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313B1 -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 Google Patents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313B1
KR101780313B1 KR1020170059880A KR20170059880A KR101780313B1 KR 101780313 B1 KR101780313 B1 KR 101780313B1 KR 1020170059880 A KR1020170059880 A KR 1020170059880A KR 20170059880 A KR20170059880 A KR 20170059880A KR 101780313 B1 KR101780313 B1 KR 10178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electrode
discharge tube
measur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숙
Original Assignee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비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뉴비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5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고,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이면서 제어함체에 실장된 메인보드를 포함한 카드형 처리모듈들의 발열을 억제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SYSTEM FOR MEASURING POSITION OF CONSTRUCTION IN UNDERGROUND SURVEY BASED ON LASER AND GPS}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 기술 분야 중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고,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이면서 제어함체에 실장된 메인보드를 포함한 카드형 처리모듈들의 발열을 억제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 라인 및 각종 통신용 라인과, 도심지 구성을 위한 다양한 기반시설물(이하 '지하시설물')은 지하에 매설돼 보관 및 보호된다.
따라서, 상기 지하시설물이 매설된 후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므로, 지상에서는 해당 지하시설물의 매설위치와 지하시설물의 종류 등을 알 수 없다.
하지만, 유사시 문제가 발생한 지하시설물의 보수 및 관리를 위해, 지하시설물의 매설 위치는 정확히 확인되어야 하고, 확인된 위치는 기록으로 남겨서 검색 대상인 해당 지하시설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다수의 측정 작업자가 요구되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지하시설물이 매설되면 토사 등을 되메우기 전에, 측정 작업자 중 1명은 타깃을 지지한 채 서있고, 다른 측정 작업자는 지상에서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공지,공용의 측량장비를 이용해서 상기 타깃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 및 연산했다.
이때, 종래 타깃은 프리즘으로 명명되는 오목한 반구형상을 한 공지,공용의 도구로, 타깃을 지지하고 있는 자측정 작업가 타깃의 오목한 부분이 측량장비를 향하도록 조정해서, 측량장비가 타깃을 향해 광파를 발신하고, 타깃은 상기 광파를 발신위치로 정반사하며, 상기 측량장비는 상기 광파를 다시 수신하는 모습이 되도록 했다. 즉,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해서 이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타깃이 측량장비를 향하도록 조정하는 자측정 작업와, 측량장비를 조작하는 자측정 작업가 등, 최소한 2명 이상의 자측정 작업가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을 위한 용역 단가는 낮아지고 인건비는 오히려 증가하면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측정하는 용역의뢰에 대한 기피현상이 발생했다. 하지만,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결과는 지하시설물에 대한 원활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자료로 쓰임은 물론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 활용되므로, 지하시설물의 위치 측정 작업은 도심기반 시설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업무이다.
또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결과는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보호 및 관리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접지역에 대한 토목 및 건축 시공시 중요한 기반자료로서 활용되므로, 상기 위치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하시설물의 위치측정 작업을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도를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973591호(2010.07.27.)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1인 측량타킷"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보완 요청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 레이저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을 이용하여 측량시 거리오차를 없애도록 거리측정 기능을 이중화하여 편리하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지하시설물을 측량하고, 지피에스를 통해 측량 지점의 좌표를 즉시 확인하여 지하시설물의 원점에 대한 위치인식 정확도를 높이면서 제어함체에 실장된 메인보드를 포함한 카드형 처리모듈들의 발열을 억제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GPS수신부(246)와 레이저 거리측정기(230) 및 광파측거기(221)를 갖춘 본체(220)와, 상기 본체(220)를 지지하는 삼발이(210)를 포함하는 측량장비(200)와; 지하시설물에 연결되는 고정자(110), 고정자(110)에 고정되는 힌지(120), 힌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130)를 포함하는 측량타깃(100e); 상기 측량타깃(100e)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파측거기(221)에 반응하는 재귀반사체(130a); 상기 막대(130)에 부착되어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에 반응하는 반사판(130b);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20)에는 제어함체(21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어함체(2100)의 상면 일부에는 흡입구멍(INH)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배출구멍(DRH)이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구멍(INH)과 배출구멍(DRH) 각각에는 교체 가능한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함체(2100)의 내부에는 측량장비제어부(240)를 갖는 메인보드(MBD)가 탑재되며, 상기 메인보드(MBD)에는 비교연산부(242), 메모리(244), 지피에스수신부(246), 좌표연산부(248), 조사확인부(260), 무선통신부(270)가 카드형 처리모듈(CMD) 형태로 실장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후면에는 무선통신안테나(272)가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안테나(272)는 메인보드(MBD)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7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DP)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DP) 주변에는 다수의 버튼(BT)이 설치되어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화면의 메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멍(DRH)에는 배출제한플랩(30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힌지축(3100)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3100)에는 토션스프링(3200)이 끼워져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 내부인 상기 흡입구멍(INH) 직하방 위치의 천정면에는 함체냉각유닛(2200)이 설치되며; 상기 함체냉각유닛(2200)은 소형팬이 내장된 팬박스(2210)와, 상기 팬박스(2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방전극체가 내장된 방전박스(2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박스(2220)는 내부 중앙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 고정된 제1전극(2222)과, 상기 방전박스(2220)의 내부 양측에 상기 제1전극(2222)과 대향되게 배열된 제2전극(222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2222) 한 쌍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중앙의 빈 공간은 송풍량 조절을 위한 풍량조절판(2226)이 설치되는데, 상기 풍량조절판(2226)은 상방향으로 만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과 내구성을 위해 아세탈로 만들어지며; 상기 풍량조절판(2226)에는 다수의 풍량구멍(2228)이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2222)을 관통하여 제2전극(2224)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방전관(CP)이 구비되며, 상기 방전관(CP)의 상기 제1전극(2222) 측에는 소켓단자(2230)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1방전전극(E1)이 접속되고, 방전관(CP)의 상기 제2전극(2224) 측에는 소켓볼트(2232)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2방전전극(E2)이 접속되며; 제1방전전극(E1)의 제2전극(2224)측 단부는 절연되고, 제2방전전극(E2)의 제1전극(2222)측 단부는 절연되며; 상기 방전관(CP)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리이고; 방전관(CP)의 상부에는 반원형상의 방전관가이드(2234)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방전관가이드(2234)의 중심에는 통기공(223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방식의 타깃을 사용하여 지상에서 자측정 작업 1인이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측량장비를 통해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함체에 실장된 메인보드를 포함한 카드형 처리모듈들의 발열을 억제하여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토탈스테이션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측량타깃의 표면 모습을 일부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치를 구성하는 측량방식의 이중화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장치를 구성하는 제어함체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에서 방전박스의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지하시설물 등의 매설위치와 깊이 등을 현장에서 정확히 측정해서 이를 기록에 남길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상기 지하시설물에 부착되어서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공지,공용의 측량장비(200)의 측량 대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의 매설깊이에 상관없이 지상에 위치한 측량장비(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a)은 지하시설물에 연결되는 고정자(110)와, 고정자(110)에 고정되는 힌지(120)와, 힌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130)로 구성된다.
막대(130)는 하단이 힌지(120)와 연결되는 관 형상의 모체(131)와, 모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탈하면서 막대(130)의 길이를 조정하는 자체(132)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둘 이상의 자체(132)를 모체(131)와 일렬로 연결시켜서, 막대(130)의 최장길이가 최단길이의 수 배에 이르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막대(130)에 통상적인 막대 안테나의 연결구조를 적용해서, 모체(131)로부터 자체(132)를 인출하는 형태로 막대(130)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힌지(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체(131)의 하단에는 연직추(13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직추(131a)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뿔 형태로 돌출된 돌기로, 힌지(12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회동하는 과정에서 막대(130)의 하단이 지면의 어디를 향하는지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가늠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연직추(131a)와 지면(또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원거리가 아니므로, 자측정 작업자는 연직추(131a)의 방향을 개략적이면서 비교적 정확히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에서 확인되는 측량타깃(100a)의 위치가 지하시설물의 어느 지점에 해당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막대(130)의 외면에는 눈금(미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은 자측정 작업자가 측량장비(200)의 조준점이 어디인지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기준으로 측량타깃(100a)이 가리키는 지하시설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자(110)는 지하시설물의 일지점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한 자중을 가지면서 자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시설물은 금속재, 특히 자화 가능한 철재로 주로 제작된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특성을 고려해서 고정자(110)를 자성 재질로 제작할 경우, 현장의 자측정 작업자는 측량타깃(100a)을 철재 지하시설물에 인접시키는 것만으로도 고정자(110)에 의한 측량타깃(100a)의 안정된 위치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아울러 지하시설물에 부착한 측량타깃(100a)은 다른 자측정 작업자가 잡고 있지 않아도 바람과 같은 각종 자연력 등에 저항해 현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측량장비(200)를 조작하는 자측정 작업자 혼자서도 정확한 위치측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자(110)를 일정한 무게 이상이 되도록 제작해서, 부도체 재질의 지하시설물에서도 고정자(110)의 자중이 앵커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힌지(120)는 고정자(110)와 막대(130)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수단으로, 고정자(110)와는 회전축(122)을 매개로 고정되고, 막대(130)와는 고정수단(121)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때, 회전축(122)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려서, 힌지(120)가 회전축(122)을 중심으로 고정자(1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수단(121)은 고정자(110)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ㄷ' 형상 프레임(123)과 막대(130)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볼트(121a)와, 프레임(123)이 막대(130)를 감싸 조여서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너트(121b)로 구성된다.
따라서, 자측정 작업자는 현장 상황에 따라 막대(13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너트(121b)가 볼트(121a)를 따라 이동하도록 너트(121b)를 조이거나 풀어서, 위치가 조정된 막대(130)의 현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120)는 자측정 작업자가 현장에서 막대(130)의 수직 상태를 맞추기 위해 고정자(110)를 기준으로 막대(13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맞추어진 막대(130)의 수직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자측정 작업자는 너트(121b)의 조임을 해제한 상태에서 막대(130)를 회동시켜 그 수직 상태를 맞춘 후 너트(121b)를 다시 조여서 힌지(120)가 막대(130)를 감싸쥐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막대(130)의 수직 상태 확인은 공지,공용의 기포관(미도시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참고로, 기포관은 기포의 움직임을 확인해서, 기포관이 설치된 대상물의 수평상태를 자측정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막대(130)의 최상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도 4 참조)에서 막대(130)의 최상단에 배치된 기포관의 기포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막대(130)를 회동시켜서, 상기 막대(130)를 수직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토털스테이션은 각도와 거리를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공지,공용의 측량장비(200)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electronic theodolite)와 광파측거기(EDM: electro-optical instruments)가 하나의 기기로 통합되어 있어서, 측정한 자료를 빠르게 처리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식 측거ㆍ측각기이다.
종류에는 광파측거기에 측각기능을 부가한 광파측거기 주체형과, 광학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광학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과, 전자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 등이 있다.
토털스테이션의 통상적인 구조는 안정된 지지를 위한 삼발이(210)와, 삼발이(210)에 지지 고정되는 본체(220)로 구성된다.
이때, 본체(220)는 광파측거기(221)와, 광파측거기(221)의 상하 이동으로 생기는 연직각을 측정하는 연직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좌우 회전으로 생기는 수평각을 측정하는 수평각 검출부(미인출함)와, 본체(220)의 수평을 측정하고 보정하는 틸팅 센서(미인출함) 4가지 구조로 되어 있다.
초기에는 수평거리와 고저차의 변환은 나중에 별도로 계산하는 방식이었으나 전자기술의 발달로 광파측거기(221)에 계산 기능이 내장되고, 상기 연직각 및 수평각 측정을 위한 상기 검출부가 점차 소형화ㆍ경량화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상기 토털스테이션의 종류로는 광파측거기(221)에 측각 기능을 부가한 광파측거기 주체형과, 광학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221)를 부착한 광학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과, 전자식 세오돌라이트에 광파측거기를 부착한 전자식 세오돌라이트 주체형 등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의 표면에는 재귀반사를 위한 필름형태의 재귀반사체(130a)가 포장된다.
재귀반사란, 광원으로부터 온 빛이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현상을 뜻하는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각도에 상관없이 재귀반사체(130a)는 해당 빛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재귀반사체(130a)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면이 곡면 또는 3면체의 절곡면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을 이루고, 3면체의 절곡면 형태가 적용될 경우엔 도 3의 원 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습을 갖는다.
도 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실시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지하시설물(10)의 매설을 위해 절개지(30)에 매설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을 설치한 후 절개지(30)를 다시 매립하기 전, 자측정 작업자는 지하시설물(1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을 해당 지하시설물(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지하시설물(10)이 자화 가능한 금속성 재질일 경우, 측량타깃(100a)에 구성된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는 자력으로 측량타깃(100a)과 지하시설물(10)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해서, 측량타깃(100a)이 쓰러짐 없이 지하시설물(10)에 안정적으로 입설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절개지(30)에는 해당 지하시설물(10) 외에도 다른 지하시설물(20)이 함께 매설될 수 있고, 다른 지하시설물(20)의 매설 위치가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지하시설물(10)의 바로 위쪽을 가리는 위치일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시설물(10, 20)의 배치 모습이 도시한 바와 같을 경우엔,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 측정은 곧은 막대 형상의 측량타깃으로는 곤란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힌지(120)를 매개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이루므로, 상부에 위치한 지하시설물(20)을 회피해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곧게 입설시킬 수 있고, 지상에서는 자측정 작업자가 절개지(30)로부터 곧게 인출된 측량타깃(100a)의 막대(130)를 측량장비(200)를 이용해 감지해서 하부에 위치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실제 매설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막대(130)는 힌지(120)를 매개로 고정자(110)와 회동 가능하게 되므로, 측량타깃(100a)의 고정자(110)가 안착되는 지하시설물(10)의 외면이 경사지거나 평면이 아닌 굴곡면이더라도,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는 막대(130)가 항시 곧게 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10, 20)은 상하수관은 물론 각종 통신라인 및 지중전선 라인 등이 상호 인접 매설되므로,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에 의해 그 위치에 대한 확인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a)은 이웃하는 다른 지하시설물(10, 20)의 간섭을 회피해 해당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되므로, 도심지의 지하시설물에 대한 위치 정보 데이터 구축작업을 정확하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측량타깃(100b)은 지지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지지수단(140)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시설물(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한 클립(141)과, 클립(141)의 일 지점에 설치되어서 측량타깃(100b)의 고정자(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커(142)로 구성된다.
클립(141)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어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에 의해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강제로 감싸면서 상기 지하시설물(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벨트와 같은 가요성 재질로 제작되고 말단에는 공지,공용의 버클(미도시함) 또는 벨크로 테입(미도시함)과 같은 결속수단이 설치되어서, 이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싸듯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결속수단을 매개로 클립(141)의 양단을 서로 고정하는 실시예가 적용될 경우엔, 클립(141)의 길이를 지하시설물(1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제작하거나, 고무줄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링커(142)는 클립(141)의 일 지점에 고정 배치되어서, 막대(130)의 하단에 위치되는 고정자(110)와 탈부착하는 것으로, 고정자(110)는 자력을 발하므로, 이에 상응해서 링커(142)는 자력에 반응해 부착되는 재질로 제작된다.
결국, 자측정 작업자는 막대(130)와는 분리된 지지수단(140)을 지하시설물(10)에 감싸서 우선 고정한 후, 지지수단(140)의 링커(142)에 고정자(110)를 부착시켜서, 막대(130)가 링커(142) 및 고정자(110)를 기초로 입설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입면체 형상의 구조물로, 외면에는 재귀반사체가 포장됨은 물론 측량장비(200)의 조준을 위한 조준점(101)이 표시된다.
한편, 도 6의 (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량타깃(100c)에는 자성을 갖는 고정자(110')가 내설되어서, 이 고정자(110')를 매개로 지하시설물(10)에 안정하게 고정된다.
즉, 자측정 작업자가 위치 측량 대상이 되는 지하시설물(10)의 해당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인 측량타깃(100c)을 올려놓으면, 측량타깃(100c)에 내설된 고정자(110')는 자력에 의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에 부착돼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자측정 작업자는 지상으로 이동해서 측량장비(200)의 광파측거기(221)를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조준시킨 후 광파를 발사하면, 상기 광파는 측량타깃(100c)의 조준점(101)에 명중한 후 재귀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서 측량장비(200)로 수신된다.
참고로, 측량장비(200)는 광파의 발신 및 수신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처리해서, 해당 지하시설물(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c)은 지하시설물(10) 상에 안착해서 고정할 수 있는 입면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을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 좋을 것이다.
사면체는 삼각형의 측면을 갖는 입면체로서, 뿔 형상을 이루므로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측량장비(200)가 측면에 표시된 조준점(101)을 상방에서 효과적으로 감지 및 조준할 수 있고,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측면의 면적이 동일한 체적을 갖는 입면체 중에서는 가장 넓으므로, 측량장비(200)를 통한 측량시 측량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량타깃(100d)의 제4실시예는 반구 형상을 한 입체물로, 지하시설물(10)과의 결속을 위해 고정자(110')를 구비함은 제3실시예로 제시된 측량타깃(100c)과 동일하다.
반구 형상의 측량타깃(100d)은 상방의 어느 방향에서도 정면을 향하므로, 측량장비(200)는 다양한 방향에서 정반사되는 광파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량장비(200)는 측량타깃(100d)이 위치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수집해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거리측정 기능의 이중화 기술과, 지피에스 측정 기술을 더 접목하여 측량시 거리 측정오차를 없애고, 지하시설물의 좌표를 지피에스로부터 즉시 확인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확성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220)에 구비된 광파측거기(221) 외에 별도로 레이저 거리측정기(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는 레이저발진기로서, 레이저빔을 조사한 후 반사판(130b)을 통해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의 시간차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유닛으로서 공지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로부터 방출된 빔을 조사받은 후 반사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반사판(130b)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판(130b)은 일종의 거울로서, 상기 막대(130) 상의 임의 지점에 설치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파측거기(221)와 재귀반사체(130a)의 조합을 통한 1차 거리측정값과, 레이저 거리측정기(230)와 반사판(130b)의 조합을 통한 2차 거리측정값을 함께 취득한 후 이들 값의 차를 확인하여 거리 오차를 없애도록 함으로써 거리측량에 있어 측량기술의 이중화를 통해 더욱 더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이 거리오차를 줄여야 하는 이유는 측량시 미소한 각도 오차만으로도 실제상에서는 현저한 거리 오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며, 이것이 지도상에 표시될 때에는 더욱 더 그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리 측정기술의 이중화를 위해, 본체(220)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함체(2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내부에는 측량장비제어부(240)를 갖는 메인보드(MBD)가 탑재되며, 상기 메인보드(MBD)에는 비교연산부(242), 메모리(244), 지피에스수신부(246), 좌표연산부(248), 조사확인부(260), 무선통신부(270) 등이 카드형 처리모듈(CMD) 형태로 실장된다.
이때,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가 계측한 거리값과, 상기 광파측거기(221)가 계측한 거리값을 비교판독하여 오차 여부를 확인하고, 측정값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계측값의 오차 범위는 ±1/10000mm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교연산부(243)는 비교 연산시, 각 계측값들을 메모리(244)에 저장한 후 입출력하여 비교 연산시 활용하게 되며, 연산된 값은 다시 메모리(244)에 저장되고, 입,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되어 계측장비(200)의 본체(22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로 표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입,출력부(250)가 더 연결되며, 상기 입,출력부(250)는 설정 등을 위한 입력시 또는 계측데이터, 산술연산값 등을 출력할 때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입,출력부(250) 중 출력부는 제어함체(2100)의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DP)가 바람직하고, 입력부는 다수의 버튼(BT)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현지조사 확인을 위한 조사확인부(260)가 별도의 버튼 형태로 입,출력부(250)와 별개로 할당되어 있어, 측량시 산출값들과 위치 확인이 완료된 후 측량기사가 상기 조사확인부(260)를 통해 완료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는 계측작업을 완료하고, 후술되는 지피에스에 의한 좌표값과 함께 최종 계측값을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원격지서버(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현지조사 확인까지 종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원격지서버는 메인측량서버로서, 관리회사나 국가기관 혹은 지자체 기관 등에서 구축된 서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270)는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안테나(272)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지서버와 무선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연결 제어된다.
또한, 상기 측량장비제어부(240)에는 지피에스수신부(246)와 좌표연산부(248)가 더 연결된다.
상기 지피에스수신부(246)는 위성을 통해 지피에스(GPS)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는 측량장비제어부(240)와 좌표연산부(248) 및 메모리(244)의 조합을 통해 측량장비(200)인 본체(220)의 좌표로부터 타깃이 설치된 위치, 다시 말해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정확하게 산출한다.
이때, 앞서 취득한 거리측정값이 활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거리 측정오차를 없앰으로써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본체(2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어함체(2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상면 일부에는 흡입구멍(INH)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배출구멍(DRH)이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구멍(INH)과 배출구멍(DRH) 각각에는 교체 가능한 필터(미도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함체(2100)의 일측면 후측에는 배터리슬롯(BSL)이 구비되어 전원공급용 배터리를 교체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안테나(272)는 상기 제어함체(2100)의 후면에 설치되고, 메인보드(MBD)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70)와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함체(2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DP)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DP) 주변에는 다수의 버튼(BT)이 설치되어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화면의 메뉴를 조절할 때 활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배출구멍(DRH)에는 배출제한플랩(30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힌지축(3100)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3100)에는 토션스프링(3200)이 끼워져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3200)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3100)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멍(DRH)의 일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면 된다.
따라서, 내부 풍압이 토션스프링(3200)의 탄성복귀력보다 크면 배출제한플랩(3000)이 밀리면서 열려 공기 배출이 이루어지고, 풍압이 떨어지면 자동적으로 닫히면서 배출구멍(DRH)을 밀폐하게 되어 외부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극소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함체(210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멍(INH) 직하방 위치의 천정면에 함체냉각유닛(2200)이 설치된다.
상기 함체냉각유닛(2200)은 소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보드(MBD) 실장된 다수의 카드형 처리모듈(CMD)들이 동작하면서 생기는 발열을 신속히 냉각시켜 모듈들의 열화를 막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이들 모듈들은 카드 형태이고, 메인보드(MBD)의 슬롯에 꽂혀있는 상태이므로 내부에서 분진이나 먼지 등이 비산되게 되면 정전기 등에 의해 쇼트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냉각시 먼지 등이 비산되지 않도록 충분히 필터링된 상태로 냉각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냉각유닛(2200)은 소형팬이 내장된 팬박스(2210)와, 상기 팬박스(2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방전극체가 내장된 방전박스(2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전박스(2220)는 도 11에 평면상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 고정된 제1전극(2222)과, 상기 방전박스(2220)의 내부 양측에 상기 제1전극(2222)과 대향되게 배열된 제2전극(2224)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2전극(2222,2224)은 판형 전극이며, 각각 서로 (+)전극 및 (-)전극이 인가된다.
아울러, 상기 제1전극(2222) 한 쌍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중앙의 빈 공간은 송풍량 조절을 위한 풍량조절판(2226)이 설치되는데, 상기 풍량조절판(2226)은 상방향으로 만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과 내구성을 위해 아세탈로 만들어진다.
특히, 상기 풍량조절판(2226)에는 다수의 풍량구멍(2228)이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것은 팬박스(2210)로부터 불어 내려오는 강한 바람이 부딪힐 때 풍량조절판(2226)이 압을 받아 출렁거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으면서 원활한 풍량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전극(2222)에서 제2전극(2224)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방전관(CP)이 구비되며, 상기 방전관(CP)의 일단, 즉 상기 제1전극(2222) 측에는 소켓단자(2230)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1방전전극(E1)이 접속되고, 방전관(CP)의 타단, 즉 상기 제2전극(2224) 측에는 접속단자(2232)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2방전전극(E2)이 접속된다.
이때, 제1방전전극(E1)의 제2전극(2224)측 단부는 절연되고, 제2방전전극(E2)의 제1전극(2222)측 단부는 절연된다.
또한, 상기 방전관(CP)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리이다.
아울러, 상기 방전관(CP)은 플라즈마 방전에 따라 비교적 차가운 공기흐름을 유도하게 되는데, 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고압의 송풍 바람이 부딪히면 방전관(CP)이 깨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방전관(CP)의 상부에는 반원형상의 방전관가이드(2234)가 더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방전관가이드(2234)의 중심에도 통기공(2236)이 관통 형성되어야 원활한 공기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다만, 통기공(2236)을 통해 직접 방전관(CP)과 부딪히는 공기량이 작기 때문에 방전관(CP)이 파손될 우려는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주변 공기를 해리시킬 때 발생되는 음이온의 저온현상을 이용하여 송풍팬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로 제어함체(2100) 내부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장된 부품들의 열화를 막고, 또한 코팅층에 의한 보열성(냉각 또는 온장)을 통해 제어함체(2100) 내부가 적정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어함체(2100)의 내,외면에는 보호코팅층이 형성되어 내열성은 물론 잠열성을 가지면서 정전방지, 내습, 내화성도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보호코팅층 형성용 코팅액은 폴리스티렌 수지 60중량%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10중량%와, 스티렌 모노머 10중량%와, 기능성 첨가물 2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포졸란 3.5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중량부, 우르시올 2.5중량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3.5중량부, 알킬트리알콕시실란 2중량부, 1,4-부틸렌글리콜 1.5중량부, 규산소다 8중량부, 옥시카르본산염 2.5중량부,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 1.5중량부,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 3중량부, 파라핀왁스 5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4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중량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1.5중량부, 과탄산나트륨 2중량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0.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조성된 코팅액은 50-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보호코팅층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코팅액을 상기 온도범위로 가열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높이면서 균일한 분산성과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때 상기 폴리스티렌수지는 대표적인 내화성 수지이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을 위해 베이스 수지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은 보수조절제로서 용융도포시 도포면에서의 수분 이동에 대한 코팅액의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다시 말해, 도장이 잘 되도록 수분을 밀어 내는 역할을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 경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은 목재펄프로부터 유도된 섬유소 유도체인 셀룰로오스를 가성소다에 침적시켜 알카리 셀룰로오스를 만든 다음 이것을 다시 빙초산과 반응시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염 형태로 만든다.
또한, 상기 스티렌 모노머는 도막의 가교밀도를 높여 내충격성과 내찰과성을 증대시시키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다만, 물과 만나면 쉽고 빠르게 경화되므로 미량 사용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는 도막의 표면장력을 높이고 유분을 제거하여 도막 안정화를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우루시올(Urushiol)은 페놀유도체의 하나로서, 천연방습제이며, 천연 항산화물질인 토코페롤과 구조절으로 유사한 대표적인 지용성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루시올 40중량%와 고무 60중량%를 혼합한 혼합액을 사용하여 내부식성을 증대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무는 유연성도 증대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는 접착력을 강화시켜 성형안정성을 높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알킬트리알콕시실란은 발수성 뿐만 아니라 발유성을 강화시켜 표면 슬립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1,4-부틸렌글리콜은 접착성을 강화시켜 부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규산소다(Sodium Silicates)는 겔화를 유도하여 피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열안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옥시카르본산염은 재료의 수분 함유량을 줄여 공극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로넬라(citronella) 오일은 방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기능 외에 무기계 분말들의 점도 조절 및 배합성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우레탄수지에 보열성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기중현탁피복법(Wurster Method)에 의해 마이크로캡슐화 된 0.1㎛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파라핀왁스는 20~50℃의 상변화 온도변화대역을 갖는 상변화물질로서, 가열시 잠열을 축열하여 온도를 빼앗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보열 기능을 수행하며, 냉각시에는 잠열을 방출시켜 온열기능도 수행하므로 잠열 이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 첨가 사용된다.
그리고, 폴리옥시에틸렌은 양이온 촉매를 이용해 산화에틸렌을 중합한 폴리에테르의 일종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물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여 피막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프로필렌글리콜은 흡습성이 있으나 휘발성은 없어 열과 빛에 안정하므로 수지를 녹여 물에 혼합하는 용매로 이용되며, 표면에서 곰팡이 번식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트리페닐포스페이트는 투명 상도층의 표면 산화방지를 위해 첨가되고, 상기 과탄산나트륨은 살균력을 더 강화시키도록 첨가되는 것으로, 100% 산소계 살균제이며,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은 무색의 액체로서, 표면보호층의 안정화를 위해 첨가된다. 다만, 독성이 있으므로 미량 첨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보호코팅층의 구성에 따라 내열안성성과 잠열 특성을 이용한 보드의 열화 방지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코팅층이 잠열특성, 즉 보열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코팅층이 없는 철판 시료와 코팅층이 있는 철판 시료를 준비한 다음 JIS C 6802-1997에 따라 방열측성을 확인하였다.
측정 결과,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는 46W/m.k였고, 코팅층이 없는 경우에는 58W/m.k로서 코팅층이 있는 경우에 잠열 특성(열 흡수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10: 고정자 120: 힌지
130: 막대 200: 측량장비
210: 삼발이 220: 본체
230: 레이저 거리측정기 240: 측량장비제어부
242: 비교연산부 244: 메모리
246: 지피에스수신부 248: 좌표연산부
260: 조사확인부 270: 무선통신부

Claims (1)

  1. GPS수신부(246)와 레이저 거리측정기(230) 및 광파측거기(221)를 갖춘 본체(220)와, 상기 본체(220)를 지지하는 삼발이(210)를 포함하는 측량장비(200)와; 지하시설물에 연결되는 고정자(110), 고정자(110)에 고정되는 힌지(120), 힌지(12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막대(130)를 포함하는 측량타깃(100e); 상기 측량타깃(100e)의 표면에 부착되어 상기 광파측거기(221)에 반응하는 재귀반사체(130a); 상기 막대(130)에 부착되어 상기 레이저 거리측정기(230)에 반응하는 반사판(130b);을 포함하는 지하시설물 측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220)에는 제어함체(21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어함체(2100)의 상면 일부에는 흡입구멍(INH)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배출구멍(DRH)이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구멍(INH)과 배출구멍(DRH) 각각에는 교체 가능한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함체(2100)의 내부에는 측량장비제어부(240)를 갖는 메인보드(MBD)가 탑재되며, 상기 메인보드(MBD)에는 비교연산부(242), 메모리(244), 지피에스수신부(246), 좌표연산부(248), 조사확인부(260), 무선통신부(270)가 카드형 처리모듈(CMD) 형태로 실장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후면에는 무선통신안테나(272)가 설치되며; 상기 무선통신안테나(272)는 메인보드(MBD)에 실장된 무선통신부(27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DP)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DP) 주변에는 다수의 버튼(BT)이 설치되어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화면의 메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구멍(DRH)에는 배출제한플랩(300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힌지축(3100)이 돌출되며, 상기 힌지축(3100)에는 토션스프링(3200)이 끼워져 상기 배출제한플랩(3000)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함체(2100) 내부인 상기 흡입구멍(INH) 직하방 위치의 천정면에는 함체냉각유닛(2200)이 설치되며; 상기 함체냉각유닛(2200)은 소형팬이 내장된 팬박스(2210)와, 상기 팬박스(2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방전극체가 내장된 방전박스(2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박스(2220)는 내부 중앙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 고정된 제1전극(2222)과, 상기 방전박스(2220)의 내부 양측에 상기 제1전극(2222)과 대향되게 배열된 제2전극(222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2222) 한 쌍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중앙의 빈 공간은 송풍량 조절을 위한 풍량조절판(2226)이 설치되는데, 상기 풍량조절판(2226)은 상방향으로 만곡진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절연성과 내구성을 위해 아세탈로 만들어지며; 상기 풍량조절판(2226)에는 다수의 풍량구멍(2228)이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2222)을 관통하여 제2전극(2224)을 향해 배열된 다수의 방전관(CP)이 구비되며, 상기 방전관(CP)의 상기 제1전극(2222) 측에는 소켓단자(2230)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1방전전극(E1)이 접속되고, 방전관(CP)의 상기 제2전극(2224) 측에는 소켓볼트(2232)를 통해 상기 방전관(CP)에 내장된 제2방전전극(E2)이 접속되며; 제1방전전극(E1)의 제2전극(2224)측 단부는 절연되고, 제2방전전극(E2)의 제1전극(2222)측 단부는 절연되며; 상기 방전관(CP)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유리이고; 방전관(CP)의 상부에는 반원형상의 방전관가이드(2234)가 더 설치되며; 상기 방전관가이드(2234)의 중심에는 통기공(223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20170059880A 2017-05-15 2017-05-15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78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80A KR101780313B1 (ko) 2017-05-15 2017-05-15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80A KR101780313B1 (ko) 2017-05-15 2017-05-15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313B1 true KR101780313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80A KR101780313B1 (ko) 2017-05-15 2017-05-15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3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326B1 (ko) 2017-10-18 2018-04-13 태양정보시스템(주) 촬영된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999226B1 (ko) * 2018-07-18 2019-07-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 관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 정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91B1 (ko) 2010-02-23 2010-08-02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1인 측량타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91B1 (ko) 2010-02-23 2010-08-02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1인 측량타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326B1 (ko) 2017-10-18 2018-04-13 태양정보시스템(주) 촬영된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의 영상처리시스템
KR101999226B1 (ko) * 2018-07-18 2019-07-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 관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 정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288B1 (ko)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N101535573B (zh) 挖掘机3d综合式激光和无线电定位引导系统
US20150037045A1 (en) Laser receiver
US20080158044A1 (en) Combination laser system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6381006B1 (en) Spatial positioning
US20200292311A1 (en) Technologies for track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US20090171619A1 (en) Surveying procedure and system for a high-rise structure
KR20030023872A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JP2846950B2 (ja) 測定点の位置を形成又は画成するための装置
US20060279727A1 (en) Combination laser detector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receiver system
JPH1047961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WO2008048759A2 (en) Navigation system using both gps and laser reference
KR101780313B1 (ko) 지피에스와 레이저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KR101944442B1 (ko) 수치 지도 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량장치
CN103091684A (zh) 全球导航卫星系统的手持终端及其对中和调平方法
KR101780311B1 (ko)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한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KR101009355B1 (ko) 수치정보에 따른 지형이미지의 삼차원 공간 영상도화시스템
KR101729616B1 (ko) 1인 측량이 가능한 지하시설물 위치 측정 방법로 전신주와 지하시설물의 지도제작을 위한 측량장치
KR101349381B1 (ko) 지피에스(gps)를 이용한 상하수관 지하 매설물 관찰 시스템의 운용장치
KR101349256B1 (ko) 레이저 거리측정기와 지피에스가 통합된 무선통신 기반 상하수도 지하시설물 위치 실시간 확인과 현지 검증 시스템
US20080288125A1 (en) Determining an autonomous position of a point of interest on a lifting device
JP2017156321A (ja) 地盤変位観測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測標
KR101790306B1 (ko) 지형지물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200901B1 (ko)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위치측정을 위한 측량 타깃 시스템
KR101652291B1 (ko) 지도제작을 위한 지하시설물 측지측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