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455B1 -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455B1
KR101779455B1 KR1020150147083A KR20150147083A KR101779455B1 KR 101779455 B1 KR101779455 B1 KR 101779455B1 KR 1020150147083 A KR1020150147083 A KR 1020150147083A KR 20150147083 A KR20150147083 A KR 20150147083A KR 101779455 B1 KR101779455 B1 KR 10177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shaft
motor
housing
au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903A (ko
Inventor
이호길
Original Assignee
동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4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하우징과,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 및 상기 감속기하우징에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 그리고, 상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에는 선기어와 링기어 및 복수의 유성기어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부가 구비되면서 모터샤프트와 출력축 간의 위치가 최대한 인접되도록 하여 감속기하우징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auger motor assembly for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을 수확하는 기계장치인 콤바인에 장착된 곡립 배출용 오거는 오거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승이나 하강 혹은, 좌선회나 우선회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콤바인의 오거 및 오거모터에 관련하여는 등록특허 제10-1462387호, 공개특허 제10-2012-026951호, 등록특허 제10-1310695호, 공개특허 제10-2012-0109690호, 공개특허 제10-2012-44239호, 공개특허 제10-2011-7689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또한, 종래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모터부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는 입력축과 오거에 연결되는 출력축 간의 감속을 위한 감속기어부가 통상적인 평기어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콤바인용 오거모터는 구동모터와 출력축 간이 각 기어들의 기어비를 고려하여 최대한 멀리 이격된 상태로 구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감속비를 고려할 때 전체적인 부피가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거모터는 동작 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의 크기가 클 경우 오거의 동작시 주변물과의 간섭 발생이 야기될 수밖에 없고, 또한 부픽가 큰 오거모터의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으로써 전체적인 장비의 크기 역시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오거모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장착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동작상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더욱 정밀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462387호 공개특허 제10-2012-026951호 등록특허 제10-1310695호 공개특허 제10-2012-0109690호 공개특허 제10-2012-44239호 공개특허 제10-2011-7689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에 따르면 선단은 오거를 동작시키도록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후단은 감속기하우징 내를 통과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의 후방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축; 상기 감속기하우징의 후방에 위치되는 모터하우징 내에 설치되면서 전방측 끝단이 상기 모터하우징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모터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모터샤프트 중 감속기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전방측 끝단에는 동력전달용기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동모터; 상기 출력축의 둘레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출력축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결합된 링기어: 상기 선기어의 선단측 둘레면 및 링기어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기어로 전달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기어는 상기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각 유성기어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기어의 제1기어부 및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는 서로 맞물리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기어의 제2기어부 및 각 유성기어는 평기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면서 해당 출력축에 대한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출력축의 후단측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센싱용 주동기어와, 상기 모터샤프트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주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센싱용 종동기어와,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의 전방측 하부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기어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종동기어를 통해 확인된 상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확인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선기어의 선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에 맞물려 감속기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에는 상기 출력축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스플라인 혹은, 기어로써 결합되는 결합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출력측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후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가 맞물려 상기 각 유성기어가 선기어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고정측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모터샤프트의 회전 및 출력축의 회전에 따른 감속비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출력축과 모터샤프트 간의 이격 거리를 최대한 줄임에 따라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오거의 회전 각도에 대한 확인이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통해 알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오거의 회전 각도가 더욱 정확히 파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오거의 회전을 위한 동작 제어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센싱부의 위치 확인센서를 감속기하우징 내의 하측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하우징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중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선기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중 선기어의 회전에 의한 각 유성기어 및 링기어와 출력축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중 출력축의 회전에 따른 회전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각 설명을 통해 지칭되는 방향 및 위치에 관련한 용어의 경우 각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때 전방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상측임과 더불어 도 3 내지 도 6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좌측이고, 후방은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하측임과 더불어 도 3 내지 도 6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우측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는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크게 감속기하우징(100)과, 구동모터(210)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200) 및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에 결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출력축(300) 그리고, 상기 출력축(300)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는 센싱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감속기하우징(100) 내에는 선기어(510)와 링기어(520,530) 및 복수의 유성기어(540)로 이루어진 감속기어부(도면 부호는 생략함)가 구비되면서 모터샤프트(211)와 출력축(300) 간의 위치가 최대한 인접되도록 하여 감속기하우징(100)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은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켜 출력축을 구동시키는 감속기어부(도면 부호는 생략함)가 내장되는 부위이며, 상기 모터하우징(200)은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후방에 결합 고정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0)가 내장되는 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출력축(300)이 관통 설치되는 전방관통공(11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후면에는 구동모터(210)의 모터샤프트(211)가 관통되는 후방관통공(12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축(300)은 콤바인용 오거(도시는 생략됨)에 연결되어 상기 오거를 동작시키는 부위이다.
이러한 출력축(300)은 그의 선단이 상기 오거를 동작시키도록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전방관통공(110)을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출력축(3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구동모터(210)는 상기 모터하우징(200) 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감속기하우징(100)의 후방관통공(120)을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100) 내로 전방측 끝단이 위치되는 모터샤프트(211)를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 모터샤프트(211) 중 감속기하우징(100) 내에 위치되는 전방측 끝단에는 동력전달용기어(21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감속기어부(도면 부호는 생략함)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수를 감속시켜 상기 출력축(300)을 구동시키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감속기어부가 선기어(510)와, 링기어(520,530) 및 복수의 유성기어(540)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출력축(300)과 상기 모터샤프트(211)가 최대한 인접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모터샤프트(211)를 통해 제공되는 회전수를 최대한 감속시킨 상태로 상기 출력축(3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선기어(510)는 상기 출력축(300) 중 감속기하우징(100) 내에 위치되는 부위의 둘레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모터샤프트(211)의 동력전달용기어(212)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기어(510)와 상기 출력축(300) 사이에는 원통형의 부시(550)(첨부된 도 4 참조)가 구비되며, 상기 선기어(510)는 상기 부시(550)에 결합된 상태로써 상기 출력축(300)과는 상관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선기어(510)는 후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모터샤프트(211)의 동력전달용기어(212)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기어부(511) 및 선단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부(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기어부(511) 및 제2기어부(512)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선기어(510)의 제1기어부(511) 및 모터샤프트(211)의 동력전달용기어(212)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선기어(510)를 이루는 제2기어부(512)는 평기어로 형성되면서 후술될 각 유성기어(54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520,530)는 상기 선기어(510)로 제공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출력축(300)을 회전시키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링기어(520,530)는 상기 선기어(510)의 선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각 유성기어(540)에 맞물려 감속기하우징(100)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에는 상기 출력축(300)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스플라인 혹은, 기어로써 결합되는 결합단(521)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출력측 링기어(520)와, 상기 선기어(510)의 후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기하우징(10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각 유성기어(540)가 맞물려 각 유성기어(540)가 선기어(510)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고정측 링기어(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유성기어(540)는 상기 선기어(510)의 회전력을 상기 링기어(520,530)로 전달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각 유성기어(540)는 상기 선기어(510)의 선단측 둘레면 및 링기어(520,53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센싱부(400)는 상기 출력축(300)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부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싱부(400)가 상기 출력축(300)에 직접 연결되면서 해당 출력축(300)에 대한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출력축(300)이 아닌 모터샤프트(211)나 여타 회전 부위에 대한 회전수를 측정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고자 할 경우 빠른 회전 속도에 의해 정밀한 판단이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오거모터 어셈블리 중 가장 회전 속도가 늦으면서도 실질적으로 오거에 결합되는 출력축(300)에 대한 회전수 측정을 통한 오거의 회전 각도를 유추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센싱부(400)는 상기 출력축(300)의 후단측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센싱용 주동기어(410)와, 상기 모터샤프트(211)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주동기어(410)에 맞물려 회전되는 센싱용 종동기어(420)와, 상기 감속기하우징(100) 내의 전방측 하부 공간에 위치되면서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확인센서(430)와, 상기 센싱용 종동기어(420)와 위치 확인센서(430)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용 기어(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 확인센서(430)를 감속기하우징(100) 내의 전방측 하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유는 모터샤프트(211)의 위치에 비해 출력축(300)의 위치가 감속기하우징(10)) 내의 더욱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출력축(300)이 모터샤프트(211)에 비해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감속기어부 역시 감속기하우징(100) 내의 상부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며, 이로써 상대적으로 각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감속기하우징(100) 내의 전방측 하부 공간에 상기 위치 확인센서(430)를 구비함으로써 감속기하우징(100)의 크기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센싱용 주동기어(410)를 상기 출력축(300)에 직접 결합하는 이유는 상기 출력축(300)의 회전속도(대략 20~25RPM 정도)가 여타의 구성들(모터샤프트나 감속기어부를 이루는 각 기어들)의 회전속도에 비해 가장 느리기 때문에 이를 기준하여 센싱용 종동기어(420) 및 각 연결용 기어(440)에 의한 추가적인 감속(대략 1/9~1/10 정도의 감속)을 통해 위치 확인센서(430)가 가장 정확히 읽을 수 있는 회전속도로 변속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출력축(30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오거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 구동모터(21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모터샤프트(211)가 회전된다.
또한, 이러한 모터샤프트(211)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이 모터샤프트(211)의 동력전달용기어(212)에 맞물린 선기어(510)의 제1기어부(511)가 함께 회전됨으로써 구동모터의(210) 구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용기어(212)를 통해 선기어(510)로 제공되며, 이러한 동력 전달 과정에서 1차적인 감속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511)와 상기 동력전달용기어(212)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간의 동력 전달은 정확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선기어(510)는 부시(550)에 의해 출력축(300)과는 상관없이 회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선기어(510)가 회전된다 하더라도 이 선기어(510)로 인한 출력축(300)의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따른 선기어(510)의 회전 과정은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한 선기어(510)가 회전되면 이 선기어(510)의 제2기어부(512)에 맞물린 각 유성기어(540)가 회전됨으로써 2차적인 감속이 이루어지며, 계속해서 상기 각 유성기어(540)의 회전에 의해 그에 맞물린 출력측 링기어(520) 역시 회전되고, 이의 과정에서 3차적인 감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출력측 링기어(520)가 회전되면 이러한 출력측 링기어(520)에 결합된 출력축(300) 역시 회전됨에 따라 오거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한 각 동작에 의한 출력축(30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이 출력축(300)의 후단측 부위에 고정된 센싱용 주동기어(410)가 회전되면서 센싱용 종동기어(4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이러한 센싱용 종동기어(420)에 맞물려 회전되는 연결용 기어(440)를 통해 위치 확인센서(430)는 상기 출력축(300)의 회전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이 출력축(300)의 회전수를 근거로 한 오거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오거의 회전 각도에 대한 판단은 여타 구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회전속도가 느린 출력축(300)의 회전을 기준으로 수행함으로써 위치 확인센서(430)는 오거의 회전 각도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확인된 오거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는 구동모터(210)의 구동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오거의 회전 각도가 설정된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계속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고, 상기 오거의 회전 각도가 설정된 각도에 도달될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의한 모터샤프트(211)의 회전 및 출력축(300)의 회전에 따른 감속비는 종래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면서도 출력축(300)과 모터샤프트(211) 간의 이격 거리를 최대한 줄임에 따라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오거의 회전 각도에 대한 확인이 출력축(300)의 회전 속도를 통해 알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오거의 회전 각도가 더욱 정확히 파악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오거의 회전을 위한 동작 제어가 더욱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는 센싱부(400)의 위치 확인센서(430)를 감속기하우징(100) 내의 하측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속기하우징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100. 감속기하우징 110. 전방관통공
120. 후방관통공 200. 모터하우징
210. 구동모터 211. 모터샤프트
212. 동력전달용기어 300. 출력축
400. 센싱부 410. 센싱용 주동기어
420. 센싱용 종동기어 430. 위치 확인센서
440. 연결용 기어 510. 선기어
511. 제1기어부 512. 제2기어부
520. 출력측 링기어 521. 결합단
530. 고정측 링기어 540. 유성기어
540. 부시

Claims (5)

  1. 선단은 오거를 동작시키도록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후단은 감속기하우징 내의 상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의 후방측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축;
    상기 감속기하우징의 후방에 위치되는 모터하우징 내에 설치되면서 전방측 끝단이 상기 모터하우징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의 출력축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모터샤프트를 가지며, 상기 모터샤프트 중 감속기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전방측 끝단에는 동력전달용기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동모터;
    상기 출력축의 둘레면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출력축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결합된 링기어:
    상기 선기어의 선단측 둘레면 및 링기어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면서 상기 선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링기어로 전달하는 복수의 유성기어;
    감속기하우징 내에 구비되면서 상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기어는 상기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출력축의 후단측 부위에 고정 설치되는 센싱용 주동기어와,
    상기 모터샤프트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주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센싱용 종동기어와,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기 센싱용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기어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센싱용 종동기어를 통해 확인된 상기 출력축의 회전수를 확인하여 오거의 회전 각도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확인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의 제1기어부 및 모터샤프트의 동력전달용기어는 서로 맞물리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기어의 제2기어부 및 각 유성기어는 평기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는
    상기 선기어의 선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에 맞물려 감속기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에는 상기 출력축에 동력 전달가능하게 스플라인 혹은, 기어로써 결합되는 결합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출력측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후단측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기하우징 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상기 각 유성기어가 맞물려 상기 각 유성기어가 선기어를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안내하는 고정측 링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KR1020150147083A 2015-10-22 2015-10-22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KR10177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83A KR101779455B1 (ko) 2015-10-22 2015-10-22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83A KR101779455B1 (ko) 2015-10-22 2015-10-22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03A KR20170046903A (ko) 2017-05-04
KR101779455B1 true KR101779455B1 (ko) 2017-09-18

Family

ID=5874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83A KR101779455B1 (ko) 2015-10-22 2015-10-22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93B1 (ko) * 2009-03-05 2009-05-28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작업성능이 향상된 유압식 스크류를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
KR101436379B1 (ko) * 2014-04-15 2014-09-02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
KR101469419B1 (ko) * 2014-07-07 2014-12-10 이연화 천공작업 능률 개선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변속이 가능한 오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793B1 (ko) * 2009-03-05 2009-05-28 주식회사 일성엔지니어링 작업성능이 향상된 유압식 스크류를 장치한 다각도 천공기
KR101436379B1 (ko) * 2014-04-15 2014-09-02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머신의 스크류헤드 마운트 장치로 활용되는 원격 조종식 조인트클램프
KR101469419B1 (ko) * 2014-07-07 2014-12-10 이연화 천공작업 능률 개선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변속이 가능한 오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903A (ko)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999B2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vehicle drive system
EP2930400A1 (en) Ball screw device, power transfer mechanism,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screw device
CN110682325B (zh) 机器人的手腕结构
CN105263648B (zh) 冲压设备
KR20160038818A (ko) 로봇
JP5154364B2 (ja) ギヤ室のシール構造
JP2011068251A5 (ko)
KR20110015493A (ko) 중공 감속기
KR101682900B1 (ko)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장치
KR101779455B1 (ko) 콤바인용 오거모터 어셈블리
KR20130076133A (ko) 유성감속기 백래쉬 측정장치
JP7103319B2 (ja) 動力伝達装置
JP2009537766A (ja) 回転数検出装置を有する変速機
CN103726856B (zh) 轴向伸缩式刀盘系统
CN208795854U (zh) 一种管道内部检测装置
JP6785607B2 (ja) 駆動装置
JP6053809B2 (ja) 工作機械内で用いられる装置及び工作機械
CN108603570B (zh) 齿轮装置及齿轮装置的装配方法
JP2008025846A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JP5295542B2 (ja) 自動ツールチェンジャの駆動装置
CN106382347B (zh) 直线作动机
KR101273178B1 (ko) 동력 전달 장치
JP4999978B2 (ja) 偏心差動型減速機
CN108325571A (zh) 一种生物制药装置
JP2005047006A (ja) ロボット等の旋回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