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229B1 -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229B1
KR101780229B1 KR1020160113693A KR20160113693A KR101780229B1 KR 101780229 B1 KR101780229 B1 KR 101780229B1 KR 1020160113693 A KR1020160113693 A KR 1020160113693A KR 20160113693 A KR20160113693 A KR 20160113693A KR 101780229 B1 KR101780229 B1 KR 101780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mnb31
bacillus subtilis
csb31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철
최윤희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3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R1/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음식 김치로 부터 단리된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인 아쿠오소룸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nB31은 무 셀룰로오스성이고 그의 농업 폐기물을 부가 가치 생성물로의 재순환시키는 능력은 저비용 및 무공해 환경을 유지시키는 잠재적 능력의 측면에서 매우 유망하다. 그의 할로-관용성, 우레아 내성 및 프로테아제 안정성은 농업 폐기물이 생분해에 있어서 그의 용도를 지원한다. MnB31은 만난에 대해 높은 특이성을 가지므로, 식품 및 제약산업에서 프리바이오틱으로서 고도로 유용하고, 농업 폐기물의 적절한 이용뿐만 아니라, 제지 및 펄프산업에서 바이오-표백, 바이오연료 및 직물 산업 등의 몇몇 바이오기술 및 산업적 용도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Extremely alkaline 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Kimchi and the use thereof}
본 발명은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계에서 가장 풍부한 재활용 자원인 리그노셀룰로오스의 생물학적 분해 및 이들의 산업적 응용 잠재력에 상당한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참조문헌: 1]. 헤미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에 존재하며, 주된 재사용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 중 하나이다. 몇몇 효소들이 이 복잡한 이종의 중합체를 분해하는데 필요하다[참조문헌: 2]. 만난은 침엽수의 헤미셀룰로오스의 주된 성분으로, 만난-분해 효소 시스템은 헤미셀룰로오스 잔기의 전환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 시스템은 주로 다음을 포함한다: 엔도-1,4-β-만난 분해효소(EC 3.2.1.78), 엑소-β-만노시다아제(EC 3.2.1.25), 알파-갈락토시다아제(EC 3.2.1.22) 및 아세틸 만난 에스테라아제(EC 3.1.1.6) 등이 측쇄 제거 효소[참조문헌: 2, 3].
대량의 리그노세룰로오스성 폐기물이 바이오산업 공정을 통하여 발생되고, 임업 및 농업적 처리 공정절차에 의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야기된다. 그러나 생산된 리그노셀룰로오스성 폐기물은 잠재적으로 다양한 부가 가치의 생산물로 전환될 수 있다. 만난 분해 효소는 펄프 및 제지 산업, 식품 및 사료 산업, 셀롤로오스성 섬유 가공 산업, 원유 시추, 제약산업 및 세제 산업 등 다양한 바이오산업 공정에 널리 적용된다[참조문헌: 3]. Aspergillus niger ATCC 20114[참조문헌: 4], Aspergillus niger ATCC46890 [참조문헌: 5], Aspergillus niger FTCC 5003 [참조문헌: 6], Aspergillus niger UAM-GS1 [참조문헌: 7], Aspergillus oryzae CECT2094 [참조문헌: 7], Aspergillus tamuri IP 1017-10 [참조문헌: 8], Aspergillus fumigatus IMI 385708 [참조문헌: 9], Bacillus amyloliquefaciens 10A1 [10], Bacillus circulans M-21 [참조문헌: 11], Bacillus circulans NT 6.7 [참조문헌: 12], Bacillus sp. MSJ-5 [참조문헌: 13], Bacillus stearothermophilus ATCC 266 [참조문헌: 14], Bacillus subtilis NM-39 [참조문헌: 15], Bacillus subtilis WY34 [참조문헌: 16], Bacteroides ovatus 0038-1 [참조문헌: 17], Bacillus pumilus ATCC 72 [참조문헌: 18], Paenibacillus sp. DZ3 [참조문헌: 19], Paenibacillus oxalicum SO [참조문헌: 20], Trichoderma harzianum T4 [참조문헌: 21], Trichoderma reesei C-30 [참조문헌: 22], 및 Trichoderma reesei [참조문헌: 23]를 포함하는 다양한 천연 미생물들이 만난 분해효소 생산자로서 보고되었다. 이들 중 바실러스 섭틸리스는 안전성, 빠른 성장 및 생산 배지 내로의 상당량의 효소 생산 능력으로 인하여 만난 분해효소 생산자로서 높이 평가된다[참조문헌: 15, 24].
El-Naggar, M. Y., El-Aassar, S. A., Youssef, A. S., El-Sersy, N. A., & Beltagy, E. A. (2006). Extracellular β-mannanase production by the immobilization of the locally isolated Aspergillus niger.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 Biology, 8, 57-62.
본 발명자들은 농업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에서 분리한 신규 바실러스속 균주가 농업 폐기물의 적절한 이용, 제지 및 펄프 산업에서 바이오 표백, 바이오연료 및 직물 산업, 동물 사료 산업 등의 다양한 바이오기술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만난 분해효소를 생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발효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고, 로커스트 빈 검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MnB31)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균주 CSB31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만난 분해효소는 SDS-PAGE 및 자이모그래피에 의해서 결정된 분자량은 ~47 kDa이고, 60℃ 및 pH 12.5에서 최적 활성(KCl/NaOH 완충액, pH 12.5)을 가지며, 65 ℃의 온도 및 pH 5.8 ~ 12.5에서 안정하고, N-말단 서열은 ALYETIFALX이며, Co2+, Mn2+, Na+, 및 K+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고, Zn2+, Ni2+, 및 Mg2+에 의해 억제되고, 가수분해 최종 생성물은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이며, 기질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사용하여 시험한 Michaelis-Menten 상수(Km ) 및 최대 속도(Vmax ) 값은 각각 0.03885 mgml-1 및 1019.33 ± 4.509 Umg-1이며, 기질 분해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Ea)는 31.36 kJmol-1 이고, 가수분해 패턴으로 엔토-타입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nB31은 무 셀룰로오스성이고 그의 농업 폐기물을 부가 가치 생성물로의 재순환시키는 능력은 저비용 및 무공해 환경을 유지시키는 잠재적 능력의 측면에서 매우 유망하다. 그의 할로-관용성, 요소 내성 및 프로테아제 안정성은 농업 폐기물이 생분해에 있어서 그의 용도를 지원한다. MnB31은 만난에 대해 높은 특이성을 가지므로, 식품, 제약 및 사료 산업에서 프리바이오틱으로서 유용하며, 농업 폐기물의 적절한 이용뿐만 아니라, 제지 및 펄프산업에서 바이오표백, 바이오연료 및 직물 산업 등의 몇몇 바이오기술 및 산업적 용도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균주 CSB31 및 밀접하게 연관된 다른 바실러스 속 균주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16S rRNA 유전자에 기초한 계통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MnB31 유래 만난 분해효소의 세파로오스 CL-6B 컬럼을 통한 용출 프로필이다.
도 3은 바실러스 속 균주인 CSB31로부터 정제된 만난 분해효소의 12.5% (w/v) SDS-PAGE (a) 및 자이모그래피(b)이다.
도 4는 바실러스 속 균주의 만난 분해효소의 최적 pH 및 pH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5는 바실러스 속 균주의 만난 분해효소의 최적 온도 및 온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6은 탄소원으로서 다양한 농업 폐기물을 사용 후 만난 생산 변화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도 7은 로커스트 빈 검으로 처리한 후 만난 분해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발효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고, 로커스트 빈 검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만난 분해효소(MnB31)를 생산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 CSB31(Bh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KCTC18484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만난 분해효소는 SDS-PAGE 및 자이모그래피에 의해서 결정된 분자량은 ~47 kDa이고, 60℃ 및 pH 1.5에서 최적 활성(KCl/NaOH 완충액, pH 12.5)을 가지며, 65 ℃의 온도까지 열안정하며, pH 5.8-12.5에서 안정하고, N-말단 서열은 ALYETIFALX이고, Co2+, Mn2+, Na+, 및 K+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고, Zn2+, Ni2+, 및 Mg2+에 의해 억제되고, 주된 가수분해 최종 생성물은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이며, 기질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사용하여 시험한 Michaelis-Menten (Km ) 및 최대 속도(Vmax ) 값은 각각 0.03885 mgml-1 및 1019.33 ± 4.509 Umg-1이며, 기질 분해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Ea)는 31.36 kJmol-1 이고, 가수분해 패턴으로 엔토-타입 효소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a) 바실러스 섭틸리스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를 0.4% 소고기 추출물, 0.1% 효모 추출물, 0.4% 펩톤 및 0.25%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시키는 단계;
b) 상기 접종물을 250 mL Erlenmeyer 플라스크 중에서 37℃에서 120 rpm으로 48 시간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
c) 상기 배양물 1.5% (w/v) 로커스트 빈 검(LBG), 0.5% (w/v) 효모 추출물, 0.5% (w/v) 소고기 추출물, 0.05 % MgSO4.7H2O, 0.03 % K2HPO4, 0.07% KH2PO4 및 0.05% 염화나트륨를 함유하는 배지로 옮겨서 37℃에서 60 시간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
d) 세포들을 4 ℃, 10000 x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제거하고, 맑은 상층액에 황산암모늄을 30~80% 포화도로 첨가하고, 밤새 교반하는 단계;
e) 혼합물을 10000 x g에서 50 분 동안 4 ℃에서 원심분리하는 단계;
f) 얻어진 침전물을 10 mM Tris/HCl 완충액(pH 7) 중에서 현탁시키고, 동일한 완충액에 대하여 12 시간 동안 투석한 후, 농축시키는 단계;
g) 효소 용액을 10mM Tris/HCl 완충액(pH 7.0)으로 예비 평형시킨 DEAE sepharose 패스트 플로우에 부하시키고, 결합 단백질을 0 내지 1 M KCl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액을 사용하여 30 mL/h의 유속으로 용출시키는 단계; 및
h)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들을 농축 후 10 mM Tris/HCl(pH 7)로 예비 평형시킨 세파로오스-CL-6B 컬럼(37 cm x 1.2 cm)에 부하하여 전개시킨 활성 분획들을 모으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으로부터 만난 분해효소(MnB31)의 정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로 부터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MnB31)의 분리, 스크리닝 및 정제에 관하여 기술한다. 그의 생화학적 및 열역학적 특성은 이것이 다양한 바이오 기술 공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의 가수분해 특성 및 분해 산물은 이것이 제약, 식품 및 사료 산업에 있어서 프리바이오틱 및 많은 다른 바이오산업적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효율적이고 산업적으로 친숙한 로커스트 빈 검 분해 효소를 발효 음식으로 부터 단리하고 분석하였다. MnB31을 생산하고 정제하여 생화학적 및 열역학적으로 특성화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극 알칼리성 및 열안정성을 보이는 만난 분해효소 효소는 기존에 보고 되지 않은 신규한 것이다. 이 효소는 60 ℃의 최적 온도를 가졌고, 65 ℃의 온도까지 열안정하였다. MnB31은 KCl/NaOH 완충액(pH 12.5)에서 최대 활성도를 가졌고, 넓은 범위의 pH (5.8 ~ 12.5)에 안정하였다. 그의 효소 활성은 Co2+, Mn2+, Na+, 및 K+에 의해 활성화되고, Zn2+, Ni2+, 및 Mg2+에 의해 억제되었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EDTA 및 EGTA 등의 킬레이트제에 의해 현저하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이것이 금속-단백질임을 의미한다. MnB31은 무 셀룰로오스성이고 그의 농업 폐기물을 부가 가치 생성물로의 재순환시키는 능력은 저비용 및 무공해 환경을 유지시키는 잠재적 능력의 측면에서 매우 유망하다. 그의 할로-관용성, 요산 내성 및 프로테아제 안정성은 농업 폐기물이 생분해에 있어서 그의 용도를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효소의 열 불활성화는 두 단계로 일어난다: 1) 천연 효소가 폴딩되지 않은 불활성화 효소로 전환되는데, 이는 가역적 단계이고, 2) 폴딩되지 않은 불활성화 효소가 불활성화 효소로 전환되는데, 이는 비가역적 단계이다. 효소의 안정성은 상이한 온도 및 pH에서 반응 시 단백질의 가역적 변성(denaturation)에 의존한다. 열적 불활성화는 활성화의 엔탈피(△H)에서 증가와 수반되어 관찰된다. 엔트로피에서 증가(△S)는 효소 구조의 개방을 나타낸다. MnB31의 보다 낮은 H 값은 효소-기질 사이의 활성화된 복합체의 형성이 매우 효율적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 있어서, 촉매 작용을 위한 S는 음성이었는데, 이는 전이 상태 동안의 효소-기질이 효소-기질 복합체 보다 더 정연함을 의미한다. MnB31의 낮은 △G 값은 전이 복합체의 생성물 내로의 전환이 자발적임을 나타낸다. 효소적 화학 반응의 가능성 및 정도는 E-S 복합체의 생성물로의 전환인 기질 분해에 대한 Gibbs 유리 에너지(△G)에 있어서 변화에 직접 관계된다. 에너지 변화가 낮을수록, 반응 가능성이 더 높은데 반응물의 생성물로의 전환이 자발적임을 의미한다. Q10은 10℃의 온도 증가에 기인한 효소 반응속도의 온도 감수성이다. 2.0 ~4.0의 Q10 값에서 성능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최대 성능 수준으로 급격히 증가되고, 1.0 ~1.5의 Q10에서 열적 의존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열적 변수의 결과는 높은 가수분해 효율 및 효소 반응의 가능성을 가진 생성물의 자발적인 형성을 지지하는데, 이는 효소의 안정화에 매우 유용하다. 로커서트 빈 검의 효소적 가수분해에서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 등의 주된 최종 생성물의 형성은 식품 및 제약산업에서 프리바이오틱으로서 고도로 유용하다.
결론적으로, MnB31은 농업 폐기물의 적절한 이용뿐 아니라, 제지 및 펄프산업에서 바이오-표백, 바이오연료, 직물 산업 및 사료산업 등의 몇몇 바이오기술 및 산업적 용도에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다음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로커스트 빈 검(LBG; galactomannan polysaccharide, gum, locust bean, mannon-galactan from Ceratonia siliqua seeds), 콩고 레드, 너도밤나무 자일란, 새우 껍질 추출 키틴, 아라비아 검, 사과 펙틴, 시그마 셀 셀룰로오스 타입 20, 및 만노오스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는 Megazyme (Ireland), 효모 추출물 및 펩톤은 Neogen corp. (USA),소고기 추출물은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SA)로 부터 구매하였다. DEAE Sepharose 패스트 플로우 및 sepharose Cl-6B는 Amersham BioSciences(Uppsala, Sweden),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 플레이트는 Merck (Darmstadt, Germany)로부터 구매하였다. 모든 시약 및 화학약품은 유용한 최상의 분석 등급의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미생물 균주의 분리, 효소 생산 및 정제
세균 균주는 한국의 전통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김치 1 g을 0.85% NaCl 9 ml과 혼합한 후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 후 분리하였다. 배양 후 혼합물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107 배까지 희석하고 희석된 시료를 Mueller-Hinton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시켜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주 동정을 형태학적, 생하학적 및 유전학적으로 수행하였다. 일차 스크리닝은 배양물 염색 및 탈색법에 의해 분리한 87개의 균주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세균 균주들을 1.5% (w/v) 로커스트 빈 검(LBG), 0.5% (w/v) 효모 추출물, 0.5% (w/v) 소고기 추출물, 0.05 % MgSO4.7H2O, 0.03 % K2HPO4, 0.07% KH2PO4, 0.05% 염화나트륨 및 1.5% 아가를 함유하는 LBG 아가 배지 상에서 스크리닝하였다. 30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시킨 후, 충분히 성장한 세균을 0.5% 콩고 레드(Congo red)로 20 분 동안 염색하고, 1M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15-20 분 동안 탈색시켰다. 이 균주들은 20% 배지를 함유하는 500 mL Erlenmeyer 플라스크 중에서 37 ℃에서 120 rpm으로 5일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은 10,000 x g에서 30 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맑은 상층액을 사용하여 효소 활성을 시험하였다. 분리한 78 개의 미생물 중 뛰어난 활성을 나타낸 균주를 선별하고 CSB31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16년 08월 05일자로 기탁되어 기탁번호 KCTC18484P를 부여받았다.
실시예 2: 조효소 정제
글루코오스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0.4% 소고기 추출물, 0.1% 효모 추출물, 0.4% 펩톤 0.25% 염화나트륨)에서 전배양한 CSB31의 배양액을 2000 mL Erlenmeyer 플라스크 중의 400 mL 갈락토만난 배지로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37℃에서 60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시킨 후, 세포들을 원심분리(4 ℃, 10000 x g, 30분)에 의해 제거하였다. 상층액을 모아 다음의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효소 정제
모든 정제 과정은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4 ℃에서 수행하였다. 조효소인 맑은 상층액을 황산암모늄 침전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황산암모늄을 30-80% 포화도로 배양 상층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지속적인 혼합 상태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000 x g에서 50 분 동안 4 ℃에서 원심분리하였고, 얻어진 침전물들을 10 mM Tris/HCl 완충액(pH 7) 중에서 현탁시키고, 동일한 완충액에 대하여 12 시간 동안 투석한 후, 50 kDa의 원심 농축기(Vivascience, USA)로 농축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10mM Tris/HCl 완충액(pH 7.0)으로 예비 평형시킨 DEAE sepharose 패스트 플로우(12 cm x 2.5 cm)컬럼에 부하시키고. 0 에서 1 M KCl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액을 사용하여 30 mL/h의 유속으로 용출시켰다. 다음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들을 모아 농축한 후 10 mM Tris/HCl(pH 7)로 예비 평형시킨 세파로오스-CL-6B 컬럼(37 cm x 1.2 cm)에 부하하여 순수한 효소로 정제하였다. 이후의 실시예에서는 이 순수한 효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분리한 미생물은 갈락토만난 배지 상에서 만난 이용 및 효소 생산을 토대로 선별한 CSB31 균주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분자적 특성에 기초하여 바실러스 속(Bacillus)으로 동정되었다. 16S rRNA 서열로 부터 구축된 계통수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균주 CSB31 및 밀접하게 연관된 다른 바실러스 속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16S rRNA 유전자에 기초한 계통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 서열은 균주 지정 후 괄호에 표시된 입수 번호로부터 GenBank에서 검색하였다.
16S rRNA 서열은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KCTC 13429(T)(accession no. AMXN01000021)및 Bacillus tequilensis-KCTC 13622(T)(accession no. AYTO01000043)와 99.93% 상동성,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NCIB 3610(T)(accession no. ABQL01000001)와 99.86% 상동성 및 Bacillus subtilis subsp. spizizenii- NRRL B-23049(T)(accession no. CP002905)와 99.80%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CSB31 균주의 효소 생산은 배양 후 24 시간 지나서 시작되었고, 60 시간에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CSB31에 의해 생산된 만난 분해효소를 MnB31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4: 효소 활성의 결정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10 mM KCl/NaOH 완충액(pH 12.5)에 희석시킨 0.1 mL 효소를 1% LBG를 함유하는 0.1 mL 기질에 혼합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효소 및 기질 혼합물은 60 ℃의 항온조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1% DNS 0.1 mL를 혼합물에 가하고, 10 분 동안 끓인 다음 냉각시킨 후 방출된 환원당은 DNS 방법 [참조문헌: 25]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 1 유닛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분당 만노오스 1 μmol에 해당하는 당 말단 기를 환원시키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한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또한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자일란, 키틴, 펙틴 및 셀룰로오스 같은 보조 기질로도 수행하였다.
실시예 5: 단백질 결정
단백질 농도는 단백질 표준으로써 소 혈청 알부민을 사용하여 Bradford 방법[참조문헌: 26] 에 따라 결정하였다. 모든 정제 및 전개된 크로마토그래프는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수행하였다.
CSB31로 부터 만난 분해효소의 정제는 여러가지 단계로 수행하였다. MnB31은 21.51%의 회수율로 17.92-배로 정제되었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보유한 배양 상층액(750 mL)은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원심분리 농축기, 2 단계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기술(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을 사용하여 균질하게 정제하였다. 활성 부분(15 mL)은 30-80%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후에 투석하고, 이어서 50 kDa 원심분리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였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보유한 시료를 DEAE 세파로오스 패스트 플로우 및 세파로오스-Cl-6B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연속하여 부하하여 단일 활성 피크를 얻었는데, 17.92-배의 정제효율, 1796.13 Umg-1의 특이 활성 및 21.51%의 회수율로 얻었다. MnB31의 단백질 용출 프로필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MnB31 유래 만난 분해효소의 세파로오스-CL-6B 컬럼을 통한 용출 프로필이다. MnB31 정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1
실시예 6: PAGE
정제 효소의 분자량은 12.5 % (w/v)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분리 겔을 사용하여 Laemmli [참조문헌: 27]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SDS-PAGE에 의해 결정하였다. 전기영동 후, 겔들을 Coomassie Brilliant Blue (CBB) R-250로 염색하고, 탈염색시켰다. 분자량은 참고 단백질(MBI, Fermentas)의 상대적인 이동성에 의해 측정하였다.
갈락토만난 활성은 Z. Jiang et al. [참고문헌: 16]에 기술된 자이모그래피를 약간 변형하여 수행하였으며,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이모그램은 효소를 0.25% (w/v) LBG 기질을 함유하는 12.5%(v/v)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통하여 전기영동하여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겔을 증류수로 2회 세척하고, 가볍게 흔들면서 25% (v/v) 이소프로판올 중에 담궈 SDS를 제거한 후, 겔 내부의 단백질을 재생시켰다. 이어서 겔을 4℃에서 10 mM KCl/NaOH (pH 12.5)로 3 회 세척하였다. 그 후, 겔들을 60℃에서 30 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고, 자이모그램을 Congo red 용액(0.1%, w/v)으로 잔여 탄수화물에 대해 염색하고, 1 M NaCl로 탈염색한 후, 0.5% (v/v) 초산으로 고정시켰다. 활성 밴드들은 맑은 무색 영역으로 관찰되었다.
최종 만난 분해효소 제제는 SDS-PAGE 및 갈락토만난 자이모그래피에 의해 순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nB31은 전기영동에 의해 균질하였고, 47 kDa의 분자량을 가졌다. 도 3은 바실러스 속 균주 CSB31로 부터의 정제 만난 분해효소의 12.5% (w/v) SDS-PAGE (a) 및 자이모그래피(b)이다. 레인은 Mr, 단백질 분자량 마커(Fermentas); lane A. sulf, 30-80%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분획; lane pure, 세파로오스-CL-6B 컬럼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후 정제된 만난 분해효소를 나타낸다.
도 3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콩고 레드 염색에 의해 노출시켰을 때 명확한 자이모그램 겔 상의 밴드로 나타나 활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7 kDa 단일체 단백질을 탄소원으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성장시킨 후 바실러스 균주(Bacillus strain) CSB31의 배양 브로쓰로 부터 단리하였다. 보조 기질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사용한 만난 분해효소 생산은 배양 후 60 시간이 지나서 최대화되었는데, 이는 다른 바실러스 균주들(Bacillus strains)에 필적하였다. MnB31의 분자량은 다양한 바실러스 균주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의 범위에 속하였다.
바실러스 만난 분해효소는 일반적으로 30 - 55 kDa [참조문헌: 11, 13, 15, 16, 18]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반면, 일부 보고서에 의하면 Bacillus sp strain JAMB-750 [참조문헌: 31] 유래의 정제 만난 분해효소는 130 kDa의 분자량을, Bacillus stearothermophilus ATCC 266 [14] 유래의 것은 162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Bacteroides ovatus 0038-1 만난 분해효소 [참조문헌: 17]은 190 kDa의 가장 높은 분자량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Paenibacillus 만난 분해효소는 18-39 kDa [참조문헌: 19, 20]의 범위에 걸쳐있다.
균류의 만난 분해효소 분자량은 더 다양하다. Asperigillus 만난 분해효소는 40 - 110 kDa [5, 7, 8, 9]의 범위인 반면, Trichoderma 의 것은 32-53 kDa [21, 22, 23]의 범위이다.
실시예 7: MnB31의 활성 및 안정성에 관한 pH의 영향
MnB31 활성의 최적 pH는 표준 실험 에세이 조건하에서 다양한 pH 값 (3.0 ~ 13.5)에서 결정되었다. 각각 10 mM의 적절한 완충액, 시트르산-인산 나트륨(pH 2-7.0), Tris-HCl (pH 7.0-9.5), 중탄산 나트륨-NaOH (pH 9.5-11), 및 KCl-NaOH (pH 11-13.5)) 중의 LBG 기질(1% w/v)을 사용하여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60 ℃에서 30분 동안 측정하였다. MnB31 안정성은 MnB31을 4 ℃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후 동일한 완충액을 사용하여 3.0 ~ 13.5의 범위에서 결정하였다. 그 후, 잔류 효소 활성을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실시예 8: MnB31의 활성 및 안정성에 관한 온도의 영향
MnB31의 최적 온도는 10 mM KCl/NaOH 완충액(pH 12.5) 중에서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표준 실험 에세이에 의해 평가하였다. MnB31의 열 안정성은 효소 시료들을 10 mM KCl/NaOH 완충액(pH 12.5) 중에서 다양한 온도( 40 ~ 80 ℃)에서 60 분 동안 예비배양시키고, 잔여 활성을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계산하였다.
도 4는 바실러스 속 균주의 만난 분해효소의 최적 pH 및 pH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 및 안정성에 관하여 온도 및 pH는 주목할 만한 영향을 미쳤다. MnB31 활성은 KCl/NaOH 완충액에 노출시켰을 때 pH 12.5에서 최대였다. 이 효소는 5.8-12.5의 넓은 범위의 pH에 걸쳐서 안정되었는데 각각의 pH 및 4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그의 활성의 60% 이상을 보유하였다(도 4 참조). 활성은 표준 시험 조건하에서 pH 5.8 이하에서 급격히 감소하였고, pH 13.4에서 완전히 상실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 MnB31은 바실러스 종(Bacillus sp.)으로 부터 단리된 것 중 극 알칼리성 조건(pH 12.5)에서 최적의 pH 및 넓은 범위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최초의 효소이다. 그러나, 바실러스 종으로 부터 단리된 만난 분해효소 중에서 최적 pH는 5.0-9.0의 범위에서 현저하게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참조문헌: 10, 11, 12, 13, 14, 15, 16]. 균류의 만난 분해효소는 Aspergillus 유래의 것 [참조문헌: 4, 5, 6, 7, 8, 9] 및 Trichoderma 균주[참조문헌: 21, 22, 23] 유래의 것들을 포함하여 3.5 - 6.0의 범위에서 최적 pH를 보인다.
도 5는 바실러스 속 균주의 만난 분해효소의 최적 온도 및 온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40 - 80 ℃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 정제된 MnB31의 효소적 촉매작용 반응은 최적 온도를 나타내었고, 60 ℃에서 최고의 효소적 반응을 나타냈다. 이 효소는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시켰을 때 65℃까지 완전히 안정된 것으로 밝혀졌다(도 5 참조). MnB31의 넓은 범위의 안정성은 단백질 구조를 영구히 변경시킴에 있어서 비효율적일 수더 있는 다양한 pH 레벨에서 인큐베이션을 제공하는 인자인 가역적 단백질 변성에 기인하는 것일 수 있다. 온도의 측면에서, MnB31은 Aspergillus flavus gr [참조문헌: 32], Aspergillus fumigatus IMI 385708 [참조문헌: 9], Penicillium oxalicum SO [참조문헌: 20], Paenibacillus sp. DZ3 [참조문헌: 19]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에 비교할만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욱이, 다양한 바실러스 속 균주[참조문헌: 10, 11, 12, 13, 15, 33]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 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더 양호한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Bacillus subtilis WY34 [참조문헌: 16], Bacillus subtilis SA -22 [참조문헌: 34]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 등과 같이 일부는 60℃ 이상에서 더 양호한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바이오 기술적 산업 공정은 극단의 pH 및 상승된 온도에서 작동한다. 따라서, 효소는 그러한 적대적인 조건에서 오랜 기간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MnB31은 알칼리 성질의 측면에서 Bacillus 만난 분해효소 중에서 신규하다. 그의 넓은 범위의 pH, 열안정성 및 상당히 높은 최적 온도에 대한 관용성은 만난 가수분해, 바이오-표백 또는 산업용 바이오촉매 등의 바이오 기술 산업에의 잠재적인 응용성을 지지한다.
실시예 9: MnB31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 결정
MnB31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Procise Model 492 protein sequencer(Applied Biosystems, CA. USA)를 사용하여 Edman degradation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얻어진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A-L-Y-E-T-I-F-A-L-X이었다. 이 서열은 BLAST(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를 사용한 National Centre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단백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입수 가능한 서열과 비교하였다. BLAST 조사 결과, MnB31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과 상이한 소스로 부터의 밀접하게 관련된 만난 분해효소를 정렬하였을 때 어느 정도의 유사성이 있었다. 이를 표 2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2
실시예 10: 금속 이온의 영향
순수한 MnB31을 일가의 (Na+ 및 K+) 및 2가의 (Ca2+, Mg2+, Cu2+, Co2+, Zn2+, Ni2+, Ba2+, Mn2+, 및 Fe2+) 금속 이온들로 각각 5% 및 5mM의 최종 농도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상대 효소 활성은 540 nm에서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측정하였고, 첨가제가 없는 대조군을 100% 활성으로 하여 표준 프로토컬 하에 비교 결정하였다.
실시예 11: MnB31에 미치는 용매의 영향
만난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상이한 용매의 영향은 아세톤, 클로로포름, 디메틸술폭시드,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1-부탄올, 톨루엔, 디에틸 에테르 및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등의 다양한 용매를 2.5% 최종 농도로 첨가하여 확인하였다. 상대 활성은 표준 실험 에세이 조건하에서 결정하였고 첨가제가 없는 대조군(100% 활성으로 간주함)에 비교하였다.
실시예 12: 세제의 영향
순수한 MnB31을 0.25% 최종 농도의 Triton X-100, Tween-20, Tween-80, 데옥시콜린산, SDS, 및 CHAPS로 인큐베이션시켰다. 상대 활성은 표준 실험 에세이 조건하에서 결정하였고 첨가제가 없는 대조군(100% 활성으로 간주함)에 비교하였다.
실시예 13: 모듈레이터의 영향
MnB31 활성에 미치는 산화 환원제의 영향은 과산화수소, 소듐 퍼보레이트 및 β-머캅토에탄올을 첨가하여 조사하고, 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아세트산(EGTA) 및 에틸렌 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DTA) 등의 킬레이트제의 만난 분해효소 활성에 관한 영향은 5 mM의 최종 농도에서 조사하였다. 모든 조건하에서, 상대적 효소 활성은 첨가제가 없는 대조군(100% 활성으로 간주함)에 비교하였다. MnB31의 활성에 미치는 금속 이온의 영향은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3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Co2 + (123.0%), Mn2 + (116.1%), Na+ (111.5%), 및 K+ (125.6%)에 의하여 강하게 활성화되었다. Cellulosimicrobium sp . strain HY-13 [참조문헌: 35]로 부터의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Co2+ 및 Mn2+에 의해 증가되었다. 더욱이,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Vibro sp. 균주 MA-138 [참조문헌: 36]에서는 Na+ 및 K+에 의해 증가되었다. MnB31 활성은 Zn2+ (28.5%), Ni2+ (33.2%), 및 Mg2+ (11.8%)에 의해 강하게 억제되었고, 만난 분해효소 활성의 상당한 손실이 Fe2+ 및 Ba2+의 존재하에서 발견되었고, 40% 이상의 손실이 최종 농도 5 mM의 2가 금속 이온 및 5% 1가 금속 하에서 관찰되었다. Paenibacillus sp. DZ3 유래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Zn2+, Ni2+, Mg2+, Ca2+, EDTA 및 SDS [참조문헌: 19]에 의해 억제되었다.
더욱이, Cellulosimicrobium sp. strain HY-13 [참조문헌: 35]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EDTA, Zn2+, Ni2+ 및 Fe2+ 에 의해 억제되었고, 또한, Bacillus subtilis WY34 [16] 유래의 효소 활성도 마찬가지로 EDTA, Zn2+, Ni2+, Mg2+, Ca2+, Cu2+, 및 Mg2+에 의해 억제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의 결과와 유사하다.
효소는 MnB31의 활성에서 다양한 첨가제와 인상적인 상호작용을 보였고, 이를 표 4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4
세제, 모듈레이터 및 기타 첨가제에 의한 효소적 활성의 영향의 중요성은 활성 부위의 구조 및 작용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에 달려있다. 이 효소는 과산화수소, 소듐 퍼보레이트 및 β-머캅토에탄올에 의해 5 mM의 농도에서 30% 이상 억제되었다.
그러나,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2.5%의 농도에서 효소 활성을 거의 완벽하게 억제한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제외하고는 시험된 모든 화학약품/용매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이 효소를 세제, Triton X-100, Tween-20, Tween-80, 데옥시콜린산, SDS, 및 CHAPS을 0.25%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효소의 활성은 60-80% 이상을 보유하였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은 EDTA 및 EGTA 등의 킬레이트화제에 의해 현저하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MnB31이 금속성 단백질임을 의미한다.
이 효소는 이들의 촉매적 효율을 발휘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모듈레이터를 요한다. 따라서, 보조인자-매개 활성화는 일반적으로 산업적 공정에 이용되어 촉매력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산업적 적용에 포함되거나 배제되어야 할 금속이온, 세제,용매 및 모듈레이트의 선택을 안내할 것이다.
실시예 14: NaCl의 영향
정제된 MnB31 활성에 미치는 NaCl (5.0-30%, w/v)의 효과는 pH 12.5 및 60 ℃에서 결정하였다. 안정성은 효소를 37℃에서 60 분 동안 NaCl (5.0-30%, w/v)로 인큐베이션시켜 측정하였다. 잔여 효소 활성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결정하였다.
실시예 15: 우레아의 영향
MnB31 효소 활성에 미치는 우레아의 영향은 효소를 상이한 농도의 우레아(1-5 M)에 37 ℃에서 60 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킴으로써 결정하였다. 잔여 효소 활성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결정하였다.
실시예 16: 프로테아제의 영향
프로테아제에 대한 내성은 정제된 MnB31을 트립신 및 프로테아제 K와 함께 0.1: 1 [만난 분해효소:프로테아제, w/w]의 비율로 37℃에서 60 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킴으로써 결정하였다. 잔여 효소 활성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결정하였다.
만난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NaCl, Urea 및 프로테아제의 영향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연구하였다.
MnB31은 5-10% NaCl (w/v)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내염성을 나타내었다. 효소 활성은 그 이상의 염농도에서는 점차로 감소하였다. 15% NaCl (w/v)에서 보유 활성은 48.56 ± 0.015%이었고, 20% NaCl (w/v)에서 단지 29.94 ± 0.010%의 효소 활성이 남았다. MnB31은 Bacillus halodurans[참조문헌: 37] 및 Bacillus sp MG-33 [참조문헌: 38]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에 비교할 만한 내염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MnB31은 3M 이하의 우레에서 69% 이상의 효소 활성을 보였고, 4M 우레아 농도에서는 53.29 ± 0.006% 활성을 보였다.
Bacillus sp. MG-33 [참조문헌: 38]는 본 발명에 비교할만한 우레아 내성을 나타내었다. 정제 MnB31는 0.1: 1 [mannanase: protease, w/w]의 비율에서 트립신 및 프로테이나아제 K 분해에 가장 높은 내성을 가졌다. Bispora sp. MEY-1 [참조문헌: 39], Humicola insolens Y1 [참조문헌: 40], 및 P. pinophilum [참조문헌: 41] 등의 다양한 미생물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는 프로테아제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Bacillus circulans [참조문헌: 42]는 프로테아제에 대하여 부분적인 감수성(sensitivity)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자들의 결과는 MnB31이 펄프의 바이오-표백(Na+ 및 Cl- 이온이 매우 높은 경우), 농업 폐기물 생분해(우레아가 유기 비료로 사용되고, 농도가 높은 경우의 농업 분야에서), 세제 산업 및 식품에서 프리바이오틱에 사용되는 것으로 강제되는 효소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17: 농업 폐기물을 사용한 효소 생산
밀기울, 바나나껍질, 감귤 껍질, 옥수수대, 보리 껍질 등의 다양한 농업 폐기물을 만난 분해효소의 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이용하였다. 모든 이들 경우에 있어서, 단지 로커스트 빈 검만을 상기 농업 폐기물로 대체하여 교체하고 효소 생산을 위한 다른 조건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도 6은 탄소원으로서 다양한 농업 폐기물을 사용한 만난 생산을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그 결과, 상당량의 만난 분해효소 생산이 감귤 껍질, 바나나 껍질, 밀기울, 옥수수대 및 보리 껍질 등의 농업 폐기물을 사용하여 관찰되었다. 효소의 최대 생산은 사용된 모든 단독 탄소원에 따라 다양하였다. 생산은 사용된 다른 탄소원에 비하여 밀기울에서 120 시간에 233.85 Uml-1 으로 최대였다(도 6 참조). 따라서, 이는 농업 폐기물이 재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고도로 응용가능하고, 어느 정도까지는 상업적 만난이 가공될 수 있다.
이 발견은 CSB31의 기질로서 농업 폐기물을 사용하여 잠재적인 만난 생성자로서의 용도를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바이오산업 공정에 있어서 주된 인자이다.
실시예 18: 동력학적 변수의 결정
기질로서 LBG를 사용하여 Michaelis-Menten 동력학적 변수, K m , V max K cat 을 결정하였다. 동력학적 에세이는 다섯가지 농도의 LBG (0.6-10 mg/mL) 및 0.01 mg의 효소 농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은 60 ℃ 및 pH 12.5에서 수행하였다. 분석은 표준 최적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Michaelis constant (K m) 및 최대 반응 속도 (V max)는 Lineweaver Burk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5
MnB31의 기질 로커스트 빈 검 갈락토만난에 대한 K m , V max K cat 값은 LBG (0.6-10 mg/mL)을 사용하여. 각각 0.03885 mgml-1, 1019.33 ± 4.509 Umg-1, 및 152.8995 x 104 sec- 1 로 밝혀졌다. K m 값은 다른 만난 분해효소 중에서 가장 낮았고 다음의 K m 값을 가졌다: 1.05 mgml-1 Paenibacillus sp. DZ3 [참조문헌: 19]; 1.3 mgml-1, Trichoderma harzianum strain T4 [21]; 7.6 mgml-1, Bacillus subtilis WY34 [16]; 0.16 mgml-1, Streptomyces sp. S27 [참조문헌: 43]; and 1.5 mgml-1, Bacillus stearothermophilus [참조문헌: 14]. 0.03885 mgml-1 값을 갖는 K m 은 가장 낮은 기질 농도에서 최대 촉매적 효율을 입증한다. MnB31의 V max 값은 Paenibacillus sp. DZ3 (714 Umg-1) [참조문헌: 19] 및 Bacillus subtilis WY34 (970.3 ± 10.3 Umg-1) [참조문헌: 16]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에 대한 V max 값에 비교할 만하였으나, Bacillus stearothermophilus (455 ± 60 Umg-1) [참조문헌: 14]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 보다는 높았다. Vmax는 만난 분해효소의 턴오버 값을 나타내는데, 이는 만난 분해효소가 기질로 완전히 포화될 때 단위 시간에 있어서 만난 분해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는 기질 분자의 수이다. K cat Bacillus subtilis WY34 (640.40 sec-1) [참조문헌: 16]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의 것 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높은 K ca 값은 그의 높은 가수분해 효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단위 시간 당 기질을 생성물로 전환시키는 각 효소 부위의 횟수이다. 이들 발견은 MnB31이 다른 미생물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 보다 더 촉매적으로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19: 기질 특이성의 결정
정제된 MnB31 효소의 기질 특이성은 표준 에세이 조건하에서 만난 분해효소 활성의 결정을 위하여 새우 껍질의 키틴, 너도밤나무 자일란, 아카시아 나무의 아라비아검, 사과 유래 팩틴, 로커스트 빈 검, 시그마 셀 셀룰로오스 타입 20,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비셀, 파라니트로페닐 D-셀로비오시드(pNPC), 및 파라니트로페니l-β-D-글리코피라노시드(pNPG) 등 다양한 기질을 사용하여 각각 1% (w/v)의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다양한 다당류 기질에 대한 MnB31의 상대 활성은 표 5에 나타내었다. MnB31은 LBG에 대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100%의 상대 활성으로 간주하였다. MnB31은 또한 너도밤나무 자일란을 39.2 ± 0.018%의 낮은 활성으로 가수분해시킨 반면, 다른 시험된 기질에 대한 가수분해 활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바이오 표백에 유용하도록 되기 위해서 만난 분해효소는 고온 및 알칼리 조건에서 활성이고 안정하여야 하고, 가장 중요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공격함으로써 펄프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펄프 섬유 분해를 방지하고 펄프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이기능성 효소를 피할 필요가 있다[참조문헌: 44]. MnB31은 후속 화학적 표백 공정 동안 리그닌 함유 펄프의 표면에서 만난 장벽의 문제를 경감시킨다.
이들 결과는 MnB31이 고온 및 알칼리 상태에서 무셀룰로로오스 만난 분해효소임을 의미한다. 또한, 이들은 펄프 및 제지 산업에 있어서 바이오표백제로서의 그의 용도를 강력하게 지지한다.
실시예 20: 가수분해 실험
정제 만난 분해효소(0.4 mg/mL)를 10 mM KCl/NaOH 완충액(pH 12.5) 중의 0.25% (w/v) LBG와 혼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인큐베이션시켰다. 반응액을 0, 10, 30, 45, 60, 90, 및 120 분의 간격으로 제거하였다. 반응은 10 분 이상 끓임으로써 정지시켰다. 가수분해물은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에 의해 분석하였다[참조문헌: 28]. 이동상에 사용된 용매는 각각 클로로포름, 아세트산 및 물을 6: 10: 3 ratio (v: v: v)을 함유하였다. 시료(4 ul)를 실리카겔 플레이트(60F 254, E. Merck, Germany)에 가하고, 전개 용매 시스템 중에 전개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메탄올 및 황산 혼합물(95: 5, v: v)으로 전개시키고, 150 ℃에서 가열하였다. 만노오스(Mn1), 만노비오스(Mn2), 및 만노트리오스(Mn3) (10 mg/mL)로 이루어진 만노오스 올리고과당류의 혼합물을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올리고과당류 생산은 표준에 대응하여 갈색 점으로 나타냈다.
도 7은 로커스트 빈 검으로 처리한 후 만난 분해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기질의 경시적 효소 가수분해된 생산물은 만노비오스(Mn2) 및 만노트리오스(Mn3) 이었다(도 7 참조). 정제 MnB31와의 반응을 위하여, 과당류들은 효소의 누적 작용에 의해 기질로 부터 방출되었다.
이 결과는 정제 MnB31의 엔도-작용 성질을 의미하는데, 이는 Aspergillus niger ATCC46890 [참조문헌: 5]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와 유사하였다. MnB31은 만난을 가수분해하여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를 생산하였으나, 로커스트 빈 검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만노오스는 생산하지 않았다.
그러나, 만노오스는 Bacillus subtilis 5H [참조문헌: 45] 및 Bacillus sp. MG-33 [참조문헌: 38]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에 의한 로커스트 빈 검 갈락토만난의 가수분해 생성물로서 관찰되었다. 만노-과당류들은 일반적으로 동물 사료에 첨가되어 소화성을 증진시키고 장내 상태를 유지시킨다[참조문헌: 46, 47, 48]. 이들 만노-과당류들은 닭의 건강을 증진시키도록 보충된다[참조문헌: 49]. 만노-과당류들은 인간의 음식 첨가제로 사용되어 유익한 장내 미생물의 선택적 성장을 촉진한다[참조문헌: 16]. 또한, 만난 분해효소는 액상 커피 엑스에 존재하는 갈락토만난을 가수분해하는데 사용되어 인스탄트 커피의 동결-건조 동안 겔 형성을 억제한다[참조문헌: 50]. MnB31의 이러한 특성들은 이것이 제약 산업에 적용되고, 식품의 프리바이오틱으로 그리고 기타 다른 바이오산업 공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자일란 가수분해의 열역학적 특성
기질 로커스트 빈 검 가수분해에 대한 열역학적 변수는 전이 상태 이론으로 부터 유도한 Eyring의 절대 속도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참조문헌 29].
턴오버값,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6
(I) (여기서, kb 는 Boltzmann 상(1.38 10-23 JK-1)수이고, T 는 절대 온도(K)이며, h는 Planck 상수(6.626 10-34 J s) 이고, R은 기체 상수 = 8.314 J K-1 mol-1이다)
활성화 엔탈피,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7
(II)
활성화 유리에너지,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8
(III)
활성화의 엔트로피,
Figure 112016086230932-pat00009
(IV)
기질 결합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0
의 유리 에너지 및 전이 상태 형성(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1
)의 유리 에너지는 다음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2
(V)
(여기서,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3
)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4
(VI)
반응 속도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10 ℃의 온도에서 상승에 기인하여 증가되는 속도에 의한 인자인 온도(Q10) 몫으로써 계산하였다. Q10은 Dixon and Webb의 방정식을 재배열하여 계산하였다[참조문헌: 30]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5
(VII)
만난 가수분해의 활성화를 위한 엔탈피(△H), Gibb's 유리 에너지(△G), 및 엔탈피(△S)의 측면에서 정제 MnB31의 열역학적 특성(5.8 ~ 12.5의 넓은 pH 범위에서 고도로 안정함, 및 60 ℃에서 KCl/NaOH(pH 12.5)의 존재하에서 가장 높은 활성)은 각각 28.59, 42.45, 및 -41.60 kJmol-1이었다.
활성화 에너지(Ea)는 31.36 kJmol-1이었고, K cat (효소가 단위 시간 당 기질을 생성물로 전환하는 배수)는 152.8995 x 104 sec-1의 값이었는데, 이는 그의 높은 가수분해 효율을 나타낸다. △G 상의 효소 반응 릴레이의 존재는 효소-기질 복합체의 생성물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MnB31의 기질 결합(△GE-S)의 유리 에너지 및 전이 상태의 형성을 위한 유리 에너지(△GE-T)는 각각 -8.974 및 -48.41 kJmol-1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의 결과는 자발적인 생성물 형성을 확인한다. △GE-S 및 △GE-T의 음의 값은 기질 결합 후 생성물의 자발적인 형성이 있음을 의미한다.효소 반응의 속도 또는 매 10℃ 온도 증가에 기인한 생리학적 과정은 온도 몫(Q10)으로 알려진 온도 감수성의 척도이다. 본 연구에 있어서 Q10은 1.40이었다. 대부분의 효소 분자가 겹쳐진 상태인 최적 온도가 Q10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온도를 넘어서 반응 속도는 펼쳐지는 효소의 분획의 증가에 기인하여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온도 증가에 따라 만난 분해효소의 형태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이는 화학적 속도에 있어서 증가가 효소의 불활성화보다는 60 ℃까지는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MnB31의 열역학적 변수들은 다른 균주 유래의 만난 분해효소에 비하여 생성물의 자발적 형성, 더 높은 가수분해 효율 및 효소 반응의 실현성을 입증한다(표 6 참조)
Figure 112016086230932-pat00016
참고 문헌 목록:
1. El-Naggar, M. Y., El-Aassar, S. A., Youssef, A. S., El-Sersy, N. A., & Beltagy, E. A. (2006). Extracellular β-mannanase production by the immobilization of the locally isolated Aspergillus niger.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 Biology, 8, 57-62.
2. Moreira, L. R. S., & Filho, E. X. F. (2008). An overview of mannan structure and mannan-degrading enzyme system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79, 165-178.
3. Dhawan, S., & Kaur, J. (2007). Microbial mannanases: an overview of production and applications.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logy, 27, 197-216.
4. Mohamad, S. N., Ramanan, R. N., Mohamad, R., & Ariff, A. B. (2011). Improved mannan-degrading enzymes'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through medium optimization. New Biotechnology, 28, 146-152.
5. Ademark, P., Varga, A., Medve, J., Harjunp狎, V., Torbjo2rn, D., Tjerneld, F., & Stalbrand, H. (1998). Softwood hemicellulose-degrading enzymes from Aspergillus niger: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 β-mannanase. Journal of Biotechnology, 63, 199-210.
6. Abdeshahian, P., Samat, N., Hamid, A. A., & Yusoff, W. M. W. (2010). Utilization of palm kernel cake for production of β-mannanase by Aspergillus niger FTCC 5003 in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using an aerated column bioreactor.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 Biotechnology, 37, 103-109.
7. Regalado, C., Garcia-Almendarez, B. E., Venegas-Barrera, L. M., Tellez-Jurado, A., Rodriguez-Serrano, G., Huerta-Ochoa, S., & Whitaker, J. R. (2000). Production, partial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mannanases obtained by solid substrate fermentation of spent soluble coffee wastes and copra paste using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niger.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0, 1343-1350.
8. Civas, A., Eberhard, R., Le Dizet, P., & Petek, F. (1984). Glycosidases induced in Aspergillus tamarii. Secreted ◎d-galactosidase and β-d-mannanase. Biochemical Journal, 219, 857-863.
9. Puchart, V., Vrsanska, M., Svoboda, P., Pohl, J., Ogel, Z. B., & Biely, P.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forms of endo-β-1, 4-mannanase from a thermotolerant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IMI 385708 (formerly Thermomyces lanuginosus IMI 158749).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674, 239-250.
10. Mabrouk, M. E. M., & El Ahwany, A. M. D. (2008). Production of 946-mannanase by Bacillus amylolequifaciens 10A1 cultured on potato peel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7, 1123-1128.
11. Mou, H., Zhou, F., Jiang, X., & Liu, Z. (2011). Production,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mannanase from soil bacterium Bacillus circulans M-21.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35, 1451-1460.
12. Phothichitto, K., Nitisinprasert, S., & Keawsompong, S. (2006). Isolation,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mannanase producing microorganisms. Kasetsart J (Nat Sci), 40(Suppl), 26-38.
13. Zhang, M., Chen, X.-L., Zhang, Z.-H., Sun, C.-Y., Chen, L.-L., He, H.-L., Zhou, B.-C., & Zhang, Y.-Z. (2009). Pur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endo-β-mannanase MAN5 and its application in oligosaccharide production from konjac flour.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3, 865-873.
14. Talbot, G., & Sygusch, J. (199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beta-mannanase and alpha-galactosid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6, 3505-3510.
15. Mendoza, N. S., Arai, M., Kawaguchi, T., Cubol, F. S., Panerio, E. G., Yoshida, T., & Joson, L. M. (1994). Isolation of mannan-utilizing bacteria and the culture conditions for mannanase production. World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0, 51-54.
16. Jiang, Z., Wei, Y., Li, D., Li, L., Chai, P., & Kusakabe, I. (2006). High-level production ,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β-mannanase from the newly isolated Bacillus subtilis WY34. Carbohydrate Polymers, 66, 88-96.
17. Gherardini, F. C., & Salyers, A. A. (1987).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ll-associated, soluble mannanase from Bacteroides ovatus. Journal of Bacteriology, 169, 2038-2043.
18. Araujo, A., & Ward, O. P. (1990). Mannanase components from Bacillus pumilu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56, 1954-1956.
19. Chandra, M. R. S., Lee, Y.-S., Park, I.-H., Zhou, Y., Kim, K.-K., & Choi, Y. L. (2011).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β-mannanase from Paenibacillus sp. DZ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54, 325-331.
20. Kurakake, M., Sumida, T., Masuda, D., Oonishi, S., & Komaki, T. (2006). Production of galacto-manno-oligosaccharides from guar gum by β-mannanase from Penicillium oxalicum SO.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4, 7885-7889.
21. Ferreira, H. M., & Ferreira Filho, E. X.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β-mannanase from Trichoderma harzianum strain T4. Carbohydrate Polymers, 57, 23-29.
22. Arisan-Atac, I., Hodits, R., Kristufek, D., & Kubicek, C. P. (199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β-mannanase of Trichoderma reesei C-30.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9, 58-62.
23. Stalbrand, H., Siika-aho, M., Tenkanen, M., & Viikari, L. (199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β-mannanases from Trichoderma reesei. Journal of Biotechnology, 29, 229-242.
24. Zakaria, M. M., Yamamoto, S., & Yagi, T.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ndo-1, 4-β-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KU-1. FEMS Microbiology Letters, 158, 25-31.
25. Miller, G. 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ytical Chemistry, 31, 426-428.
26. Bradford, M. 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 248-254.
27. Laemmli, U. 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28. Ninawe, S., Kapoor, M., & Kuhad, R. C. (200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xylanase from Streptomyces cyaneus SN32. Bioresource Technology, 99, 1252-1258.
29. Eyring, H., & Stearn, A. E. (1939).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absolute reacton rates to proteins. Chemical Reviews, 24, 253-270.
30. Dixon, M., & Webb, E.C. (1979). Enzyme Kinetics. ( Vol. 182). New York: Academic Press.
31. Takeda, N., Hirasawa, K., Uchimura, K., Nogi, Y., Hatada, Y., Usami, R., Yoshida, Y., Grant, W.D., Ito, S., & Horikoshi, K. (2004). Purification and enzymatic properties of a highly alkaline mannanase from alkaliphilic Bacillus sp. strain JAMB-750.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4, 67-74.
32. Naganagouda, K., Salimath, P. V, & Mulimani, V. H. (200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beta-1, 4 mannanase from Aspergillus niger gr for application in food processing industry.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9, 1184-1190.
33. Cui, F., Shi, J., & Lu, Z. (1999). Production of neutral beta-mannanase by Bacillus subtilis and its properties. Acta microbiologica Sinica, 39, 60-63.
34. Yu, H. Y., Sun, Y. M., Wang, W. J., Yang, Y.-S., & Yang, Y. H. (2003).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Bacillus subtilis SA22 Endo-1, 4-β-D-mannarnase.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19, 327-331.
35. Ham, S.-J., Lee, H. J., Cho, H.-Y., Kim, J.-H., Kim, Y.-J., Shin, D.-H., Rhee, Y. H., Son, K. H., & Park, H.-Y. (2011).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modular GH5 β-1, 4-mannanase with high specific activity from the fibrolytic bacterium Cellulosimicrobium sp. strain HY-13. Bioresource Technology, 102, 9185-9192.
36. Tamaru, Y., Araki, T., Amagoi, H., Mori, H., & Morishita, T.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beta-1, 4-mannanase from a marine bacterium, Vibrio sp. strain MA-138.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1, 4454-4458.
37. Vijayalaxmi, S., Prakash, P., Jayalakshmi, S. K., Mulimani, V. H., & Sreeramulu, K. (2013). Production of extremely alkaliphilic, halotolerent, detergent, and thermostable mannanase by the free and immobilized cells of Bacillus halodurans PPKS-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Applie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171, 382-395.
38. Meenakshi, M., Singh, G., Bhalla, A., & Hoondal, G. S. (2010). Solid state ferment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ally purified thermostable mannanase from Bacillus sp. MG-33. Bioresource, 5, 1689-1701.
39. Luo, H., Wang, Y., Wang, H., Yang, J., Yang, Y., Huang, H., Yang, P., Bai, Y., Shi, P., Fan, Y., & Yao, B. (2009). A novel highly acidic β-mannanase from the acidophilic fungus Bispora sp. MEY-1: gene cloning and overexpression in Pichia pastori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82, 453-461.
40. Luo, H., Wang, K., Huang, H., Shi, P., Yang, P., & Yao, B. (2012). Gene cloning,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tolerant β-mannanase from Humicola insolens Y1.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 Biotechnology, 39, 547-555.
41. Cai, H., Shi, P., Luo, H., Bai, Y., Huang, H., Yang, P., & Yao, B. (2011). Acidic β-mannanase from Penicillium pinophilum C1: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assessment of its potential for animal feed application.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engineering, 112, 551-557.
42. Li, Y., Yang, P., Meng, K., Wang, Y., Luo, H., Wu, N., Fan, Y., & Yao, B. (2008). Gene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eta-mannanase from Bacillus circulans CGMCC 1416.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18, 160-166.
43. Shi, P., Yuan, T., Zhao, J., Huang, H., Luo, H., Meng, K., Wang, Y., & Yao, B. (2011). Genetic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protease-resistant mesophilic beta-mannanase from Streptomyces sp. S27.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8, 451-458.
44. Gubitz, G. M., Lischnig, T., Stebbing, D., & Saddler, J. N. (1997). Enzymatic removal of hemicellulose from dissolving pulps. Biotechnology Letters, 19, 491-495.
45. Khanongnuch, C., Asada, K., Tsuruga, H., Ooi, T., Kinoshita, S., & Lumyong, S. (1998). β-Mannanase and xylanase of Bacillus subtilis 5H active for bleaching of crude pulp. Journal of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86, 461-466.
46. Spring, P., Wenk, C., Dawson, K. A., & Newman, K. E. (2000). The effects of dietary mannaoligosaccharides on cecal parameters and the concentrations of enteric bacteria in the ceca of salmonella-challenged broiler chicks. Poultry Science, 79, 205-211.
47. Naughton, P. J., Mikkelsen, L. L., & Jensen, B. B. (2001). Effects of non digestible oligosaccharides o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no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the pig small intestine In Vitro.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7, 3391-3395.
48. Waldroup, P. W., Fritts, C. A., & Yan, F. (2003). Utilization of Bio-Mos  mannan oligosaccharide and Bioplex  copper in broiler diets. International Journal of Poultry Science, 2, 44-52.
49. Sundu, B., Kumar, A., & Dingle, J. (2006). Response of broiler chicks fed increasing levels of copra meal and enzymes. International Journal of Poultry Science, 5, 13-18.
50. Sachslehner, A., Foidl, G., Foidl, N., Gubitz, G., & Haltrich, D. (2000). Hydrolysis of isolated coffee mannan and coffee extract by mannanases of Sclerotium rolfsii. Journal of Biotechnology, 80, 127-134.
51. Zhang, R., Zhou, J., Gao, Y., Guan, Y., Li, J., Tang, X., Xu, B., Ding, J., & Huang, Z. (2015).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s of a new low-temperature active mannanase. Folia Microbiologica, 60, 483-492.
52. Srivastava, P., Rao, A. R. A., & Kapoor, M. (2014). Structural insights into the thermal stability of endo-mannanase belonging to family 26 from Bacillus sp. CFR1601 (580.2). The FASEB Journal, 28(1 Supplement), 580-58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484P 20160801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120> Extremely alkaline 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Kimchi and the use thereof <130> ISP-1549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Bacillus subtilis <400> 1 Ala Leu Tyr Glu Thr Ile Phe Ala Leu Xaa 1 5 10

Claims (3)

  1.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단리되고, 로커스트 빈 검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만난 분해효소 MnB31를 생산하며, 한국생명공학 연구원에 기탁번호 KCTC18484P로 기탁된 것이고,
    상기 만난 분해효소는 SDS-PAGE 및 자이모그래피에 의해서 결정된 분자량은 ~47 kDa이고, 60℃ 및 pH 12.5에서 최적 활성(KCl/NaOH 완충액, pH 12.5)을 가지며, 65℃의 온도 및 pH 5.8 ~ 12.5에서 안정하고, N-말단 서열은 ALYETIFALX이며, Co2+, Mn2+, Na+, 및 K+에 의해 강하게 활성화되고, Zn2+, Ni2+, 및 Mg2+에 의해 억제되고, 가수분해 최종 생성물은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이며, 기질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사용하여 시험한 Michaelis-Menten 상수(Km ) 및 최대 속도(Vmax ) 값은 각각 0.03885 mgml-1 및 1019.33 ± 4.509 Umg-1이며, 기질 분해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Ea)는 31.36 kJmol-1이고, 가수분해 패턴으로 엔토-타입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균주 CSB31.
  2. 삭제
  3. a)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 균주 CSB31을 0.4% 소고기 엑스, 0.1% 효모 엑스, 0.4% 펩톤 및 0.25% NaCl을 포함하는 침지 배지 중에 접종시키는 단계;
    b) 상기 접종물을 250 mL Erlenmeyer 플라스크 중에서 37℃에서 120 rpm으로 48 시간 동안 배양시키는 단계;
    c) 상기 배양물을 1.5% (w/v) 로커스트 빈 검(LBG), 0.5% (w/v) 효모 엑스, 0.5% (w/v) 소고기 엑스, 0.05 % MgSO4.7H2O, 0.03 % K2HPO4, 0.07% KH2PO4 및 0.05% NaCl를 함유하는 갈락토만난 배지로 옮겨서 37℃에서 60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키는 단계;
    d) 세포들을 4℃, 10000 x g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제거하고, 맑은 상층액에 암모늄 설페이트를 30~80% 포화도로 첨가하고, 밤새 보관하는 단계;
    e) 혼합물을 10000 x g에서 50분 동안 4 ℃에서 원심분리하는 단계;
    f) 얻어진 펠릿들을 10 mM Tris/HCl 완충액(pH 7) 중에서 현탁시키고, 동일한 완충액에 대하여 12 시간 동안 투석한 후, 농축시키는 단계;
    g) 효소 용액을 10mM Tris/HCl 완충액(pH 7.0)으로 예비 평형시킨 DEAE sepharose 패스트 플로우에 부하시키고, 결합 단백질을 0 내지 1 M KCl을 함유하는 동일한 완충액을 사용하여 30 mL/h의 유속으로 용출시키는 단계; 및
    h) 만난 분해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들을 모으고, 농축한 후 10 mM Tris/HCl(pH 7)로 예비 평형시킨 세파로오스-CL-6B 컬럼(37 cm x 1.2 cm)에 부하하여 전개시킨 활성 분획들을 모으고,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 CSB31은 한국생명공학 연구원에 기탁번호 KCTC18484P로 기탁된 것이고,
    상기 만난 분해효소는 SDS-PAGE 및 자이모그래피에 의해서 결정된 분자량은 ~47 kDa이고, 60℃ 및 pH 12.5에서 최적 활성(KCl/NaOH 완충액, pH 12.5)을 가지며, 65 ℃의 온도 및 pH 5.8 ~ 12.5에서 안정하고, N-말단 서열은 ALYETIFALX이며, Co2+, Mn2+, Na+, 및 K+에 의해 강하게 활성화되고, Zn2+, Ni2+ 및 Mg2+에 의해 억제되고, 가수분해 최종 생성물은 만노비오스 및 만노트리오스이며, 기질로서 로커스트 빈 검을 사용하여 시험한 Michaelis-Menten 상수(Km ) 및 최대 속도(Vmax ) 값은 각각 0.03885 mgml-1 및 1019.33 ± 4.509 Umg-1이며, 기질 분해를 위한 활성화 에너지(Ea)는 31.36 kJmol-1 이고, 가수분해 패턴으로 엔토-타입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실러스 섭틸리스 아종 인아쿠오소룸 CSB31로부터 만난 분해효소 MnB31의 정제 방법.
KR1020160113693A 2016-09-05 2016-09-05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KR10178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93A KR101780229B1 (ko) 2016-09-05 2016-09-05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93A KR101780229B1 (ko) 2016-09-05 2016-09-05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229B1 true KR101780229B1 (ko) 2017-09-21

Family

ID=6003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93A KR101780229B1 (ko) 2016-09-05 2016-09-05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7963A (zh) * 2019-03-20 2020-10-02 宁夏大学 一种防控疮痂病的载体菌剂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667623A (zh) * 2021-09-18 2021-11-19 北京科技大学 一种降解乙醛的贝莱斯芽孢杆菌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656650A (zh) * 2023-07-31 2023-08-29 云南师范大学 一种基于魔芋白绢病bj-y1菌株获得复合型糖苷水解酶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456B1 (ko) 2002-06-15 2005-03-22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만난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wl-7 균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456B1 (ko) 2002-06-15 2005-03-22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만난아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속 wl-7 균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nzyme Microb. Technol., Vol.92, pp.76-85(Epub.2016.06.29.)*
J. Biol. Macromol., Vol.4, pp.67-74(2004.)
PLUS ONE, Vol.6, No.1(2011.)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7963A (zh) * 2019-03-20 2020-10-02 宁夏大学 一种防控疮痂病的载体菌剂复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667623A (zh) * 2021-09-18 2021-11-19 北京科技大学 一种降解乙醛的贝莱斯芽孢杆菌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667623B (zh) * 2021-09-18 2023-01-10 北京科技大学 一种降解乙醛的贝莱斯芽孢杆菌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656650A (zh) * 2023-07-31 2023-08-29 云南师范大学 一种基于魔芋白绢病bj-y1菌株获得复合型糖苷水解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dav et a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stable alkaline xylanase from Anoxybacillus kamchatkensis NASTPD13
Jiang et al. High-leve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β-mannanase from the newly isolated Bacillus subtilis WY34
Liu et 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xylanase from Paenibacillus barengoltzii and its application in xylooligosaccharides production from corncobs
Chauhan et al. Mannanases: microbial sources, production, properties and potential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Kim et al. Isolation of cellulolytic Bacillus subtilis strains from agricultural environments
Temuujin et al. Over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DagA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 (2): an endo-type β-agarase producing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hexaose
Adav et al. Quantitative iTRAQ secretome analysis of cellulolytic Thermobifida fusca
Fan et al. Gen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cold-adapted β-glucosidase belonging to glycosyl hydrolase family 1 from a psychrotolerant bacterium Micrococcus antarcticus
Lisdiyant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ase produced by cellulolytic bacteria from peat soil of Ogan Komering Ilir, South Sumatera
Regmi et al. Prospects for bio‐industrial application of an extremely alkaline 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subsp. inaquosorum CSB31
Regmi et al. A multi-tolerant low molecular weight mannanase from Bacillus sp. CSB39 and its compatibility as an industrial biocatalyst
Zhang et al. Application of marine microbial enzymes in the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Guo et al.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β-glucosidase, with transglycosylation and exo-β-1, 3-glucanase activities, from Rhizomucor miehei
Ghosh et al. Delineating thermophilic xylan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DM5 towards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xylooligosaccharides production
Chandra et al.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β-mannanase from Paenibacillus sp. DZ3
Pradeep et al. An extremely alkaline mannanase from Streptomyces sp. CS428 hydrolyzes galactomannan producing series of mannooligosaccharides
Wang et al. Prod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 novel halostable xylanase from Bacillus sp. NTU‐06
Wang et 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 acidophilic β-mannanase from Gloeophyllum trabeum CBS900. 73 with significant transglycosylation activity and feed digesting ability
Tariq et al. Optimization of endoglucanase production from thermophilic strain of Bacillus licheniformis RT-17 and its application for saccharification of sugarcane bagasse
KR101780229B1 (ko) 한국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섭틸리스 csb31 유래의 극 알칼리성 만난 분해효소 및 그의 용도
F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β-glucosidase from Gongronella sp. W5 and its application in the hydrolysis of soybean isoflavone glycosides
Cheng et a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ermostable β‐mannanase from Bacillus subtilis BE‐91: potential application in inflammatory diseases
Regmi et al. Endoglucan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strain CBS31: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thermodynamic study, enzymatic hydrolysis, and bio-industrial applications
Zhou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thermostable GH45 endoglucanase from Chaetomium thermophilum and its biodegradation of pectin
Ghio et al. GH10 XynA is the main xylanase identified in the crude enzymatic extract of Paenibacillus sp. A59 when grown on xylan or lignocellulosic biom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