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903B1 -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903B1
KR101778903B1 KR1020167004610A KR20167004610A KR101778903B1 KR 101778903 B1 KR101778903 B1 KR 101778903B1 KR 1020167004610 A KR1020167004610 A KR 1020167004610A KR 20167004610 A KR20167004610 A KR 20167004610A KR 101778903 B1 KR101778903 B1 KR 10177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595A (ko
Inventor
데뻬이 오야마
즈요시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은,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사이에 있어서의 간섭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무선 통 방법은, 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동기 시스템과, 그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비동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이며,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동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그 무선 단말기가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그 제2 무선 신호의 상기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도록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WIRELESS BASE STATION,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트래픽이 급속하게 계속 증대하고 있어, 유한한 자원인 무선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주파수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수단 중 하나로서, 주변의 전파 환경을 인지하여 최적의 통신을 행하는 인지 무선 기술에 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 스페이스형(또는 주파수 공용형) 인지 무선으로서, 각 주파수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간섭하지 않도록, 시간, 장소에 따라서 주파수의 화이트 스페이스(WS: White Space)를 찾아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TV 화이트 스페이스(TVWS)의 통신 이용이 검토되고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는, 화이트 스페이스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우선권이 있는 시스템은 프라이머리 시스템 또는 1차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또한, 화이트 스페이스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우선권이 없고, 1차 시스템에 대하여 간섭을 주지 않도록 운용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스템은 세컨더리 시스템 또는 2차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TVWS의 예에 있어서는, TV 방송이 프라이머리 시스템이 된다. 또한, TVWS에 대한 세컨더리 시스템용 규격으로서는, WiMAX(등록 상표) 즉 802.16 규격을 베이스로 확장한 802.22, Wi-Fi(등록 상표) 즉 802.11 규격을 베이스로 확장한 802.11af, Zigbee(등록 상표) 규격을 베이스로 확장한 802.15.4m 등이 알려져 있다. 장래적으로는, 3GPP에 있어서의 LTE 시스템을 베이스로 한 세컨더리 시스템으로서 운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세컨더리 시스템으로서는 기존의 여러 가지 무선 액세스 방식을 베이스로 한 것이 상정되고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는, 세컨더리 시스템이 하나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도 상정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이트 스페이스의 이용은 주파수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예상되지만,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화이트 스페이스를 공유함으로써, 주파수의 이용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복수 세컨더리 시스템의 공존의 중요성은, 향후에는 점점 높아져 갈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IEEE 802.19 워킹에 있어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의 원활한 공존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표준 사양의 책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컨더리 시스템의 공존을 위한 3가지 기능 엔티티인 CM(Coexistence Manager), CE(Coexistence Enabler), CDIS(Coexistence Discoveryand Information Server)가 정해져 있다. CM은, 주로 공존을 위한 의사 결정을 행한다. CE는, 세컨더리 시스템 내의 각 무선 통신 장치와 CM과의 사이의 제어나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CDIS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S. Haykin, "Cognitive radio: Brain-empowered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ournal on Selected Areas in Communications, Vol. 23, No.2 , Feb. 2005 FCC, "Second Memorandum Opinion and order" in ET Docket No. 04-186, Sep. 23, 2010 M. Beluri, "Mechanisms for LTE Coexistence in TV White Space," IEEE DySPAN 2013 "IEEE P802.19-11/0011r1" https://mentor.ieee.org/802.19/dcn/11/19-11-0011-01-0001-coexistence-system-description.pdf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 세컨더리 시스템이 프라이머리 시스템에 부여하는 간섭뿐만 아니라,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 있어서의 간섭도 문제가 될 수 있다.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전부가 화이트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로 인해,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가 충돌(주파수가 동일 또는 근접)할 가능성이 있고, 그 밖의 조건이 갖추어지면, 한쪽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다른 쪽의 세컨더리 시스템에 대하여 간섭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밖의 조건으로서는, 세컨더리 시스템 간의 거리나 송신 전력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IEEE 802.19의 표준 사양에 의하면,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의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의 간섭에 대하여 어느 정도는 관리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이트 스페이스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채널이 많은 경우에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에 대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는 채널(예를 들어 주파수가 충분히 이격된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세컨더리 시스템 간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화이트 스페이스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채널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에 대하여 서로 간섭하는 채널(예를 들어 동일한 채널)을 할당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의 간섭에 대해서, IEEE 802.19의 표준 사양의 틀만으로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남는다. IEEE 802.19 표준 사양은,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원활하게 공존하기 위한 기능을 대략 정한 것이며, 개개의 세컨더리 시스템의 특성에 따른 관리나 제어까지는 충분히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서로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 있어서의 간섭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문제를 논했지만, 이것과 동종의 문제는 다른 상황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한쪽이 다른 쪽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후에 설명하는 본원 개시 기술의 적용 분야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저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기 바란다.
본 개시의 기술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간에 있어서의 간섭을 저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무선 통 방법은, 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동기 시스템과, 그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비동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이며,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동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그 무선 단말기가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그 제2 무선 신호의 상기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오버플로우(overflow)가 억제되도록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본건에 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중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한쪽이 다른 쪽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간에 있어서의 간섭을 저감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Wi-Fi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의한 간섭을 설명하는 제1 도면이다.
도 2는 Wi-Fi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의한 간섭을 설명하는 제2 도면이다.
도 3은 Wi-Fi 시스템과 LTE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의한 간섭을 설명하는 제3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의한 간섭의 억제를 설명하는 제1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신호의 송신에 의한 간섭의 억제를 설명하는 제2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4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기지국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5는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6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7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기지국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18은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의 일례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면서, 개시된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별개의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지만,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조합의 효과를 얻어, 유용성을 더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제의 소재]
여기에서는,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의 소재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전제로서,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의 한쪽이 동기 시스템이며 다른 쪽이 비동기 시스템인 것으로 한다.
본원에 있어서 동기 시스템이란, 무선 통신 장치끼리 동기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리킨다. 동기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 WiMAX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동기하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지국이 단말기와 동기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기지국이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행한다. 단말기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기지국이 행하는 스케줄링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 스케줄링에 의해, 각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끼리의 충돌이 방지된다.
한편, 본원에 있어서 비동기 시스템이란, 무선 통신 장치끼리 동기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가리킨다. 비동기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어 Wi-Fi 시스템, Zigbee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액세스 포인트)과 단말기, 또는 단말기끼리 동기하지 않고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기와의 동기를 전제로 하고 있지 않고,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하여 스케줄링을 행하지 않는다. 단말기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단말기 자신이 자율적으로 결정한다.
또한, 비동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단말기나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끼리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캐리어 감지가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캐리어 감지를 행하고, 타 장치가 송신한 무선 신호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측정되었을 경우에는 무선 신호의 송신을 연기한다. 이에 의해, 각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끼리의 충돌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공존하는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 중, 동기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며, 비동기 시스템이 Wi-Fi 시스템인 경우를 설명한다. 공존하는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기타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의 조합이더라도, 이와 마찬가지로 설명할 수 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Wi-Fi 시스템이나 Zigbee 시스템 등에 있어서도 이 캐리어 감지에 의한 무선 신호의 충돌 회피가 행해지고 있다.
다음 전제로서, 공존하는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에 있어서, 비동기 시스템이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이 2개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첫번째 조건은, 비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가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가 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일하거나, 일부가 중복되거나, 또는, 근접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각각의 주파수대는 (주파수)채널, 캐리어 등이라 불러도 된다.
두번째 조건은, 비동기 시스템의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에 도달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동기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전파)가, 동기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이든 단말기이든 상관없다. 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의 도달성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의 물리적인 거리가 가까울수록, 도달성이 높아진다. 또한, 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이 클수록, 도달성이 높아진다.
이상의 전제를 충족하는 상황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이상의 전제 하에서, 가장 단순하게 Wi-Fi 시스템(비동기 시스템)과 LTE 시스템(동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LTE 시스템은 계속적으로(각 서브 프레임에서) 통신을 행하게 된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의 송신 타이밍은 기지국이 자유롭게 스케줄링할 수 있지만, 시스템 전체의 스루풋을 고려하면 송신 타이밍에 치우침이 없는 편이 바람직한 결과가 되기 쉬우므로, 통상적으로는 계속적으로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다시 말해, LTE 시스템에서는 각 서브 프레임에서 어떠한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이 경우, Wi-Fi 시스템의 단말기나 기지국이 어떤 타이밍에 무선 신호를 송신했다고 하더라도, Wi-Fi 시스템이 송신한 무선 신호가 LTE 시스템에 대하여 간섭을 주게 된다. 따라서, Wi-Fi 시스템이, LTE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고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고는 할 수 없다. 즉, 공존하는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의 간섭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Wi-Fi 시스템의 단말기나 기지국은 무선 신호의 송신 시에 캐리어 감지를 행한다. 도 1의 경우, Wi-Fi 시스템의 단말기나 기지국이 어떤 타이밍에 캐리어 감지를 행했다고 하더라도, LTE 시스템에 의해 송신된 무선 신호를 검출해 버린다. 그로 인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가장 단순한 공존에 있어서는, Wi-Fi 시스템은 애당초 무선 신호를 송신할 기회가 얻어 지지 않는 다는 문제도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LTE 시스템(동기 시스템)이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기간(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하면 된다. 본원에 있어서는 이 기간을 LTE 송신 정지 기간이라 부르지만, 일반적으로 갭 기간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LTE 송신 정지 기간은 미리 간헐적(주기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설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도 2와 같이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이 LTE 송신 정지 기간 이외의 기간(도 2의 LTE 송신 기간)에 있어서 캐리어 감지를 행한 경우, LTE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를 검출한다(또한, Wi-Fi 단말기에 있어서는, 이때 검출된 신호가 LTE 시스템에 의해 송신된 것인지, Wi-Fi 시스템의 타 단말기 등에 의해 송신된 것인지는 일반적으로는 판별할 수 없음). 이 경우,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은 무선 신호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송신을 연기한다. 따라서, LTE 시스템의 송신 기간에 있어서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은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지 않게 되므로, Wi-Fi 시스템에 의한 LTE 시스템에 대한 간섭은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한편,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이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캐리어 감지를 행한 경우, LTE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를 검출하지 않는다(또한, 이때 Wi-Fi 시스템의 타단말기 등에 의한 무선 신호도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함). 이 경우,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은 무선 신호의 충돌의 우려가 없는 점에서, 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한다. 다시 말해,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은 무선 신호를 송신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때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은, LTE 시스템에 간섭을 주지 않고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동기 시스템)이 송신을 행하지 않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Wi-Fi 시스템(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LTE 시스템(동기 시스템)에 대한 간섭이 박멸되어, 당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LTE 시스템이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간섭의 문제는 남는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Wi-Fi 시스템에 있어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직전에 비교적 긴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고 하자.
이때, Wi-Fi 시스템의 단말기 등에 있어서는, 이 무선 신호의 송신 개시 시에는 캐리어 감지에 기초하여 송신 기회를 얻을 수 있으므로(다른 Wi-Fi 단말기나 기지국과는 충돌하지 않는 것으로 함), 당해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무선 신호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LTE 시스템의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어 버린다고 생각된다. 한편, LTE 시스템측에서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되면, Wi-Fi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신 유무에 관계없이,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Wi-Fi 시스템에 의해 송신된 무선 신호의 일부(LTE 시스템의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된 부분)가, LTE 시스템에 대하여 간섭을 주게 된다.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후에는, 본래는 LTE 시스템에 의한 송신 기간인 점에서, LTE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희망 신호이며, Wi-Fi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는 간섭 신호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발생하는 간섭의 길이는, Wi-Fi 시스템에 의한 송신 개시의 타이밍과 무선 신호의 길이에 따라 변동된다. 무선 신호의 길이는 데이터의 사이즈와 변조 방식이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변화한다. 그로 인해, 간섭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이 공존하는 경우, 동기 시스템이 송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동기 시스템으로의 간섭이 박멸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어 버림으로써, 비동기 시스템에 의한 동기 시스템으로의 간섭이 부분적으로 발생한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문제를 논했지만, 이것과 동종의 문제는 다른 상황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한하지 않고) 비동기 시스템이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동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후에 설명하는 본원 개시 기술의 적용 분야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저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는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상위 개념적인 실시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는, 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동기 시스템과, 그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비동기 시스템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법이며, 상기 비동기 시스템에 속하는 무선 단말기가, 상기 동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신호의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그 무선 단말기가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그 제2 무선 신호의 상기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도록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실시 형태이다.
먼저 제1 실시 형태의 전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전제로서는,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 있어서 설명한 전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제로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고, 2개의 세컨더리 시스템 중 한쪽이 동기 시스템이며 다른 쪽이 비동기 시스템인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동기 시스템이 LTE 시스템이며, 비동기 시스템이 Wi-Fi 시스템인 것으로 한다. 물론, 이들 이외의 임의의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의 조합에 있어서 본원의 각 실시 형태를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비동기 시스템이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비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와 동기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가 충돌하고 있음과 함께, 비동기 시스템의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에 도달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이후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과 동기 시스템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문제를 논하지만, 이것과 동종의 문제는 다른 상황에 있어서도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한하지 않고) 비동기 시스템이 동기 시스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동종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원의 각 실시 형태가 적용 가능한 분야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간섭할 수 있는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 간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저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기 바란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추가적인 전제로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 도 2나 도 3과 마찬가지로, 무선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기간(무선 신호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기간)이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이 기간은, 상술한 LTE 송신 정지 기간(갭 기간)에 상당한다. LTE 송신 정지 기간은 미리 간헐적(주기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설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은 LTE 시스템이 자율적으로(자주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Wi-Fi 시스템 또는 제3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LTE 시스템이 설정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는 Wi-Fi 시스템(1)(비동기 시스템(1))은, 하나의 기지국(비동기 기지국(10))과, 하나 이상의 단말기(비동기 단말기(20))를 구비한다. 본원에서는 Wi-Fi 시스템(1)의 기지국(비동기 기지국(10))을 Wi-Fi 기지국(10)이라고 부르고, Wi-Fi 시스템(1)의 단말기(비동기 단말기(20))를 Wi-Fi 단말기(20)라고 부른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Wi-Fi 기지국(10)은 (Wi-Fi) 액세스 포인트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도 4에 도시되는 LTE 시스템(2)(동기 시스템(2))은, 하나의 기지국(동기 기지국(30))과, 하나 이상의 단말기(동기 단말기(40))를 구비한다. 본원에서는 LTE 시스템(2)의 기지국(동기 기지국(30))을 LTE 기지국(30)이라 부르고, LTE 시스템(2)의 단말기(동기 단말기(40))를 LTE 단말기(40)라 부른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LTE 기지국(30)은 eNB(evolved Node B)라고 불리고, LTE 단말기(40)는 UE(User Equipment)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도 4에서 도시되는 Wi-Fi 시스템(1)에 있어서는,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가 비동기로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2)에 있어서는, LTE 기지국(30)과 LTE 단말기(40)가 동기하여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Wi-Fi 시스템(1)에 있어서의 비동기 송신이나 LTE 시스템(2)에 있어서의 동기 송신에 대해서는,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의 Wi-Fi 기지국(10)과 LTE 기지국(30)은, 망측의 유선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기지국(10)이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Wi-Fi 단말기(20)와 거의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이후의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S101에서 Wi-Fi 단말기(20)는,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정보(이후에는 편의상, 송신 정지 기간 정보라고 칭함)는,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상관없다.
송신 정지 기간 정보는, 예를 들어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과 길이의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정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과 종료 타이밍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 정지 기간 정보로 할 수도 있다. 송신 정지 기간이 간헐적(주기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송신 정지 기간 정보는, 송신 정지 기간의 (1주기째의) 개시 타이밍과 길이와 주기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나타낸 송신 정지 기간 정보의 예는 모두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에 상당하지만, 이들 정보나 기타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간접적인 정보를 송신 정지 정보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S101에 있어서는, Wi-Fi 단말기(20)가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상관없다. 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는 Wi-Fi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Wi-Fi 단말기(20)는, LTE 시스템(2)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의 모니터링 등에 의해 LTE 송신 정지 기간을 검출함으로써,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취득(생성)할 수 있다. 또한, Wi-Fi 단말기(20)가 LTE 단말기(40)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는 경우(Wi-Fi와 LTE의 듀얼 단말기에 상당), LTE 기지국(30)으로부터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그 경우, LTE 기지국(30)은, 예를 들어 통지 신호나 페이징 신호에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2에서, Wi-Fi 단말기(20)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여기서 송신 데이터란, Wi-Fi 시스템(1)의 단말기가 송신고자 하는 정보를 의미하고 있고, 소위 유저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데이터)뿐만 아니라 하위층의 제어 정보 등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로부터 Wi-Fi 기지국(10)을 통하여 인터넷 상의 Web 서버에 액세스할 때, Wi-Fi 단말기(20)에 송신 데이터(HTTP 리퀘스트 등)가 발생한다. 또한, Wi-Fi 단말기(20)가 Wi-Fi 기지국(10)에 대하여 인증용 제어 정보를 보낼 때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S103에서 Wi-Fi 단말기(20)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Wi-Fi 단말기(2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LTE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당해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도록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한다. 이 조정을, 본원에서는 송신 타이밍 조정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송신 타이밍 조정에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는, 송신 정지 기간 정보가 나타내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이 완료되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송신 타이밍 조정을 실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송신 완료되는 경우에는 송신을 행하고,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송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이 완료될 분만큼을 당해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송신하고, 나머지는 다음 이후의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송신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송신 타이밍 조정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LTE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당해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도록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하는 것이면, 여기에서 나타낸 방법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LTE 송신 정지 기간 후로의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가 억제되면 되므로, 당해 오버플로우가 전혀 없게 되는 방법뿐만 아니라, 당해 오버플로우의 길이 또는 빈도가 아무런 조정을 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감소되는 방법이어도, 본원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 조정에 해당하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1)(Wi-Fi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LTE 시스템(2))이 공존하는 경우에,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일반적으로,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 없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하위 개념의 실시예 중 하나에 상당한다. 제2 실시 형태는, Wi-Fi 기지국(10)(비동기 기지국(10))이 Wi-Fi 단말기(20)(비동기 단말기(20))에 대하여, LTE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지시함으로써, LTE 시스템(2)(동기 시스템(2))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의 전제로서는, 상기의 「문제의 소재」 및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전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되는 Wi-Fi 시스템(1)(비동기 시스템(1)) 및 LTE 시스템(2)(동기 시스템(2))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는, 제어 장치(50)가 존재한다. 이 제어 장치(50)는, Wi-Fi 시스템(1)에도 LTE 시스템(2)에도 속하지 않는 제3자적인 장치이다. 제어 장치(50)는, IEEE 802.19 표준 사양에 비추어 보면, CM(Coexistence Manager) 상당의 기능을 갖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는, TV 시스템(프라이머리 시스템)의 화이트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각 무선 통신 시스템(세컨더리 시스템)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외부 또는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갱신된다. 이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각 세컨더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채널), 기지국의 위치 및 송신 전력, 무선 통신 방식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되는 제어 장치(50)는, 상기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Wi-Fi 시스템(1)이나 LTE 시스템(2)의 존재는 인식하고 있지만, 그것들이 간섭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까지는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Wi-Fi 기지국(10)이나 LTE 기지국(30)과 망측의 유선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S201에서 제어 장치(50)는,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비동기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의 조를 검출한다.
제어 장치(50)는 이 검출을,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한다. 먼저, 각 세컨더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대(채널)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주파수의 관점에서, 서로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세컨더리 시스템의 페어를 추출한다. 이어서 추출된 세컨더리 시스템의 페어에 대해서, 기지국의 위치 및 송신 전력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무선 신호의 도달성(도달 범위)의 관점에서, 간섭 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한다. 주파수의 관점 및 무선 신호의 도달성의 관점에서 간섭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 세컨더리 시스템의 페어에 대해서, 무선 통신 방식을 참조하여, 한쪽이 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이고 다른 쪽이 비동기식 무선 통신 방식인지를 판정한다.
이상에 의해, 제어 장치(50)는,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비동기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의 조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50)는, 일례로서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비동기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의 조로서, Wi-Fi 시스템(1)과 LTE 시스템(2)의 조를 검출한 것으로 한다.
도 7의 S202에서 제어 장치(50)는,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LTE 송신 정지 기간)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은 간헐적(주기적)인 것으로 한다. 단,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은 주기적인 것이 아니어도 상관없음에 유의한다.
제어 장치(50)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임의의 규칙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세컨더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각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단말기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50)는 S201에서 검출한 Wi-Fi 시스템(1)과 LTE 시스템(2)의 각각의 무선 단말기 수의 비에 기초하여, 전체 기간에 있어서의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의 비율을 정할 수 있다. 구체예를 들면, Wi-Fi 시스템(1)과 LTE 시스템(2)의 단말기수의 비가 1:3인 경우, LTE 송신 정지 기간을 전체 기간의 1/4의 비율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50)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길이 및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주기를, 먼저 정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을 적절히 결정한다. 수치를 사용한 구체예로서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길이를 500밀리 초(LTE 시스템(2)에 있어서의 500 서브 프레임에 상당. 또한, 10 서브 프레임이 1 프레임에 대응),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주기를 2000밀리 초(2000 서브 프레임에 상당),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을 1000밀리 초(1000 서브 프레임에 상당) 후 등으로 정할 수 있다.
도 7의 S203에서 제어 장치(50)는,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송신 정지를 행하는 취지의 지시를 LTE 기지국(3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 장치(50)는, 상기한 지시와 함께, LTE 송신 정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LTE 기지국(30)에 송신한다. 여기서, LTE 송신 정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S202에서 정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길이, 주기, 개시 타이밍이다.
S203의 지시는, 제어 장치(50)가 LTE 기지국(30)에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제어 메시지는, LTE 시스템(2)에 속하는 관리 장치(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의 다른 장치를 통하여, 제어 장치(50)로부터 LTE 기지국(30)에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이 제어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9 표준 사양에 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S204에서 제어 장치(50)는, LTE 송신 정지 기간 내에 있어서 송신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를 Wi-Fi 기지국(1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 장치(50)는, 상기한 지시와 함께, LTE 송신 정지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Wi-Fi 기지국(10)에 송신한다. S204는 S203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수신처가 상이할 뿐)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7의 S205에서 Wi-Fi 기지국(10)은, S204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Wi-Fi 단말기(20)에 대하여 일정한 송신 규제를 행하는 취지의 정보(이후에는 편의상, Wi-Fi 송신 규제 정보라고 칭함)를 생성한다.
Wi-Fi 송신 규제 정보는,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 또는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차이는 본질적인 것이 아니므로, 이후에는,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의 송신은 시간축 상의 길이(폭)를 갖는 점에서,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은,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는 타이밍 또는 종료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송신 규제 정보는, Wi-Fi 단말기(20)가 송신을 개시하는 타이밍을 취득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기간을, 본원에 있어서는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이라 부르기로 한다.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은,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 이후를 제외한 기간으로 할 수 있다.
도 8은 LTE 송신 정지 기간과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 등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은,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 이후를 제외한 기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 이후의 구간을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LTE를 송신할 수 있는 LTE 송신 기간은 「Wi-Fi 시스템(1)을 송신할 수 없는 기간」이기도 한 점에서, 본원에서는 LTE 송신 기간을 Wi-Fi 송신 불능 기간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과 Wi-Fi 송신 불능 기간을 합한 기간을 Wi-Fi 송신 개시 금지 구간이라 부르기로 한다.
여기서,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은, 이 기간에 있어서의 Wi-Fi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의 종료는 허가하지만 개시는 허가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은, Wi-Fi 단말기(20)에 의한 무선 송신이 LTE 시스템(2)의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에 따른 간섭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설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는,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있어서 일률적으로 무선 신호의 송신 개시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에 송신을 개시하지 않고,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에 있어서만 송신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Wi-Fi 단말기(20)에 의한 무선 송신이 LTE 시스템(2)의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에 따른 간섭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LTE 송신 기간인 Wi-Fi 송신 불능 기간에 있어서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Wi-Fi 송신 불능 기간)에 송신을 개시하지 않고,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에 있어서만 송신을 개시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함에 유의한다.
여기서,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을 길게 하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은 감소되지만, 비동기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기간도 감소되는 결과, Wi-Fi 시스템(1)의 송신 효율이 저하된다. 한편,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을 짧게 하면 간섭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의 길이는, 간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길이이며, 또한 가능한 한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의 길이는, 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가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신호의 길이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방식(여기서는 Wi-Fi)의 관점에서의 이론 상의 최대값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방식에 있어서는, 표준 규격 상, 최대 패킷 길이나 송신 레이트가 최저인 변조 방식 및 부호화 방식 등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이것들에 기초하여 Wi-Fi 단말기(20)가 송신할 수 있는 무선 신호 길이의 이론상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은, Wi-Fi 단말기(20)가 실제로 송신한 무선 신호를 소정 기간만 관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은, 관측된 최장의 무선 신호의 길이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관측된 전체 무선 신호의 평균값이나, 평균값에 소정의 계수(예를 들어 2)를 곱한 값으로 해도 된다. 관측된 전체 무선 신호 중의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90%)이 LTE 시스템(2)에 간섭을 주지 않는 길이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관측 결과에 기초하여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을 설정한 경우, Wi-Fi 단말기(20)에 의한 무선 송신이 LTE 시스템(2)의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가능성이 있지만, 어느 정도는 배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로 인해, 오버플로우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간섭도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LTE 송신 정지 기간이 부여되었을 때,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을 결정하면,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을 구할 수 있다.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LTE 송신 정지 기간으로부터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을 제외한 기간이 된다. 한번의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은, 개시 타이밍 및 기간 길이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LTE 송신 정지 기간이 간헐적(주기적)인 경우,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도 간헐적(주기적)으로 된다. 이 경우의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은, 개시 타이밍, 기간 길이 및 주기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S205에서 Wi-Fi 기지국(10)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정한 Wi-Fi 송신 종료 허가 기간 등에 관한 Wi-Fi 송신 규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Wi-Fi 송신 규제 정보는, Wi-Fi 단말기(20)의 송신을 규제하기 위한 정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LTE 송신 정지 기간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다시 말해, LTE 송신 정지 기간과 무관계하게 Wi-Fi 송신 규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Wi-Fi 송신 규제 정보는, LTE 송신 정지 기간에 관련된는 정보에 상당한다고 해석된다.
다음으로 도 7의 S206에서, Wi-Fi 기지국(10)은 S205에서 생성된 Wi-Fi 송신 규제 정보를 Wi-Fi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이때, Wi-Fi 기지국(10)은, Wi-Fi 송신 규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LTE 송신 정지 기간 내에 송신 완료할 수 있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S205에서 Wi-Fi 단말기(20)는, Wi-Fi 기지국(10)이 송신한 Wi-Fi 송신 규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도 7의 S207에서 Wi-Fi 단말기(20)에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다. S207은, 도 5의 S102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S208에서 Wi-Fi 단말기(20)는, S206에서 수신한 Wi-Fi 송신 규제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된 타이밍에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Wi-Fi 송신 규제 정보가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을 나타내는 것인 경우, Wi-Fi 단말기(20)는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다시 말해, Wi-Fi 단말기(20)는,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 이외의 기간(도 8에 도시되는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에 있어서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지 않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이 아닐 때, 송신 데이터를 갖는 Wi-Fi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당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개시를 다음번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까지 기다리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1)(Wi-Fi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LTE 시스템(2))이 공존하는 경우에,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일반적으로,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 없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의 하위 개념의 실시예 중 하나에 상당한다. 제3 실시 형태는, Wi-Fi 단말기(20)(비동기 단말기(20))가 LTE 송신 정지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함으로써, LTE 시스템(2)(동기 시스템(2))에 대한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와 공통점도 많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전제로서는, 상술한 「문제의 소재」 및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전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도, 도 6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그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S301 내지 S30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1 내지 S204와 마찬가지로 행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10의 S305에서 Wi-Fi 기지국(10)은, S304에서 수신한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Wi-Fi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즉, Wi-Fi 기지국(10)은 송신 정지 기간 정보의 전송을 행한다. S305에서 Wi-Fi 단말기(20)는, Wi-Fi 기지국(10)이 송신(전송)한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수신한다.
S305에서 Wi-Fi 기지국(10)은, 송신 정지 정보를 그대로 전송해도 되지만,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소정의 정보를 부가 또는 소정의 정보를 삭제하여 Wi-Fi 단말기(20)에 송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Wi-Fi 기지국(10)은, 송신 정지 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LTE 송신 정지 기간 내에 송신 완료할 수 있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으로 한다.
S306에서 Wi-Fi 단말기(20)에 송신 데이터가 발생한다. S306은, 도 5의 S102나 도 7의 S207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S307에서 Wi-Fi 단말기(20)는, S305에서 수신한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조정된 타이밍에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Wi-Fi 단말기(20)가 행하는 타이밍 조정에는 몇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실현할 수 있다.
S307의 타이밍 조정의 실현 수단의 예로서는, Wi-Fi 단말기(20)가, 송신 정지 기간 정보가 나타내는 LTE 송신 정지 기간 종료 타이밍까지 무선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편의상, 송신 여부 판정이라고 칭함), 송신 완료되는 경우에는 송신을 행하고,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송신 기간에 송신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여,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 완료될 분만큼을 당해 송신 기간에 송신하고, 나머지는 다음 이후의 LTE 송신 정지 기간에 송신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송신 여부 판정은, S305에서 수신한 송신 정지 기간 정보와, S306에서 발생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길이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먼저, 송신 정지 기간 정보로부터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구한다.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과 송신 정지 기간 길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개시 타이밍에 당해 송신 기간 길이를 더함으로써,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구할 수 있다. 또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이 간헐적(주기적)인 것인 경우에는, 송신 정지 기간 정보에 포함되는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주기를 정수배한 것을 더 더함으로써,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을 구할 수 있다.
이어서, 구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과,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의 차분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길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이란, Wi-Fi 단말기(20)가 무선 신호의 송신 개시를 예정하고 있는 타이밍이며, 기본적으로는 Wi-Fi 단말기(20)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단,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은 LTE 송신 정지 기간에 포함되어 있을 필요가 있는 점에는 유의하기 바란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수치 예로 설명한다. 지금,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이 현재의 100msec 후이며,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이 현재의 300msec 후인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길이가 150msec이면,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과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과의 차분인 200msec(=300msec-100msec)가 150msec 이상인 점에서, 송신 여부 판정의 결과는 「송신 가능」이 된다. 한편,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길이가 250msec라면, 200msec가 250msec 미만인 점에서, 송신 여부 판정의 결과는 「송신 불가능」이 된다.
S307에서 Wi-Fi 단말기(20)는, 상기한 송신 여부 판정의 결과가 「송신 가능」일 경우, 상기한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한편, Wi-Fi 단말기(20)는, 상기한 송신 여부 판정의 결과가 「송신 불가능」일 경우, 상기한 Wi-Fi 송신 개시 예정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을 개시하지 않도록, 송신 타이밍을 조정한다. 후자의 경우, 송신 데이터를 갖는 Wi-Fi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당해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개시를 다음번의 LTE 송신 정지 기간까지 기다리도록 조정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있어서 복수의 세컨더리 시스템인 비동기 시스템(1)(Wi-Fi 시스템(1))과 동기 시스템(2)(LTE 시스템(2))이 공존하는 경우에,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는 화이트 스페이스형 인지 무선에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일반적으로,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 실시 형태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 없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상당한다. 제4 실시 형태는, 제어 장치(50)가 아니라, Wi-Fi 기지국(10) 등이 LTE 시스템(2)으로부터의 간섭을 검출함으로써 간섭 억제가 도모되는 것이다.
제4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나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도 많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들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전제로서는, 상술한 「문제의 소재」 및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전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도, 도 6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의 그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S401에서 Wi-Fi 기지국(10)은,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Wi-Fi 기지국(10)은, 간섭원을 특정할 필요는 없고, 어떠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간섭을 받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이 간섭의 검출은, 임의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이 송신 시에 행하는 캐리어 감지에 있어서의 충돌의 발생률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충돌률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 LTE 시스템(2)으로부터의 간섭을 검출한 것으로 할 수 있다(검출한 것으로 간주할). 다른 예에서는, 송신의 성공률(예를 들어 ACK의 수신율) 등에 기초하여 간섭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수신되는 무선 신호로부터 구해지는 채널 특성 등에 기초하여 간섭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S401에서 Wi-Fi 기지국(10)은, 단순히 간섭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간섭의 크기를 측정(추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 감지의 충돌률의 크기에 따라서 간섭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의 S402에서 Wi-Fi 기지국(10)은, S401에서 검출한 간섭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50)에 대하여 간섭 대책을 요구(의뢰)한다. 이때 Wi-Fi 기지국(10)은, 제어 장치(50)에 대하여,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은 간섭의 크기에 관한 정보나 기타 간섭에 관한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S402는, Wi-Fi 기지국(10)이 제어 장치(50)에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실현된다. 이 제어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9 표준 사양에 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의 S403에서 제어 장치(50)는, Wi-Fi 시스템(1)에 대하여 간섭을 주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동기 시스템(2)을 검출한다.
S403에 있어서의 동기 시스템(2)의 검출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1을 따라 행할 수 있다. 단,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1에 있어서는 비동기 시스템(1)의 검출도 행하는 것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1의 S403에 있어서는 비동기 시스템(1)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S402에서 간섭 대책을 요구한 Wi-Fi 시스템(1)) 점에는 주의를 요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404에서 제어 장치(50)는,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LTE 송신 정지 기간)을 결정한다. S404에 있어서의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결정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2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단, S402에서 간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얻고 있는 경우에는, S404에 있어서 제어 장치(50)는, 간섭의 크기에 기초하여 LTE 송신 정지 기간을 결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11의 S405 내지 S4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3 내지 S208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또한, 도 11의 S405 내지 S410의 처리를,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0의 S303 내지 S307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과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이 제4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인데, 제4 실시 형태에는 몇 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에 있어서는,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Wi-Fi 기지국(10)이 단독으로 검출하고 있었다. 그러나,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Wi-Fi 기지국(10)이 Wi-Fi 단말기(20)와 제휴하여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Wi-Fi 단말기(20)에 의한 송신 시의 캐리어 감지의 충돌률을 Wi-Fi 기지국(10)이 수집하고, 그것들과 Wi-Fi 기지국(10) 자신의 충돌률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Wi-Fi 단말기(20)가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가 송신 시의 캐리어 감지의 충돌률에 기초하여 간섭을 검출하고, 검출한 간섭을 Wi-Fi 기지국(10)에 통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Wi-Fi 단말기(20)가 단독으로 간섭을 검출해도, 복수의 Wi-Fi 단말기(20)가 제휴하여 간섭을 검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최근에는 예를 들어 LTE 단말기(40)(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등)에 있어서, Wi-Fi 단말기(20)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경우, Wi-Fi 단말기(20)가 LTE 기지국(30)으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수신을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Wi-Fi 단말기(20)가 LTE 기지국(30)으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LTE 시스템(2)으로부터의 간섭을 검출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일례로서는, LTE 기지국(30)으로부터 송신된 참조 신호 등의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 등을 측정함으로써, Wi-Fi 단말기(20)가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4 실시 형태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 없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상당한다. 제5 실시 형태는, 제어 장치(50)의 개재를 요하지 않고, Wi-Fi 시스템(1)(비동기 시스템(1))으로부터 LTE 시스템(2)(동기 시스템(2))에 대한 간섭 억제가 도모되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나 제3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도 많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들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전제로서는, 상술한 「문제의 소재」 및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전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되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되는 제2 실시 형태 등과 상이하게, 제어 장치(50)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장치(50) 상당의 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제5 실시 형태는 제어 장치(50)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작 가능하다는 취지임에 주의하기 바란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i-Fi 단말기(20)가 무선 송신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S501에서 Wi-Fi 기지국(10)은, LTE 시스템(2)으로부터 받는 간섭을 검출한다. 여기에서는 Wi-Fi 기지국(10)은, 간섭원을 특정할 필요는 없고, 어떤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간섭을 받고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으면 된다. 이 간섭의 검출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1의 S401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의 S502에서 Wi-Fi 기지국(10)은,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LTE 송신 정지 기간)을 취득한다. S502에 있어서의 Wi-Fi 기지국(10)에 의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취득은, 제2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게, 제어 장치(50) 등이 개재되지 않고 행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도 Wi-Fi 기지국(10)은 간섭원을 특정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한다.
Wi-Fi 기지국(10)에 의한 LTE 송신 정지 기간의 검출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Wi-Fi 기지국(10)은 소정 기간,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은 캐리어 감지의 충돌률의 측정을 행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충돌률이 높은 기간과 낮은 기간이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고 있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LTE 시스템(2)의 간헐적(주기적)인 송신 정지 기간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펨토 기지국(홈 eNB 등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에 있어서, Wi-Fi 기지국(10)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경우, Wi-Fi 기지국(10)이, 다른 LTE 기지국(30)으로부터 LTE망측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신 정지 기간에 관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LTE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취득할 수 있다.
그 후에는 S502에서 검출한 송신 정지 기간에 기초하여,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가 제휴하여, Wi-Fi 단말기(20)의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S503 내지 S50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도 7의 S205 내지 S208과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또한, 도 12의 S503 내지 S506의 처리를,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0의 S305 내지 S307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어떤 경우라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과 중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문제의 소재에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섭을 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5 실시 형태는, 비동기 시스템(1)에 의한 무선 신호가 동기 시스템(2)의 송신 정지 기간을 초과하여 송신 기간에 오버플로우됨으로써 발생하는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 기술에 없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기타의 변형예]
여기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들 변형예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와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변형예를 동시에 상기의 각 실시 형태와 조합해도 상관없다.
제1 변형예는, Wi-Fi 단말기(20)와 Wi-Fi 기지국(10)과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Wi-Fi 단말기(20)에 의한 송신 타이밍 조정의 적용 유무를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모든 Wi-Fi 단말기(20)가 구별되지 않고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에 가까운 Wi-Fi 단말기(20)에 대해서는, LTE 시스템(2)에 대한 간섭을 비교적 주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와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울 경우에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Wi-Fi 단말기(20)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하지 않고,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와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먼 경우에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Wi-Fi 단말기(20)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때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와의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은 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과 Wi-Fi 단말기(20)와의 사이의 패스로스를 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2 변형예는, 제1 변형예의 응용에 상당한다. 가령 Wi-Fi 기지국(10)과 LTE 기지국(30)이 매우 가까운 경우에 있어서는, 설령 Wi-Fi 기지국(10)에 가까운 Wi-Fi 단말기(20)라 하더라도, LTE 시스템(2)에 대한 간섭을 비교적 주기 쉽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과 LTE 기지국(30)과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에는, 모든 Wi-Fi 단말기(20)를 구별하지 않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Wi-Fi 단말기(20)에 있어서의 송신 타이밍의 조정을 행하고, Wi-Fi 기지국(10)과 LTE 기지국(30)과의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먼 경우에는, 제1 변형예와 같이 Wi-Fi 단말기(20)와 Wi-Fi 기지국(10)과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Wi-Fi 단말기(20)에 의한 송신 타이밍 조정의 적용 유무를 전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때 Wi-Fi 기지국(10)과 LTE 기지국(30)과의 사이의 거리를 인식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50)가 구비하는 세컨더리 시스템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기지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할 수 있다.
제3 변형예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Wi-Fi 기지국(10)이 Wi-Fi 단말기(20)에 대하여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도 8을 참조)을 통지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실현예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Wi-Fi 기지국(10)이 Wi-Fi 단말기(20)에 대하여, Wi-Fi 송신 개시 허가 기간 대신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때의 통지로서는, 임의의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IEEE 802.11 표준 규격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RTS(Request To Send) 패킷 또는 CTS(Clear To Send) 패킷을 사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Wi-Fi 기지국(10)은, RTS 패킷이나 CTS 패킷에 포함되는 duration 필드에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의 길이를 설정하여 Wi-Fi 단말기(20)에 송신한다. Wi-Fi 단말기(20)는 RTS 패킷이나 CTS 패킷을 수신하면, duration 필드에 설정된 시간만큼 송신 금지 상태(NAV: Network Allocation Vector)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기존의 제어 패킷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송신 금지 기간의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RTS 패킷이나 CTS 패킷에는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을 통지하기 위한 필드는 준비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Wi-Fi 기지국(10)은, RTS 패킷이나 CTS 패킷을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제4 변형예는, 제3 변형예의 응용에 상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Wi-Fi 기지국(10)은 RTS 패킷이나 CTS 패킷을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의 개시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해야 하지만, 그 때 캐리어 감지로 충돌을 검출했기 때문에 송신 기회가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Wi-Fi 기지국(10)이 RTS 패킷이나 CTS 패킷의 송신을 재실행할 때에는, duration 필드의 값을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당초의 duration 필드의 값으로부터, Wi-Fi 기지국(10)이 캐리어 감지에 있어서의 충돌 검출 후에 패킷 송신을 대기한 시간을 감산한 값을 재설정값으로 한다. 이에 의해, RTS 패킷이나 CTS 패킷의 송신이 재실행된 경우여도, Wi-Fi 단말기(20)는 적절하게 Wi-Fi 송신 개시 금지 기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5 변형예는, 송신 데이터의 송신 순서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Wi-Fi 기지국(10) 등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가 많은 경우, 송신 대기로 되어 있는 송신 데이터가, Wi-Fi 기지국(10) 등이 구비하는 버퍼에 순서대로 저장된다. 통상적으로는 버퍼에 저장된 순서대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지만, 그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일례로서는, 버퍼의 선두의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가 비교적 긴 경우로서,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남아있지만 당해 무선 신호를 송신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은 비교적 남아있지만, 그 동안에 무선 신호를 송신하지 않게 되므로, 송신 효율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버퍼의 선두로부터 2번째 이후의 송신 데이터 중에서, 당해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가,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에 송신 완료할 수 있는 것을 Wi-Fi 기지국(10) 등이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충분히 남아있는 경우에는, 버퍼의 선두로부터 2번째 이후의 송신 데이터 중에서, 당해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가 비교적 긴 것을 Wi-Fi 기지국(10) 등이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LTE 송신 정지 기간이 종료될 때까지의 시간을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송신 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
이어서, 도 13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비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 비동기 단말기(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 및 제어 장치(5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LTE 기지국)(30)과 동기 단말기(LTE 단말기)(4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비동기 기지국(10)과 비동기 단말기(20)와 각각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비동기 기지국(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동기 기지국(10)은,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11)와, 무선 수신부(12)와, 제어부(13)와, 기억부(14)와, 통신부(15)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송신부(11)와 무선 수신부(12)를 통합하여 무선 통신부(16)라고 칭한다.
무선 송신부(1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11)는, 비동기 단말기(20)에 대하여 무선 신호(하향의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비동기 단말기(20)로 향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20)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를 들 수 있다. 무선 송신부(1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기지국(10)이 비동기 단말기(20)에 대하여 송신하는 각종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12)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12)는 비동기 단말기(20)로부터 무선 신호(상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비동기 단말기(20)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를 들 수 있다. 무선 수신부(12)가 수신하는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기지국(10)이 비동기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13)는, 비동기 단말기(20)에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송신부(11)에 출력한다. 제어부(13)는, 비동기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수신부(1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13)는, 후술하는 기억부(1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13)는, 후술하는 통신부(15)와의 사이에서, 제어 장치(50), 다른 비동기 기지국(10), 동기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송수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13)는 이들 이외에도 비동기 기지국(1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 송수신하고 있는 각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에 대한 제어, 및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 행하고 있는 각 처리(도면 중의 직사각형)에 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제어부(1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기지국(10)이 실행하는 각종 처리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기억부(14)는,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기억부(14)가 기억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기지국(10)에 있어서 기억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15)는, 유선 신호 등(무선 신호라도 상관없음)을 통하여, 제어 장치(50), 다른 비동기 기지국(10), 동기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5)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 등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1에 있어서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 제어 장치(50)를 상대로 송수신하고 있는 각 유선 신호 등(도면 중의 화살표)을 들 수 있다. 통신부(15)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 등은,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기지국(10)이 제어 장치(50), 다른 비동기 기지국(10), 동기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송수신하는 각종 유선 신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비동기 기지국(10)은, 무선 송신부(11)나 무선 수신부(12)를 통하여 비동기 단말기(20) 이외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동기 기지국(30)이나 동기 단말기(4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해도 상관없다.
도 14는 비동기 단말기(2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무선 송신부(21)와, 무선 수신부(22)와, 제어부(23)와, 기억부(24)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 송신부(21)와 무선 수신부(22)를 통합하여 무선 통신부(25)라고 칭한다.
무선 송신부(21)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는 송신과 수신에서 공통이어도 된다. 무선 송신부(21)는, 비동기 기지국(10)에 대하여 무선 신호(상행의 무선 신호)를 송신한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비동기 기지국(10)으로 향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20)가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에 대하여 송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를 들 수 있다. 무선 송신부(21)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단말기(20)가 비동기 기지국(10)에 대하여 송신하는 각종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22)는, 데이터 신호나 제어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통신으로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2)는 비동기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신호(하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에는, 비동기 기지국(10)에 의해 송신되는 임의의 유저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부호화나 변조 등이 이루어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20)가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각 무선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를 들 수 있다. 무선 수신부(22)가 수신하는 신호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단말기(20)가 비동기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하는 각종 무선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23)는, 비동기 기지국(10)에 송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송신부(21)에 출력한다. 제어부(23)는, 비동기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무선 수신부(22)로부터 입력한다. 제어부(23)는, 후술하는 기억부(24)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23)는 이것들 이외에도 비동기 단말기(2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5, 도 7,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20)가 송수신하고 있는 각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에 대한 제어 및, 비동기 단말기(Wi-Fi 단말기)(10)가 행하고 있는 각 처리(도면 중의 직사각형)에 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제어부(23)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단말기(20)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기억부(24)는,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기억부(24)가 기억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비동기 단말기(20)에 있어서 기억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비동기 단말기(20)는, 무선 송신부(21)나 무선 수신부(22)를 통하여 비동기 기지국(10) 이외의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다른 비동기 단말기(10), 동기 기지국(30)이나 동기 단말기(4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해도 상관없다.
도 15는, 제어 장치(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예를 들어 제어부(51)와, 기억부(52)와, 통신부(53)를 구비한다. 이들 각 구성 부분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1)는, 후술하는 기억부(5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51)는, 후술하는 통신부(53)와의 사이에서, 비동기 기지국(10), 동기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송수신하는 데이터나 제어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어부(51)는 이것들 이외에도 제어 장치(50)에 있어서의 다양한 제어를 행한다.
제어부(51)가 제어하는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1에 있어서 제어 장치(50)가 송수신하고 있는 각 신호(도면 중의 화살표)에 대한 제어 및, 제어 장치(50)가 행하고 있는 각 처리(도면 중의 직사각형)에 대한 제어를 들 수 있다. 제어부(51)가 제어하는 처리는,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제어 장치(50)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에 관한 제어를 포함한다.
기억부(52)는 데이터, 제어 정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정보의 기억을 행한다. 기억부(52)가 기억하는 각종 정보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제어 장치(50)에 있어서 기억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부(53)는 유선 신호 등(무선 신호라도 상관없음)을 통하여, 비동기 기지국(10)이나 동기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데이터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5)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 등의 구체예로서는, 도 7, 도 10 내지 도 11에 있어서 제어 장치(50)가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나 동기 기지국(LTE 기지국)(30)을 상대로 송수신하고 있는 각 유선 신호 등(도면 중의 화살표)을 들 수 있다. 통신부(53)가 송수신하는 유선 신호 등은, 이들에 한하지 않고,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 제어 장치(50)가 비동기 기지국(Wi-Fi 기지국)(10)이나 동기 기지국(LTE 기지국)(30) 등을 상대로 송수신하는 각종 유선 신호 등을 포함한다.
[각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도 16 내지 도 18에 기초하여, 각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특히, 비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Wi-Fi 기지국)(10), 비동기 단말기(예를 들어 Wi-Fi 단말기)(20) 및 제어 장치(5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LTE 기지국)(30)과 동기 단말기(LTE 단말기)(4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비동기 기지국(10)과 비동기 단말기(20)와 각각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비동기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동기 기지국(10)은,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11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112)와, 프로세서(113)와, 메모리(114)와, 네트워크 IF(Interface)(115)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버스를 통하여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1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메모리(114)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밖에, 비동기 기지국은 도시하지 않은 보조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등)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비동기 기지국(10)의 기능 구성과 도 16에 나타내는 비동기 기지국(1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무선 송신부(11) 및 무선 수신부(12)(또는 무선 통신부(16))는, 예를 들어 RF 회로(112), 또는 안테나(111) 및 RF 회로(11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13), 메모리(11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14)는, 예를 들어 메모리(114)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15)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115)에 의해 실현된다.
도 17은 비동기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동기 단말기(2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안테나(121)를 구비하는 RF(Radio Frequency) 회로(122)와, 프로세서(123)와, 메모리(124)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버스를 통하여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메모리(124)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비동기 단말기(20)의 기능 구성과 도 17에 나타내는 비동기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무선 송신부(21) 및 무선 수신부(22)(또는 무선 통신부(25))는, 예를 들어 RF 회로(122), 또는 안테나(121) 및 RF 회로(12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23)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23), 메모리(12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24)는, 예를 들어 메모리(124)에 의해 실현된다.
도 18은 제어 장치(5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50)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로서, 예를 들어 프로세서(151)와, 메모리(152)와, 네트워크 IF(Interface)(153)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 요소는, 버스를 개재하여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51)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메모리(152)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프로그램이나 제어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밖에, 비동기 기지국은 도시하지 않은 보조 기억 장치(하드 디스크 등)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제어 장치(50)의 기능 구성과 도 18에 나타내는 제어 장치(50)의 하드웨어 구성과의 대응을 설명한다.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53), 메모리(154),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전자 회로 등에 의해 실현된다. 디지털 전자 회로로서는,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ing Gate Array),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을 들 수 있다. 기억부(52)는, 예를 들어 메모리(152)에 의해 실현된다. 통신부(53)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IF(153)에 의해 실현된다.
1: 비동기 시스템(예를 들어 Wi-Fi 시스템)
2: 동기 시스템(예를 들어 LTE 시스템)
10: 비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Wi-Fi 기지국)
20: 비동기 단말기(예를 들어 Wi-Fi 단말기)
30: 동기 기지국(예를 들어 LTE 기지국)
40: 동기 단말기(예를 들어 LTE 단말기)
50: 제어 장치

Claims (11)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으로 비동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비동기로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장치 사이의 동기 무선 통신이 정지되는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 기간에 후속하는 기간으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2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동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수신된 무선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제1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2 주파수 대역은 제3 무선 통신 시스템에 할당된 제3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무선 통신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 및
    무선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제1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비동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비동기로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무선 통신 장치 사이의 동기 무선 통신이 정지되는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지 기간에 후속하는 기간으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무선 단말기로서,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기지국으로 무선 신호를 비동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비동기로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장치 사이의 동기 무선 통신이 정지되는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지 기간에 후속하는 기간으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
  8. 무선 기지국으로서,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비동기로 송신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비동기로 송신된 상기 무선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장치 사이의 동기 무선 통신이 정지되는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지 기간에 후속하는 기간으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9. 제어 장치로서,
    제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비동기로 송신된 무선 신호에 의해 간섭되는 제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개의 장치 사이의 동기 무선 통신이 정지되는 정지 기간에 관한 제1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정지 기간에 후속하는 기간으로의 상기 무선 신호의 오버플로우를 억제하도록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가 상기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송신 완료되는 경우에는 송신을 행하는 단계; 및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가 상기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송신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 데이터를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정지 기간의 종료 타이밍까지 송신이 완료될 분만큼을 상기 정지 기간에 송신하고,
    나머지는 다음 이후의 정지 기간에 있어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67004610A 2013-08-23 2013-08-23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KR101778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5003 WO2015025344A1 (ja) 2013-08-23 2013-08-23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基地局および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595A KR20160035595A (ko) 2016-03-31
KR101778903B1 true KR101778903B1 (ko) 2017-09-14

Family

ID=5248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10A KR101778903B1 (ko) 2013-08-23 2013-08-23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50461A1 (ko)
EP (1) EP3038399A4 (ko)
JP (1) JP6319312B2 (ko)
KR (1) KR101778903B1 (ko)
CN (1) CN105474680A (ko)
WO (1) WO2015025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4857B2 (ja) * 2015-03-27 2019-08-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9801197B2 (en) * 2015-05-07 2017-10-24 Qualcomm Incorporated Mitigation of interference between co-located radio access technologies
US20190013926A1 (en) * 2016-02-24 2019-0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Time synchronous slave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2520883B1 (ko) * 2016-07-26 2023-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 장치 및 방법
JP7143240B2 (ja) * 2019-03-26 2022-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400386A1 (en) * 2019-11-19 2022-12-15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203A (ja) * 2009-07-10 2011-01-27 Ntt Docomo Inc 無線局、送信局及び周波数帯共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9609B2 (en) * 2003-07-31 2006-07-1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94774B2 (en) * 2007-08-02 2011-02-22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JP2009049522A (ja) * 2007-08-14 2009-03-05 Canon Inc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CA2700119C (en) * 2007-12-13 2014-03-18 Joji Ido Trai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y device
US8270342B2 (en) * 2009-06-24 2012-09-18 Intel Corporation Avoiding beacon conflicts in multi-radio platforms
JP5449010B2 (ja) * 2010-04-28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信号送信端末、映像信号受信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9246603B2 (en) * 2010-08-12 2016-01-26 Mediatek Inc. Method of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ellular, bluetooth, WiFi, and satellite systems coexistence
TWI524799B (zh) * 2010-10-12 2016-03-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電視閒置頻段頻道選擇及網路配置以服務為基礎之方法
US10123345B2 (en) * 2010-12-22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JP2012147305A (ja) * 2011-01-13 2012-08-02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8867501B2 (en) * 2011-06-23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JP6007480B2 (ja) * 2011-09-16 2016-10-1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EP2809097A4 (en) * 2012-01-24 2015-12-16 Fujitsu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201345278A (zh) * 2012-01-26 2013-11-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Lte共存動態參數調整
US9049708B2 (en) * 2012-02-03 2015-06-0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amo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operating in the same spectr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203A (ja) * 2009-07-10 2011-01-27 Ntt Docomo Inc 無線局、送信局及び周波数帯共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5344A1 (ja) 2015-02-26
US20160150461A1 (en) 2016-05-26
EP3038399A4 (en) 2016-08-24
EP3038399A1 (en) 2016-06-29
KR20160035595A (ko) 2016-03-31
CN105474680A (zh) 2016-04-06
JP6319312B2 (ja) 2018-05-09
JPWO2015025344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903B1 (ko) 무선 통신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기, 무선 기지국 및 제어 장치
EP3094124B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0834758B2 (en) Media access control for license-assisted access
EP2823665B1 (en) Improving efficiency in wireless network
US954932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a flexible time sharing scheme on an unlicensed band of a system
WO2020162804A1 (en) User equipment initiated channel occupancy time (cot) sharing between multiple user equipments
WO2016161710A1 (zh) 信道占用概率的调整方法、调整系统和设备
US106023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to a limited access spectrum
CN107005999B (zh) 用于时域帧结构的动态优化的方法和系统
US11166313B2 (en) Technique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in a transmit opportunity interval
US20170273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ct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60359593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or Acquiring Radio Resources
US201802888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empting transmission resources on unlicensed carriers
JP2011120004A (ja) 送受信装置、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2082313A2 (en) Dynamic bandwidth control in interference situations
US2016035328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11140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ata transmission
WO202301041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ulti-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configured grant
WO2017035716A1 (zh) 一种频谱共享的方法及装置
US20170013646A1 (e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