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953B1 - 전력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953B1
KR101777953B1 KR1020160028997A KR20160028997A KR101777953B1 KR 101777953 B1 KR101777953 B1 KR 101777953B1 KR 1020160028997 A KR1020160028997 A KR 1020160028997A KR 20160028997 A KR20160028997 A KR 20160028997A KR 101777953 B1 KR101777953 B1 KR 10177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ibration
vibrating
permanent magn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창현
주선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는, 질량체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벽이 상기 질량체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으로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충격벽을 충격 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진동하며,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영구자석이 부착된 진동부가 공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발생 장치{POWER GENERATION DEVICE}
전력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력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최근 들어,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라는 전력 발생 방식을 통해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식은 마이크로 전력 생산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 센서 노드 및 저전력 전자장치 등의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에는 열, 진동, 빛, 전파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진동은 다양한 에너지원 중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고 주위 환경에 충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개 특허 제 10-2013-0057062호에는 해상 충격을 이용한 발전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공개 특허는 해상의 충격력을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다만, 종래의 충격을 이용한 압전 발전 장치는 압전 모듈에 직접 충격을 가하므로, 압전 모듈이 손상되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스프링-댐퍼-질량 시스템을 이용한 전력 발생 장치는 공진주파수 부근에서만 높은 출력을 발생시킨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영구자석이 부착된 진동부가 공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전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소형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전력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는, 질량체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벽이 상기 질량체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으로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충격벽을 충격 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진동하며,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영구자석이 부착된 진동부가 공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전력 발생 모듈은,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자속이 변화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간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이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장벽에 상기 진동부가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부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진동부의 자유단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부의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중 적어도 일벽에는 압전체가 부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되거나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부에는 각각이 영구자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동부가 직렬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추가 진동부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에는 별도의 전력 발생 모듈이 대응되어 상기 추가 진동부의 진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진동부는 중앙이 빈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상기 영구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추가 진동부는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추가 진동부는 상기 진동부의 자유단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여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영구자석이 부착된 진동부가 공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 및 전력 발생 모듈의 코일이 상호 작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서 진동부 및 전력 발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서 진동부 및 전력 발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 및 전력 발생 모듈의 코일이 상호 작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100)는,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공간(110S)에 이동 가능한 질량체(101)가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서 진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영구자석(130)이 장착되는 진동부(120)와, 영구자석(130)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 발생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은 내부 공간(110S)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을 이루는 측벽들 중 양 측벽이 질량체(101)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111)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질량체(101)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하우징(110)의 양측벽이 충격벽(111)으로 마련됨으로써 질량체(101)로부터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의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울러 충격벽(111)이 하우징(110)의 양측벽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모든 측벽이 충격벽으로 마련되고 질량체(101)는 내부 공간(110S) 내에서 자유 이동함으로써 질량체(101)에 의하여 충돌되는 모든 충격벽이 충격을 받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질량체(101)는 구(球)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 형상을 가짐으로써 질량체(101)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110S)에서 용이한 이동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110)의 내면 중 예를 들면 바닥면에는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되거나 또는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질량체(101)의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저감에 따라 질량체(101)와 충격벽(111)의 충돌 정도가 강화되어 후술할 진동부(120)의 진동을 더 세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질량체(10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면체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질량체(101)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어 충격벽(111)과의 충돌 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질량체(101)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우징(110)의 측벽들 중 일벽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이 연장된 벽에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진동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외력을 통해 질량체(101)가 이동하여 충격벽(111)과 충돌되는 경우 이 때의 충격이 진동부(120)에 전달되고 진동부(120)는 고정단(120a)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진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질량체(101)의 운동에 의해 진동부(120)는 진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진동부(120)의 진동 정도에 따라 후술할 영구자석(130) 및 전력 발생 모듈(150)의 상호 작용의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진동부(120)의 진동폭(진폭)이 크고 진동 횟수(주파수)가 많을수록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의 진동부(120)는 탄성력을 구비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체(101)가 충격벽(111)을 충격하는 경우 이 때 충격이 진동부(120)에 가해지는데 진동부(120)가 탄성력을 구비한 재질로 마련되기 때문에 진동부(120)는 더 큰 진폭으로, 그리고 높은 진동 횟수(주파수)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고주파수의 진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부(120)의 자유단(120b)의 하면에는 영구자석(130)이 구비되고, 영구자석(130)과 이격되는 위치에 전력 발생 모듈(150)이 위치된다. 따라서 진동부(120)의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130)이 상하로 이동될 때 영구자석(130)과 전력 발생 모듈(150)이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력 발생 모듈(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진동부(120)의 진동에 의한 영구자석(130)의 상하 이동 시 영구자석(130)에 의해 자속이 변화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발생 모듈(150)은 정류부(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정류부는 전력 발생 모듈(150)에서 발생하는 출력을 교류에서 직류로 바꿔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동부(120)의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130)은 코일(151)의 상부에서 코일(151)의 내측으로 상하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영구자석(130)에 의해서 코일(151)의 자속이 변화되고 이를 통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전력은 출력되어 예를 들면 정류부 등을 거친 후 배터리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채널 구조의 하우징(110) 내에서 질량체(101)가 이동하여 충격벽(111)을 충격하고, 이 충격이 진동부(120)에 전달되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마련된 진동부(120)가 진동되고, 이 진동에 의해 진동부(120)의 자유단의 하면에 구비된 영구자석(130)이 상하 이동함으로써 전력 발생 모듈(150)의 코일(151)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진동에 의한 충격을 이용하여 영구자석(130)과 전력 발생 모듈(150) 간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의 전력 발생 장치(100)에 전력 발생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진동부(120)의 적어도 일면에는 압전체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체(101)가 충격벽(111)과 충돌되어 진동부(120)가 진동할 때 압전체에도 역시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질량체(101)가 충돌되는 하우징(110)의 내벽 중 적어도 일벽에도 압전체가 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질량체(101)가 하우징(110)의 내벽과 충돌될 때 압전체에도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전술한 것처럼, 영구자석(130)과 전력 발생 모듈(15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서도 진동부(120) 등에 압전체를 부착하여 진동 발생 시 추가적으로 전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110) 내에서 질량체(101)가 하우징(110)의 내벽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영구자석(130)이 부착된 진동부(120)가 공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주파수의 입력에도 영구자석(130)의 고주파수 진동을 유도하여 전력 발생 모듈(150)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력 발생 장치(100)를 소형화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서 진동부 및 전력 발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는, 복수 개의 진동부(220a, 220b)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진동부(220a, 220b)에는 각각 영구자석(230a, 230b)이 구비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영구자석(230a, 230b)에는 각각 코일이 대응되게 위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동부(220a)는 하우징(210)의 일벽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는데, 이러한 진동부(220a)는 중앙이 빈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220a)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221a)의 하면에 영구자석(230a)이 부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동부(220a)의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221a)의 내측에 추가 진동부(220b)가 장착된다. 추가 진동부(220b)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진동부(220a)의 사각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진동부(220a)의 사각 프레임 중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221a)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추가 진동부(220b)의 자유단 영역에 영구자석(230b)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진동부(220b)의 영구자석(230b)의 하부에 영구자석(230b)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코일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술한 것처럼, 하우징(210)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210)의 충격벽을 충격하는 경우 하우징(210)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된 진동부(220a)가 진동할 수 있고, 아울러 진동부(220a)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된 추가 진동부(220b)가 진동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220a)에 장착된 영구자석(230a)이 그에 대응되는 전력 발생 모듈의 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추가 진동부(220b)에 장착된 영구자석(230b)이 그에 대응되는 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진동부(220a)가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고 그 내측에 추가 진동부(220b)가 장착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220a) 및 추가 진동부(220b)의 영구자석(230a, 230b)들과 각각의 코일들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전력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에서 진동부 및 전력 발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발생 장치는, 복수 개의 진동부(320a, 320b)가 직렬로 배치되는 구조를 갖되,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는 달리, 진동부(320a)의 내측이 아닌 외측에 추가 진동부(320b)가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진동부(320a)의 자유단의 외측에 추가 진동부(320b)가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310) 내에서 질량체가 하우징(310)의 충격벽을 충격하는 경우 하우징(310)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된 진동부(320a)가 진동할 수 있고, 아울러 진동부(320a)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진동부(320a)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된 추가 진동부(320b) 역시 진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동부(320a)에 장착된 영구자석(330a)이 그에 대응되는 전력 발생 모듈의 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추가 진동부(320b)에 장착된 영구자석이 그에 대응되는 코일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진동부(320a) 및 추가 진동부(320b)가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개수의 진동부가 직렬 구조로 구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력 발생 장치
101 : 질량체
110 : 하우징
120 : 진동부
130 : 영구자석
150 : 전력 발생 모듈
151 : 코일

Claims (10)

  1. 질량체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벽이 상기 질량체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으로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충격벽을 충격 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진동하며,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발생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전력 발생 모듈은,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자속이 변화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의 측벽이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장벽에 상기 진동부가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진동부의 자유단의 하면 중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된 부분에 대칭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전력 발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는 전력 발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진동부의 자유단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영구자석의 하부에 배치되는 전력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의 적어도 일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중 적어도 일벽에는 압전체가 부착되는 전력 발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마찰저감부재가 구비되거나 윤활제가 도포되는 전력 발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에는 각각이 영구자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동부가 직렬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추가 진동부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에는 별도의 전력 발생 모듈이 대응되어 상기 추가 진동부의 진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력 발생 장치.
  9. 질량체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벽이 상기 질량체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으로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충격벽을 충격 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진동하며,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발생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에는 각각이 영구자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동부가 직렬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추가 진동부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에는 별도의 전력 발생 모듈이 대응되어 상기 추가 진동부의 진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동부는 중앙이 빈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상기 영구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추가 진동부는 상기 자유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측에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는 전력 발생 장치.
  10. 질량체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벽이 상기 질량체에 의해 충격을 받는 충격벽으로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질량체가 상기 충격벽을 충격 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 진동하며, 영구자석이 장착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의 진동에 의한 상기 영구자석의 상하 이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전력 발생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에는 각각이 영구자석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진동부가 직렬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추가 진동부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에는 별도의 전력 발생 모듈이 대응되어 상기 추가 진동부의 진동 시 상기 영구자석과의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추가 진동부는 상기 진동부의 자유단에서 외측 방향을 향하여 외팔보 타입으로 장착되는 전력 발생 장치.
KR1020160028997A 2016-03-10 2016-03-10 전력 발생 장치 KR10177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97A KR101777953B1 (ko) 2016-03-10 2016-03-10 전력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97A KR101777953B1 (ko) 2016-03-10 2016-03-10 전력 발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953B1 true KR101777953B1 (ko) 2017-09-12

Family

ID=5992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97A KR101777953B1 (ko) 2016-03-10 2016-03-10 전력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1187A1 (en) * 2019-02-12 2020-03-11 Ventus Engineering GmbH Hybrid energy harvesting unit and use 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4884A (ja) 2009-11-24 2011-06-09 Takenaka Komuten Co Ltd 発電装置
JP2012165561A (ja) * 2011-02-07 2012-08-30 Onwave Corp 多次元振動発電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4884A (ja) 2009-11-24 2011-06-09 Takenaka Komuten Co Ltd 発電装置
JP2012165561A (ja) * 2011-02-07 2012-08-30 Onwave Corp 多次元振動発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1187A1 (en) * 2019-02-12 2020-03-11 Ventus Engineering GmbH Hybrid energy harvesting unit and use hereof
WO2020164756A1 (en) * 2019-02-12 2020-08-20 Ventus Engineering GmbH Hybrid energy harvesting unit and use 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6777B2 (en) Haptic actuator
US10581344B2 (en) Miniature kinetic energy harvester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from mechanical vibrations
KR101092588B1 (ko) 진동모터
KR101188055B1 (ko) 진동발생장치
CN104242725B (zh) 一种二级振动式宽频带能量采集器
KR101598584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37722A (ko) 진동발생장치
JP5748867B2 (ja) 圧電素子が装着されたバイブレータ
KR20140128525A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KR101777953B1 (ko) 전력 발생 장치
CN204810104U (zh) 线性电机
JP2019041548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50088145A (ko) 선형 진동자
CN208128109U (zh) 线性振动发生设备
KR20180043773A (ko) 선형 진동 발생 장치
KR20100092806A (ko)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발전장치
WO2019010966A1 (zh) 微型线性振动器
JP5742860B2 (ja) 振動発電機
KR20150060401A (ko) 자성유체를 사용한 에너지 하베스트 장치
KR20210076621A (ko)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선형 진동발생장치
KR101240455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664316B1 (ko) 횡단 충격을 이용한 주파수 상향 방식의 전자기 에너지 하베스터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JP6871082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KR20180065143A (ko)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및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