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627B1 -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627B1
KR101777627B1 KR1020160000404A KR20160000404A KR101777627B1 KR 101777627 B1 KR101777627 B1 KR 101777627B1 KR 1020160000404 A KR1020160000404 A KR 1020160000404A KR 20160000404 A KR20160000404 A KR 20160000404A KR 101777627 B1 KR101777627 B1 KR 101777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layer
receiving antenna
wireless power
magnetic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411A (ko
Inventor
이대희
김용선
백승재
정성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6000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6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2J17/00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자성시트의 두께를 허용되는 공간 내에서 최대화하며,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Wireless power receiving antenna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 관련 기술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전력 송수신 중 수신안테나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일 구성요소인 자성시트의 두께를 허용되는 공간 내에서 최대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전력은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가리킨다. 언제 어디서나 무선 어댑터만 있으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와이파이(Wi-Fi) 기술에 비유해 와이파워(Wi-Power)라고도 한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스마트폰 무선충전에 활용되는 자기유도(MI) 방식; 전기차, 고속철 등에 활용이 추진되고 있는 자기공진(MR) 방식; 우주태양광발전에 활용하기 위해 기술을 개발중인 원거리 마이크로파 방식 등이 있다.
무선전력전송 현상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하기의 식들과 같다. 유도 전압 υ는 전도체를 투과하는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전도체의 인덕턴스 값에 비례하게 된다. 이를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도입하면 수신부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 υ Rx 은 수신부 코일의 인덕턴스 L Rx 와 수신부-송신부 코일간의 상호 인덕턴스 M에 의해 결정된다. 수신부에는 유도전압에 의한 전류 이외에 자체 전력원에 의한 전류성분이 없다고 가정하면, di Rx /dt = 0이 되므로, 수식을 M에 대해서 다시 정리하면 자기 유도결합계수 k와 수신부 및 송신부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값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16000313480-pat00001

여기서, L, L Rx , L Tx , M, k 인자는 각각 인덕턴스, 수신부 안테나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송신부 안테나 코일의 자기인덕턴스, 송신부-수신부 사이의 상호인덕턴스, 송신부-수신부 안테나 코일간 자기유도결합계수이다.
상기 수식들의 결합관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무선전력 전송효율을 높이는 접근방법은 kL Rx 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높은 투자율과 낮은 손실을 가지며 허락되는 설계한도에서 "가장 두꺼운" 자기장 차폐 시트(이하 "자성시트"라 칭함)를 수신부의 코일의 기판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자성시트를 두껍게 할 수 없는 이유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가 설치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의 박형화 및 초소화로 인해 자성시트의 두께 증가는 매우 한정적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 무선전력 안테나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통상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지지체절연층(예를 들어, PI 필름)(22)을 지지체로 하여, 그 상부에 동박을 접착한 후 에칭공정을 실시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의 와선형(spiral)의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하고, 다시 절연층(24) 및 자성시트(25)를 순서대로 적층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적층체들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보호필름(21, 26), 예를 들어, 흑색 PET를 보호커버로서 마감처리한다. 이 경우 지지체절연층(22)은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예를 들어, 현재 시판 중인 제품의 경우, 도 1과 같이 35 ㎛ 두께의 지지체절연층(22) 위에 105 ㎛ 두께의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한다.
따라서 휴대폰 등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도 1과 같은 다양한 적층 구조 내에서 일부 층을 제거하고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허등록 제10-1431983호 특허공개 제10-2015-0011619호 특허공개 제10-2015-0001418호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무선전력 송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성시트의 두께를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는 신규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종래 100 ㎛ 정도의 자성시트의 두께를 135 ㎛의 두께로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줄임으로써, 무선전력 송신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무선전력 송신 효율을 높이는 구조와 더불어, 추가로 방열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성시트; 상기 자성시트 하부의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하부에 형성되는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자성시트 및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자성시트 및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 및 상기 수신안테나층의 하부에 각각 보호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층의 하부에는 상기 수신안테나층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성소재의 돌출자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신안테나층을 이루는 와선형 패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돌출자성부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출자성부는 자성시트와는 다른 재질의 자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에는 그라파이트 소재의 방열필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층은 방열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절연층의 방열 성분은 Al(OH)3 파우더, 알루미나 파우더, AlN(alumina nitride) 파우더 및 BN(Boron nitride)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으로서, 자성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성시트 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절연층 하부에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절연층 및 자성시트의 형성 단계는 서로 순서를 달리하거나, 각자 제조한 후 접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절연층 위에 동박을 접합시킨 후,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에 방열 기능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절연층 위에 동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하는 단계; 상기 와선형의 패턴 위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2절연층에는 상기 와선형 패턴의 내부에 위치하는 패턴의 일 말단인 제2단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절연층의 통공을 통해 상기 제2단락과 연결되는 도전성 패턴을 상기 제2절연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서 자성시트와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수신안테나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서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2절연층의 형성 전단계까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5의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 위에 제2절연층을 더 형성한 경우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서 제2절연층의 통공으로 제2단이 외부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로서 자성시트와 보호필름 사이에 별도의 방열필름을 더 구비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로서 돌출자성부를 더 구비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이 제한된 공간 내에서 무선전력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성시트의 두께를 최대한 증가시키며, 무선전력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하기 위한 신규한 무선전력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전력 송수신안테나 중 수신안테나의 신규한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에 대한 기술일 뿐만 아니라, 무선전력 송신안테나는 종래의 통상적인 무선전력 송신안테나를 사용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무선전력 송신안테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층은 접착제, 양면테이프, 열융합접착 등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접착 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상 별도로 접착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도 별도로 이러한 접착 수단을 도시하지 않았음을 명시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성시트; 상기 자성시트 하부의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하부에 형성되는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자성시트 및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지지체절연층(22)에 해당하는 층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의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무선전력 송신안테나(10)와 가까이 위치하는 부분을 "하부"로 지칭하고, 무선전력 송신안테나(10)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부분을 "상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는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자성시트(25), 절연층(24) 및 수신안테나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신안테나층(23)의 하부 및 자성시트(25)의 상부에 각각 보호필름(21, 26)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의 종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와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는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할 때 지지체 역할을 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예를 들어, 35 ㎛ 두께의 지지체절연층(22)을 사용하지 않고,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먼저 형성시킨 후, 상기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지지체로 하여 수신안테나층(23), 즉, 와선형 패턴의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와는 달리 지지체절연층(22)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만큼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종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의 경우 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가 35 ㎛였으며, 절연시트(25)는 100 ㎛였으나,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는 지지체절연층(22)이 없으므로, 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인 35 ㎛만큼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자성시트(25)의 두께를 100 ㎛에서 135 ㎛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절연층(22)이 없으므로 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인 35 ㎛만큼 수신안테나층(23)이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와 가까이 위치한다. 즉, 무선전력 송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한 자성시트(25)의 두께 증가와, 송수신안테나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것이 지지체절연층(22)을 배제함으로써 동시에 구현 가능하다.
한편, 자성시트(25)의 상부에 보호필름(26), 수신안테나층(23)의 하부에 보호필름(21), 예를 들어, 흑색 PET 필름을 각각 더 접착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1, 26)은 절연층(24)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보호필름(21, 26) 내에 방열 성분을 더 포함함으로써 방열 기능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21, 26)은 보호 목적으로 필요하므로, 절연층(24)보다 두께가 얇게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접착제, 접착필름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상기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이 접합된 이후에, 상기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지지체 또는 베이스 필름으로 하여 절연층(24) 상에 수신안테나층(23)을 제조한다. 물론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와 같이, 수신안테나층(23) 및 자성시트(25)에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21, 26)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도 4는 와선형(spiral)의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하부도면의 단면도이다. 제2절연층(27, 도 6 참조)의 적층 전 단계까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의 접합 후, 상기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지지체로 하여 필름 형상의 동박을 절연층(24) 위에 형성한다(도 4의 상부도면 참조). 상기 필름 형상의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를 위해 통상의 마스킹 및 에칭 단계를 거쳐 도 4의 하부 도면과 같이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하되, 수신안테나층(23)의 와선형 패턴의 일 시작점인 제1단(23a)을 외부 와선으로 하여 내부로 와선형으로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23a)에 대응되는 말단인 제2단(23b)은 와선형 패턴의 내부까지만 형성되며, 다른 외부의 와선 패턴을 가로지르지 않는 지점까지만 형성된다. 이는 제2단(23b)이 다른 와선형 패턴과 겹치는 경우 단락되기 때문이다. 제2단(23b)을 외부의 터미널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2단(23b)을 바깥쪽의 와선 패턴과 겹치지 않으면서 외부로 연결되는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다. 도 6 내지 8을 참고하면서 제2단(23b)의 외부 터미널과의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5의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23) 위에 제2절연층(27)을 더 구비한 상태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와 같이 제2단(23b)이 다른 와선 패턴 내부에 갇힌 상태까지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23)으로 패턴화한 후, 상기 수신안테나층(23) 위, 도 2를 기준으로는 수신안테나층(23)의 하부에 제2절연층(27)을 더 형성한다. 제2절연층(27)은 매우 얇은 두께, 예를 들어, 10 ㎛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절연층(27)은 종래 기술의 지지체절연층(22)과 같은 지지체로서의 역할이 아니며, 제2단락(23b)을 다른 와선형의 안테나 패턴과 절연하기 위한 절연층의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도 무관하다.
도 7과 같이, 제2절연층(27)에서 제2단(23b)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2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27a)을 통해 제2단(23b)이 외부의 터미널과 연결된다. 도 8은 제2절연층(27)의 통공(27a)으로 제2단(23b)이 외부로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절연층(27)으로 인하여 제2단(23b) 패턴이 다른 패턴과 겹치지 않고 외부의 터미널(도면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절연층(27) 위에 동박을 패턴화함으로써 제2단(23b)이 수신안테나층(23)으로부터 제2절연층(27)의 통공(27a)을 지나 외부의 터미널(도면 미도시)과 연결된다.
도 9는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의 효과를 요약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체절연층(22)이 없으므로, 그 두께만큼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a2>a1, a2=a1+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 또한, 지지체절연층(22)이 없으므로, 그 만큼 수신안테나층(23)과 송신안테나부(200)와의 거리가 가까워진다(l2 < l1, l2=l1-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 즉, 무선전력 송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가능한 자성시트의 두께가 커야 하며, 송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야 하는데, 본 발명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를 통해 상기 2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200)의 단면도로서 자성시트(25)와 보호필름(26) 사이에 별도의 방열필름(30)을 더 구비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방열필름(30)은 일반적인 방열필름 예를 들어, AIN, BN 등의 성분이 포함된 방열필름도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그라파이트 시트일 수 있다. 물론 방열필름(30)을 더 구비하는 경우, 자성시트(25)의 두께 증가가 줄어들기는 하나, 방열필름(30)의 두께는 10 ㎛ 이하로 하는 경우 여전히 자성시트(25)의 두께는 25 ㎛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 기능을 위해, 절연층(24) 역시 절연 기능뿐만 아니라 방열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 성분으로는 Al(OH)3 파우더, 알루미나 파우더, AlN(alumina nitride) 파우더 및 BN(Boron nitride) 파우더 등과 같은 종래 잘 알려진 방열 기능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무선전력 수신안테나(300)로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 200)와는 달리 자성 성분의 돌출자성부(40)를 절연층(24) 하부에 더 구비하는 예이다. 돌출자성부(40)는 자성시트(25)와 동일한 성분이거나 다른 종류의 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시트(25)가 페라이트 소재라면, 돌출자성부(40)는 동일한 페라이트일 수도 있으며, 비정질 리본 또는 FeSiCr계, FeSiAl계 등의 복합 소재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돌출자성부(40)는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23)의 중심, 즉, 도전성의 와선 패턴이 없는 수신안테나층(23)의 중심에 위치함으로써, 수신안테나층(23)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자성시트가 더 구비되는 공간 절약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자성 소재의 돌출자성부(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자성시트(23)의 함량을 높이는 효과 또는 자성시트(23)의 두께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100, 200, 3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할 때 종래 지지체절연층(22) 위에 형성하던 것과는 달리, 자성시트(25)와 절연층(24)을 지지체로 하여 수신안테나층(23)을 형성함으로써, 지지체절연층(22)의 두께에 해당하는 두께만큼 자성시트(25)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전력 송수신 효율의 증가를 통해 수신 전압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무선전력 송신안테나 21, 26 : 보호필름
22 : 지지체절연층 23 : 수신안테나층
23a : 제1단 23b : 제2단
24 : 절연층 25 : 자성시트
27 : 제2절연층 27a : 통공
30 : 방열필름 40 : 돌출자성부
100' : 종래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100, 200, 300 : 본 발명의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Claims (12)

  1. 자성시트;
    상기 자성시트 하부의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 하부에 형성되는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자성시트 및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 하부에는 상기 수신안테나층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성소재의 돌출자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신안테나층을 이루는 와선형 패턴의 내부 공간에 상기 돌출자성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2. 제1항에서, 상기 수신안테나층은, 상기 자성시트 및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3. 제1항에서,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 및 상기 수신안테나층의 하부에 각각 보호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돌출자성부는 자성시트와는 다른 재질의 자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6. 제1항에서,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에는 그라파이트 소재의 방열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7. 제1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방열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8. 제7항에서, 상기 방열 성분은 Al(OH)3 파우더, 알루미나 파우더, AlN(alumina nitride) 파우더 및 BN(Boron nitride)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9.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제조 방법으로서,
    자성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성시트 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층을 지지체로 하여 상기 절연층 하부에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와선형의 수신안테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절연층 위에 동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동박을 와선형으로 패턴화하는 단계;
    상기 와선형의 패턴 위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되, 상기 제2절연층에는 상기 와선형 패턴의 내부에 위치하는 패턴의 일 말단인 제2단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절연층의 통공을 통해 상기 제2단락과 연결되는 도전성 패턴을 상기 제2절연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자성시트의 상부에 방열 기능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제조 방법.
  12. 삭제
KR1020160000404A 2016-01-04 2016-01-04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KR101777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04A KR101777627B1 (ko) 2016-01-04 2016-01-04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04A KR101777627B1 (ko) 2016-01-04 2016-01-04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11A KR20170081411A (ko) 2017-07-12
KR101777627B1 true KR101777627B1 (ko) 2017-09-12

Family

ID=5935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04A KR101777627B1 (ko) 2016-01-04 2016-01-04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093B1 (ko) 2018-10-22 2020-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5091B1 (ko) 2018-10-22 2020-05-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안테나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1719A (ko) * 2019-11-20 2021-05-2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패드,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06B1 (ko) * 2012-01-13 2013-06-05 아로 주식회사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박형 nfc 안테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06B1 (ko) * 2012-01-13 2013-06-05 아로 주식회사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한 박형 nfc 안테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11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3358B2 (en)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3087B1 (ko) 코일 모듈
US20170345555A1 (en) Heat radiation unit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having same
EP2852028A1 (en) Antenna sheet for contactless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device using said sheet
KR101977254B1 (ko) 다기능 복합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
US11282639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4017351A1 (ja) コイルモジュール及び受電装置
US11569577B2 (en) Antenna module comprising shield layer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JP2015149405A (ja) アンテナ装置、非接触電力伝送用アンテナ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CN103258817B (zh) 半导体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777627B1 (ko) 무선전력 수신안테나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안테나의 제조 방법
US20140203976A1 (en) Magnetic antenna,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1707022A (zh) 模組基板
WO2017119215A1 (ja) 複合アンテナおよび電子機器
CN106532307A (zh) 导电板以及包括该导电板的电子装置
KR101878353B1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충전장치
CN105429309A (zh) 一种无线充电接收端及其制造方法
US112280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for both heat dissipation and radiation
KR101765482B1 (ko)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및 무선 충전용 전력 전달용 코일을 실장하는 안테나 장치를 외부 장치에 실장하는 방법
WO2014017352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KR102022431B1 (ko)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전력모듈
KR101878354B1 (ko) 무선충전용 방열유닛 및 이를 구비한 무선전력 수신장치
JP2005109173A (ja) 非接触充電器用平面磁気素子
US20200220266A1 (en) Antenna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enna element
JP2015050261A (ja) 非接触充電装置用アンテナシート及び該シートを用いた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