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483B1 -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483B1
KR101779483B1 KR1020157031180A KR20157031180A KR101779483B1 KR 101779483 B1 KR101779483 B1 KR 101779483B1 KR 1020157031180 A KR1020157031180 A KR 1020157031180A KR 20157031180 A KR20157031180 A KR 20157031180A KR 101779483 B1 KR101779483 B1 KR 10177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logic density
request
lo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964A (ko
Inventor
밍양 유
웨이싱 리
위전 완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9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말기 기기의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PAGE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인터넷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510020768.X이고 출원일이 2015년 1 월 15 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네이티브 Android 시스템(native Android system)에서는 단말기의 스크린 해상도에 따라 각종 단말기에 대해 서로 다른 로직 밀도(logic density)가 정의된다. 네이티브 Android 시스템은 해상도만으로 로직 밀도를 선택하기에 물리적 스크린 크기가 서로 다른 휴대폰, 예를 들어 5 인치 및 5.5 인치 모바일 전화의 로직 밀도가 모두 xxhdpi(480dpi) 일 가능성이 있다. xxhdpi 리소스를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이 이 두개의 모바일 전화에 각각 인스톨되면 xxhdpi 이미지 리소스가 5.5 인치 모바일 전화에서의 변의 길이는 5 인치 모바일 전화의 1.1 배(5.5/5= 1.1) 비례로 확대되는 것으로 시각상 직관적으로 표현하게 된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가 스크린이 큰 휴대폰을 구입하는 목적은 단지 작은 스크린을 확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내용을 얻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한 화면에 보다 많은 App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현재 Android 시스템의 밀도 메커니즘에 따르면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에 대하여서는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없다.
종래 기술의 경우, 휴대폰 제조업체는 서로 다른 스크린 크기를 갖는 모바일 전화에 대하여 서로 다른 슬라이싱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임의로 스트레칭하지만 화소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어, Android 플랫폼이 여러가지 해상도에 적응하는 요구가 만족된다. 하지만 이러한 슬라이싱 방식은 자체 시스템 애플리케이션(system application program) 등 사전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만 화면 레이아웃 조정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자체로 인스톨한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화면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없어, 특정 장치에 대한 레이아웃 변경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말기 기기의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기 위한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식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1
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여기서 m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제 1 취득 모듈과,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제 2 취득 모듈과,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확정 모듈과,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확대/축소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아래의 식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2
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는 계산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취득 모듈은,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제 1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억하는 설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제 1 선택 서브 모듈은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취득 모듈은,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 기록매체는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의 기술안에 따르면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안은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 및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화면에서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의 표시 방식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응당 이해해둬야할 것은, 상기 개략적인 설명 및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은 예시 적 및 설명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표시하고 또한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하나의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에 적용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하기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기기의 시스템 프로그램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기와 같은 S101 ~ S10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1단계: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한다.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로직 밀도는 Android 시스템의 심도 커스터마이즈 개발자(highly customized developer)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로직 밀도이지 네이티브Android 시스템에서 정의된 로직 밀도가 아니다.
Android 모바일 전화를 예로 들면 네이티브 Android 운영 체제에는 기기의 표시에 사용되는 로직 밀도에 기본값이 있다. 예를 들면, 네이티브 Android 시스템에서 스크린에 대한 복수의 로직 밀도 값, 예를 들어 160dpi(mdpi), 240dpi(hdpi), 320dpi(xhdpi), 480dpi(xxhdpi), 640dpi(xxxhdpi)가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해상도가 640 인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네이티브 Android 운영 체제는 스크린의 물리적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로직 밀도로서 xxxhdpi를 기본값으로 이용하여 기기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기술에 대해 개진하여, Android 시스템의 심도 커스터마이즈 개발자에 의해 로직 밀도가 다시 정의되고, 스크린 해상도를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근거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복수의 로직 밀도를 사용자 자체가 정의하도록 하게 한다.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상황을 포함한다.
(1)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
현재에 있어서 일부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요소가 가능한 크게 표시되는 것을 원하지만(예를 들어 노인) , 다른 일부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내용이 가능한 많게 표시되게 하기 위하여 요소가 작게 표시될 것을 바라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운영 체제에 설정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시작 가이드 또는 "설정"에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추가하고,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작은 값”, “기본 값”, “중등 값”, “큰 값”, “대형 값” 등 여러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 레이아웃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중 하나의 옵션을 클릭할 수 있다. 각 옵션은 각각의 스케일에 대응되기 때문에 상기 옵션에 대응하는 스케일에 따라 화면 레이아웃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1단계는 하기와 같은S201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S201단계: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S105 ~ S10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5단계: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정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억한다.
이때, S201단계는 하기와 같은 S106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S106단계: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한다.
(2) 사용자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 요소의 물리적 크기에 대한 요구에 따른 설정.
해상도가 동일한 경우 스크린의 물리적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종이 X1인 모바일 전화 스크린의 해상도는 480dpi이고, 물리적 크기는 5 인치이며,
기종이 X2 인 모바일 전화 스크린의 해상도는 480dpi이고, 물리적 크기는 5.5 인치인 경우,
만약 네이티브 Android 시스템의 정의에 따르면, X1 및 X2 는 동일한 로직 밀도를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5.5 인치 스크린인 X2는 그의 화면이 확대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요소의 실제 크기가 동일할 것을 바라고있다. 이러면 큰 스크린을 가진 기기의 스크린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각적 느낌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이티브 시스템의 로직 밀도 메커니즘을 개진하여 상이한 기종(또는 상이한 크기)의 모바일 전화에 상이한 로직 밀도를 설정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스크린에 화면를 표시할 때 요소의 물리적 크기를 일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1단계는 하기와 같은 S401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S401단계: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한다.
S102단계: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program to be displayed)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한다. 제2 로직 밀도는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로직 밀도는 리소스 밀도(resource density)라고도 일컫는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제2 로직 밀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2 로직 밀도를 480dpi로 설정할 수 있다.
S103단계: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S103단계는 하기와 같은 A1단계로 실시될 수 있다.
A1단계: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한다.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3
여기서, m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제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스크린 크기가 5.5 인치인 기기를 예로 들면, 제 1 로직 밀도를 480dpi로, 제2 로직 밀도를 400dpi로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 480dpi/400dpi = 1.2배로 된다.
S104단계: 스케일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한다.
예를 들어, S103단계에서 계산한 스케일이 1.2이기에 화면에서의 요소가 1.2 배로 확대된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어도 두 가지 로직 밀도의 선택 방법(S201단계 및S401단계)을 제공한다. 네이티브 시스템의 로직 밀도에 대한 선택 메커니즘을 변경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S201단계에 기재된 로직 밀도 선택 방법에 있어서, 각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하여 대응하는 하나의 로직 밀도를 설정하고, 사용자가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를 변경하려 할때 제 1 로직 밀도를 변경하여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S401단계에 기재된 로직 밀도 선택 방법에 있어서, 네이티브 시스템의 기본 로직 밀도를 이용하지 않고 단말기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제 1 로직 밀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로직 밀도가 스크린의 해상도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어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로직 밀도를 선택하여 당해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최적의 로직 밀도를 얻을 수 있어, 동일한 해상도인 경우 스크린이 작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의 확대인 것이 아니라 상이한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에서의 요소의 물리적 크기가 일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최적의 시각적인 느낌이 이루어고, 큰 스크린을 가진 단말기에 더욱 많은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에 대한 확대/축소는 주로 로직 밀도에 따라 표시되는 요소를 대상으로 하고,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표시 리소스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확대/축소시에 표시 화면의 합리적인 레이아웃에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 및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의 표시 방식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 1 취득 모듈(51)과,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 2 취득 모듈(52)과,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확정하도록 설치되는 확정 모듈(53)과,
스케일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하도록 설치되는 확대/축소 모듈(54)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에 의해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제2 로직 밀도는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정 모듈(53)은,
아래의 식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4
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도록 설치되는 계산 서브 모듈(5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제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취득 모듈(51)은,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선택 서브 모듈(5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억하도록 설치되는 설치 모듈(5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선택 서브 모듈(511)은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취득 모듈(51)은,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선택 서브 모듈(5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상기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 및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화면에서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화면의 표시 방식을 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6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장치는 단말기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600)는 모바일 전화,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헬스 기기, PDA 등 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600)는 프로세싱 유닛(602), 메모리(604), 전원 유닛(606) , 멀티미디어 유닛(608), 오디오 유닛(6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612), 센서 유닛(614) 및 통신 유닛(616)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2)은 일반적으로 장치(600)의 전반 조작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60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6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602)은 기타 유닛과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편리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602)은 멀티미디어 유닛(608)과의 인터랙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장치(600)의 조작을 서포트 하기 위해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장치(600)에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방법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 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 ROM(Read Only Member),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에 의해 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있다.
전원 유닛(606)은 장치(600)의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및 장치(6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관련된 기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실현될 수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되는 지속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유닛(608)은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 및 리어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 또는 가변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유닛(610)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600)가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때,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6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유닛(616)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유닛(610)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612)는 프로세싱 유닛(602)과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스타트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를 위해 각 방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의 온/오프 상태, 유닛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은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및 작은 키패드일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장치(600) 또는 장치(600)의 유닛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6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6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60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어떠한 물리적 접촉도 없는 상황에서 근처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 수 있다. 센서 유닛(614)은 이미지 형성 응용에 이용하기 위한 광 센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614)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616)은 장치(6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편리하게 진행하게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장치(6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유닛(616)은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616)은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RFID기술, IrDA기술, UWB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600)는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ASIC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 DSPD (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명령을 포함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604)을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600)의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는,
프로세서와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확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은,
아래의 식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5
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 스케일m을 계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m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것은,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억하고,
상기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것은,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것은,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인 경우, 기록 매체의 명령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것이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로직 밀도 및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식
Figure 112015105130213-pct00006
에 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운영 체제의 심도 커스터마이즈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스크린 해상도를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근거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사용자 자체가 정의한 것이지 네이티브 운영 체제에서 정의된 로직 밀도가 아니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식
    Figure 112017072580431-pct00007

    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m는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단계는,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6.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제 1 취득 모듈과,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는 제 2 취득 모듈과,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는 확정 모듈과,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는 확대/축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운영 체제의 심도 커스터마이즈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스크린 해상도를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근거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사용자 자체가 정의한 것이지, 네이티브 운영 체제에서 정의된 로직 밀도가 아니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아래의 식
    Figure 112017072580431-pct00008

    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 m을 계산하는 계산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m는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표시하고, X는 상기 제 1 로직 밀도를 표시하고, Z는 상기 제 2 로직 밀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취득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한 설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제 1 선택 서브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설치하고,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각각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설치함과 동시에 기억하는 설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각 화면 레이아웃 옵션은 상기 옵션에 대응되는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 정도를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하며,
    제 1 선택 서브 모듈은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화면 레이아웃 옵션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을 확정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면 레이아웃 옵션에 대응하는 제 1 로직 밀도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화면 레이아웃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로 간주하기 위해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취득 모듈은,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의하여 상기 현재 단말기의 기종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제 2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11.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대응되는 제 1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로직 밀도를 취득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 및 상기 제 2 로직 밀도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의 스케일을 확정하고,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상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의 요소를 확대/축소 표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1 로직 밀도는 운영 체제의 심도 커스터마이즈 개발자가 시스템에서 스크린 해상도를 로직 밀도를 선택하는 근거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화면 표시 방식에 대한 요구에 의하여 사용자 자체가 정의한 것이지, 네이티브 운영 체제에서 정의된 로직 밀도가 아니고,
    상기 제 2 로직 밀도는 상기 표시 대기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장치.
  1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청구항 1 내지 청구항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13. 청구항 12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7031180A 2015-01-15 2015-08-31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79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20768.XA CN104598131B (zh) 2015-01-15 2015-01-15 调节页面显示方式的方法及装置
CN201510020768.X 2015-01-15
PCT/CN2015/088582 WO2016112696A1 (zh) 2015-01-15 2015-08-31 调节页面显示方式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964A KR20160098964A (ko) 2016-08-19
KR101779483B1 true KR101779483B1 (ko) 2017-09-18

Family

ID=5312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80A KR101779483B1 (ko) 2015-01-15 2015-08-31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210726A1 (ko)
EP (1) EP3046068B1 (ko)
JP (1) JP2017510914A (ko)
KR (1) KR101779483B1 (ko)
CN (1) CN104598131B (ko)
BR (1) BR112015030053A2 (ko)
MX (1) MX354970B (ko)
RU (1) RU2637475C2 (ko)
WO (1) WO2016112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8131B (zh) * 2015-01-15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节页面显示方式的方法及装置
EP3350724B1 (en) * 2015-09-15 2021-07-21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pplication zoom levels
CN105892960A (zh) * 2015-10-27 2016-08-24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移动终端屏幕显示的缩放方法及装置
CN106201709A (zh) * 2016-06-28 2016-12-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资源显示方法及装置
CN108205441A (zh) * 2016-12-20 2018-06-26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列表样式的调整方法、系统及终端
CN106843854A (zh) * 2016-12-28 2017-06-13 北京五八信息技术有限公司 页面指示器的生成方法和装置
CN108734656A (zh) * 2017-04-18 2018-11-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缩放处理方法及装置
CN107256142B (zh) * 2017-04-21 2020-12-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页面显示的方法及终端
CN114115619A (zh) * 2020-08-31 2022-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界面显示的方法及电子设备
CN113204346A (zh) * 2021-07-05 2021-08-03 城云科技(中国)有限公司 页面适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886744B (zh) * 2021-12-08 2022-05-06 浙江口碑网络技术有限公司 内容渲染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569B2 (en) * 2005-02-18 2014-08-26 Zumobi, Inc Single-handed approach for navigation of application tiles using panning and zooming
US8862986B2 (en) * 2007-10-01 2014-10-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ranging graphic objects on a page with relative position based control
RU2348975C1 (ru) * 2007-10-18 2009-03-1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страниц при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м просмотре
CN101226454A (zh) * 2008-01-18 2008-07-23 魏新成 在w2vga手机触摸屏上进行常用手机功能操作
CN101694770B (zh) * 2009-10-19 2011-06-15 华为终端有限公司 控制屏幕显示的方法、装置及手持设备
CN101882055A (zh) * 2010-06-21 2010-11-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上缩放显示页面的方法及装置
KR101975906B1 (ko) * 2012-01-09 2019-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레이아웃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662616B (zh) * 2012-03-28 2015-12-16 北京邮电大学 用于移动终端的屏幕图形自适应方法及系统
CN104350737B (zh) * 2012-05-30 2017-09-19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图像摄影装置和放射线检测器
CN104050185B (zh) * 2013-03-13 2019-04-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页面内容缩放显示处理方法及装置
CN103699329B (zh) * 2013-12-31 2017-04-05 优视科技有限公司 页面缩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0102848B2 (en) * 2014-02-28 2018-10-16 Google Llc Hotwords presentation framework
CN104063148A (zh) * 2014-06-11 2014-09-24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上Web应用程序的界面动态适配方法及系统
CN104182270A (zh) * 2014-08-25 2014-12-03 北京云巢动脉科技有限公司 虚拟机界面适应不同分辨率移动终端屏幕的显示方法
CN104598131B (zh) * 2015-01-15 2018-07-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调节页面显示方式的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pporting Multiple Screens", 인터넷 Android Developers(2014.1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6068B1 (en) 2020-09-02
KR20160098964A (ko) 2016-08-19
JP2017510914A (ja) 2017-04-13
WO2016112696A1 (zh) 2016-07-21
RU2015152475A (ru) 2017-06-14
MX354970B (es) 2018-03-27
CN104598131A (zh) 2015-05-06
BR112015030053A2 (pt) 2017-07-25
CN104598131B (zh) 2018-07-24
RU2637475C2 (ru) 2017-12-04
US20160210726A1 (en) 2016-07-21
MX2015015871A (es) 2016-10-06
EP3046068A1 (en)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483B1 (ko) 화면 표시 방식을 조정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108648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history pages in applic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7526494B (zh) 键盘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EP32495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KR101851612B1 (ko) 텍스트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6464261B2 (ja) 応答拡張機能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60077011A (ko) 스마트 홈 디바이스의 운전상태 조절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7193606B (zh) 应用分发方法及装置
CN104317402B (zh) 描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5912258B (zh) 操作处理方法及装置
EP3174249A1 (en) Network stat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22967A (ko) 아이콘 배지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10042328B2 (en) Alarm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501163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characters of application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US20170316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laying progress of media file
EP2988475A1 (en) Traffic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router
EP3173925B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12463084A (zh) 分屏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68364A (zh) 添加快捷插件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11752598A (zh) 页面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60034838A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179837B (zh) 输入方法及装置
US110166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gesture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CN110085066B (zh) 展示阅读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