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73B1 -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73B1
KR101777673B1 KR1020150144410A KR20150144410A KR101777673B1 KR 101777673 B1 KR101777673 B1 KR 101777673B1 KR 1020150144410 A KR1020150144410 A KR 1020150144410A KR 20150144410 A KR20150144410 A KR 20150144410A KR 101777673 B1 KR101777673 B1 KR 10177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ginseng
powder
ginsenosides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828A (ko
Inventor
오진환
허율
조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티진
Priority to KR102015014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44Preparation of O-glycosides, e.g. glucos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65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acting on alpha-galactose-glycoside bonds, e.g. alpha-galactosidase (3.2.1.2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12Acting on D ring
    • C12P33/16Acting at 17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22Alpha-galactosidase (3.2.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좀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진세노사이드 Rd 생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해결방법: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를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단일 또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또는 이들이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는 혼합물과 반응시켜 진세노사이드 Rd (ginsenoside Rd)를 높은 수율로 생산하는 것이다.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를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단일 또는 복합)와 반응시키면 진세노사이드 Rd를 높은 전환율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ginsenoside-Rd using an enzyme}
본 발명은 효소를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다이올계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또는 이들 성분이 하나 이상 포함된 혼합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진세노사이드 Rd로의 전환율이 높고, 효소반응으로 공정이 간단하며, 상온에서 1~2일간의 짧은 시간 안에 대부분의 반응이 완료되어 안전하고 깨끗한 조건에서 단시간에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진세노사이드 유도체들은 다마란계의 트리터페노이드를 기본구조로 하는 프로토파낙사다이올과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의 어글리콘에 글루코스, 람노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와 같은 당류가 결합한 화합물로서, 결합된 당의 종류와 수 그리고 결합위치에 따라 약리작용이 각각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유도체들 중 프로토파낙사다이올에 속하는 진세노사이드인 Rb1, Rb2 및 Rc 중 한 가지 이상을 원료로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만들게 되는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당이 가수분해로 떨어지게 된다. 진세노사이드 Rd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e, Rg1 등과 함께 가장 널리 알려진 인삼 사포닌 중 하나이나, 그 함유량은 건삼기준 0.036% 정도로 매우 미미하여(최신고려인삼성분 및 효능편 1996, 한국인삼연초연구원) 다각도의 약리활성 연구나 상업적 활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구조만 밝혀져 있다.
기존에 진세노사이드 Rd의 약리활성으로는 신장보호효과 (Ren Fail. 2000 Mar;22(2):115-27, Nephron. 1999 Feb;81(2):200-7), 면역억제효과 (장기이식, J Surg Res. 2012 Jul;176(1):267-74), 간 보호효과 (항간암, 출원특허10-2010-0118722), 항산화효과 (J Pharm Pharmacol. 2004 Jan;56(1):107-13), 뇌신경세포 보호효과 (항알츠하이머, 항파킨슨병, Int. J. Mol. Sci. 2015, 16, 14395-14408, 항알츠하이머 Neurochem Res. 2012 Dec;37(12):2738-47, 신경세포보호 Neural Regen Res. 2014 Sep 15;9(18):1678-87) 등이 발표되어 상업적 (기능성 식품, 천연물 의약품 등)으로나 의학적으로 큰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조명되고 있다.
종래 진세노사이드 Rd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는 유전자 재조합기술로 고온성 세균 (Thermus Caldophilus)의 DNA를 클로닝하여 생산한 효소인 β-글루코시데이즈를 이용한 방법 (Biotechnol Lett (2008) 30:713716, 특허공개번호 10-2002-0029138)이 있다. 이 방법은 생산에 사용한 효소가 유전자 조작으로 얻은 효소이기 때문에 식품 가공에 제약이 있고, 재조합 효소의 생산단가가 높으며, 고온 (70~80℃)에서 반응시켜 작업 공정에 어려움이 있다.
효소를 이용한 또 다른 진세노사이드 Rd 제법으로는 역시 유전자 재조합기술로 토양미생물인 플라보박테리움 존소니애 (Flavobacterium johnsoniae)의 DNA를 클로닝하여 생산한 효소인 글루코시데이즈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427882호). 이 방법도 생산에 사용한 효소가 유전자 조작으로 얻은 효소이기 때문에 식품 가공에 제약이 있고, 재조합 효소의 생산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좀 더 안전하고 좀 더 생산성이 높은 진세노사이드 Rd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또는 그 혼합물과의 효소 반응을 통해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 또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이 포함된 조성물을 기질로 이용하여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와 반응시켜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응을 0 ~ 60℃의 온도에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이 포함된 조성물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홍삼추출물, 홍삼농축액, 홍삼분말, 홍삼농축분말, 인삼추출물, 인삼농축액, 인삼분말, 인삼농축분말, 태극삼추출물, 태극삼농축액, 태극삼분말 또는 태극삼농축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 인삼이 인삼속(Panax species) 식물로서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한국삼 (Panaxa ginseng), 미국삼 (panax quinquefolium), 중국삼 (Panaxa notoginseng) 또는 일본삼 (Panax japonica)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세노사이드 Rd는 수삼이나 건삼과 같이 가공하지 않은 천연 인삼에도 존재하는 널리 알려진 성분이지만 정작 그 함량은 0.036% (건삼 기준)에 지나지 않아 그동안 약리활성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대량생산이 어려워 임상시험 같은 대규모 약리연구나 기능성 식품 개발 같은 상업화가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혼합물부터 고순도의 진세노사이드 Rd까지 다양한 Rd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각도의 약리활성규명과 이에 따른 기능성 식품 및 신약 개발 가능성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하는 효소의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반응시간이 짧은 경우에도 90%를 상회하는 매우 높은 수율로 진세노사이드 Rd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단일 또는 복합)가 진세노사이드 Rd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2b는 알파갈락토시다제에 의해 Rb1으로부터 전환된 Rd의 제조 결과에 대한 HPLC(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도이다. 2a는 반응 전 조성물에 대한 결과이고, 2b는 반응 후 조성물에 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c가 혼합된 복합 사포닌 100m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Cirtic acid-phosphate)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50m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78mg 얻었다.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Rb1 1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50m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81mg 얻었다.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Rb2 100m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0.5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0.79g 얻었다.
실시예 4:
진세노사이드 Rc 100m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0.5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80mg 얻었다.
실시예 5: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c가 함유되어 있는 인삼추출분말 (Rb1=102㎎, Rb2=31㎎, Rc=52㎎, Rd=9㎎, 기타) 1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0.5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가 다량 함유된 분말 0.5g을 얻었다. 이 분말 중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의 함유량은 각각 Rb1=0㎎, Rb2=5㎎, Rc=9㎎, Rd=141㎎이었다.
실시예 6: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c가 함유되어 있는 홍삼추출분말 (Rb1=117㎎, Rb2=39㎎, Rc=50㎎, Rd=18㎎) 1g을 기질로 하여 50 mM 시트르산-인산 완충용액 (pH 4.5)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 (제품명: α-galactosidase DS30, 제조사: Amano, 일본) 0.5g과 25℃ 항온수조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전개액: 클로로포름:메탄올:증류수 = 60:40:10)로 확인하여 기질이 소실되면 비등수에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활성을 없애고 부탄올 추출법으로 효소 및 당을 제거한 후 실리카젤 컬럼을 사용해 분리하여 진세노사이드 Rd가 다량 함유된 분말 0.55g을 얻었다. 이 분말 중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의 함유량은 각각 Rb1=0㎎, Rb2=6㎎, Rc=8㎎, Rd=172㎎이었다.
Figure 112015099973995-pat00001
상기 표 1의 단위는 ㎎이다.

Claims (5)

  1.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 또는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이 포함된 조성물을 기질로 하여 상온에서 아스퍼질러스 속 유래 알파갈락토시다제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중 한 성분 이상이 포함된 조성물은 홍삼추출물, 홍삼농축액, 홍삼분말, 홍삼농축분말, 인삼추출물, 인삼농축액, 인삼분말, 인삼농축분말, 태극삼추출물, 태극삼농축액, 태극삼분말 또는 태극삼농축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한국삼 (Panaxa ginseng), 미국삼 (panax quinquefolium), 중국삼 (Panaxa notoginseng) 또는 일본삼 (Panax japonica)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d를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50144410A 2015-10-16 2015-10-16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KR10177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10A KR101777673B1 (ko) 2015-10-16 2015-10-16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410A KR101777673B1 (ko) 2015-10-16 2015-10-16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28A KR20170044828A (ko) 2017-04-26
KR101777673B1 true KR101777673B1 (ko) 2017-09-12

Family

ID=5870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410A KR101777673B1 (ko) 2015-10-16 2015-10-16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91A (ko) 2017-11-14 2019-05-22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홍삼 농축액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778B1 (ko) 2021-02-17 2024-04-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 조절이 가능한 후코이단을 해조류로부터 추출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Pharm. Bull., Vol. 55, pp. 1522-1527 (2007.07.25.)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Sciences, Vol. 6, pp. 45-55 (2012.)
J. Microbiol. Biotechnol., Vol. 23, pp. 483-488 (20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91A (ko) 2017-11-14 2019-05-22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홍삼 농축액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828A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azón et al. Growth and ginsenoside production in hairy root cultures of Panax ginseng using a novel bioreactor
KR100992800B1 (ko) 미량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신규한 가공인삼 또는 가공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894204B (zh) 微生物酶转化人参茎叶皂苷制备人参稀有皂苷的方法
KR101753077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566589B1 (ko)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이 증가된 발효 홍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홍삼 추출물
KR101968004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믹스의 대량제조방법
CN107308195A (zh) 一种通过固体动态发酵技术制备高活性人参皂苷的方法
KR101805737B1 (ko) 인삼발효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분말
KR20200000005A (ko)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회수율 증진방법
KR101777673B1 (ko) 효소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KR20110052940A (ko)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3가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US10519480B2 (en) Method for selectively producing ginsenoside Rd from saponins of ginseng through enzymatic method
KR101564487B1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1952951B1 (ko) 컴파운드 케이를 함유하는 흑효모 배양액의 생산 방법, 컴파운드 케이가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
CN105622701B (zh) 一种生产低极性人参皂苷的方法
KR102258788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전환 효소를 생산하는 신규 누룩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c2-2 균주 및 이의 이용
KR101776005B1 (ko) 효소 및 유기산 처리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h2, Rk2 및 Rh3 제조방법
KR102407724B1 (ko)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 효소
KR20150030012A (ko) 진세노사이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2008212137A (ja) 生物転換法を利用したペリヌスリンテウス菌糸体の液体培養による人参からの新規のジンセノサイド製造方法
KR101959848B1 (ko) 장수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희귀 인삼 사포닌의 제조방법
KR101102702B1 (ko) 인삼 및 홍삼 액기스의 사포닌 함량을 높이는 방법
KR20030043168A (ko) 셀룰라제 또는 락타제 조성물 와이-에이오를 이용한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제조방법
KR20170047009A (ko) 효소적 방법에 의하여 인삼의 사포닌으로부터 컴파운드 k 및 컴파운드 y를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KR101975016B1 (ko) 증숙 가공 및 효소 처리의 조합에 의해 인삼열매로부터 희귀 진세노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