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152B1 -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152B1
KR101780152B1 KR1020160095390A KR20160095390A KR101780152B1 KR 101780152 B1 KR101780152 B1 KR 101780152B1 KR 1020160095390 A KR1020160095390 A KR 1020160095390A KR 20160095390 A KR20160095390 A KR 20160095390A KR 101780152 B1 KR101780152 B1 KR 10178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bracket body
bracket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풍
안수연
Original Assignee
안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풍 filed Critical 안기풍
Priority to KR102016009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 E04B2001/405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양이 시공될 때 차양판끼움부재가 벽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양 시공 완료 후 차양판끼움부재와 벽체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누름부재의 전방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차양 시공 공사를 종래 대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Method for awning construction using separable bracket}
본 발명은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차양은 주택이나 상가의 출입구 또는 창문의 외벽, 자전거 보관소의 지주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옥외용 차양은 디자인과 열악한 기후조건에 따른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옥외용 차양은 철이나 알루미늄 재질의 섀시를 임의의 형태로 절단하여 용접작업을 통해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로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 및 직물지나 비닐지를 씌운 다음 끈이나 나사로 결속하였다.
그러나 프레임과 덮개의 제작을 위해 용접작업과 재단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제작부터 설치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소량생산에 그치게 되며, 그로 인해 자재와 인건비에 따른 설치비용 부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덮개를 직물지나 비닐지를 이용해 형성할 경우 투광성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합성수지를 이용해 덮개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소단위로 분할된 판재들을 프레임의 중간 중간에 이음새를 두어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덮개와 프레임 사리를 실리콘을 이용해 접합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음새의 구조가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금속제 프레임을 용접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용접기술자가 아니면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02514호에는 차양용 브라켓트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판 설치부를 이용해 1개의 단판으로 제작되는 덮개판을 손쉽게 착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옥외용 차양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옥외용 차양의 경우, 덮개판(1200)을 끼우기 위한 덮개판끼움부재(1400)가 고정부(1110)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일정 깊이의 요홈(1410)이 형성되어야 하는 바, 덮개판끼움부재(1400)에 요홈(1410)을 가공하기 위한 작업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고정부(1110)와 요홈(1410)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스며들어 물방울이 떨어지는 문제점 및 고정부(1110)와 요홈(1410) 사이의 틈새로 스며드는 물로 인한 부식의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2514호 '옥외용 차양'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차양이 시공될 때 차양판끼움부재가 벽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양 시공 완료 후 차양판끼움부재와 벽체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누름부재의 전방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차양 시공 공사를 종래 대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차양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양판을 지지하는 브라켓본체부 후방에 형성된 고정지지부를 고정부재로 벽체에 고정하는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 이후, 차양판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전방에 형성된 차양판끼움부재를 브라켓본체부의 후방 상측에서 벽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 이후, 차양판의 후방 단부를 차양판끼움부재의 삽입구에 삽입하고 브라켓본체부 상측에 배치하는 차양판 설치단계; 차양판 설치단계 이후, 차양판이 상부에서 눌려져 지지되는 누름부재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지지부를 고정지지부 상측으로 이격하여 연결부재로 벽체에 고정하는 누름부재 고정단계; 및 누름부재 고정단계 이후,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누름부재의 전방을 서로 결속하는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를 포함하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양이 시공될 때 차양판끼움부재가 벽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양 시공 완료 후 차양판끼움부재와 벽체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누름부재의 전방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차양 시공 공사를 종래 대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양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양판 설치단계, 누름부재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물받이부 고정단계,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를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차양판 설치단계에서 차양판끼움부재를 브라켓본체부 상측에 결속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양 시공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차양판 설치단계, 누름부재 고정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물받이부 고정단계,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를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차양판 설치단계에서 차양판끼움부재를 브라켓본체부 상측에 결속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양 시공 방법은, 차양판(401)을 지지하는 브라켓본체부(201) 후방에 형성된 고정지지부(203)를 고정부재(205)로 벽체(207)에 고정하는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S101);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S101) 이후, 차양판(401)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301)가 전방에 형성된 차양판끼움부재(303)를 브라켓본체부(201)의 후방 상측에서 벽체(207)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S103);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S103) 이후, 차양판(401)의 후방 단부를 차양판끼움부재(303)의 삽입구(301)에 삽입하고 브라켓본체부(201) 상측에 배치하는 차양판 설치단계(S105); 차양판 설치단계(S105) 이후, 차양판(401)이 상부에서 눌려져 지지되는 누름부재(403)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지지부(405)를 고정지지부(203) 상측으로 이격하여 연결부재(407)로 벽체(207)에 고정하는 누름부재 고정단계(S109); 및 누름부재 고정단계(S109) 이후,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과 누름부재(403)의 전방을 서로 결속하는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S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S101)는 차양판(401)을 지지하는 브라켓본체부(201) 후방에 형성된 고정지지부(203)를 고정부재(205)로 벽체(207)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양판(40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플렉서블한 재질의 판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본체부(201)는 차양판(401)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데, 브라켓본체부(201)는 후방에 고정지지부(203)가 형성된다.
고정지지부(203)는 일예로 브라켓본체부(201) 후방 단부에서 양측 또는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일예로, 수직)로 절곡연장된 판 형상으로 이뤄진다.
이러한 고정지지부(203)는 벽체(207)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205)에 의해 벽체(207)에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브라켓본체부(201)가 벽체(207)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어서,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S103)는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S101) 이후, 차양판(401)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301)가 전방에 형성된 차양판끼움부재(303)를 브라켓본체부(201)의 후방 상측에서 벽체(207)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양판끼움부재(303)는 전방에 삽입구(301)가 형성된 하나의 긴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차양판끼움부재(303)의 삽입구(301)는 차양판(401)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차양판끼움부재(303)는, 후방면 전체가 브라켓본체부(201)의 후방 상측에서 벽체(207)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일예로, 차양판끼움부재(303)의 후방은 실리콘 등의 접착/방수재에 의해 벽체(207)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차양판끼움부재(303)의 후방에 실리콘 등의 접착/방수재를 도포하여 차양판끼움부재(303)의 후방을 벽체(207)에 밀착 고정시킨 후, 추가적으로 차양판끼움부재(303)의 후방 상단과 벽체(207) 사이에 실리콘 등의 접착/방수재를 다시 도포하여 차양판끼움부재(303)의 밀착력, 방수력, 고정력을 향상시키면서 차양판끼움부재(303)를 벽체(207)에 고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양판끼움부재(303)가 벽체(207)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종래 대비 차앙판끼움부재(303)와 벽체(207) 사이가 밀봉되어 빗물 등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고할 때, 차양판끼움부재(303)는 브라켓본체부(201)의 후방 측면 상측에 형성된 장공(801)에 고정부재(미도시)로 결합되는 지지브라켓(803)에 지지되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브라켓(803)은 일예로, 브라켓본체부(201)의 측면과 나란한 제1지지부(805)와, 제1지지부(805)의 상단에서 절곡연장된 제2지지부(80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지지브라켓(803)이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고정부재(미도시)로 제1지지부(805)를 브라켓본체부(201)의 후방 측면 상측에 고정하고, 고정부재(미도시)로 제2지지부(807)를 차양판끼움부재(303)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본체부(201)와 차양판끼움부재(303)가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하로 길게 형성된 장공(801)으로 인해, 작업자는 제1지지부(805)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양판끼움부재(30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차양판(401)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차양판 설치단계(S105)는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S103) 이후, 차양판(401)의 후방 단부를 차양판끼움부재(303)의 삽입구(301)에 삽입하고 브라켓본체부(201) 상측에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양판(401)은 빗물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누름부재 고정단계(S109)는 차양판 설치단계(S105) 이후, 차양판(401)이 상부에서 눌려져 지지되는, 별도의 독립된 누름부재(403)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지지부(405)를 고정지지부(203) 상측으로 이격하여 연결부재(407)로 벽체(207)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누름부재(403)는 긴 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누름부재(403)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지지부(405)는 벽체(207)에 밀착되도록 누름부재(403)의 단부에서 절곡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어서,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S111)는 누름부재 고정단계(S109) 이후,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과 누름부재(403)의 전방을 서로 결속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과 누름부재(403)의 전방을 서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다음의 예들이 있다.
①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할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선단(211)과 누름부재(403)의 선단(409)을 결속판(501)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브라켓본체부(201)의 선단(211), 누름부재(403)의 선단(409) 그리고 결속판(501)은 이들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부재(503)에 의해 결속된다.
② 도 6을 참고할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 단부와 누름부재(403)의 전방 단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부고정후크(601)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하부고정홈(603)으로 인입하여 원터치식으로 걸림고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부고정후크(601)는 하부고정홈(603)을 향해 절곡되는 누름부재(403)의 단부에 형성되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후크편(605)을 구비하며, 후크편(605)이 삽입되는 하부고정홈(603)의 입구는 바닥을 향해 입구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가이드편(607)에 의해 형성된다.
③ 도 7을 참고할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 단부와 누름부재(403)의 전방 단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부고정후크(701)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하부고정홈(703)으로 인입하여 원터치식으로 걸림고정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부고정후크(701)는 하부고정홈(703)을 향해 절곡되는 누름부재(403)의 단부에 형성되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길이방향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후크편(705)을 구비하며, 후크편(705)이 삽입되는 하부고정홈(703)의 입구는 바닥을 향해 입구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가이드편(707)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원터치식 고정 방식의 경우, 상부고정후크(601, 701)가 하부고정홈(603, 703)의 입구로 진입할 때, 후크편(605, 705)에 의해 가이드편(607, 707) 사이의 폭이 확장된 후, 후크편(605, 705)의 진입완료시 가이드편(607, 707)이 원위치로 회복되어서, 후크편(605, 705)이 하부고정홈(603, 70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도 6과 도 7을 참고할 때,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 단부에 서로 마주하며 이격된 한쌍의 가이드날개부(609)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날개부(609) 사이에 누름부재(403)의 전방 단부에 돌출형성된 연장암부(611)가 끼워진 후, 가이드날개부(609)와 연장암부(611)를 관통하는 고정부재(613)에 의해 연장암부(611)와 가이드날개부(609)가 서로 결속됨으로써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과 누름부재(403)의 전방이 더욱 견고히 결속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은, 상술한 차양판 설치단계(S105)와 누름부재 고정단계(S109) 사이에 물받이부 고정단계(S10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물받이부(411)는 중공관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물받이부(411)는 브라켓본체부(201)의 전방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209)에 삽입된다.
또한, 물받이부(411)는 차양판(401)의 전방 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속홈(413)을 포함한다.
결속홈(413)은 물받이부(411)의 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우천시 차양판(401)을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물받이부(411)를 통해 모인 후 물받이부(411)의 양단부를 통해 지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차양이 시공될 때 차양판끼움부재가 벽체에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차양 시공 완료 후 차양판끼움부재와 벽체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누름부재의 전방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됨으로써 차양 시공 공사를 종래 대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1 : 브라켓본체부 203 : 고정지지부
205 : 고정부재 207 : 벽체
209 : 안착홈 211 : 브라켓본체부의 선단
301 : 삽입구 303 : 차양판끼움부재
401 : 차양판 403 : 누름부재
405 : 연결지지부 407 : 연결부재
409 : 누름부재의 선단 411 : 물받이부
501 : 결속판 503 : 고정부재
601 : 상부고정후크 603 : 하부고정홈
605 : 후크편 607 : 가이드편
609 : 가이드날개부 611 : 연장암부
613 : 고정부재 701 : 상부고정후크
703 : 하부고정홈 705 : 후크편
707 : 가이드편 801 : 장공
803 : 지지브라켓 805 : 제1지지부
807 : 제2지지부

Claims (4)

  1. 차양판을 지지하는 브라켓본체부 후방에 형성된 고정지지부를 고정부재로 벽체에 고정하는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
    상기 브라켓본체부 고정단계 이후, 지지브라켓(803)을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후방 측면 상측에 형성된 장공(801)에 고정부재로 결합하고, 상기 차양판의 후방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전방에 형성된 차양판끼움부재를 상기 지지브라켓(803)에 결합하여 상기 장공(801)으로 인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차양판끼움부재의 후방면 전체가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후방 상측에서 상기 벽체에 밀착되게 고정하는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
    상기 차양판끼움부재 설치단계 이후, 상기 차양판의 후방 단부를 상기 차양판끼움부재의 상기 삽입구에 삽입하고 상기 브라켓본체부 상측에 배치하는 차양판 설치단계;
    상기 차양판 설치단계 이후, 상기 차양판이 상부에서 눌려져 지지되는, 별도의 독립된 누름부재의 후방에 형성된 연결지지부를 상기 고정지지부 상측으로 이격하여 연결부재로 상기 벽체에 고정하는 누름부재 고정단계; 및
    상기 누름부재 고정단계 이후,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전방과 상기 누름부재의 전방을 서로 결속하는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
    를 포함하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판 설치단계와 상기 누름부재 고정단계 사이에 물받이부 고정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부 고정단계는,
    중공관인 물받이부를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전방에 하향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하고, 상기 차양판의 전방 단부를 상기 물받이부에 형성된 결속홈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부-누름부재 결속단계는,
    상기 브라켓본체부의 전방 단부와 상기 누름부재의 전방 단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상부고정후크를 다른 한쪽에 형성된 하부고정홈으로 인입하여 원터치식으로 걸림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후크는 상기 하부고정홈을 향해 절곡되는 상기 누름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브라켓본체부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연장 또는 어느 한쪽으로 연장되는 후크편을 구비하며,
    상기 후크편이 삽입되는 상기 하부고정홈의 입구는 바닥을 향해 입구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는 가이드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KR1020160095390A 2016-07-27 2016-07-27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KR101780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90A KR101780152B1 (ko) 2016-07-27 2016-07-27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390A KR101780152B1 (ko) 2016-07-27 2016-07-27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152B1 true KR101780152B1 (ko) 2017-09-19

Family

ID=6003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390A KR101780152B1 (ko) 2016-07-27 2016-07-27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1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98B1 (ko) * 2013-08-27 2013-11-14 정영미 조립식 구조물용 지붕 브라켓
KR101393418B1 (ko) * 2013-11-21 2014-05-12 안혜연 Diy 차양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98B1 (ko) * 2013-08-27 2013-11-14 정영미 조립식 구조물용 지붕 브라켓
KR101393418B1 (ko) * 2013-11-21 2014-05-12 안혜연 Diy 차양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6124A1 (en) Roof module for vehicle
CN104608605A (zh) 车辆和将天窗组件附接到该车辆的方法
CN111361401A (zh) 带独立框架的汽车天窗遮阳帘及其安装结构
CN209509325U (zh) 锁扣式金属屋面系统
KR101780152B1 (ko) 분리형 브라켓을 이용한 차양 시공 방법
CN208760544U (zh) 车灯装饰亮条结构及车辆
CN108166655B (zh) 一种防水幕墙
KR101720091B1 (ko) 차양 구조물
EP1842980B9 (en) Drip guard for awnings
KR101500903B1 (ko) 조립식 캐노피 및 이를 장착한 운송수단
CN103978873B (zh) 汽车全景天窗顶盖内衬的安装结构
CN207700474U (zh) 一种插接式防水金属面板幕墙
ITMI20090109U1 (it) Kit di montaggio per la posa e/o l'installazione di costruzioni sopra il tetto
KR200489262Y1 (ko) 건축 마감패널용 연결구
CN110920359B (zh) 一种遮阳帘包边结构
US6309009B1 (en) Roof-liner attachment for motor-vehicle convertible top
CN201309395Y (zh) 机动车遮阳帘
CN205712605U (zh) 一种新型的玻璃隔断组件
CN219952901U (zh) 一种边墙篷布和三角篷布紧固结构
US20120139298A1 (en) Roof for a recreational vehicle
CN211572171U (zh) 一种多角度幕墙板块连接节点装饰结构
CN217532725U (zh) 一种自动驾驶车用隐藏式传感器支架
CN210941628U (zh) 一种全地形车
CN216921837U (zh) 一种装配式门窗用堵孔装饰条
KR101939946B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