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170B1 -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170B1
KR101777170B1 KR1020150126521A KR20150126521A KR101777170B1 KR 101777170 B1 KR101777170 B1 KR 101777170B1 KR 1020150126521 A KR1020150126521 A KR 1020150126521A KR 20150126521 A KR20150126521 A KR 20150126521A KR 101777170 B1 KR101777170 B1 KR 10177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signature information
smart p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325A (ko
Inventor
이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웍스
Priority to KR102015012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1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인증대상단말에서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인증주체단말에서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어플 제어부;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 전송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한 접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 상기 스마트펜으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ONLINE LEARNIMG INFORM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부터 서명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명 정보들을 매칭하여 인증대상단말의 사용자가 인증주체단말의 사용자로부터 인증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모바일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보급된 이후로는 개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이 거의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매장에서는 단골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매장을 많이 방문했거나 결재 금액에 따라 혜택을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매장 방문 기록이나 결재 금액에 대한 내용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쿠폰에 스탬프를 찍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스탬프 방법은 고객이 쿠폰을 잃어버릴 경우 몇 개의 스탬프가 찍혀있었는지 알기가 어렵고, 고객들이 복수개 매장의 쿠폰들을 일일이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폰이 보급됨과 함께 해당 매장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해당 매장에 방문할 때마다 고객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인증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고객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바코드 등을 매장 기계에 인식시키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에 자동적으로 방문 횟수가 적립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각의 매장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세한 사업체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비용을 투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도 인증을 받고자 하는 매장마다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설치해야 하고, 또 자신의 개인정보를 모든 매장의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해야 한다는 부담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스마트펜을 이용하여, 피인증인 및 인증인의 단말기에서 수신한 서명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오프라인에서의 서명 행위에 대하여 온라인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펜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인증 정보를 매칭시켜, 인증의 오인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복수개의 매장으로부터 고객이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마트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인증대상단말에서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인증주체단말에서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어플 제어부;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 전송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한 접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 상기 스마트펜으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상기 스마트펜의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GPS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스마트펜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제공하는 어플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에 의해 추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링 및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동일한 인증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신호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하는 동안의 스마트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과 관계된 피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대상 관리부;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관계된 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주체 관리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은 고객이 휴대하는 단말이고, 상기 인증주체단말은 매장의 직원이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증대상단말과 스마트펜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단계; 인증주체단말이 스마트펜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주체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주체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 전송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상기 스마트펜의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GPS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스마트펜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에 의해 추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링 및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동일한 인증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신호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하는 동안의 스마트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과 관계된 피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대상 관리 단계;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관계된 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주체 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은 고객이 휴대하는 단말이고, 상기 인증주체단말은 매장의 직원이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에서의 서명 행위에 대하여 온라인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매칭시킴으로써, 인증의 오인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하여도 복수의 매장으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구성들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의 일 예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의 인증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의 구성들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은 인증 서버(100), 인증대상단말(200), 인증주체단말(300), 스마트펜(31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원 발명은 고객이 특정 매장을 방문했을 때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둘 이상의 사람이 만남을 가졌을 때 그 만남을 증명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 명에 따르면 만남, 방문과 같은 오프라인에서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었을 때에, 스마트펜(310)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에서의 접촉을 간단하게 인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매장을 방문한 고객(본원 발명에서는 인증대상단말(200)의 사용자)가 매장의 점원(본원 발명에서는 인증주체단말(300)의 사용자)으로부터 스마트펜(310)으로 사인을 받고, 서버에서는 수신된 서명 정보들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완료하는 구성을 주된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고객이 소지하는 인증대상단말(200) 및 매장을 운영하는 운영자가 소지한 인증주체단말(300)에는 본 발명의 인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매장 점원은 고객의 방문을 인증하기 위해 스마트펜(310)을 이용하여 인증대상단말(200)의 터치 화면에 서명을 한다. 이때,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스마트펜(310)은 인증주체단말(300)에 등록된 스마트펜(310)일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인증대상단말(200)과 스마트펜(310)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인증대상단말(200)의 터치 화면에 서명을 하는 동안의 스마트펜(310)의 동작 정보 신호를 수신한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한다.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인증 서버(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인증 서버(100)는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를 수신하여 매칭한 후, 매칭 결과를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로 통보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인증주체단말(300)이 없이 인증대상단말(200) 및 스마트펜(310) 만으로 인증을 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펜(310)의 동작 신호 정보를 인증주체단말(300)이 수신하지 않고,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직접 인증대상단말(200)이 감지하여,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펜(310)과의 접촉에 기초한 제 1 서명 정보 및 수신한 동작 정보 신호에 기초한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100)는 인증대상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대상단말(200)은 자기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기장 센서는 스마트펜(310)에 내장된 영구 자석 혹은 전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펜(310)의 영구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기장 센서가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유추한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인증주체단말(300)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므로 서명 절차가 더 간략해지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증 서버(100)는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로부터 인증정보들을 수신하여, 인증정보들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 여부를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서버(100)는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서버일 수 있으며,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설치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00)는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설치된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펜(310)의 동작에 기초한 서명 정보들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비록 인증 서버(100)가 인증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들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자체가 동작 제어 코드를 포함하고, 인증 서버(100)는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동작 제어 코드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증 어플리케이션은 모든 동작들이 인증 서버(100)에 의해 반드시 제어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들을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증 서버(100)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은 도 3 와 관련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인증대상단말(200)은 인증을 받고자 하는 주체, 즉 피인증인이 소지한 휴대용 단말로서, 터치 스크린을 가진 단말일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은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터치 스크린으로 감지하여,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펜(310)이 터치된 시간,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GPS 위치 정보, 자기장 센서값, 스마트펜(310)의 블루투스 신호의 Mac Address 등을 포함하는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상점 B 의 방문 인증을 받고자 하는 고객 A 가 인증대상단말(200)을 휴대할 수 있다. 상점 B 의 점주 또는 점원은 스마트펜(310)과 연동될 수 있는 인증주체단말(300)을 소지할 수 있다. 상점 B 는 단골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방문 횟수에 따라 혜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해당 고객이 방문했다는 것을 인증하기 위해 상점 B 의 점원은 스마트펜(310)을 사용하여 고객 A 가 소지한 인증대상단말(200)의 터치스크린에 서명을 하고, 고객 A 의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명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대상단말(200)은 스마트펜(310)의 영구자석 혹은 전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기장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자기장 센서가 생성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인증대상단말(200)은 스마트펜(310)과의 접촉에 기초한 제 1 서명 정보 뿐만 아니라,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주체단말(300)은 인증을 주고자 하는 주체, 즉 인증인이 소지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인증주체단말(300)은 반드시 휴대될 필요는 없으며, 인증 주체가 소지하는 컴퓨터, 노트북 및 휴대기기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인증주체단말(300)에는 본원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인증주체단말(300)에 연계된 스마트펜(310)을 등록할 수 있다. 인증주체단말(300)은 통신망(400) 혹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스마트펜(310)과 통신할 수 있다.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펜(310)이 인증대상단말(200)과 접촉할 때 생성된 동작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스마트펜(310)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값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증대상단말(200)이 터치스크린을 통해 직접 서명의 궤적을 획득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인증주체단말(300)에서는 동작 정보 신호로부터 서명의 궤적을 추론할 수 있다.
인증인은 인증을 위해 스마트펜(310)을 사용하여 인증대상단말(200)의 터치스크린에 서명 인증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마트펜(310)은 동작 정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서명 시 스마트펜(310)이 생성하는 동작 정보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 값 등일 수 있다. 스마트펜(31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인증주체단말(300)은 스마트펜(310)으로부터 상기 동작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기초하여 제 2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펜(310)이 생성한 동작 정보 외에도, 스마트펜(310)이 인증대상단말(200)에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등을 참조하여, 서명의 모양을 추론하고 펜의 움직임을 구조화하여 시간 정보와 함께 제 2 인증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주체단말(300)이 생성한 제 2 인증 정보는 인증주체가 인증대상단말(200)의 스크린에 스마트펜(310)을 사용하여 생성한 서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2 인증 정보는 서명의 궤적을 계산할 수 있는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펜(310)으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서명의 근사치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근사치를 포함하는 제 2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310)의 일 예이다.
도면에서는 스마트펜(310)의 구조에 대해 본원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들만을 예시하였으나, 본원의 핵심적인 구성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스마트펜(310)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펜(310)은 터치 촉(311), 터치 센서(312), 자이로 센서(313), 가속도 센서(314), 블루투스(315) 및 배터리(316) 을 포함한다.
스마트펜(310)의 터치 촉(311)은 인증대상단말(200)의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을 통해 인증대상단말(200)에 서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인증대상단말(200)과의 접촉을 터치 센서(312)는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313) 및 가속도 센서(314)는 서명하는 동안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312), 자이로 센서(313), 가속도 센서(314)가 생성한 스마트펜(310)의 동작 정보는 블루투스(315)를 통해 인증주체단말(300)에 송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비록 도 2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펜(310)에는 영구자석 혹은 전자석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의 자기장 센서는, 스마트펜(310)이 움직일 때 영구 자석 혹은 전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스마트펜(3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제 1 서명 정보 혹은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0)은 인증 서버(100), 복수개의 인증대상단말(200)과 인증주체단말(300)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복수개의 인증대상단말(200)과 인증주체단말(300)들이 인증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4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4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 1 에서는 스마트펜(310)이 통신망(400)을 사용하지 않고 인증주체단말(30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펜(310)은 통신망(400)을 사용하여 인증주체단말(3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100)의 동작에 대해, 도 3 을 예시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인증 대상 관리부(110), 인증 주체 관리부(120), 어플 제어부(130), 매칭부(140), 통보부(15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한다. 또한, 어플 제어부(130)는 어플 제공부(131),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132) 및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133)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대상 관리부(11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고자 하는 모든 피인증인들의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계속하여 설명하면, 인증 대상 관리부(110)는 고객 A 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계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대상 관리부(110)는 인증대상단말(200)을 사용하는 주체, 즉 피인증인의 정보를 인증대상단말(200)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대상단말(200)에는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인증대상단말(200)의 사용 주체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과 관련된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인증 대상과 관련한 정보들을 인증 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고, 인증 서버(100)는 수신한 인증 대상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인증 대상 관리부(110)는 특정 계정의 피인증인이 특정 계정의 인증인들로부터 인증받은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A 가 매장 A, B, C, D 로부터 인증받은 내역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 주체 관리부(120)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고자 하는 모든 인증인들의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계속하면, 인증 주체 관리부(120)(120)는 점주 B 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고자 하는 점주의 계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주체 관리부(120)(120)는 인증주체단말(300)을 사용하는 주체, 즉 인증인의 정보를 인증주체단말(300)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특히, 인증 주체 관리부(120)는 특정 계정의 인증인이 특정 계정의 피인증인에게 인증한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 B 가 고객 A, B, C 등에게 인증한 내역을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증 대상 관리부(110) 및 인증 주체 관리부(120)가 피인증인 및 인증인의 계정들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피인증인들은 매장(인증인)들이 제공하는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아도, 본원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든 매장으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플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를 제공하고,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를 획득하고, 서명 정보들에 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 및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어플 제어부(130)는 어플 제공부(131),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132),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133)를 포함한다.
먼저, 어플 제공부(13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되어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주체단말(300)에 설치되어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 양자에서 모두 작동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제 1 서명 정보 혹은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는 예를 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인증대상단말(200)용 어플리케이션 및 인증주체단말(300)용 어플리케이션이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인증인 및 피인증인은 통신망을 통해 본원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자신의 인증주체단말(300) 혹은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인증 서버(100)에 등록된 계정으로 로그인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 제어부(130)가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132)는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인증대상단말(200)과 스마트펜(310)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 1 서명 정보에서는 스마트펜(310)이 터치된 시간, 상기 스마트펜(310)의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상기 인증대상단말(200)의 GPS 위치 정보, 자기장 센서값, 스마트펜(310)의 블루투스 신호의 Mac Address 등을 포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1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의 동작으로 발생한 서명 이벤트의 관련 정보 중 인증대상단말(200) 측에서 생성한 정보를 의미한다. 특히, 제 1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의 터치의 궤적으로부터 생성된 서명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서명 정보는 인증을 받고자 하는 피인증인의 계정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서명 정보에는 스마트펜(310)의 블루투스 신호의 Mac Address 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132)는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인증대상단말(200)이 어느 스마트펜(310)과 근접해있는지를 판단하여, 가장 근접한 스마트펜(310)의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133)는 인증주체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스마트펜(310)으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 2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스마트펜(310)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센서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의 동작으로 발생한 서명 이벤트의 관련 정보 중 인증주체단말(300) 측에서 생성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 1 서명 정보의 경우와는 달리, 인증주체단말(300)은 터치스크린에 직접 스마트펜(310)이 터치한 것이 아니므로, 서명의 모양을 스마트펜(310)의 동작 신호로부터 추론해야 한다. 즉, 제 2 서명 정보는 스마트펜(310)으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신호 뿐만 아니라, 동작 정보 신호로부터 유추한 서명 정보의 근사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133)는 인증대상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스마트펜(310)의 영구 자석 혹은 전자석의 움직임을 자기장 센서로 감지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명 시의 스마트펜(310)은 인증대상단말(200)과 근거리에 있으므로, 인증대상단말(200)의 자기장 센서는 스마트펜(310)에 내장된 자석의 움직임을 자기장의 변화로 감지할 수 있고,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133)는 자기장 센서의 데이터로부터 제 2 서명 정보를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칭부(140)는 인증주체단말(300) 및 인증대상단말(200)로부터 수집한 서명 정보들에 기초하여 양 단말에 행해진 인증-피인증이 일치하는 것인지 여부를 매칭한다. 보다 상세히, 매칭부(140)는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매칭부(140)가 서명 정보들을 매칭하는 방법은, 제 1 서명 정보의 형식을 제 2 서명 정보의 형식으로, 혹은 그 반대 방향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서명 정보가 서명의 궤적을 포함함하는 경우, 매칭부(140)는 제 2 서명 정보의 시간별 자이로스코프 값, 터치된 시간 등에 기초하여 서명의 궤적을 유추할 수 있다. 즉, 매칭부(140)는 제 1 서명 정보로부터 획득한 서명의 궤적과 제 2 서명 정보로부터 유추된 서명의 궤적을 비교하여,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동일한 서명 활동에 대해 생성된 것임을 인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매칭부(140)는 제 1 서명 정보와 제 2 서명 정보를 가공하여 서로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매칭부(140)는 양 서명 정보로부터 서명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서명의 모양, 서명에 걸린 시간, 서명 중 펜이 닿았다가 떨어진 회수 및 시간 등을 고려하여 양 서명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매칭에 사용된 정보는 제 1 서명 정보 혹은 제 2 서명 정보에 직접적으로 포함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부(140)가 직접 생성한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칭부(140)는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서명의 선의 길이, 선이 꺾인 각도, 꺾인 시간을 유추하여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 1 서명 정보로부터 유추된 값 및 제 2 서명 정보로부터 유추된 값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매칭부(140)는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로부터의 수신한 인증 정보를 서로 대조하여 매칭시킴으로써, 인증의 오인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통보부(150)는 서명 정보의 매칭 여부를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에 송부한다. 보다 상세히, 통보부(150)는 매칭 여부가 인증대상단말(200) 및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에 매칭 여부가 팝업 메시지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메모리(160)는 피인증인들의 계정, 인증인들의 계정, 제 1 서명 정보, 제 2 서명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물리적인 메모리(160)일 수 있다. 비록 도 3 에서는 메모리(160)가 서버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메모리(160)는 서버와 별개로 존재하는 저장 장치일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펜(310)의 인증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인증 서버(100)는 피인증인의 및 인증인의 정보를 등록한다. (S10). S10 단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등록된 피인증인 및 인증인의 계정이 아니더라도 인증 서버(100)는 일시적인 인증을 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인증대상단말(200)과 스마트펜(310)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대상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도록 한다. (S20)
다음으로, 인증주체단말(300)이 스마트펜(31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주체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도록 한다. (S30)
다음으로, 상기 인증 대상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주체단말(300)로부터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획득한다. (S40)
다음으로,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한다. (S50)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 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300)로 전송한다. (S6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증 서버 110: 인증 대상 관리부
120: 인증 주체 관리부 130: 어플 제어부
131: 어플 제공부 132: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
133: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 140: 매칭부
150: 통보부 160: 메모리
200: 인증대상단말 300: 인증주체단말
310: 스마트펜

Claims (21)

  1. 스마트펜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인증대상단말에서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인증주체단말 혹은 상기 인증대상단말에서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어플 제어부;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 전송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한 접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1 서명 정보 생성부;
    상기 스마트펜으로부터 수신된 동작 정보 신호 혹은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제 2 서명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명 정보는 자기장 센서값,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상기 스마트펜의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GPS 위치 정보, 상기 스마트펜의 블루투스 신호의 Mac Addr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자기장 센서값, 스마트펜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 제어부는,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제공하는 어플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것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에 의해 추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링 및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동일한 인증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신호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하는 동안의 스마트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스마트펜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과 관계된 피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대상 관리부;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관계된 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주체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자석,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은 고객이 휴대하는 단말이고, 상기 인증주체단말은 매장의 직원이 소지하는 단말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
  11. 인증대상단말, 인증주체단말 및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과 스마트펜의 접촉에 기초하여 제 1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주체단말이 스마트펜으로부터 수신한 동작 정보 신호 혹은 상기 인증대상단말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한 것에 기초하여 제 2 서명 정보를 상기 인증주체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서명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인증주체단말 혹은 상기 인증대상단말로부터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와 상기 제 2 서명 정보의 매칭 결과를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인증주체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명 정보는 자기장 센서 값,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상기 스마트펜의 터치의 궤적, 터치 시의 상기 인증대상단말의 GPS 위치 정보, 상기 스마트펜의 블루투스 신호의 Mac Address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명 정보는 상기 스마트펜이 터치된 시간, 서명에 걸린 시간, 자기장 센서 값, 스마트펜 내의 자이로 센서 값, 가속도 센서 값, 터치 센서 값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인증대상단말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상기 인증주체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것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상기 제 2 서명 정보에 의해 추론된 정보에 기반하여, 필터링 및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서명 정보 및 제 2 서명 정보가 동일한 인증 이벤트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신호는 상기 스마트펜이 상기 인증대상단말에 접촉하는 동안의 스마트펜의 동작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스마트펜에 내장된 자석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대상단말과 관계된 피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대상 관리 단계; 및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관계된 인증인의 계정을 관리하는 인증 주체 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펜은 자석, 가속도 센서, 터치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상기 인증주체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단말은 고객이 휴대하는 단말이고, 상기 인증주체단말은 매장의 직원이 소지하는 단말인,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21. 제 11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26521A 2015-09-07 2015-09-07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77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1A KR101777170B1 (ko) 2015-09-07 2015-09-07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521A KR101777170B1 (ko) 2015-09-07 2015-09-07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325A KR20170029325A (ko) 2017-03-15
KR101777170B1 true KR101777170B1 (ko) 2017-09-11

Family

ID=5840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521A KR101777170B1 (ko) 2015-09-07 2015-09-07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118A1 (ko) * 2020-02-18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965A (ja) 2002-03-19 2003-09-26 Fujitsu Ltd 手書き署名認証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965A (ja) 2002-03-19 2003-09-26 Fujitsu Ltd 手書き署名認証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325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8465B2 (en) Synchronizing computer vision interactions with a computer kiosk
US11948151B2 (en) Custome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process
US11783335B2 (en) Transaction confirmation and authentication based on device sensor data
US20110202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ecure transaction confidence score
US921531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N105637522B (zh) 使用受信证书的世界驱动访问控制
TW200951760A (en) Detecting a phishing entity in a virtual universe
WO2010134817A2 (en) Servers for device identification services
EP2317729A1 (en) Servers for device identification services
US11381576B2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2017037529A (ja) 認証装置、端末装置、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JP7088627B2 (ja) 証明書発行プログラム、証明書発行装置及び証明書発行方法
JP6342035B1 (ja) リカバリ装置、リカバリ方法及びリカバリプログラム
US10952015B2 (en) Interlinked geo-fencing
KR101777170B1 (ko) 스마트펜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2018147327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KR20140111137A (ko) 온라인 게임용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201521580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