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885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885B1
KR101778885B1 KR1020160068088A KR20160068088A KR101778885B1 KR 101778885 B1 KR101778885 B1 KR 101778885B1 KR 1020160068088 A KR1020160068088 A KR 1020160068088A KR 20160068088 A KR20160068088 A KR 20160068088A KR 101778885 B1 KR101778885 B1 KR 10177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lens
light
shaft
screw member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491A (ko
Inventor
히로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6014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21S41/295Attachment thereof specially adapted to 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3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 F21S41/334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 F21S41/336Multi-surface reflectors, e.g. reflectors with facets or reflectors with portions of different curvature the reflector consisting of patch like sectors with discontinuity at the junction between adjacent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21S48/1104
    • F21S48/12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S45/48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with mean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s, e.g. with f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 F21W2101/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3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영 렌즈와 그 광축 조정을 행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면서도, 조명 장치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투영 렌즈부(5)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킨다. 지지 부재(6)는 투영 렌즈부(5)를 지지한다. 좌축부(54)는, 투영 렌즈부(5)에 설치되고,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A1)을 갖고 있다. 좌축 유지부(62)는, 지지 부재(6)에 설치되고, 투영 렌즈부(5)의 축선(A1)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허용하도록 좌축부(54)를 유지한다. 나사 부재(8)는, 광축(A2)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변환 기구(9)는, 나사 부재(8)가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좌축부(54)가 축선(A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한다.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는,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축부(54) 및 축유지부(62)보다 광축(A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조명 장치의 일례로서, 하우징과 투광 커버에 의해 구획된 등실 내에 광원과 투영 렌즈가 수용된 안개등이 알려져 있다.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영 렌즈를 통과함으로써 소정의 배광 제어를 받아, 차량 전방에 소정의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2014/012878 A1호 명세서
등실 내에 투영 렌즈를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 제품 조립시의 오차나 차량에 대한 장착 정밀도의 변동에 기인하여, 투영 렌즈의 광축의 기준 위치에 소정의 사양으로부터의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원하는 배광 패턴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오차를 해소하기 위한 조정 기구를 설치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한편, 이러한 조명 장치에 대하여, 투영 렌즈의 광축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소위 두께 치수)를 작게 하고자 하는 요청이 강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투영 렌즈와 그 광축 조정을 행하는 조정 기구를 구비하면서도, 조명 장치의 두께 치수를 작게 하는(박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취할 수 있는 일양태는, 차량에 탑재되는 조명 장치로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투영 렌즈를 갖는 투영 렌즈부와,
상기 투영 렌즈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와 상기 지지 부재 중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투영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갖고 있는 축부와,
상기 투영 렌즈부와 상기 지지 부재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투영 렌즈부의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축부를 유지하고 있는 축유지부와,
상기 광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나사 부재와,
상기 나사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상기 축부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재와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 및 상기 축유지부보다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나사 부재의 회전축이, 투영 렌즈의 광축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 부재의 회전축이 투영 렌즈의 광축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과 비교하여, 투영 렌즈의 광축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조명 장치의 치수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와 변환 기구는, 투영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축부와 축유지부보다 그 광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나사 부재와 변환 기구가 투영 렌즈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구성 요소와 오버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조명 장치의 치수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 중 한쪽에 설치된 캠면과,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캠면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직선 운동을 상기 축부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캠팔로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캠기구의 작용점을, 광축을 따르는 방향에 관해 투영 렌즈부의 회동 중심에 근접하게 하기 쉽다. 그 때문에, 움직임의 변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축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조명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기구의 구성에 따라, 나사 부재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의 선택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투영 렌즈의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조명 장치의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축부와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영 렌즈의 광축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 상대적으로 레이아웃 자유도가 높아지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한다.
투광부를 통과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 장치의 주위에서의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에 급전하기 위한 커넥터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 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다.
투광부를 통과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 장치의 주위에서의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투영 렌즈의 광축의 기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 부재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조명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등실과 연통하고 있는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부를 통과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조명 장치의 주위에서의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등실과 연통하는 통기부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 장치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안개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개등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개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개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개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개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안개등이 구비하는 투영 렌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안개등이 구비하는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안개등이 구비하는 전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안개등이 구비하는 변환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안개등이 구비하는 변환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예에 관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하게 변경하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 이용하는 「우측」 및 「좌측」은 운전석에서 본 좌우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일실시형태에 따른 안개등(1)(조명 장치의 일례)을 좌측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안개등(1)을 좌측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안개등(1)은, 히트 싱크(2)와 커버 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 하우징(3)은 히트 싱크(2)에 장착되어 양자 사이에 등실(4)을 구획하고 있다. 커버 하우징(3)은 투광 커버부(31)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2)는, 배면에 복수의 방열판(21)을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방열판(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복수의 방열판(21)은 등실(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히트 싱크(2)는, 금속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커버 하우징(3)을 제거한 안개등(1)의 일부를 좌측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등실(4)에는 투영 렌즈부(5)가 수용되어 있다. 투영 렌즈부(5)는, 투영 렌즈(51)와 렌즈 홀더(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투영 렌즈(51)를 제거한 안개등(1)의 일부를 좌측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렌즈 홀더(52)를 제거한 안개등(1)의 일부를 좌측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등실(4)에는 지지 부재(6)가 수용되어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지지 부재(6)를 제거한 안개등(1)의 일부를 좌측 전방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등실(4)에는 광원 유닛(7)이 수용되어 있다. 광원 유닛(7)은, 지지 기판(71), 광원(72) 및 제1 커넥터(73)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기판(71)은 히트 싱크(2)에 고정되어 있다. 광원(72)과 제1 커넥터(73)는 지지 기판(71)의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기판(71)에는 회로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72)과 제1 커넥터(7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원(72)은 복수개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의 예로는,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다이오드, 유기 EL 소자 등을 들 수 있다. 발광 소자의 수는 사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진다. 또한, 광원(72)으로서 램프 광원(방전등이나 할로겐 벌브 등)을 이용해도 좋다.
광원 유닛(7)은, 제어부(74)와 제2 커넥터(75)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74)는, 광원(72)의 점소등 등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커넥터(75)는 그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74)는 히트 싱크(2)에 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는, 광원 유닛(7)의 지지 기판(71)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는 렌즈 홀더(52)를 지지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52)는 투영 렌즈(51)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6)는 투영 렌즈부(5)를 지지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홀더(52)는 한쌍의 리플렉터(52a)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리플렉터(52a)는, 광원 유닛(7)의 광원(7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영 렌즈(51)를 향해 반사하는 형상 및 배치로 되어 있다. 각 리플렉터(52a)에 의해 반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는 투영 렌즈(51)를 통과한다. 투영 렌즈(51)를 통과한 광은, 커버 하우징(3)의 투광 커버부(31)를 통과하여 안개등(1)의 전방을 조명한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서, 투영 렌즈부(5)가 지지 부재(6)에 지지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투영 렌즈부(5)를 좌측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지지 부재(6)를 우측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 렌즈(51)는 렌즈 홀더(52)의 전방부에 고정된다. 즉, 투영 렌즈(51)와 렌즈 홀더(52)의 상대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투영 렌즈부(5)는, 우축부(53)와 좌축부(54)를 구비하고 있다. 우축부(53)는 렌즈 홀더(52)의 우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축부(53)는, 반구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고, 구면이 우측을 향하고 있다. 좌축부(54)는 렌즈 홀더(52)의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좌축부(54)는, 반구형상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고, 구면이 좌측을 향하고 있다. 우축부(53)와 좌축부(54)의 중심끼리 연결하는 축선(A1)은,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우축부(53)와 좌축부(54)는,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는,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는 지지 부재(6)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우축 유지부(61)는, 둘레벽(61a), 한쌍의 돌기(61b) 및 만곡 수용면(61c)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61a)은, 지지 부재(6)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반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반원호는 좌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61b)의 각각은, 둘레벽(61a)의 전단부로부터 반원호의 내측을 향해 오버행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61b)의 각각은 후방으로 어느 정도의 휨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만곡 수용면(61c)은, 둘레벽(61a)이 그리는 반원호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돌기(61b)와 대향하고 있다. 만곡 수용면(61c)은, 우축부(53)의 반구면을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좌축 유지부(62)는, 둘레벽(62a), 한쌍의 돌기(62b) 및 만곡 수용면(62c)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62a)은, 지지 부재(6)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반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반원호는 우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62b)의 각각은, 둘레벽(62a)의 전단부로부터 반원호의 내측을 향해 오버행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한쌍의 돌기(62b)의 각각은 후방으로 어느 정도의 휨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만곡 수용면(62c)은, 둘레벽(62a)이 그리는 반원호의 내측에 배치되고, 한쌍의 돌기(62b)와 대향하고 있다. 만곡 수용면(62c)은, 좌축부(54)의 반구면을 따르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렌즈 홀더(52)와 지지 부재(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다. 이 때, 우축부(53)와 좌축부(54)는, 각각 지지 부재(6)의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축부(53)가 우축 유지부(61)에 압박됨으로써, 우축부(53)가 한쌍의 돌기(61b)를 후방으로 변형시키면서, 둘레벽(61a)에 둘러싸인 영역에 진입한다. 우축부(53)의 반구면의 일부가 만곡 수용면(61c)에 접하면, 한쌍의 돌기(61b)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우축부(53)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우축부(53)는, 둘레벽(61a)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도 7에 도시된 축선(A1)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좌축부(54)가 좌축 유지부(62)에 압박됨으로써, 좌축부(54)가 한쌍의 돌기(62b)를 후방으로 변형시키면서, 둘레벽(62a)에 둘러싸인 영역에 진입한다. 좌축부(54)의 반구면의 일부가 만곡 수용면(62c)에 접하면, 한쌍의 돌기(62b)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좌축부(54)가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좌축부(54)는, 둘레벽(62a)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서, 도 7에 도시된 축선(A1)에 직교하는 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즉,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는, 회동축으로서의 축선(A1)을 중심으로 하는 투영 렌즈부(5)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우축부(53)와 좌축부(54)를 각각 유지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개등(1)은 나사 부재(8)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부재(8)는 헤드부(81)와 축부(82)를 구비하고 있다. 나사 부재(8)는, 축부(82)를 따라서 연장되는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A3)은,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헤드부(81)는, 커버 하우징(3)의 외측(등실(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부(81)는, 소정의 공구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부(82)는, 커버 하우징(3)을 관통하여 등실(4) 내에 연장되어 있다. 축부(82)의 외주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실(4)에는 변환 기구(9)가 수용되어 있다. 변환 기구(9)는, 나사 부재(8)가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움직임을, 투영 렌즈부(5)의 우축부(53)와 좌축부(54)가 축선(A1)(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환 기구(9)는, 전달 부재(91)와 캠팔로워(92)를 포함하고 있다.
도 9의 (A)는 전달 부재(91)를 우측 전방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전달 부재(91)를 좌측 후방 하측으로부터 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달 부재(91)는, 나사 수용 홈(91a), 제1 안내 홈(91b), 제2 안내 홈(91c) 및 캠면(91d)을 구비하고 있다.
나사 수용 홈(91a)은,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사 수용 홈(91a)의 내벽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수용 홈(91a)은, 그 나사 홈을 통해, 나사 부재(8)의 축부(82)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안내 홈(91b)은, 나사 수용 홈(91a)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안내 홈(91b)은,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안내 홈(91c)은, 제1 안내 홈(91b)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안내 홈(91c)은,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안내 홈(91b)과 제2 안내 홈(91c)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캠면(91d)은, 나사 수용 홈(91a)의 우측이자 제2 안내 홈(91c)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캠면(91d)은, 상경사부(91d1), 중간부(91d2) 및 하경사부(91d3)를 갖고 있다. 중간부(91d2)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91d2)는, 제2 안내 홈(91c)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경사부(91d1)는, 중간부(91d2)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경사부(91d3)는, 중간부(91d2)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경사부(91d1)는,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하경사부(91d3)는,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 렌즈부(5)는 아암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55)는, 렌즈 홀더(52)의 좌측부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캠팔로워(92)는 아암부(55)의 좌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캠팔로워(92)는 좌축부(54)보다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캠팔로워(92)는, 상돌기(92a)와 하돌기(92b)를 갖고 있다. 상돌기(92a)와 하돌기(92b)는, 아암부(55)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2)는,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은, 히트 싱크(2)의 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나사 부재(8)의 축부(82)가 나사 수용 홈(91a)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전달 부재(91)가 히트 싱크(2)에 장착된다. 이 때, 제1 가이드 레일(22)이 제1 안내 홈(91b)과 감합하고, 제2 가이드 레일(23)이 제2 안내 홈(91c)과 감합한다. 전달 부재(91)는,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 렌즈부(5)가 지지 부재(6)에 장착되면,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워(92)의 상돌기(92a)와 하돌기(92b)가, 전달 부재(91)의 캠면(91d)에서의 상경사부(91d1)와 하경사부(91d3)에 각각 접촉한다. 도 11의 (A)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8)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0의 (A)와 도 11의 (A)는, 변환 기구(9)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축부(53)와 좌축부(54)가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에 각각 유지됨으로써, 전달 부재(91)는, 아암부(55)를 통해 히트 싱크(2)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하측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나사 부재(8)가 회전되면, 축부(82)와 나사 수용 홈(91a)의 나사 결합 상태가 변화하고, 전달 부재(91)는,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을 따라서 상측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10의 (B)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워(92)의 상돌기(92a)는, 캠면(91d)에서의 상경사부(91d1)의 하단에 근접하고, 캠팔로워(92)의 하돌기(92b)는, 캠면(91d)에서의 하경사부(91d3)의 하단에 근접한다. 이에 따라, 렌즈 홀더(52)는, 좌측으로부터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이 상측으로 기울어진다.
하측으로부터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나사 부재(8)가 회전되면, 축부(82)와 나사 수용 홈(91a)의 나사 결합 상태가 변화하고, 전달 부재(91)는,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을 따라서 하측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10의 (C)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워(92)의 상돌기(92a)는, 캠면(91d)에서의 상경사부(91d1)의 상단에 근접하고, 캠팔로워(92)의 하돌기(92b)는, 캠면(91d)에서의 하경사부(91d3)의 상단에 근접한다. 이에 따라, 렌즈 홀더(52)는, 좌측으로부터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이 하측으로 기울어진다.
즉, 전달 부재(91)는, 나사 부재(8)와 나사 결합하고, 나사 부재(8)가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움직임을, 제1 가이드 레일(22)과 제2 가이드 레일(23)을 따르는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있다. 또한, 캠팔로워(92)는, 전달 부재(91)의 캠면(91d)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달 부재(91)의 직선 운동을, 우축부(53) 및 좌축부(54)가 축선(A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나사 부재(8)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의 상하 방향에 관한 기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투영 렌즈의 광축의 기준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를 갖는 조명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특히 박형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경우, 광축을 따르는 방향(소위 전후 방향)의 레이아웃 자유도에 대하여, 그 광축에 교차하는 방향(소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안개등(1)에 있어서는, 이러한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한 구성 요소의 배치를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부재(8)의 회전축(A3)이,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사 부재의 회전축이 투영 렌즈의 광축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과 비교하여, 투영 렌즈의 광축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안개등(1)의 치수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8)(보다 엄밀하게는 나사 부재(8)의 회전축(A3))와 변환 기구(9)(보다 엄밀하게는 캠면(91d)과 캠팔로워(92))는,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축부(54)와 좌축 유지부(62)보다 그 광축(A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광축(A2)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가 투영 렌즈부(5)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구성 요소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축(A2)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안개등(1)의 치수가 더욱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나사 부재(8)가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움직임을, 투영 렌즈부(5)의 우축부(53)와 좌축부(54)가 축선(A1)(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9)는, 전달 부재(91)와 캠팔로워(92)로 이루어진 캠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달 부재(91)는, 나사 부재(8)의 회전축(A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전달 부재(91)는 캠면(91d)을 갖고 있고, 캠팔로워(92)는 그 캠면(91d)을 슬라이딩함으로써, 전달 부재(91)의 직선 운동을 투영 렌즈부(5)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캠기구의 작용점을, 광축(A2)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투영 렌즈부(5)의 회동 중심(즉 회동축 A1)에 근접하게 하기 쉽다. 그 때문에, 움직임의 변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축(A2)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안개등(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캠기구의 구성에 따라, 나사 부재(8)의 회전축(A3)이 연장되는 방향의 선택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에 따라,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이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안개등(1)의 치수를 작게 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7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4)는,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를 사이에 두고 좌축부(54) 및 좌축 유지부(62)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는,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좌축부(54) 및 좌축 유지부(62)와, 제어부(7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억제하면서, 상대적으로 레이아웃 자유도가 높아지는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은, 투영 렌즈(51)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 커버부(31)를 갖고 있다. 또한, 커버 하우징(3)은, 제어부(7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32)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32)는, 커버 하우징(3)의 전면에 있어서, 투광 커버부(31)를 통하여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4)는 급전 단자(74a)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하우징(3)이 히트 싱크(2)에 장착됨으로써, 급전 단자(74a)는 커넥터(32) 내에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에 접속된 상대측 커넥터가 커넥터(32)에 접속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급전 단자(74a)를 통하여 제어부(74)의 광원 구동 회로에 제공된다.
투광 커버부(31)로부터 출사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커버 하우징(3)의 전면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74)에 급전하기 위한 커넥터(32)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개등(1)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3)를 갖고 있다. 돌출부(33)는, 투광 커버부(31)의 좌측이자 커넥터(32)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3)는, 커버 하우징(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나사 부재(8)는, 회전축(A3)이 돌출부(33)를 통과하도록 커버 하우징(3)에 유지되어 있다.
투광 커버부(31)로부터 출사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커버 하우징(3)의 전면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투영 렌즈(51)의 광축(A2)의 기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나사 부재(8)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개등(1)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3)은 통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부(34)는 돌출부(33)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기부(34)는, 커버 하우징(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기부(34)는, 커버 하우징(3)을 관통하여 등실(4)과 연통하고 있다. 통기부(34)에는, 도시하지 않은 필터 및 캡이 장착된다.
투광 커버부(31)로부터 출사된 광의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커버 하우징(3)의 전면측에는 어느 정도의 넓이의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등실(4)과 연통하는 통기부(34)가 이러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안개등(1)의 주변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다면 적절히 변경ㆍ개량될 수 있다. 또한, 등가물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분명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축부(53)와 좌축부(54)는 렌즈 홀더(52)에 설치된다. 그러나, 우축부(53)와 좌축부(54)는 투영 렌즈(5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영 렌즈(51)와 렌즈 홀더(52)는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다. 그러나, 투영 렌즈(51)와 렌즈 홀더(52)는, 투광성의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축부(53)와 좌축부(54)는 투영 렌즈부(5)에 설치되고, 우축 유지부(61)와 좌축 유지부(62)는 지지 부재(6)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과는 반대로, 지지 부재(6)에 우축부와 좌축부를 설치하고, 투영 렌즈부(5)에 우축 유지부와 좌축 유지부를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홀더(52)가 한쌍의 리플렉터(52a)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리플렉터(52a)의 수, 형상 및 배치는, 안개등(1)의 사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6)가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원(72)의 광출사면이 투영 렌즈(51)에 대향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원(72)과 투영 렌즈(51)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안개등(1)의 박형화에 기여한다. 그러나, 광학계의 레이아웃 자유도의 관점에서, 광원(72)의 광출사면의 방향은, 사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나사 부재(8)의 회전축(A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회전축(A3)의 방향은, 안개등(1)의 사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캠면(91d)이 전달 부재(91)에 설치되어 있고, 캠팔로워(92)가 투영 렌즈부(5)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과는 반대로, 투영 렌즈부(5)가 캠면을 구비하고, 전달 부재(91)가 캠팔로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영 렌즈부(5)와 지지 부재(6)는,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과는 반대로,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의 좌측에 투영 렌즈부(5)와 지지 부재(6)가 배치되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영 렌즈(51)의 광축(A2)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나사 부재(8)와 변환 기구(9)는, 우축부(53)와 우축 유지부(61)보다 광축(A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투광 커버부(31)와 동일한 측에 설치되어 있으면, 커넥터(32), 돌출부(33) 및 통기부(34)의 위치 관계는, 안개등(1)의 사양에 따라서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명 장치의 일례로서 안개등(1)을 예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우징과 투광 커버에 의해 구획되는 등실 내에 투영 렌즈를 구비하고, 그 투영 렌즈의 광축 조정을 필요로 하는 각종 조명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1: 안개등, 3: 커버 하우징, 31: 투광 커버부, 32: 커넥터, 33: 돌출부, 34: 통기부, 4: 등실, 5: 투영 렌즈부, 51: 투영 렌즈, 53: 우축부, 54: 좌축부, 6: 지지 부재, 61: 우축 유지부, 62: 좌축 유지부, 72: 광원, 74: 제어부, 8: 나사 부재, 9: 변환 기구, 91: 전달 부재, 91d: 캠면, 92: 캠팔로워, A1: 축선, A2: 광축, A3: 회전축

Claims (6)

  1. 차량에 탑재되는 조명 장치로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시키는 투영 렌즈를 갖는 투영 렌즈부와,
    상기 투영 렌즈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와 상기 지지 부재 중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투영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갖고 있는 축부와,
    상기 투영 렌즈부와 상기 지지 부재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투영 렌즈부의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축부를 유지하고 있는 축유지부와,
    상기 광축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나사 부재와,
    상기 나사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상기 축부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부재와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축부 및 상기 축유지부보다 상기 광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나사 부재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나사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달 부재와,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 중 한쪽에 설치된 캠면과,
    상기 전달 부재와 상기 투영 렌즈부 중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캠면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직선 운동을 상기 축부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캠팔로워
    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기구는 상기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축부와 상기 제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고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 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것인 조명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상기 투영 렌즈부, 상기 지지 부재, 상기 축부, 상기 축유지부, 상기 변환 기구 및 상기 나사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등실의 일부를 구획하고, 상기 투영 렌즈를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부를 갖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가 설치된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등실과 연통하고 있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60068088A 2015-06-10 2016-06-01 조명 장치 KR10177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17728 2015-06-10
JP2015117728A JP2017004768A (ja) 2015-06-10 2015-06-10 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91A KR20160145491A (ko) 2016-12-20
KR101778885B1 true KR101778885B1 (ko) 2017-09-14

Family

ID=5751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088A KR101778885B1 (ko) 2015-06-10 2016-06-0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59177B2 (ko)
JP (1) JP2017004768A (ko)
KR (1) KR1017788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5535A4 (en) * 2014-04-24 2018-03-07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11187394B2 (en) * 2019-11-08 2021-11-30 Sl Corporation Lamp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860B2 (ja) 2003-09-26 2009-02-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のエイミ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6701B2 (ja) * 2011-02-03 2015-04-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FR2993632B1 (fr) 2012-07-19 2018-07-13 Valeo Vision Belgique Dispositif d'emission d'un faisceau lumineux et projecteur,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ledit dispositif
JP5925906B2 (ja) 2013-02-20 2016-05-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携帯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9631B2 (ja) * 2013-09-26 2017-07-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860B2 (ja) 2003-09-26 2009-02-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ランプのエイミ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91A (ko) 2016-12-20
US10359177B2 (en) 2019-07-23
JP2017004768A (ja) 2017-01-05
US20160363282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3702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9528676B2 (en) Vehicular lamp
US9481291B2 (en) Vehicle lamp
JP6948430B2 (ja) 照明装置
JP5042093B2 (ja) 車両用前照灯
US9989210B1 (en) Modularized headlight
EP3135535A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2007324042A (ja) 車輌用灯具
KR10190460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10458615B2 (en) Vehicle lamp
JP2013164937A (ja) 車両用灯具
KR101778885B1 (ko) 조명 장치
US20150117043A1 (en) Vehicular lamp unit
JP5708987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9528675B2 (en) Automotive lamp
JP6503775B2 (ja) 車両用灯具
US10738956B2 (en) Lighting device
JP2014175102A (ja) 車両用灯具
WO2022264892A1 (ja) 車両用灯具
JP2015209001A (ja) 車両用照明装置
JP6435908B2 (ja) 車両用灯具
JP6094376B2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