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480B1 -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 Google Patents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480B1
KR101777480B1 KR1020150185043A KR20150185043A KR101777480B1 KR 101777480 B1 KR101777480 B1 KR 101777480B1 KR 1020150185043 A KR1020150185043 A KR 1020150185043A KR 20150185043 A KR20150185043 A KR 20150185043A KR 101777480 B1 KR101777480 B1 KR 101777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ical cover
incident light
coordinate system
angle
spherical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417A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4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01B3/563Protr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021/555Measuring total reflection power, i.e. scattering and spec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레이저의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는 구 좌표계의 x축 및 y축이 표시된 베이스 및 x축 및 y축에 대응하는 구 좌표계 각도가 표시된 반구형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SPHERICAL COORDINATES PROTRACTOR}
아래의 설명은 3차원 공간으로 입사되는 빛의 구좌표 입사각을 측정 할 수 있는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3차원 공간으로 입사되는 레이저의 입사각 또는 입사광에 의해 시료로부터 산란되는 반사광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2차원 평면 형태의 각도기를 이용하여 두 번 또는 세 번의 측정 과정을 거쳐야 입사광의 3차원 입사각을 측정할 수 있었다. 이렇게 레이저의 3차원 각도를 2차원 평면 각도기로 측정을 할 경우, 각도 측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각도를 측정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입사각 또는 반사각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입사광 또는 시료에 의해 산란되는 반사광의 3차원 각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구 좌표계 각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의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는, 구 좌표계의 x축 및 y축이 표시된 베이스 및 x축 및 y축에 대응하는 구 좌표계 각도가 표시된 반구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구형 커버는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반구형 커버는, 상기 입사광 또는 반사광이 상기 커버를 통과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감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구형 커버는, 복수 개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위도선 및 복수 개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경도선을 표시할 수 있다.
베이스는, 입사광이 도달하는 기준점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점은, 입사광에 의한 시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의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를 통해서 레이저 입사광 또는 시료에 의해 산란되는 반사광의 3차원 각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의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의 기준점에 포함된 온도계를 통해서 추가적인 장비 없이 산란광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2차원 평면 각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레이저 광의 3차원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서 경도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서 위도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2차원 평면 각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2차원 평면 각도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 레이저 입사광에 대해서 종래의 2차원 평면 각도기(100)를 통해서 x축으로부터의 각도와 x-y 평면으로부터의 각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 하지만, 2차원 각도기를 이용해서 3차원 구 좌표계 각도를 측정하는 것은 정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로우면서도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한다.
도 2는 레이저 광의 3차원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입사광(210)이 중심점(O)에 입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중심점(O)에는 빛의 산란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빛의 산란광 측정 실험에서, 레이저 입사광(210)의 3차원 입사각도가 매우 중요하다. 레이저 입사광(210)의 3차원 입사각도는 x축으로부터의 각도인 경도(220)와 x-y평면으로부터의 각도인 위도(230)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경도(220)와 위도(230)를 측정하기 위해서 2차원 평면 각도기(도 1의 100)를 이용해서 레이저 입사광(210)의 3차원 구 좌표계 각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300)를 이용해서 레이저 입사광(310)의 3차원 구 좌표계 각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300)에 레이저 입사광(310)이 맺히는 상(34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300)는 투명한 반구형 커버와 x축, y축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커버는 투명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구형 커버는 유리 또는 아크릴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커버는 감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입사광(310)은 반구형 커버에 맺히는 상(340)을 감광 물질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커버에는 레이저 입사광 또는 반사광의 3차원 구 좌표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경도(320) 및 위도(330)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도(320) 표시자 및 위도(330) 표시자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서 경도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400)를 통해서 레이저 입사광(410)의 경도(420)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40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의 복수의 경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레이저 입사광(410)에 대응하는 경도선(430)만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400)에서는 복수 개의 경도선(430)이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입사광(410)과 만나는 경도선(430)의 각도를 읽으면, 레이저 입사광(410)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의 중심점(401)에 레이저 입사광이 입사되는 시료가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400)를 통해서 시료에서 산란되는 레이저 반사광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 입사광의 각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에 맺히는 상이 경도선과 만나는 각도를 읽음으로써 레이저 반사광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서 경도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500)를 통해서 레이저 입사광(510)의 위도(520)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50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의 복수의 위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레이저 입사광(510)에 대응하는 위도선(530)만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500)에서는 복수 개의 위도선(530)이 미리 정해진 간격마다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입사광(510)과 만나는 위도선(530)의 각도를 읽으면, 레이저 입사광(510)의 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의 중심점(501)에 레이저 입사광이 입사되는 시료가 놓여질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500)를 통해서 시료에서 산란되는 레이저 반사광의 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레이저 입사광의 각도 측정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에 맺히는 상이 위도선과 만나는 각도를 읽음으로써 레이저 반사광의 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600)는 베이스 및 반구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구형 커버는 복수 개의 경도선(610) 및 복수 개의 위도선(6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반구형 커버는 입사광 또는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한 아크릴 또는 유리를 이용해서 반구형 커버가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광 또는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를 통과하는 위치를 확인하기 쉽도록 반구형 커버는 감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투명한 반구형 커버에 감광 물질이 포함되어, 입사광 또는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를 통과할 때, 상이 맺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는 구 좌표계의 x축, y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x축과 y축이 만나는 지점을 구 좌표계의 중심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는 입사광이 도달하는 기준점(6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란광 실험을 할 때, 입사광이 도달하는 지점에 시료를 두고 시료에 입사광을 입사시킬 수 있다. 이때, 시료는 기준점(601)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점(601)은 온도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계를 통해서 입사광에 의한 시료의 온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600: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601: 기준점
610: 경도선
620: 위도선

Claims (6)

  1. 레이저의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에 있어서,
    구 좌표계의 x축 및 y축이 표시된 베이스; 및
    상기 x축 및 y축에 대응하는 구 좌표계 각도에 기초한 복수 개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위도선(620) 및 복수 개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경도선(610)이 표시되는 반구형 커버-상기 반구형 커버는 입사광(410) 또는 반사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어 상기 입사광(410) 또는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를 통과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감광 물질을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구 좌표계의 x축 및 y축이 만나는 지점을 나타내는 베이스의 중심점(40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중심점(401)에는, 빛의 산란에 의한 반사광을 측정하기 위한 시료가 배치되며,
    상기 반구형 커버는,
    상기 입사광(410) 및 반사광의 3차원 구 좌표계 각도를 확인하기 위해 반구형 커버에 표시된 경도선(610) 및 위도선(620)을 통해 입사광(410)의 경도 및 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입사광(410) 및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를 통과할 때의 위치가 상기 감광 물질에 의해 상으로 맺히고-상기 입사광(410)은 상기 반구형 커버에 맺힌 상이 위도선(620)과 만나는 각도로부터 입사광(410)의 위도가 측정되고, 상기 반구형 커버에 맺힌 상이 경도선(610)과 만나는 각도로부터 입사광(410)의 경도가 측정됨-,
    상기 반구형 커버에 표시된 경도선(610) 및 위도(620)선을 통해 반사광의 경도 및 위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입사광이 베이스의 중심점에 입사하면서 상기 중심점에 배치된 시료에 의해 산란된 반사광이 반구형 커버를 통과할 때의 위치가 상기 감광 물질에 의해 상으로 맺히는-상기 반사광은 상기 반구형 커버에 맺힌 상이 위도선(620)과 만나는 각도로부터 반사광의 위도가 측정되고, 상기 반구형 커버에 맺힌 상이 경도선(610)과 만나는 각도로부터 반사광의 경도가 측정됨-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85043A 2015-12-23 2015-12-23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KR10177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3A KR101777480B1 (ko) 2015-12-23 2015-12-23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43A KR101777480B1 (ko) 2015-12-23 2015-12-23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17A KR20170075417A (ko) 2017-07-03
KR101777480B1 true KR101777480B1 (ko) 2017-09-11

Family

ID=5935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043A KR101777480B1 (ko) 2015-12-23 2015-12-23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4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10468U (zh) * 2014-07-21 2014-12-10 乐山师范学院 光的反射定律实验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10468U (zh) * 2014-07-21 2014-12-10 乐山师范学院 光的反射定律实验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17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413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or setting two-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s
RU2012105634A (ru)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й датчик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ложения таких датчиков
CN106017404B (zh) 摄像测量相机视轴与辅助激光光轴夹角的检测装置及方法
CN101915658B (zh) 激光指示器多参数检测仪
JP4316643B2 (ja) 形状測定装置,形状測定方法
JP2015197744A5 (ko)
KR101777480B1 (ko) 구 좌표계 각도 측정기
JP6309938B2 (ja) 3次元位置計測システム、3次元位置計測用プローブ、及びキャリブレータ
US9773316B2 (en) Camera module projecting patterns and measuring distance using the projected patterns
CN106482743B (zh) 一种相对位置测量设备的快速检测方法
CN104019963B (zh) 面光源虚像距测量装置及其方法
JP2017223551A (ja) 段差高さゲージ、基準面測定方法、及び基準面測定装置
RU2015102094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трехмерных ультразвуковых измерений объемных областей
CN102322839B (zh) 一种光学虚拟光源出光角度的测量装置和方法
CN109916341B (zh) 一种产品表面水平倾斜角度的测量方法及系统
Hiersemenzel et al. ISO compliant reference artefacts for the verification of focus varation-based optical micro-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US20090113986A1 (en) Verifying the calibration status of an optical tracking system
KR20210115819A (ko) 레이더 성능 분석 장치 및 방법
JP2011180044A (ja) 光束平行度測定装置
CN106895798B (zh) 一种光栅平行性检测装置
KR200450894Y1 (ko) 고체의 굴절률 측정장치
CN102346011A (zh) 测量工具和测量方法
JP2013156239A (ja) 単眼拡大鏡用接触角値換算スケール板
US20170108331A1 (en) Portable device for the contactless measurement of objects
BRMU8703085Y1 (pt) Dispositivo para medição fotogramét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