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106B1 -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106B1
KR101777106B1 KR1020160058244A KR20160058244A KR101777106B1 KR 101777106 B1 KR101777106 B1 KR 101777106B1 KR 1020160058244 A KR1020160058244 A KR 1020160058244A KR 20160058244 A KR20160058244 A KR 20160058244A KR 101777106 B1 KR101777106 B1 KR 10177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information
item
specif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이재경
윤무병
변수진
김우중
황진상
안경익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부품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주)부품디비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106B1/ko
Priority to US16/099,759 priority patent/US11423190B2/en
Priority to PCT/KR2016/005535 priority patent/WO2017195926A1/ko
Priority to EP16901761.3A priority patent/EP3457347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은 원자력발전소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설계기준들에 대한 정보, 복수의 분류들 중 상기 설계기준들 각각에 해당하는 분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설계기준들 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에 해당하는 특정 설계기준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의 제공정보-상기 특정 설계기준의 제공정보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설계기준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며 타분류에 속하는 연결 설계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류들은 설계요건(REQ), 상기 설계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계기준사양(DBS), 상기 설계기준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계통/기기사양(SSCS),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및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상기 설계변수(DP)와 상기 설계지원정보(SDI)에 부합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Data-Centric Management System of Design Bases for Nuclear Power Pla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발전소의 형상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설계기준문서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원자력발전소의 형상관리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 한다.)는 매우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요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라는 개념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원전의 형상관리는 원전 설계기준, 시설형상정보, 물리적형상이 항상 일치되게 관리하는 체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업자와 규제기관의 요구사항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며 필요 시 모든 형상관리 정보를 검증하고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형상관리 프로세스는 원전의 형상변경이 필요한 경우 이를 평가하고 변경의 영향을 결정하고 최적의 실행 방법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며, 원전 형상변경에 대한 승인-실행-문서화의 과정을 절차적으로 완결토록 하는 통합관리 체계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형상관리 전산시스템은 형상관리 대상을 식별하고 제품구조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변경에 대한 영향을 추적하고 정보 간 상호 연계성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원전의 계통(System), 구조물(Structure), 기기(Component) 등에 대한 설계요건(Design Requirements), 설비의 형상정보(Facility Configuration, 예컨대, 다양한 설계문서/도면/데이터)및 실제형상(Physical Plant Configuration) 간의 일치성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원전의 형상관리를 위해서는 설계기준문서가 매우 중요하다.. 설계기준문서라 함은, 계통, 구조물, 기기및 특정분야(Topical areas)에 대한 특성을 식별하여 관련문서 및 설계기준정보(Design Bases Information)를 체계적으로 종합한 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기준문서는 설계기준을 규정하는 설계요건, 성능요건 및 특정변수를 문서화 하고 종합함으로써, 해당 설계가 상위요건을 만족하는지 설계검증용으로 활용할 수 있고 원전의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설비 교체 및 성능 변경 시 설계기준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변경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여 원전의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을 차단하고, 원전 성능개선 등의 이유로 설계기준을 변경할 시 설계기준 간에 복잡한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재되어 있는 설계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운영 및 유지보수에도 광범위하게 참고할 수 있는 정보로써 기능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설계기준문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정보들의 취합에 어려움이 있어서 종래에는 설계기준문서를 활용한 형상관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설계기준문서를 작성해서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설계기준문서간 연계성이 부여되지 않고 설계기준문서에 포함되는 설계기준항목의 분류들 및 분류들 각각에 포함되는 방대한 양의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들을 단순히 출력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원전의 설계 또는 설계 변경시나, 운영 및 유지보수시에 설계기준문서들을 검토하는 데에도 매우 어려운 상황일 뿐만 아니라, 설계기준문서에 포함될 각각의 설계기준항목들이 방대한 문서에 단편적으로 분산되어 기술되어 있어서, 서로 연관된 설계기준항목들을 효율적으로 찾는 것이 사실상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0005호(2014년 5월 27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설계기준문서에 포함될 설계기준항목들을 전자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의 연결관계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계변경, 원전 운영 또는 유지보수시에 원전의 운영주체가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특정 설비와 관련된 설계기준항목들의 탐색이나 직관적인 인지에 효과적일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은 원전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 복수의 분류들 중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해당하는 분류에 대한 정보및 상기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에 해당하는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며 타분류에 속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류들은 설계요건(REQ, Requirement), 상기 설계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계기준사양(DBS, Design Bases Specification), 상기 설계기준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계통/기기사양(SSCS, Structure System Component Specification),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지원정보(SOI, Support Operation Information)와 설계변수(DP, Design Parameter)와 설계지원정보(SDI, Support Desgin Information) 및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상기 설계변수(DP)와 상기 설계지원정보(SDI)에 부합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Physical Structure System Component Dat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계가 설계기준항목들 간에는 상위분류, 하위분류및 동일레벨 분류 관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상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계요건(REQ)은 최상위 분류로 정의되고, 상기 설계기준사양(DBS)은 상기 설계요건의 하위분류,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SSCS)은 설계기준사양의 하위분류,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 각각은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의 하위분류,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 각각의 하위분류로 정의되고,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는 서로 동일레벨 분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대응되는 참조문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응되는 참조문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상응하는 설비의 태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상응하는 설비에 상응하는 실제형상(Physical Plant Configur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실제형상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 분류까지,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상기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방법은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원전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분류들 및 상기 분류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의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며 타분류에 속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및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상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의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인 경우,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설비가 설계단계부터 부여된 기능위치 및 속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특정 설계기준의 제공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 방법은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 분류까지,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 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설계기준문서에 포함될 설계기준항목들을 전자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의 연결 관계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설계시, 운영시, 또는 유지보수시에 효과적으로 설계기준문서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선택시에 상위분류, 동일레벨 분류, 하위분류에 해당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들을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설계기준항목들간의 연결성 뿐만 아니라 계층적(hierarchy)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관련성 있는 참조정보 탐색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설비에 대해 특정 설비를 나타내는 최하위 분류부터 최상위 분류까지, 상기 특정 설비와 관련된 설계기준항목들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서 특정 설비에 대한 사용자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 통합적인 파악 및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계기준문서의 계층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100, 이하, '관리 시스템' 이라 함)은 소정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는 별개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관리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특정 설비에 대응되는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탐색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설계기준항목은 원전을 설계 및 건설하거나 운영 및 유지보수하기 위해 지켜져야할 요건이 정의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기준항목 관리를 통해 원전의 형상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이러한 형상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효율적인 형상관리를 위해서는, 원전을 구성하는 특정 설비가 만족해야할 설계기준항목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설비와 관련되며 서로 연결관계를 갖는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 및 이들의 계층적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특정 설비가 만족해야 하는 설계기준항목은 복수개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설계기준항목들 역시 서로 계층적인(hierarchy) 관계구조를 가지도록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설계기준항목은 복수의 분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설계기준항목의 분류는 설계요건(Design Requirements, REQ), 설계기준사양(Design Bases Specification, DBS), 구조물/계통/기기사양(Structure, System, and Component Specification, SSCS), 운영지원정보(Supporting Operation Information, SOI)와 설계변수(Design Parameter, DP)와 설계지원정보(Supporting Design Information, SDI) 및 물리적 설비 데이터(Physical Structure, System, and Component Specification Data, PSSCD)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류들은 서로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분류들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설계기준항목 역시 다른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각각의 분류들이 서로 계층적인 구조로 정의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기준항목들은 상기 분류들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설계요건(REQ)은 원전의 특정 계통(system)에서 만족하여야 할 최상위 요건을 정의하는 기준일 수 있다. 상기 설계요건(REQ)은 원전의 건설 및 운영을 위해 충족시켜야할 포괄적인 요건이 포함되며, 법령 및 규제요건, 기타 법규 및 기술기준, 그리고 계약 의무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인허가 요건(건설 및 운영허가기준), 규제기관의 행정명령 등의 규제요건, 계약요건이나 유틸리티 요구사항 등의 비규제요건, 법규 또는 표준 등이 이러한 설계요건(REQ)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사양(DBS)은 상기 설계요건(REQ)에서 정의된 요건을 구체적으로 전환하여 기술한 내용으로, 설계요건(REQ)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설계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특정 원전 설계가 어떻게 정의되었는지 구체적인 설계기준사양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설계기준서(General Design Criteria), 안전심사지침, 사고해석보고서, 기술지침서 등이 그 예일수 있다.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은 일반적인 원전 특성 관련 설계기준사양(DBS)으로부터 도출되는 특정 계통, 구조물 및 기기의 기능 및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특정 계통, 구조물및 기기가 상기 설계기준사양(DBS)을 어떻게 만족하고 있는지를 정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계통설계기준서에 기술된 내용을 위주로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에 포함될 수 있고, 인허가문서 또는 기타 연계문서들이 참조문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설계요건 뿐만 아니라 각종 기기의 시험요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운영지원정보(SOI)는 설계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더라도 구조/계통/설비사양(SSCS) 또는 이들의 상위 설계기준(예컨대, 설계기준사양(DBS), 설계요건(REQ) 등)을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 및 보수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전의 운영, 유지보수 및 점검절차서 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계통운영절차서, 정기점검절차서, 비상운영절차서/기술지침서 등이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계변수(DP)는 계통 및/또는 기기들에 대한 어떤 구체적인 입력 및 출력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위 설계기준(예컨대, 설계요건(REQ), 설계기준사양(DBS),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을 달성하기 위한 계통 및/또는 기기들의 특정 값 또는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설계 제한치, 운영 제한치, 경보 및 트립설정치, 정상운영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지원정보(SDI)는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를 충족하기 위한 설계내용을 형상정보(Physical Information)으로 제공하기 위한 각종 관리변수(Controlling Parameter)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을 충족시키는 실제 계통, 구조, 또는 설비를 설계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 계산서, 계산결과,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보고서 등과 같이 구조/계통/설비사양(SSCS)를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조/계통/설비의 상세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물리적 구조, 계통, 설비와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그 자체로 하나의 설계기준항목이자 해당 구조, 계통, 설비의 물리적 장치에 대응되는 설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항목은 복수의 분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분류에 해당하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류(또는 각각의 분류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설계기준항목)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관계를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기준항목들의 분류 및 계층적인 관계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계기준문서의 계층적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기준문서는 복수의 설계기준들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류들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설계기준항목은 설계요건(REQ), 설계기준사양(DBS), 구조/계통/설비사양(SSCS), 운영지원정보(SOI), 설계변수(DP), 설계지원정보(SDI), 또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중 어느 하나의 분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분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분류들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가진다고 함은, 분류들 각각에 해당하는 개별적인 설계기준항목들 역시 분류들의 계층적인 관계 구조와 동일한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계층적인 관계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어떠한 제1분류에 해당하는 제1설계기준항목을 만족하기 위해 생성되거나 정의되는 제2설계기준항목 또는 제2설계기준항목에 해당하는 제2분류는, 각각 제1설계기준항목의 하위분류 또는 제1분류의 하위분류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요건(REQ)(또는 설계요건(REQ)에 해당하는 제1설계기준항목)은 최상위 분류가 될 수 있고, 상기 설계요건(REQ)(또는 상기 제1설계기준항목)을 만족시키기 위한 요건들을 정의하는 설계기준사양(DBS)(또는 상기 설계기준사양(DBS)에 해당하는 제2설계기준항목)은 상기 설계요건(REQ)(또는 상기 제1설계기준항목)의 하위분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계기준사양(DBS)(또는 상기 제2설계기준항목)을 만족시키기 위한 요건인 구조/계통/설비사양(SSCS)(또는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에 해당하는 제3설계기준항목)은 상기 설계기준사양(DBS)(또는 상기 제2설계기준항목)의 하위분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또는 상기 제3설계기준항목)을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지원정보(SOI)(또는 운영지원정보(SOI)에 해당하는 제4설계기준항목), 설계변수(DP)(또는 설계변수(DP)에 해당하는 제5설계기준항목)및 설계지원정보(SDI)(또는 설계지원정보(SDI)에 해당하는 제6설계기준항목)은 각각 상기 구조/계통/설비사양(SSCS)(또는 상기 제3설계기준)의 하위분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또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해당하는 제7설계기준항목)는 상기 운영지원정보(SOI)(또는 제4설계기준항목), 상기 설계변수(DP)(또는 제5설계기준항목)및 상기 설계지원정보(SDI)(또는 제6설계기준항목)의 하위분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지원정보(SOI)(또는 제4설계기준항목) 및 상기 설계지원정보(SDI)(또는 제6설계기준항목)는 상기 설계변수(DP)(또는 제5설계기준항목)를 정의하는데에 이용되거나 참조되는 정보이므로 운영지원정보(SOI)(또는 제4설계기준항목), 상기 설계지원정보(SDI)(또는 제6설계기준항목)및 상기 설계변수(DP)(또는 제5설계기준항목)는 각각 동일레벨의 분류로 정의될 수 있다.
결국 원전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항목들은 각각 소정의 분류로 구분되고, 이러한 분류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이러한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갖는 설계기준항목들을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사용자(예컨대, 원전의 운영주체)가 특정 물리적 설비(구조/계통/기기)에 관련된 설계기준들의 탐색, 탐색된 설계기준항목들의 연결관계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 데이터베이스(120)및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나 특정 개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및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 등) 중 일부와 나머지 일부는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들에 설치되고, 상기 물리적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 각각도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들(예컨대, 데이터베이스(120), 인터페이스 모듈(13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은 원전의 운영주체 측에 의해 정의되어 생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120) 역시 상기 원전의 운영주체(또는 상기 운영주체의 의뢰를 받은 주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는 각각의 설계기준항목은 상기 설계기준항목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 역시 상기 운영주체에 의해 부여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설계기준항목의 식별정보는 해당 설계기준항목에 해당하는 분류를 식별하기 위한 분류 식별정보(예컨대, REQ, DBS, SSCS, SOI, DP, SDI, PSCCD), 해당 설계기준항목이 적용되는 계통(system)및 일련번호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되고 있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의 식별정보(예컨대, REQ-AF-001 내지 REQ-AF-010 등) 각각은 해당 설계기준항목이 설계요건(REQ)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며, 계통은 AF(Auxiliary Feedwater system) 즉, 보조급수계통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5의 좌측 상단에 기재된 DBS-AF-001이라는 식별정보는 상기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 설계기준사양(DBS)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며, AF 계통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들 중 첫 번째 설계기준항목임을 나타내는 정보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은 설계기준항목들 자체에 대한 정보(즉, 해당 설계기준에서 정의하는 요건에 대한 내용),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대한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설계기준항목들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참조문서는 각각의 설계기준항목들 자체의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문서, 또는 그 근거가 되는 문서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원전의 운영주체는 각각의 설계기준항목들 별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참조문서를 해당 설계기준항목에 대응되는 참조문서로 정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해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각의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설계기준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계는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타분류의 타설계기준항목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일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관계에 대한 정보에는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타 설계기준항목의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타 설계기준항목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상위분류인지, 하위분류인지, 또는 동일레벨 분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즉, 계층적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설계기준항목의 식별정보에 해당 설계기준항목의 분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들의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만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다면, 이러한 정보를 이용해 타 설계기준항목과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계층적인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연결관계에 대한 정보에는 타 설계기준항목과의 계층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는 별도로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제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상응하는 제공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에 의해 정의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어모듈(110)이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한다고 함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이 제공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프로세스의 수행 중에 상기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으로 소정의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며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 자체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타분류의 타설계기준항목 즉,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설계기준항목 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이 추출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는 상기 연결 설계기준항목의 식별정보일 수 있고, 제공된 연결 설계기준항목의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선택되면 상기 연결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가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 자체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직접 연결 설계기준항목 전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제공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직접 연결 설계기준항목 중 일부에 대해서만 상기 제공정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직접 연결 설계기준항목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간접 연결 설계기준항목(즉,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타 설계기준항목을 통해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공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이고,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를 갖는 모든 연결 설계기준항목(즉, 직접 연결 설계기준항목 및 간접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며, 상기 연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의 분류를 계층적으로 표현할 경우에는 도 13 내지 도 14에서 후술할 바와 같이 추적성 연결 관계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대응되는 특정 설비의 교체, 변경, 또는 수리 등 상기 특정 설비에 대한 조치가 필요할 경우, 상기 특정 설비와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설계기준항목들을 통합적으로 그리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형상관리가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추적성 연결관계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계기준항목이 반드시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일 필요는 없으며, 어떠한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더라도 선택된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설계기준항목들 모두를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추출하여 계층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공정보에 포함된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나열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게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상기 연결 설계기준항목의 계층적 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들(예컨대, 31 내지 33)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모듈(110)은 특정 설계기준항목(예컨대, 도 5에서는 DBS-AF-001)의 상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 REQ-AF-050) 및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SSCS-AF-009 등)이 가시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일 예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기준사양(DBS) 분류의 동일레벨 분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동일레벨 분류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32)에는 어떠한 설계기준항목도 포함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는 직접 연결 설계기준항목만이 상기 제공정보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이 상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국한되지는 않는다. 어떠한 경우든 상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구분되어 표시되면 족하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이러한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인 관계 구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해둘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대응되는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될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로써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응되는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더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응되는 참조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관리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원전 설계기준관리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화면 또는 정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일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1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10)에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도면에서는 설계요건으로 표현하기도 함)들을 디렉토리 구조로 탐색하기 위한 탐색 인터페이스(11) 및 상기 탐색 인터페이스(11)를 통해 특정 디렉토리(예컨대, 기계 계통의 AF 계통에 포함되는 설계요건(REQ) 디렉토리, 11-1)가 선택될 경우, 선택된 특정 디렉토리(11-1)에 상응하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표시 인터페이스(1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탐색 인터페이스(11)에서도 알 수 있듯이 디렉토리 구조의 최하위 디렉토리를 전술한 바와 같은 설계기준항목들의 분류별로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디렉토리에는 해당 디렉토리에 해당하는 분류의 설계기준항목들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표시 인터페이스(12)에 표시된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4, 12-1)을 선택(예컨대, 마우스 오버래핑 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4, 12-1)의 내용에 대한 정보가 소정의 UI(12-1-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 설계기준항목들 중에서 소정의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요청(예컨대, 클릭 등)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의 제공정보(20)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된 제어모듈(110)은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이 특정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상기 설계기준항목 자체에 대한 정보(예컨대, 도 4에 도시된, 아이템 패스(경로), 식별정보, 제목, 내용(Requirement text))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제공정보(20)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의 연결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정보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상위분류(21), 하위분류(23), 동일레벨 분류(22)로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은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REQ)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므로,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만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REQ-AF-001)에 대응되는 참조문서(예컨대, 25)가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식별정보, 설명, 타입 등)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선택된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24)의 제공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확인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연결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 역시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에 도시된다.
사용자가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이 제공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이 되는 설계기준항목이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이 특정되면 상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의 제공정보(30)를 특정하고, 특정된 제공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공정보에는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 자체에 대한 정보, 연결 설계기준항목들(31, 32, 33)및/또는 참조문서(35)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BS-AF-001, 24)은 설계기준사양(DBS)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연결 설계기준항목(31) 및 하위 연결 설계기준항목(33)이 존재하고, 이들에 대한 정보들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제공된 연결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34)이 선택되면, 선택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34)에 대한 제공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일예는 도 6에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34)에 대한 제공정보(40)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에서도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34) 자체에 대한 정보, 연결 설계기준항목들및/또는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41)가 상기 제공정보(4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SCS-AF-008, 34)에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공정보(40)를 통해 제공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설계기준(SDI-AF-005)이 선택되면 선택된 설계기준항목(SDI-AF-005)의 제공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예시적으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DI-AF-001)의 제공정보(5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DI-AF-001) 자체에 대한 내용, 연결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및 참조문서가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DI-AF-001)의 제공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DI-AF-001)은 설계지원정보(SDI)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DI-AF-001)에 해당하는 문서(예컨대, 계산서, 도면 등, 52)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문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공정보(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연결 설계기준항목 중 동일레벨 분류에 해당하는 소정의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P-AF-001)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P-AF-001)에 대한 제공정보(6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P-AF-001)은 설계변수(DP)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DP-AF-001)에 해당하는 관리변수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정보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연결 설계기준항목 및/또는 참조문서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연결 설계기준항목 중에서 동일레벨 분류에 해당하는 특정 설계기준ㅍ(예컨대, SOI-AF-001)을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공정보(61)가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SOI-AF-001)은 운영지원정보(SOI)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운영)단계 문서(예컨대, 절차서, 매뉴얼 등, 61-2)가 제공정보로써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정보(61)에 포함된 소정의 연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3-542-M-PP0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설계기준(예컨대, 3-542-M-PP01A)에 대한 제공정보(7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3-542-M-PP01A)은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분류에 해당하므로, 상기 설계기준항목(예컨대, 3-542-M-PP01A)은 특정 설비의 설계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정보(예컨대, 태그정보, 71)로 식별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특정 설비별로 대응되는 태그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은 특정설비에 해당하는 설계정보를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정설비에 해당하는 설계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설비의 기본정보, 위치정보, 추가정보및 속성정보(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분류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또는 설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 동일레벨 연결 설계기준항목, 또는 하위분류 연결 설계기준항목이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설비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분류, 하위분류, 또는 동일레벨 분류의 연결 설계기준항목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특정 설비와 연관된 설계기준항목들(72)로 일괄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상응하는 실제형상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실제형상(Physical Plant Configuration) 정보는 예컨대, 유지보수 대상 설비의 기능위치, 설비번호, 제품 일련번호, 설비규격정보, 유지보수 이력 등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실제형상 정보는 태그정보에 따라 설계된 물리적인 설비 자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능위치라 함은, 유지관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고, 특정 설비가 설치되어야할 시스템 영역을 의미하는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결국, 특정 설비가 해당 기능위치에 설치가 되는 경우에 비로서 특정 설비는 전체 장비의 일부로 특정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특정 설비에 해당하는 태그정보를 부여한 후, 이와는 별도로 상기 특정 설비에 해당하는 실제형상 정보(예컨대, 기능위치에 대한 정보 등)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실제형상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될 상기 특정 설비에 해당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포함되거나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1에 도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특정 설비(3-542-M-PP01A)에 상응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의 제공정보(7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소정의 UI(70-1)을 통해 상기 특정 설비(3-542-M-PP01A)에 대응되는 실제형상 정보(예컨대, 기능위치 등) 식별정보(예컨대, 2523-542-M-PP01A, 72-2)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식별정보(예컨대, 2523-542-M-PP01A)가 부여된 상기 실제형상 정보(예컨대, 기능위치 등)를 생성,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2에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1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30)을 통해 특정 설비(3-542-M-PP01A)의 실제형상 정보(예컨대, 기능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 저장및/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실제형상 정보(예컨대, 기능위치 등)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설비에 대한 설계정보뿐만 아니라 기능위치에 설치된 물리적인 실제설비와 관련된 정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시스템(100)의 제어모듈(110)은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 분류까지,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설비에 관련된 설계기준항목들을 통합적으로 그리고 계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특정 설비에 대해 소정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 확인 또는 검토하여야할 설계기준항목들을 빠뜨리지 않고 모두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는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테이블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다.
도 13은 추적성 연결관계정보가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생성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에는 특정 설비에 대응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의 상위 설계기준항목 즉,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설계기준항목들(예컨대, 운영지원정보(SOI), 설계변수(DP)및 설계지원정보(SDI)에 해당하는 설계기준)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와 간접적인 연결관계를 갖는 설계기준항목들(예컨대,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 설계기준사양(DBS)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및 설계요건(REQ)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이 다이어그램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다이어그램에 포함된 설계기준항목들 각각간의 연결관계는 도 13에서는 화살표로 표시되고 있다.
이처럼 상기 제어모듈(110)은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설비에 연관된 모든 설계기준항목들을 빠뜨리지 않고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계기준항목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인 구조로 표현될 수 있어서,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계층적인 관계 구조역시 직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0-1)을 선택하면, 도 3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설계기준항목을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제공정보를 우선적으로 조회를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4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의 다른 실시 예 즉, 테이블 형식으로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81)가 생성되어 제공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설비에 대응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해당하는 설계기준항목(또는 태그정보, 81-1)를 선택하면, 선택된 설비에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설계기준항목들(예컨대, 운영지원정보(SOI), 설계변수(DP), 또는 설계지원정보(SDI)) 각각에 대한 정보가 탐색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탐색된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2)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2)과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상위분류(예컨대, 구조/계통/설비사양(SSCS))의 설계기준항목들이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공된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3)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3)과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상위분류(예컨대, 설계기준사양(DBS))의 설계기준항목들이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설계기준항목들 중 특정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4)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4)과 직접 연결관계가 존재하는 상위분류(예컨대, 설계요건(REQ))의 설계기준항목들(예컨대, 81-5 등)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되어 사용자 단말기(200)로 제공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테이블 형식의 추적성 연결관계 생성정보는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특정설비에 관련된 설계기준항목들을 탐색하고 조회하기 용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생성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테이블 형식의 추적성 연결관계 생성정보에서도 사용자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설계기준항목들 중 임의의 설계기준항목(예컨대, 81-6)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위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컨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원자력발전소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 복수의 분류들 중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해당하는 분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에 해당하는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며 타분류에 속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분류들은,
    설계요건(REQ), 상기 설계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계기준사양(DBS), 상기 설계기준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계통/기기사양(SSCS),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 및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상기 설계변수(DP)와 상기 설계지원정보(SDI)에 부합하는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계가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간에는 상위분류, 하위분류및 동일레벨 분류 관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상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설계요건(REQ)은 최상위 분류로 정의되고, 상기 설계기준사양(DBS)은 상기 설계요건의 하위분류,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SSCS)은 설계기준사양의 하위분류,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 각각은 상기 구조물/계통/기기사양의 하위분류,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는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 각각의 하위분류로 정의되고, 상기 운영지원정보(SOI)와 설계변수(DP)와 설계지원정보(SDI)는 서로 동일레벨 분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각각에 대응되는 참조문서 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응되는 참조문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참조문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상응하는 설비의 태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에 상응하는 설비에 상응하는 실제형상(Physical Plant Configuration)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실제형상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 분류까지,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될 경우, 선택된 상기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
  9.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원자력발전소의 형상관리를 위한 설계기준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복수의 분류들 및 상기 분류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설계기준항목들 간의 연결관계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의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과 연결관계가 존재하며 타분류에 속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추출된 정보를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상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 하위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및 동일레벨 분류에 상응하는 연결 설계기준항목을 구분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분류들 중 특정 분류의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의 제공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설계기준항목이 물리적 설비 데이터(PSSCD)인 경우,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상기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설비의 실제형성 정보를 더 추출하여 상기 특정 설계기준의 제공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 방법은,
    상기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시스템이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로부터 상기 특정 물리적 설비 데이터에 상응하는 최상위 분류인 설계요건 분류까지, 서로 연결 관계를 갖는 복수의 설계기준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추적성 연결관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기반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관리 방법.
  13.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9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58244A 2016-05-12 2016-05-12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7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44A KR101777106B1 (ko) 2016-05-12 2016-05-12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16/099,759 US11423190B2 (en) 2016-05-12 2016-05-25 Nuclear power plant data-based design basi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PCT/KR2016/005535 WO2017195926A1 (ko) 2016-05-12 2016-05-25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EP16901761.3A EP3457347A4 (en) 2016-05-12 2016-05-25 NUCLEAR POWER PLANT DATA BASED DESIGN BASE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44A KR101777106B1 (ko) 2016-05-12 2016-05-12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106B1 true KR101777106B1 (ko) 2017-10-10

Family

ID=6019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44A KR101777106B1 (ko) 2016-05-12 2016-05-12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23190B2 (ko)
EP (1) EP3457347A4 (ko)
KR (1) KR101777106B1 (ko)
WO (1) WO201719592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61B1 (ko) * 2018-12-06 2019-10-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29807B1 (ko) * 2020-08-13 2021-03-19 (주)넥시빌 데이터베이스 기반 구조계산서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7010816A2 (pt) * 2014-11-24 2017-12-26 Bayer Ag método de configuração de uma fábrica de produção projetada para realização de pelo menos uma reação química.
JP6612800B2 (ja) * 2017-03-09 2019-11-27 株式会社東芝 設計支援システムおよび設計支援方法
US20230185980A1 (en) 2020-05-19 2023-06-15 Nec Corporation Physical model gener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364416B (zh) * 2020-10-28 2023-07-07 中广核工程有限公司 核电站门表的设计方法及系统
CN113722561A (zh) * 2021-08-05 2021-11-30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SSCs结构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56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엔에스이 요구사항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257B1 (ko) * 2015-06-18 2016-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348B1 (en) * 1999-12-30 2004-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Design method for nuclear reactor fuel management
US7200541B2 (en) * 2002-12-23 2007-04-03 Global Nuclear Fuel-Americas, Llc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nuclear reactor core designs
US8873698B2 (en) * 2002-12-18 2014-10-28 Global Nuclear Fuel—Americas, LLC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nuclear reactor core which satisfies licensing criteria
US7424412B2 (en) * 2002-12-23 2008-09-09 Global Nuclear Fuel - Americas, Llc Method of determining nuclear reactor core design with reduced control blade density
US8109766B2 (en) * 2003-10-03 2012-02-07 Global Nuclear Fuel-Americas Llc Method for predicted reactor simulation
US7426458B2 (en) * 2004-12-30 2008-09-16 Global Nuclear Fuel - Americas, Llc Nuclear reactor reload licensing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100991688B1 (ko) * 2008-10-31 2010-11-0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노형별 용량별 특성에 따른 계획예방정비 공정관리 표준화 방법
CA2782023C (en) * 2009-12-10 2015-11-24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Energy facility control system
KR20140055294A (ko) * 2012-10-31 2014-05-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발전소 설비 중요도 등급 분류를 위한 계통 기능 연계 시스템
KR101733424B1 (ko) * 2014-10-31 2017-05-24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원자력발전소 설계기준 기반 형상관리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56B1 (ko) * 2013-11-06 2015-05-04 주식회사 엔에스이 요구사항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257B1 (ko) * 2015-06-18 2016-03-0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형상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461B1 (ko) * 2018-12-06 2019-10-2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29807B1 (ko) * 2020-08-13 2021-03-19 (주)넥시빌 데이터베이스 기반 구조계산서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23190B2 (en) 2022-08-23
EP3457347A1 (en) 2019-03-20
EP3457347A4 (en) 2020-01-08
US20190121920A1 (en) 2019-04-25
WO2017195926A1 (ko)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106B1 (ko)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40386B1 (ko) 특허/기술분석용 데이터가공 및 특허맵 자동생성방법
Patacas et al. Supporting building owners and facility managers in the validation and visualisation of asset information models (AIM) through open standards and open technologies
US20200201916A1 (en) Tag mapping process and pluggable framework for generating algorithm ensemble
Kibira et al. Integrating data analytics and simulation methods to support manufacturing decision making
Nikulin et al. An algorithm for supply chain integration based on OTSM-TRIZ
Patacas et al. Evaluation of IFC and COBie as data sources for asset register creation and service life planning
Pan et al. Facility maintenance traceability information coding in BIM-based facility repair platform
Elgh Supporting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manufacturing knowledge in design automation systems
Costa et al. Social evalu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s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US20120158371A1 (en) Method of Assisting Planning of a Technical System
US10747941B2 (en) Tag mapping process and pluggable framework for generating algorithm ensemble
Fargnoli Design for Safety and Human Factors in Industrial Engineering: A review towards a unified framework
Jensen et al. Developing products in product platforms in the AEC industry
JP5510031B2 (ja) 情報セキュリティ管理支援方法及び装置
CN101710275A (zh) 利用gui工具来编辑工作流逻辑和屏幕的方法和系统
Thompson et al. Introductory approach for sustainability integration in conceptual design
Maggi et al. Explaining non-compliance of business process models through automated planning
Zheng et al. Integration of process FMEA with product and process design based on key characteristics
US8239362B1 (en) Using metadata fragments as authoritative manufacturing work instructions
Qiu et al. Aircraft maintenance process knowledge modeling method
KR20150061739A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업무용 화면을 개발하는 방법
Schwarz et al. Towards an integrated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energy scenarios with automated information exchange
Kadolsky et al. Knowledge management framework for monitoring systems improving building energy efficiency
T'kindt et al. The e-OCEA project: towards an internet decision system for scheduling probl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