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686B1 -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86B1
KR101778686B1 KR1020150131646A KR20150131646A KR101778686B1 KR 101778686 B1 KR101778686 B1 KR 101778686B1 KR 1020150131646 A KR1020150131646 A KR 1020150131646A KR 20150131646 A KR20150131646 A KR 20150131646A KR 101778686 B1 KR101778686 B1 KR 10177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layer
release
releasing
sus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949A (ko
Inventor
김장일
김이슬
이윤일
진귀해
황용섭
김형구
이환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15013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4Solid, semi-solid or solidifying implants, which are implanted or injected in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방형, 속방형 또는 서방형 및 속방형 약물방출이 가능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약물 방출 기간이 조절 가능한 생체 이식용 이식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ACELLULAR DERMAL MATRIX FUNCTIONALIZED WITH DRUG RELEAS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서방형, 속방형 또는 서방형 및 속방형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인체의 필요부위 혹은 특정 질환 부위에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약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리작용을 극대화하도록 약물의 제형 또는 약물의 전달 방식을 설계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DDS는 서방형 방출(sustained release, SR) 시스템, 속방형 방출(immediate release, IR) 시스템, 제어방출(controlled release, CR) 시스템, 표적지향적(targeted) DDS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SR 시스템은 생체 내 이용률이 낮거나, 약물의 흡수가 너무 느리거나, 약물의 체외 소실율이 높은 경우, 약물의 방출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설계된 제형이다. IR 시스템은 SR 시스템에 비해 약물 방출의 지속성은 상대적으로 짧지만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속도를 빠르게 하여 생체 내 이용률을 높임으로써, 단기간에 높은 약물 효율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 설계된 제형이다.
한편, 피부 대체재는 사람 유래의 동종진피, 동물 유래의 이종진피, 그리고 합성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 동종 진피 유래 피부 대체재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나 이식 후에 면역 거부반응 또는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최적의 피부 대체재로 평가받고 있다. 시트 형태의 동종진피는 화상 및 교통사고 등과 같은 사고 및 다양한 외과 수술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무세포 동종진피는 외과 수술 후에 발생하는 조직 간 유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술 부위에 유착방지의 목적을 갖는 이식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세포 동종진피는 이식 후 몇 주 동안은 조직 간 유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이식 상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체내 콜라겐 분해효소의 영향으로 서서히 분해되는 체내 흡수과정이 일어나는 동시에, 환자 기원의 세포들이 무세포 동종진피 내부로 침투하여 콜라겐 생성 및 신생혈관 생성을 돕는다. 그 결과, 이식된 무세포 동종진피는 위의 두 가지 과정을 모두 거치며 환자 피부의 일부분으로 전환된다.
이식 또는 삽입형 약물방출에 관한 대표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6750호는 약물 방출형 스텐트용 코팅제 및 그에 관한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식용 무세포 동종진피는 최적의 피부 대체재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피부대체재로서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을 뿐 약물방출 스텐트의 경우처럼 약물전달, 유착방지 혹은 종양의 외과적 수술 후 국소부위에 대한 지속적인 항암제 전달 등과 같은 DDS 개념의 기능들을 탑재한 진보된 기술들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67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층; 및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약물방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공한다.
용어 "무세포 진피"란, 피부 조직에서 분리된 진피층에 화학적 처리를 하여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들을 제거한 진피층을 의미하며,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방출 대상 약물은 수용성 또는 지용성 약물일 수 있으며, 치료하고자 하는 상태, 추구하는 약물 및 특정 환자의 증상에 따라 많은 상이한 종류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수용성 약물의 경우 메트포르민 염산염, 반코마이신 염산염, 캅토프릴, 리시노프릴, 에리트로마이신 락토비오네이트, 라니티딘 염산염, 세르트랄린 염산염, 티클로피딘 염산염, 바클로펜, 아목시실린, 세푸록심 악세틸, 세파클로르, 클린다마이신, 레보도파, 독시플루리딘, 트라마돌, 플루옥세틴 염산염, 부프로피온, 염화칼륨 및 암피실린의 에스테르일 수 있으며, 지용성 약물의 경우 사귀나비르, 리토나비르, 넬피나비르, 티암페니콜, 시프로플록사신 염산염, 탄산칼슘, 클라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세프타지딤, 아시클로비르, 간시클로비르, 시클로스포린, 디곡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캠토테신, 이리노테칸, 실리비닌, 메토트렉세이트, 철 염, 토피라메이트, 케토코나졸 및 술포닐우레아, 예컨대 글리메피리드, 글리부리드 및 글리피지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물방출층은 서방형 약물방출층; 속방형 약물방출층; 또는 서방형 약물방출층과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모두 포함하는 이중 약물방출층일 수 있다.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증이란,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는 층을 의미하며,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서방형 약물방출증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증이란, 약물이 빠르게 방출되는 층을 의미하며,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속방형 약물방출증의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은 셀룰로스 계열의 화합물, 반투성 폴리아미드, 반투성 폴리우레탄, 반투과성 설폰화 폴리스티렌 등의 반투과성 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물질로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비가소화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아가 아세테이트, 아밀로즈 트리아세테이트, 베타 글루칸 아세테이트, 베타 글루칸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디메틸 아미노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설포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 설포네이트, 셀룰로오스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메틸) 에테르 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옥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라우레이트, 메틸 셀룰로오스, 로커스트 콩고무의 트리아세테이트, 아세틸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실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합체성 에폭사이드, 알킬렌 옥사이드-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폴리글롤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은 상기 물질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고분자 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록사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용해제는 막형성용 고분자 물질을 녹이는 용매로써, 테트라히드로푸란, 물, 알콜, 아세톤, 염화메틸렌,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 폴록사머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은 소수성 고분자로서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유기용매에 대해 용해도가 높으며, 용액 상태에서 지용성 약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단일 용액으로의 제조가 용이하다. 휘발성이 높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지용성 약물이 용해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고분자 용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고분자 용액을 무세포 진피 표면에 유기용매를 휘발시키면서 코팅할 수 있다. 코팅된 고분자 층 내에는 지용성 약물이 함입된다. 지용성 약물이 생체 내에서 방출되는 속도는 폴리우레탄 고분자 용액의 초기 농도, 탑재되는 약물의 초기 농도, pH, 체온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하므로, 이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를 폴리우레탄 고분자 용액 내 혼합할 수 있다. 일정 농도(약 20 중량% 이상)의 폴록사머는 체온 근처에서 겔화(sol-to-gel)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겔화 특성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고분자 용액 내에 혼합되어 있는 폴록사머는 약물의 방출 경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고분자 용해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2.4 내지 3.6중량%,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고분자 용해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4 내지 1.6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약물방출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은 비닐 고분자 수지, 생침식성 중합체 및 무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나노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물질로는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염화비닐수지, 아세트산비닐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비닐 고분자 수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활석, 이산화티탄, 마그네슘염, 칼슘염 및 알루미늄염, 락토스, 포비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오르토에스테르) 및 폴리안히드리드와 같은 생침식성 중합체 및 무수 공중합체, 폴리옥시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N,N-디에틸아민 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나노입자는 속방형 약물이 포함된 나노입자일 수 있으며,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는 지용성 약물을 나노입자 상태로 포획시킬 수 있는 고분자로, 단일 유제(single emulsion) 혹은 이중 유제(double emulsion)를 이용한 침전방식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와 지용성 약물을 디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0.2~1.0 %(w/v)의 폴리비닐알코올이 함유된 수용액에 유기용매 혼합액을 첨가한 후 초음파 처리(sonication) 또는 균질화(homogenization)하여 유제를 만든다. 유제를 상온에서 교반하여 미반응물들을 침전시킨다. 지용성 약물을 함유한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 나노입자는 정제과정을 거쳐 액상 또는 분말상태로 수득할 수 있으며,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혼합한 후 무세포 진피 표면에 고분자 층으로써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은 상기 물질에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록사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록사머 및 물을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물을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은 친수성 약물을 함입할 수 있는 친수성 고분자로, 일정 농도의 수용액 상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양친매성 및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록사머와 혼합하여 혼합 고분자 수용액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 고분자 수용액은 친수성 약물을 탑재하여 무세포 진피 표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된 고분자 층은 수분을 제거한 후 무세포 진피 표면에 고분자 층으로써 코팅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8중량%,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 내지 3.9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약물방출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또다른 양태로, 상기 물질은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약물방출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약물방출층은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방출층; 및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및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중 약물방출층은 두 개 이상의 방출 대상 약물을 서방형 또는 속방형으로 동시에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 또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억제층(retarding layer)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억제층(retarding layer)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옥시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억제층은 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억제층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증을 수득하는 단계;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약물방출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무세포 진피는 인체 유래 동종 진피 또는 동물 유래 이종 진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은
i) 피부 조직에서 표피층을 제거하는 단계;
ⅱ) 상기 표피층이 제거된 피부조직에서 진피층의 세포를 제거하여 무세포 진피를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무세포 진피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무세포 진피를 준비하는 과정은 동종 진피조직의 경우 다음과 같다.
피부 조직은 신체에서 분리하여 운반 시, 저산소증에 의한 조직손상, 자가분해효소에 의한 분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세포외간질의 손상 등의 위험이 있으며, 운반 시 사용하는 용액의 삼투압에 따라 물리적인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에 의한 오염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운반 시 사용하는 용액에는 저산소증에 의한 분해, 자가분해효소에 의한 분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를 막을 수 있는 물질을 첨가하여야 하고, 미생물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항생제와 항균제를 첨가하여야 하며, 삼투압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적절한 완충용액이 포함되어야 한다. 조직 운반용액의 삼투압은 혈장의 삼투압과 유사한 260~320 mOsm/kg여야 한다. 동물세포 배양 등에 많이 이용되는 상업적인 배지의 경우 삼투압이 260~320 mOsm/kg 정도로 혈장의 삼투압과 유사하므로, 상업적인 배지를 기본용액으로 이용하고 위에 서술한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세균이나 곰팡이의 오염을 막기 위해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가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바시트라신, 젠타마이신, 반코마이신 등과 같은 항생제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첨가하며, 암포테리신-비, 니스타틴, 폴리믹신 등과 같은 항균제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첨가한다.
분해효소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막기 위해 엔-에틸말레이미드(NEM), 불화페닐메틸술포닐(PMSF),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에틸렌글리콜-비스(2-아미노에틸르)-N,N,N',N'-테트라아세트산(EGTA)와 같은 킬레이트화 물질, 루펩틴, 아포프로티닌 등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 등을 이용하며, 효소 활성이 낮아지는 4℃ 정도의 저온 상태에서 운반한다. 다만, 운반용액이 얼 정도로 낮은 온도에서 조직을 운반하면 얼음결정이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운반용액이 어는 온도는 피한다.
무세포 진피 조직을 수득하는 과정은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는 상기와 같이 운반하여 준비한 조직으로부터 표피층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표피층과 진피층을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 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며,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농도가 낮거나 처리시간이 너무 짧으면 분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농도가 높거나 처리시간이 너무 길면 세포나 조직에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 시 이용되는 효소로는 중성 단백질 분해효소인 디스파아제, 터몰리신, 트립신 등이 있다. 1.0 units/㎖ 농도의 디스파아제를 37℃에서 60∼120 분 간 처리하거나 200㎍/㎖ 농도의 터몰리신을 37℃에서 30분 간 처리하면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할 수 있다. 터몰리신을 이용하면 디스파아제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기저막의 손상 위험이 낮아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용액의 이온강도를 변화시켜 조직의 두 층을 분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1몰 이상의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37℃에서 14∼32시간 동안 처리하면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할 수 있다. 1몰 이상의 염화나트룸 용액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증식할 수 없기 때문에 미생물의 오염위험을 낮출 수 있다. 또는 20 mM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용액으로 37℃에서 14∼32시간 동안 처리하여도 역시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할 수 있다. EDTA를 이용하면 EDTA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1몰의 염화나트륨용액에 1∼5 mM의 EDTA를 첨가하여 처리하면 미생물의 오염이나 효소에 의한 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며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표피층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진피층과 분리시켜 제거하였다.
2단계는 진피층의 세포를 제거하는 것이다. 면역반응은 주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단백질에 의해 야기되므로 세포를 제거하면 면역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포와 세포외간질과의 물리, 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하여 조직의 손상 없이 세포만 선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세포막의 주성분은 인지질이므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면 조직의 손상 없이 세포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는 초음파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는 소듐도데실설페이트(SDS)와 같은 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트리톤엑스-100, 트윈20, 트윈40, 트윈60, 트윈80, 노니데트피-10(NP-10), 노니데트피-40(NP-40)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이용된다. 진피층을 실온에서 0.2∼1% 농도의 SDS 용액으로 실온에서 30∼120분 간 처리하거나, 0.1∼2.0% 농도의 트윈 20 용액으로 실온에서 30∼180분 간 처리하면 조직의 손상 없이 세포를 제거할 수 있으며, 또는 0.2∼2% 농도의 트리톤엑스-100 또는 노니데트피-40 용액으로 22-37℃에서 30∼180분 간 처리하면 역시 조직의 손상 없이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위의 화학적인 방법 외에 물리적인 방법으로도 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데, 진피층에 50∼60분간 10∼100 ㎑의 초음파를 처리하면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계면활성제와 초음파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역시 조직의 손상 없이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피층의 세포는 계면활성제를 처리하여 제거하였다.
상기 방출 대상 약물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약물방출층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약물방출층은 서방형 약물방출층; 속방형 약물방출층; 또는 서방형 약물방출층과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모두 포함하는 이중 약물방출층일 수 있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서방형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속방형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속방형/서방형의 이중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 또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억제층(retarding layer)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무세포 진피 표면에 고분자 층을 코팅함으로써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를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서방형 약물방출능, 속방형 약물방출능,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능 또는 속방형/서방형의 이중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를 제조할 수 있다(도 7).
구체적으로,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경우, 무세포 진피 표면에 서방형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방출 고분자 층을 1차 코팅한 후, 서방형 약물 고분자 층 표면에 속방형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방출 고분자 층을 2차 코팅함으로써 무세포 진피 표면에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층을 제조할 수 있다(도 7 (C)). 이와 같이 제조된 이중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는 이식 시 사용될 수 있으며, 체내 환경에서 각 약물방출층이 포함하고 있는 약물들을 각 약물의 특성에 적합한 방식(서방형 또는 속방형)으로 일정 기간 동안 이식부위에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서방형, 속방형 또는 서방형 및 속방형 약물방출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라 약물 방출 기간이 조절 가능한 생체 이식용 이식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1) 동결건조 후 사진과 (2) H&E(hematocylin & eosin) 염색 사진이다.
도 2는 서방형 약물 모델(쿠마린6)의 농도에 따른 표준 곡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방형 약물 방출 기능을 탑재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로부터 측정된 서방형 약물(쿠마린6)의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을 (1) 누적률과 (2) 단위시간당 방출량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속방형 약물(로다민B)의 농도에 따른 표준 곡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속방형 약물 방출 기능을 탑재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로부터 측정된 속방형 약물(로다민B)의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 거동을 (1) 누적률과 (2) 단위시간당 방출량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로다민6G를 탑재한 PLGA 나노입자의 (1) 평균 직경 및 (2) 표면 전하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모식도이다.
도 8은 억제층이 추가된 이중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로다민6G의 농도에 따른 표준 곡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0은 이중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로부터 방출된 속방형 및 서방형 약물들의 누적률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무세포 진피 제조
조직은행으로부터 비영리 목적의 환자의 치료를 위해 기증받은 시신으로부터 채취한 피부조직을 중성 단백질 분해효소인 디스파아제(dispase) 1.0 units/㎖를 처리하고, 교반 배양기에서 37℃의 온도로 60분 동안 교반 후 멸균증류수로 3회 세척하여 진피층과 표피층을 분리하고 표피층을 제거하였다. 표피층을 제거한 조직을 1% 농도의 트리톤엑스-100(TritonX-100) 용액으로 30℃에서 100분 간 처리하여 진피층의 세포를 제거하였다. 제조한 무세포 동종진피는 멸균 증류수로 3회 이상 세척하여 잔류용매를 제거하고 -40℃의 온도에서 2시간 이상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12 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도 1).
< 실시예 2> 서방형(Sustained Release) 약물방출 층용 고분자 용액 제조
실시예 1의 무세포 진피 위에 코팅할 서방형 약물방출 층을 제조하기 위해, PU(폴리우레탄, polyurethane, Sigma-Aldrich)과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PF-127(폴록사머, Poloxamer 407, BASF)를 THF(테트라히드로푸란, tetrahydrofuran)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4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후, 표 1에 따른 부피%로 혼합하여 9가지 혼합 비율의 약물방출 층용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Formulation No. 4wt% PU 4wt% PF-127 4wt% PU에 대한 4wt% PF-127의 혼합 비율
ml ml 부피%
#1 3 0 0
#2 2.7 0.3 10
#3 2.4 0.6 20
#4 2.1 0.9 30
#5 1.8 1.2 40
#6 1.5 1.5 50
#7 1.2 1.8 60
#8 0.9 2.1 70
#9 0.6 2.4 80
< 실시예 3> 서방형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제조
실시예 2의 9가지 비율별 고분자 용액에 서방형 약물인 쿠마린6(coumarin6, C6) 8mg/mL을 용해시켰다. 실시예 1의 무세포 진피를 1ⅹ1 cm2(가로ⅹ세로 cm2)이 되도록 절단하고, 절단된 무세포 진피 위에 쿠마린6가 포함된 고분자 용액 0.4 mL을 직사광선을 피해 코팅하여(PU/C6), 서방형 약물방출 기능이 탑재된 무세포 진피 이식체를 제조하였다(도 7 (A)).
< 실시예 4> 서방형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에 대한 체외(in vitro) 약물방출거동 평가
실시예 3의 서방형 약물방출 기능이 탑재된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체외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0.3% 트윈80(tween80)이 첨가된 PBS(인산완충식염수, Phosphate buffer saline)(pH 7.4)을 준비하고 유리시험관(glass test tube)에 0.3% 트윈80이 첨가된 PBS 2mL을 분주하여 넣은 후 37℃에서 10분 간 예열하였다. 실시예 3의 서방형 약물방출 층이 코팅된 각각의 무세포 진피 시료들을 유리시험관에 넣고(n=5) 37℃, 50rpm 조건에서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였다. 유리시험관 내 PBS로 방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은 쿠마린6의 표준 곡선(standard curve)에 따라 환산하여 정량하였다.
쿠마린6의 표준 곡선을 측정하기 위해, 위와 동일한 PBS에 쿠마린6를 2mg/mL의 농도로 첨가한 표준용액(standard solution)을 준비하고, 동일한 PBS로 희석하여 농도별 형광강도(fluorescence intensity)를 형광분석기(Fluorescence spectrometer, Varioskan Flash, Thermoscientific)로 측정하였다. 쿠마린6의 여기파장(excitation wavelength)은 470nm,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은 505nm였으며 표준 곡선의 신뢰도는 99.8%였다(도 2).
그 결과, 4wt% PU 용액에 4wt% PF-127 용액을 40% 이하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에서는 28일째부터 50% 이상의 쿠마린6 누적률을 나타내었으나, 4wt% PU 용액에 4wt% PF-127 용액을 50% 이상으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에서는 98일째까지 쿠마린6 누적률이 65%에 미치지 못하였다(도 3(1)). 또한, 4wt% PU 용액에 4wt% PF-127 용액을 40% 이하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7일째까지 단위시간당 쿠마린6 방출량이 급상승하였으나, 4wt% PU 용액에 4wt% PF-127 용액을 50% 이상으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이에 비하여 단위시간당 쿠마린6 방출량이 낮았으며, 98일째까지 일정한 쿠마린6 방출량을 나타내었다(도 3(2)). 따라서, PU 용액을 기준으로 PF-127의 혼합비율에 따라 서방형 방출능이 조절될 수 있음을 약물모델 방출실험으로부터 검증하였다.
< 실시예 5> 속방형(Immediate Release) 약물방출 층용 고분자 용액 제조
실시예 2의 무세포 진피 위에 코팅할 속방형 약물방출 층을 제조하기 위해, PVA(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 alcohol), Sigma-Aldrich)와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PF-127를 3차 증류수 전체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이후, 표 2에 따른 부피%로 혼합하여 4가지 혼합 비율의 약물방출 층용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Formulation No. 10wt% PVA 10wt% PF-127 10wt% PVA에 대한 10wt% PF-127의 혼합 비율
ml ml 부피%
#1 3 0 0
#2 2.7 0.3 10
#3 2.4 0.6 20
#4 2.1 0.9 30
< 실시예 6> 속방형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제조
실시예 5의 4가지 비율별 고분자 용액에 속방형 약물인 로다민B(Rhodamine B(RH-B)) 2.5mg/mL을 용해시켰다. 실시예 1의 무세포 진피를 1ⅹ1 cm2(가로ⅹ세로 cm2)이 되도록 절단하고, 절단된 무세포 진피 위에 로다민B가 포함된 고분자 용액 0.4 mL을 직사광선을 피해 코팅한 후(PVA/RH-B),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속방형 약물방출 기능이 탑재된 무세포 진피이식체를 제조하였다(도 7 (B)).
< 실시예 7> 속방형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를 이용한 체외(in vitro) 약물방출거동 평가
실시예 6의 속방형 약물방출 기능이 탑재된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체외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유리시험관에 PBS 2 mL을 분주하여 넣은 후 37℃에서 10분 간 예열하였다. 실시예 5의 속방형 약물방출 층이 코팅된 각각의 무세포 진피 시료들을 유리시험관에 넣고(n=5) 37℃, 50rpm 조건에서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였다. 유리시험관 내 PBS로 방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은 로다민B의 표준 곡선에 따라 환산하여 정량하였다.
로다민B의 표준 곡선를 측정하기 위해, 위와 동일한 PBS에 로다민B를 2mg/mL의 농도로 첨가한 표준용액을 준비하고, 동일한 PBS로 희석하여 농도별 형광강도를 형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로다민B의 여기파장은 552nm, 방출파장은 586nm였으며 표준 곡선의 신뢰도는 99.3%였다(도 4).
그 결과, 10wt% PVA를 70%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에서는 2시간째부터 50% 이상의 로다민B 누적률을 나타내었으나, 10wt% PVA를 90% 이상으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에서는 48시간째까지 로다민B 누적률이 70%에 미치지 못하였다(도 5(1)). 또한, 10wt% PVA를 70%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4시간까지 단위시간당 로다민B 방출량이 급상승하였으나, 10wt% PVA를 90% 이상으로 혼합한 고분자 용액을 코팅한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이에 비하여 단위시간당 로다민B 방출량이 낮았다(도 5(2)).따라서, 10wt% PVA를 기준으로 10wt% PF-127와의 혼합비율에 따라 속방형 방출능이 조절될 수 있음을 약물모델 방출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실시예 8> 양친매성 약물을 포함하는 PLGA(Poly(D,L- lactide -co-glycolide)) 나노입자의 제조
양친매성 약물을 포함하는 PLGA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MC(메틸렌 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5mL(대정화금, 한국)에 PLGA(Mw. 38~54 kDa, 락티드(lactide) : 글라이콜리드(glycolide) = 50 : 50, Sigma-Aldrich) 고분자를 2 %(w/v)가 되도록 용해시키고, 로다민6G(Rhodamine 6G, RH6G) 2mg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PVA 수용액 1중량% 30mL에 위에서 제조한 혼합액을 넣고 5분 간 초음파 처리하여 유제(emulsion)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제을 감압증류하여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탈이온화수(Deionized water) 수용액 상에 분산시켜 PLGA/로다민6G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크기 및 표면 전하상태는 동적광산란시스템(Dynamic light scattering system) 및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220nm, 다중분산지수(Poly Dispersive Index, PDI)는 0.151, 제타전위는 -2.03 mV였다. 나노입자 수득율(yield)은 85.53 ± 10.25%, 약물 탑재율(encapsulation efficiency)은 78.44 ± 14.03%였다(도 6).
< 실시예 9> 서방형/속방형 이중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제작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 층용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표 1의 #1 조성비에 따른 PU 용액에 쿠마린6(coumarin6, C6) 8mg/mL을 첨가하여 서방형 약물방출 층을 코팅할 수 있는 고분자 용액 A(PU/C6)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의 PLGA/로다민6G 나노입자를 2중량%의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carboxymethyl cellulose, Mw. ~700 kDa, Sigma-Aldrich) 수용액에 분산시켜 속방형 약물방출 층을 코팅할 수 있는 고분자 용액 B(CMC/PLAG@Rh-6G)를 제조하였다.
무세포 진피(1 ⅹ 1 cm2)의 한 면에, 고분자 용액 A를 코팅하고 그 위에 1차 억제층(retarding layer)으로 2중량%의 CMC 층을 코팅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1차 억제층 위에 고분자 용액 B를 코팅하고 그 위에 2차 억제층으로 2중량%의 CMC 층을 코팅하여 건조하여 그룹 I을 제조하였다. 비교군으로 2차 억제층을 제외하여 그룹 Ⅱ를 제조하고, 2차 억제층 및 속방형 약물방출 층을 제외하여 그룹 Ⅲ를 제조하였다(도 8).
< 실시예 10> 서방형/속방형 이중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체외(in vitro) 약물방출거동 평가
서방형/속방형의 이중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의 체외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0.3% 트윈80이 첨가된 PBS을 준비하고 유리시험관에 0.3% 트윈80이 첨가된 PBS 2mL을 분주하여 넣은 후 37℃에서 10분 간 예열하였다. 실시예 9의 그룹 I, Ⅱ 및 Ⅲ의 시료들을 유리시험관에 넣고(n=5) 37℃, 50rpm 조건에서 약물방출거동을 평가하였다. 유리시험관 내 PBS로 방출된 시간에 따른 약물 방출량은 쿠마린6 및 로다민6G의 표준 곡선에 따라 환산하여 정량하였다.
쿠마린6의 표준 곡선은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로다민6G의 표준 곡선을 측정하기 위해, 위와 동일한 PBS에 로다민6G를 2mg/mL의 농도로 첨가한 표준용액을 준비하고, 동일한 PBS로 희석하여 농도별 형광강도를 형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로다민6G의 여기파장은 542nm, 방출파장은 570nm였으며 표준 곡선의 신뢰도는 99.7%였다(도 9).
그 결과, 그룹 I의 무세포 진피 이식체는 7일째에 90% 이상의 로다민6G 누적률을 나타내었으며 7일째부터 98일째까지 일정한 수준으로 상승하는 쿠마린6 누적률을 나타내어, 속방성/서방성 약물에 각각 적합한 약물방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0).

Claims (22)

  1. 무세포 진피층; 및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방출층;을 포함하며,
    상기 약물방출층은 서방형 약물방출층; 속방형 약물방출층; 또는 서방형 약물방출층과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모두 포함하는 이중 약물방출층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대상 약물은 수용성 또는 지용성 약물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은 셀룰로스 계열의 화합물, 반투성 폴리아미드, 반투성 폴리우레탄, 반투과성 설폰화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셀룰로스 계열의 화합물은 비가소화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가소화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카바메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디메틸 아미노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에틸 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메틸 설포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 설포네이트, 셀룰로오스에테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옥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라우레이트, 아세틸화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를 갖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고분자 용해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록사머이고, 상기 고분자 용해제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물, 알콜, 아세톤, 염화메틸렌,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고분자 용해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2.4 내지 3.6중량%,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고분자 용해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4 내지 1.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은 비닐 고분자 수지, 생침식성 중합체 및 무수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나노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비닐 고분자 수지는 염화비닐수지, 아세트산비닐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생침식성 중합체 및 무수 공중합체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활석, 이산화티탄, 마그네슘염, 칼슘염 및 알루미늄염, 락토스, 포비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안히드리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나노입자는 폴리(D,L-락티드-코-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및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로 제조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은 온도감응성 고분자 및 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폴록사머인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8중량%,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는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 내지 3.9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약물방출층은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방출층; 및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및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위치하고,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약물방출층은 방출 대상 약물을 서방형 또는 속방형으로 동시에 방출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 또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억제층(retarding layer)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층(retarding layer)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15. 무세포 진피증을 수득하는 단계;
    방출 대상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방출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물방출층은 서방형 약물방출층; 속방형 약물방출층; 또는 서방형 약물방출층과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모두 포함하는 이중 약물방출층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진피는 인체 유래 동종 진피 또는 동물 유래 이종 진피인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은
    i) 피부 조직에서 표피층을 제거하는 단계;
    ⅱ) 상기 표피층이 제거된 피부조직에서 진피층의 세포를 제거하여 무세포 진피를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무세포 진피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에 속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서방형 약물방출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세포 진피층 상부, 서방형 약물방출층 상부 또는 속방형 약물방출층 상부에 억제층(retarding layer)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물방출능을 가지는 생체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의 제조방법.
KR1020150131646A 2015-09-17 2015-09-17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46A KR101778686B1 (ko) 2015-09-17 2015-09-17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646A KR101778686B1 (ko) 2015-09-17 2015-09-17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49A KR20170033949A (ko) 2017-03-28
KR101778686B1 true KR101778686B1 (ko) 2017-09-15

Family

ID=5849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46A KR101778686B1 (ko) 2015-09-17 2015-09-17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4295A (zh) * 2021-04-29 2021-07-23 武汉理工大学 基于细胞外基质材料制备的双层人工真皮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50B1 (ko) 2007-10-12 2009-09-14 (주) 태웅메디칼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제와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제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949A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ers et al. Chitosan hydrogels for sustained drug delivery
Hamedi et al. Chitosan based bioadhesiv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A review
US8354123B2 (en) Non-adhesive elastic gelatin matrices
Ruel-Gariepy et al. In situ-forming hydrogels—review of temperature-sensitive systems
López-Córdoba et al. A simple green route to obtain poly (vinyl alcohol) electrospun mats with improved water stability for use as potential carriers of drugs
US8735571B2 (en) Composition, preparation, and use of dense chitosan membrane materials
CN101810883B (zh) 高组织相容性、长效抗感染的生物衍生材料及制备和应用
CA2552677A1 (en) Controlled release cgrp delivery composition for cardiovascular and renal indications
US20230000802A1 (en) Thermoresponsive hydrogel containing polymer microparticl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CN104144692A (zh) 致密壳聚糖膜材料的组合物、制备及用途
Guadalupe et al. Bioactive polymeric nanofiber matrices for skin regeneration
US20220072206A1 (en) Drug Eluting Foams and the Production Thereof
Kaparekar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rysin–a plant polyphenol loaded alginate-chitosan composite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
Villalba-Rodriguez et al. Bio-inspired biomaterials and their drug delivery perspectives-A review
Ajmal et al. PLGA/Gelatin-based electrospun nanofiber scaffold encapsulat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molecules for accelerated tissue regeneration
Pelegrino et al. Chitosan-Based Nanomaterials for Skin Regeneration.
Tarawneh et al. Characterization of chlorhexidine-impregnated cellulose-based hydrogel films intended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Wei et al. Polypropylene composite hernia mesh with anti-adhesion layer composed of PVA hydrogel and liposomes drug delivery system
EP3434293A1 (en) Adhesion prevention material
Kanth et al. Recent advancements and perspective of ciprofloxacin-based antimicrobial polymers
KR101778686B1 (ko) 약물방출 기능성 무세포 진피 이식체 및 이의 제조방법
Tamara Perchyonok et al. Alternative chitosan based drug delivery system to fight oral mucositis: Synergy of conventional and bioactives towards the optimal solution
Olami et al. Novel soy protein blend scaffolds loaded with antibiotics: Drug release profile—bacterial inhibition effects
US20230303817A1 (en) Blended polyvinyl alcohol drug delivery systems
Arribada et al. The Use of Polymer Blends in the Treatment of Ocular Diseases. Pharmaceutics 2022, 14, 143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