속이 해제될 때 상기 래치부재(9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 홀(931)은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회전 중심이 되는 스토퍼부재 회전축(97)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토퍼부재(9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재 회전축(97)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핑 홀(931)을 관통한 후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스토퍼 장착부(913)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토퍼부재 회전축(97)은 상기 래치 브라켓(91)에서 상기 스토핑 홀(931)을 관통하도록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스토핑 홀(931)의 상방에는 상기 래치부재(92)와 마주보는 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9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932)는 상기 래치부재(92)의 회동 또는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회동시에도 상기 래치부재(92)와 상기 스토퍼부재(93)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932)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부재(92)의 걸림부(923)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탑 돌기(9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탑 돌기는 상기 함몰부(932)의 일측에서 돌출되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은 상기 걸림부(923)와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탑 돌기(933)와 상기 걸림부(923)가 서로 걸림 구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92)와 상기 스토퍼부재(93) 모두 회전되지 않고 서로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재(93) 상단의 후단에는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상단이 돌출되어 탄성부재(96)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는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가 절곡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의 외측에는 상기 탄성부재(86)의 고리부(96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고리 홈(934a)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가 당겨지게 될 경우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96)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와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래치부재(92)와 상기 스토퍼부재(93)가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최초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위해 상기 탄성부재(96) 양단의 고리부(961)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와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에 고정되며, 상기 래치부재(92)와 스토퍼부재(93)가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96)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이 상기 래치부재(92)와 상기 스토퍼부재(93)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96)는 인장 스프링이 아닌 다른 형태의 탄성을 제공하는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상단의 전단에는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푸시부재(945)의 후단이 접촉되는 면을 제공하는 접촉부(9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35)는 상기 제 2 탄성부재 고정부(934)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푸시부재(945)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재(945)의 전후 방향 이동시 상기 푸시부재(945)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35)의 전방에는 상기 푸시 가이드(9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가이드(94)에는 상기 푸시부재(94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푸시부재(945)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상기 푸시 가이드(94)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내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접촉부(935)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부재(945)의 후단이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접촉부(935)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가이드(94)는 상기 래치 브라켓(91)에 고정 장착되는 가이드 케이스(941)와,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부재(9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에는 상기 푸시부재(945)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푸시부재(945)가 후방으로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는 상기 상면(942)과 측면(943) 및 전면(944)을 포함하며, 상면(942)이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내측 상면에 접하며, 상기 측면이 상기 래치 브라켓의 외측 측면에 접하고 스크류에 의해 상기 래치 브라켓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의 전면(944)은 상기 래치 브라켓(91)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의 전면에는 상기 푸시부재(945)가 수용되는 전면 홀(94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945)는 상기 전면 홀(944a)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의 전면(944) 보다는 다소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945)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의 플레이트 홀(243)을 통해 노출되도록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방이동시 상기 푸시부재(945)가 함께 눌려지게 되어 상기 푸시부재(945)가 후방으로 즉각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부재(945)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푸시부(945b)가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945b)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에 형성된 푸시 가이드(946)를 통과하여 상기 접촉부(935)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부(945b)는 상기 푸시 가이드(946)의 후단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연장되며, 상기 푸시부재(945)가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935)를 밀어 상기 래치부재(92)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재(945)의 전면에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단이 삽입될 수 있는 로드 홈(945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방 이동시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단은 상기 로드 홈(945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재(945)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가이드(946)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의 전면(944)에서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전단 즉 상기 접촉부(935)와 인접한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푸시 가이드(946)는 상기 가이드 케이스(941)의 전면(944)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가이드(946)에는 상기 푸시부재(945)에서 연장되는 상기 푸시부(945b)가 통과되는 가이드 통로(946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통로(946a)는 상기 접촉부(935와 마주보는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방 이동시 상기 푸시부재(945)의 푸시부(945b)가 상기 푸시 가이드(946)의 안내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935)를 밀어 푸시로드(73)는 상기 스토퍼부재(93)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재(93)와 래치부재(92)의 구속 해지로 상기 래치부재(92)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개폐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브 도어(22)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래치부재(92)의 후크 수용부(926)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래치부재(92)의 제 2 돌출부(925)는 상기 후크 개구(823)에 삽입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구속부(824)와 상기 제 2 돌출부(925)는 서로 걸림 구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92)의 걸림부(923)와 상기 스탑 돌기(933) 또한 서로 접촉된 상태로 서로 걸림 구속된 상태가 되어 상기 래치부재(92) 및 스토퍼부재(93)는 회전되지 않고 걸림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를 당기게 되면, 상기 후크부재(82)의 구속부(824)가 상기 제 2 돌출부(925)를 당기게 되며, 상기 래치부재(92)는 모멘트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한다.
하지만,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스탑 돌기(933)와 상기 걸림부(923)의 구속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래치부재(92)의 후크 수용부(926)는 상기 후크부재(82)의 구속부(824)와 걸림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를 당기게 되더라도 상기 메인 도어(21)와 서브 도어(22)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메인 도어(21)와 서브 도어(22)가 서로 결합된 상태 즉, 상기 냉장실 도어(21) 전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메인 도어(21)를 개방하여 상기 냉장실(11)의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래치장치(90)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상기 서브 도어가 개방 조작된 상태에서의 상기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래치장치(90)로부터 구속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21)는 닫혀있고, 상기 서브 도어(22) 만이 회동되어 상기 메인 도어(21) 상의 상기 도어 저장공간(212)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브 도어(22)의 개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3)를 쥔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3)를 당겨 상기 서브 도어(2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3)에 구비되는 버튼(52)을 누르면서 상기 손잡이(23)를 당길 수 있게 된다. 상기 버튼(52)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푸시로드(53)는 상기 전달 유닛(70)의 접촉부재(72)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푸시로드(53)와 상기 접촉부재(72)의 제 2 푸시로드(73)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제 2 푸시로드(73)의 후단은 상기 메인 도어(21)의 전면에 위치된 상기 푸시부재(945)를 누르게 된다.
상기 푸시부재(945)가 상기 제 2 푸시로드(73)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상기 푸시부재(945)의 푸시부(945b)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푸시부(945b)의 후단이 상기 접촉부(935)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935)를 후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상기 푸시부(945b)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9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재(93)와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탄성부재(96)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토퍼부재(93)의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922)를 당기는 힘이 작용되어 상기 래치부재(92) 또한 상기 스토퍼부재(93)와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93)가 소정의 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탑 돌기(933)와 상기 걸림부(923)가 서로 떨어지면서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부재(9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92)의 구속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로 사용자는 상기 후크부재(82)를 상기 래치부재(92)의 후크 수용부(926)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래치부재(92)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2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22)가 설정 각도이상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부재(82)는 자연스럽게 상기 후크 수용부(926)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크부재(8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824) 상면(824a)의 경사진 부분이 상기 래치부재(92)의 제 2 돌출부(925)와 접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부(824)는 상기 래치부재(92)를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서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제 2 돌출부(925)를 지나 상기 후크 수용부(926)를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의한 상기 서브 도어(22)의 개방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22)는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메인 도어(21)의 도어 저장공간(2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상기 도어 저장공간(212)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상기 서브 도어가 개방된 후 닫히기 직전의 상기 래치장치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브 도어(22)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92)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1과 비교할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되며, 상기 스토퍼부재(93)와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93)의 스탑 돌기(933)는 상기 래치부재(92)의 걸림부(923) 상방의 곡면부(927)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곡면부(927)는 상기 래치부재(92)의 래치 홀(921) 상방에서 상기 래치부재(92)의 외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걸림부(923)까지 소정의 곡률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96)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93)와 상기 래치부재(92) 사이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상기 스탑 돌기(933)는 상기 곡면부(927)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9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상기 후크 수용부(926)의 개구된 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크 슬롯(24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22)를 닫게 되면,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에서 돌출된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후크 슬롯(242)을 지나 상기 래치부재(92)의 후크 수용부(926)의 개구된 부분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2)가 설정된 각도만큼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부재(82)의 구속부(824)의 하면(824b)은 상기 래치부재(92)의 제 1 돌출부(924)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상기 제 1 돌출부(924)를 밀게 된다. 상기 제 1 돌출부(924)를 밀게 되면 상기 래치부재(92)는 모멘트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22)가 완전히 닫히게 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래치부재(92)의 시계방향의 회전시 상기 탄성부재(9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93)는 상기 래치부재(92)와 접하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래치부재(92)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스탑 돌기(933)는 상기 곡면부(927)를 따라서 상기 걸림부(923)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탑 돌기(933)가 상기 곡면부(927)를 따라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퍼부재(93)는 반시계방향(도 13에서 1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래치부재(9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96)는 상기 래치부재(92)와 상기 스토퍼부재(93)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장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서브 도어(22)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상기 후크부재(82)는 최대한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부재(92)가 상기 도 11에서와 같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부재(9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탑 돌기(933)가 상기 걸림부(923)에 위치될 때까지 회전되면,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후크부재(82)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스탑 돌기(933)가 상기 곡면부(927)의 단부를 넘어서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9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93)는 시계방향(도 13에서 2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스탑 돌기(933)와 걸림부(923)가 서로 걸림 구속되는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속부(824)가 상기 후크 수용부(926)에 수용되며, 상기 래치부재(92)는 상기 스토퍼부재(93)에 의해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부재(82)는 상기 래치부재(92)의 내측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는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서브 도어(22)는 상기 메인 도어(21)에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냉장고 캐비닛에 래치장치가 제공되고, 도어에 구속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조작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구조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3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13)에 의해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냉장실(11')과 냉동실(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30')는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는 각각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와 냉동실 도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30')의 개폐를 위해 잡을 수 있는 손잡이(2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3)를 쥔 상태에서 상기 도어(20',30')를 회전시켜 상기 냉장실(11')과 냉동실(12')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3)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조작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50)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개방을 위해 누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3)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버튼(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장치(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배면에는 구속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60)는 상기 후크 케이스(81)와 후크부재(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82)의 상방에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출입되는 관통홀(8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811a)은 상기 후크 케이스(81)에서 돌출되는 케이스 안내부(811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상기 베리어(13) 전면에는 래치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손잡이(23)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래치장치(9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선택적인 구속과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는 상기 래치장치(90)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 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후크부재(82)가 출입되는 후크 슬롯(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슬롯(242)은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래치부재(92)와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슬롯(242)과 인접하는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홀(243)은 상기 래치장치(90)의 푸시부재(94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재(93)의 동작을 강제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버튼이 서브 도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는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구조는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은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12)과 냉장실(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냉장실(11)은 한쌍의 냉장실 도어(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좌우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서랍과 같은 형태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인출입되어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메인 도어(21)와 서브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2)는 상기 메인 도어(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 도어(21)에 형성되는 도어 저장공간(212)을 개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도어(21)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저장공간(21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구부(211)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22)는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메인 도어(21)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 중 상기 서브 도어(22)의 회전 축과 먼 일측단에는 조작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50)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 도어(22)의 개방을 위해 누름 조작하는 것으로, 상기 서브 도어(22)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버튼(5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장치(50)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배면에는 구속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60)는 상기 후크 케이스(81)와 후크부재(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재(82)의 상방에는 상기 제 2 푸시로드(73)가 출입되는 관통홀(8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811a)은 상기 후크 케이스(81)에서 돌출되는 케이스 안내부(811b)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21) 전면에는 래치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장치(90)는 상기 서브 도어(22)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장치(5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장치(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래치장치(9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22)의 선택적인 구속과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4)는 상기 래치장치(90)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4)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 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상기 서브 도어(22)의 선택적인 구속을 위한 후크부재(82)가 출입되는 후크 슬롯(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슬롯(242)은 상기 후크부재(82)가 상기 래치부재(92)와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 슬롯(242)과 인접하는 상기 체결 홀(241)의 사이에는 플레이트 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홀(243)은 상기 래치장치(90)의 푸시부재(945)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부재(93)의 동작을 강제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측의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메인 도어(21)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메인 도어(21) 하단에 함몰된 손잡이 홈에 손을 넣어 회전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도어 저장공간이 형성된 메인 도어;
    상기 도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돌출된 구속장치;
    상기 메인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장치;
    상기 서브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구속장치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보다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래치부재 상방까지 연장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재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푸시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터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장착되는 손잡이에 노출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버튼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푸시부재를 선택적으로 누르는 전달 유닛과;
    상기 서브 도어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의 일부가 삽입되어 걸림 구속되는 후크 개구가 형성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 상방의 상기 래치부재에는 제 1 탄성부재 고정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 상방의 스토퍼부재에서 제 2 탄성부재 고정부가 돌출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탄성부재 고정부와 제 2 탄성부재 고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탑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에서 스토퍼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탑 돌기와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장치의 단부가 상기 래치부재에 구속되는 위치에서 서로 걸림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부까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탑 돌기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접촉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재에는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을 수용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스탑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의 전단은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푸시부재의 후단은 상기 스토퍼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는 상기 푸시부재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 하는 푸시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도어 배면에 돌출되는 구속장치;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구속장치를 수용하여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래치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와 상기 구속장치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구속장치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래치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축보다 하방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되, 상기 래치부재 상방까지 연장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래치부재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스토퍼부재;
    상기 래치부재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이동되어 상기 스토퍼부재를 밀어서 회전시키는 푸시부재;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부재와 스토퍼부재가 서로 접촉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스포터부재와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형성되며,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베리어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170009276A 2017-01-19 2017-01-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KR10194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76A KR101942416B1 (ko) 2017-01-19 2017-01-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US15/873,414 US10393425B2 (en) 2017-01-19 2018-01-17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US16/507,914 US10605518B2 (en) 2017-01-19 2019-07-10 Refrigerator and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76A KR101942416B1 (ko) 2017-01-19 2017-01-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66A true KR20180085566A (ko) 2018-07-27
KR101942416B1 KR101942416B1 (ko) 2019-01-28

Family

ID=6284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276A KR101942416B1 (ko) 2017-01-19 2017-01-19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393425B2 (ko)
KR (1) KR101942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130A (zh) * 2019-12-02 2021-06-1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门组件及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9590S1 (en) * 2016-12-13 2024-01-0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door handle
KR102525816B1 (ko) * 2018-05-02 2023-04-26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의 홈바 도어 개폐장치
KR102567530B1 (ko) * 2018-06-08 202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359414B2 (en) * 2019-01-24 2022-06-14 Whirlpool Corporation Latch assembly
KR20210055887A (ko) * 2019-11-08 2021-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48686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53918A (ko) * 2020-10-23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2018881B2 (en) * 2020-11-23 2024-06-25 Whirlpool Corporation Adjustment assembly for appliance door
DE102021105537A1 (de) * 2021-03-08 2022-09-08 ABUS August Bremicker Söhne Kommanditgesellschaft Verschlusssystem
KR20220168314A (ko) * 2021-06-16 2022-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3418346A (zh) * 2021-06-18 2021-09-21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连接件、冰箱箱体及冰箱
SE2150794A1 (en) * 2021-06-21 2022-10-04 Scanbox Thermoproducts Ab Locking arrangement for a food transport cart or food cabine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3772A (en) * 1937-10-30 1941-05-27 Philco Corp Latching means for refrigerator doors
CN102116554A (zh) * 2010-01-04 2011-07-06 Lg电子株式会社 电冰箱
KR101343775B1 (ko) 2011-08-05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래치장치를 갖는 냉장고
WO2013022198A1 (en) * 2011-08-05 2013-02-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inner door
KR20130053318A (ko) 2011-11-15 201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판금재질의 래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06132B1 (ko) * 2013-06-14 202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7959B1 (ko) 2013-12-23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S2671484T3 (es) * 2013-12-23 2018-06-06 Lg Electronics Inc. Nevera
US9605891B2 (en) * 2014-03-11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1618129B1 (ko) * 2014-04-28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3130A (zh) * 2019-12-02 2021-06-1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门组件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02707A1 (en) 2018-07-19
US10605518B2 (en) 2020-03-31
US20190331400A1 (en) 2019-10-31
KR101942416B1 (ko) 2019-01-28
US10393425B2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16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US9759477B2 (en) Refrigerator
KR102118047B1 (ko) 냉장고
KR101622228B1 (ko) 냉장고
KR10186071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US6267272B1 (en) Ice cube outlet cover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140008597A (ko) 래치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50106311A (ko) 냉장고
US20200256615A1 (en) Refrigerator
KR101758284B1 (ko) 냉장고
KR101861368B1 (ko) 냉장고
KR20160017017A (ko) 냉장고
KR20150074285A (ko) 냉장고
KR102607011B1 (ko) 냉장고
KR102470041B1 (ko) 냉장고
KR102093435B1 (ko) 냉장고
KR20150074233A (ko) 냉장고
KR102111717B1 (ko) 냉장고
EP4386289A1 (en) Refrigerator
KR102584693B1 (ko) 냉장고
KR102093448B1 (ko) 냉장고
KR102093461B1 (ko) 냉장고
KR20240086995A (ko) 냉장고
KR100232849B1 (ko) 냉장고용 병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