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461B1 -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461B1
KR102036461B1 KR1020180156121A KR20180156121A KR102036461B1 KR 102036461 B1 KR102036461 B1 KR 102036461B1 KR 1020180156121 A KR1020180156121 A KR 1020180156121A KR 20180156121 A KR20180156121 A KR 20180156121A KR 102036461 B1 KR102036461 B1 KR 10203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unit
nuclear power
power pla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진
이상현
김우중
김종명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설비정보모델 정의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서브 어셈블리부; 및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설비기준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information of equipment reference at constructing stage of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설비정보모델을 표준화하고, 설비기준정보를 건설단계부터 생성함으로써 원전 준공 및 가동 시 정보의 연계성 및 일치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 건설은 발주자, 설계자, 시공사, 주기기계약자, 보조기기 계약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사업으로 이러한 건설단계에서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기술정보의 70∼80%가 생성된다.
원전 기술정보는 설계요건, 도면, 계산서, Code&Standard, 설비기준정보 등으로 구분되는데 원전 운영단계에서 발전소 운전 및 정비 시 가장 활용도가 높은 핵심정보는 계통(System)을 이루고 있는 설비(Component)기준정보이다.
원전 건설단계에 설비정보는 구매 및 시공 관점으로 SSCs(System Structure Components)의 최하단인 Tag를 기준으로 해당 Tag의 설치정보 및 기본정보(품질등급, 안전등급, 내진등급 등)를 데이터로 관리하고 있다.
원전 운영단계에 설비는 정비관점으로 설비의 계통내 위치 및 기능별로 분류한 기능위치(Functional Location)와 기능위치에 탈부착 되어 기술적으로 기능이 수행되고 정비활동의 대상이 되는 물리적인 설비로 분류하고 설비의 위치, 계정, 정비책임, 조직 등의 일반정보를 관리하는 기본정보와 설비의 고유한 형상, 치수, 성능 등 기술적 특성으로 정의하는 규격정보를 데이터로 관리하고 있다.
도1은 종래에 설비기준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1을 통해 종래의 설비기준정보에 관한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설비기준정보의 제공자가 건설단계의 설계사, 주기기계약사, 보조기기 계약사임에도 건설단계에서는 운영단계에서 필요한 설비기준정보 일부만 구축하여 운영조직으로 이관하고 발전소 운영단계에서 별도의 인력과 비용을 들여 구매규격서, 설비매뉴얼 등을 참고하여 설비기준정보를 재구축하였다.
또한, 원전 건설단계 설비기준정보의 단위인 Tag는 Parent-Child 구조로 되어있지 않아 운영단계의 기능위치 및 설비와 설비정보모델이 상호 일치하지 않고 운영단계에 필요한 설비기준정보는 설비당 약 30∼50개 데이터(설비별 상이) 중 품질등급, 안전등급과 같은 기본적인 5∼6개 데이터만 건설단계에서 이관하였다.
아울러, 설비 정비 및 자재구매에 필수적인 부품목록 정보가 데이터화 되지 않아 운영단계에서 자재 구매시마다 자재 중복여부 확인 후 자재마스터를 생성하고 설비별 부품목록, 규격, 수량 정보가 구축되지 않아 자재 구매 시 공급자 문서의 엔지니어링 정보검색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고 이는 부품의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에 어려움이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따라서 설비기준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706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전 건설 및 운영 간 서로 다른 설비정보모델을 표준화하고, 설비기준정보의 연계성 및 일치성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비기준정보를 추가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설계변경 및 정비업무시 엔지니어링 자료 검색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설비와 연계된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을 구축하여 부품목록, 규격, 수량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자재 구매 시 조달시간 단축 및 체계적인 자재관리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설비정보모델 정의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서브 어셈블리부; 및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설비기준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는 하위 구성으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Engineering BOM)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및 정비를 위해 작성하는 부품목록으로써, 설비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운영단계에서 설비별로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업무에 필요한 하위 부품 정보를 설비와 연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자재마스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마스터 생성부는 설비별 분류된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정보를 구축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 상기 장치는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는 설계 변경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사용되는 상위 기능위치, 설비 도면번호, 전기등급, 정비지침서 번호, 전원 공급원, 서비스공기 공급원, 내진검증, 계통코드, 동력공급 기기번호, 대체 기기번호, 연계 자료번호 및 연계 자료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능위치 및 설비번호와 연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방법은 설비정보모델 정의부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단계;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 서브 어셈블리부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설비기준정보 생성부가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원전 건설 및 운영 간 설비정보모델을 표준화하고 설비기준정보를 건설단계부터 생성하여 정보 간 연계성 및 일치성 강화를 통해 운영단계 설비기준정보의 재구축 비용을 절감한다.
둘째, 설계변경 및 설비 운영 시 필요한 설비기준정보를 추가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설계변경 및 정비업무 시 엔지니어링 자료 검색에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제고한다.
셋째, 설비와 연계된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을 구축하여 부품목록, 규격, 수량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자재 구매 시 조달시간 단축 및 체계적인 자재관리가 가능하다.
도1은 종래에 설비기준정보를 구축하는 것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플랜트를 4개 계층으로 구분하고,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한 설비정보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운영단계의 기능위치 및 설비번호를 연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설계를 변경할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를 통해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운영단계의 설비별로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업무에 필요한 하위 부품 정보를 설비와 연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는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 중간 부품 그룹부(120), 서브 어셈블리부(130),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150), 자재마스터 생성부(160) 및 설비기준정보 생성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는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여 구축하는 구성이다.
중간 부품 그룹부(120)는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중간 부품 그룹부(120)는 Tag 계층의 하위 구성으로써,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는데 설비별로 필요한 부품목록(Bill of Material, BOM) 또는 부품그룹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어셈블리부(130)는 중간 부품 그룹부(120)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구성이다.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는 서브 어셈블리부(130)에서 구축한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의 하위에 추가되는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구성이다.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및 정비를 위해 작성하는 부품목록 또는 부품종합목록으로써, 설비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정보를 포함한다.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150)는 설계 변경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정보는 설계 변경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사용되는 상위 기능위치, 설비 도면번호, 전기등급, 정비지침서 번호, 전원 공급원, 서비스공기 공급원, 내진검증, 계통코드, 동력공급 기기번호, 대체 기기번호, 연계 자료번호 및 연계 자료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자재마스터 생성부(160)는 설비별 부품군을 분류하여 부품군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정보를 구축하는 구성이다.
설비기준정보 생성부(170)는 설비 기능단위에 대한 정보 및 설비의 기능을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플랜트를 4개 계층으로 구분하고,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한 설비정보모델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력 발전소는 현재 건설되는 원전의 구매 및 시공 중심으로 설비관리 체계를 유지하면서 운영단계를 고려했을 시 플랜트가 대략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계층은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에 따라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에 의해 하위 설비구조 및 설계요건이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는 Project site 계층에서 적용되는 설비의 설비구조와 이에 대한 국내법, 규칙 및 고시 등 표준적인 설계요건을 관련된 설비기준정보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는 NPP unit 계층에서 적용되는 설비의 설비구조 및 설계요건을 관련된 설비기준정보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설비정보모델 정의부(110)는 Plant system 계층에서 적용되는 설비의 설비구조 및 설계요건을 관련된 설비기준정보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으며, Tag 계층에 대해서도 이는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Tag 계층 및 기능위치 사이의 연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운영단계의 기능위치 및 설비번호를 연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g 계층에 적용되는 설비의 설비번호는 기능위치와 연계되어 설비기준정보로 구축될 수 있다.
Tag 계층에는 설비에 관한 설비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설비는 중간 부품 그룹부(120)에 의해 Parent-Child 체계로 구축될 수 있다. 중간 부품 그룹부(120)는 복수의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서브 어셈블리부(130)를 포함하고, 서브 어셈블리부(130) 하위에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는 서브 어셈블리부(130)에서 구축한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의 하위에 추가되는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및 정비를 위해 작성하는 부품목록으로써, 설비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중간 부품 그룹부(120)는 복수의 서브 어셈블리부(130)를 통해 설비단위별로 설비기준정보를 구축할 수 있고, 각각의 설비단위에는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이 포함되어 해당 설비단위에 포함되는 부품들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어셈블리부(130)에 의해 구축된 복수의 서브 어셈블리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에 의해 구축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포함하여 운영단계의 기능위치인 설비번호와 연계될 수 있다.
Tag 계층의 설비에 관한 설비번호는 기능위치에 대한 설비번호로 대응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기능위치에서 설비를 운용할 시 해당 설비에 대한 서브 어셈블리 및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포함한 설비기준정보를 취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계를 변경할 시 변경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설계를 변경할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를 통해 생성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현재 운영용 설비기준정보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필요한 정보를 설비기준정보에 구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를 변경할 시 설계 변경에 의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수 있도록 관리항목들을 설비기준정보에 구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관리항목에는 설비 도면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설비 도면번호는 입력내용으로 공급자 도면번호, 선택항목으로 텍스트 입력 및 입력명세 예시로 M206-DG-A01-01이 입력될 수 있다.
이 밖에 관리항목은 상위 기능위치, 전기등급, 정비지침서 번호, 전원 공급원, 서비스공기 공급원, 내진검증, 계통코드, 동력공급 기기번호, 대체 기기번호, 연계 자료번호 및 연계 자료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가 변경될 시 이와 같은 설비기준정보를 참고하여 설계 변경에 따라 영향이 미치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 형식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 밖의 다른 방식으로 설계 변경에 따라 검토를 위한 관리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이 서브 어셈블리에 구축된 것과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이 자재마스터 생성부(160)에 의해 부품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g 계층에는 중간 부품 그룹부(120)가 구축한 중간 부품 그룹이 구축되어 있고, 중간 부품 그룹의 하위에는 서브 어셈블리부(130)가 설비단위에 따라 구축한 복수의 서브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브 어셈블리 하위에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140)에 의해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이 구축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복수의 부품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군은 파트별로 세부적인 부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서브 어셈블리 1에는 부품군 A 및 부품군 B가 구성될 수 있고, 부품군 A에는 세부 부품인 파트 D1 및 파트 D2로 분류될 수 있으며, 부품군 B에는 파트 E1, 파트 E2 및 파트 D2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어셈블리 2에는 부품군 C 및 부품군 D가 구성될 수 있고, 부품군 C에는 세부 부품인 파트 E1 및 파트 D2로 분류될 수 있으며, 부품군 D에는 파트 D1 및 파트 E2로 분류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서 운영단계의 설비별로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업무에 필요한 하위 부품 정보를 설비와 연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설비별 부품군을 분류하고, 해당 부품군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부품정보를 구축하여 자재마스터 생성 시 해당 부품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재마스터 생성부(160)는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서브 어셈블리별로 주기적인 점검, 교체업무에 필요한 하위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설비와 연계시킴으로써, 부품 구매를 위한 자재와 연계시킬 수 있다.
도7에서는 파트 D1, 파트 D2, 파트 E1, 파트 E2 및 파트 F1이 자재마스터에 의해 부품 구매를 위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과 연계되는 것을 예시로 보여준다.
또한, 자재마스터 생성부(160)는 설비의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별 분류된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정보를 구축하여 전달함으로써, 설비기준정보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구성들과 구성이 동작하는 방법에 의해 구축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 생성부(170)는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여 운영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설비정보모델 정의부
120 : 중간 부품 그룹부
130 : 서브 어셈블리부
140 :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
150 :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
160 : 자재마스터 생성부
170 : 설비기준정보 생성부

Claims (8)

  1.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설비정보모델 정의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서브 어셈블리부; 및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설비기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는 하위 구성으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Engineering BOM)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자재마스터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마스터 생성부는 설비별 분류된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성하는 하위 부품정보를 구축하여 전달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및 정비를 위해 작성하는 부품목록으로써, 설비의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인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은 운영단계에서 설비별로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업무에 필요한 하위 부품 정보를 설비와 연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5.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설비정보모델 정의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서브 어셈블리부; 및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설비기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되,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능위치 및 설비번호와 연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계 변경 정보 생성부는 설계 변경 시 변경에 의한 영향을 검토하는데 사용되는 상위 기능위치, 설비 도면번호, 전기등급, 정비지침서 번호, 전원 공급원, 서비스공기 공급원, 내진검증, 계통코드, 동력공급 기기번호, 대체 기기번호, 연계 자료번호 및 연계 자료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7.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비정보모델 정의부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단계;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
    서브 어셈블리부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설비기준정보 생성부가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는 하위 구성으로 엔지니어링 자재 부품목록을 구축하는 엔지니어링 부품 그룹부(Engineering BOM)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방법.
  8.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설비정보모델 정의부가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를 기반으로 플랜트가 Project Site, NPP Unit(Nuclear Power Plant Unit), Plant System 및 Tag의 4개 계층으로 구분된 상태에서 상기 4개 계층과 연계된 설계요건 및 설비구조를 정의하는 단계;
    중간 부품 그룹부(Bill of Material, BOM)가 상기 설비구조를 기반으로 Parent-Child 체계를 구축하는 단계;
    서브 어셈블리부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의 설비 기능단위인 서브 어셈블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설비기준정보 생성부가 상기 설비정보 모델 정의부, 상기 중간 부품 그룹부 및 상기 서브 어셈블리부에서 구축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비기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기능위치 및 설비번호와 연계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방법.
KR1020180156121A 2018-12-06 2018-12-06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3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21A KR102036461B1 (ko) 2018-12-06 2018-12-06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121A KR102036461B1 (ko) 2018-12-06 2018-12-06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461B1 true KR102036461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121A KR102036461B1 (ko) 2018-12-06 2018-12-06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4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068B1 (ko) * 2016-05-02 2017-07-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전체 설계 정보 통합 관리 장치
KR101777106B1 (ko) * 2016-05-12 2017-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7063B1 (ko) 2016-07-15 2018-06-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068B1 (ko) * 2016-05-02 2017-07-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전체 설계 정보 통합 관리 장치
KR101777106B1 (ko) * 2016-05-12 2017-10-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데이터기반 설계기준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7063B1 (ko) 2016-07-15 2018-06-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4226B (zh) 一种适应多业务抽象层次的服务化软件构造方法和系统
CN106991183B (zh) 一种商业智能etl的封装方法及系统
CN110033197A (zh) 一种设备档案全生命周期管理系统
Doumeingts et al. Enterprise modelling techniques to improve efficiency of enterprises
CN104615617A (zh) 一种变电站设备调度监控信息处理系统
Goulden et al. A hybrid model for process quality costing
CN113723822A (zh) 供电服务数据管理系统
CN114066292A (zh) 一种铁路货车数字化产品研制系统
KR102036461B1 (ko)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단계에서 설비기준정보의 구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ilschut et al. Similarity, modularity, and commonality analysis of navigation locks in the Netherlands
Hein Information system model and architecture generator
Staron et al. Using models to develop measurement systems: a method and its industrial use
Müller et al. PLM-based service data management in steam turbine business
Prashanth et al. Evaluation and ranking of criteria affecting the supplier’s performance of a heavy industry by fuzzy AHP method
KR20140115104A (ko) 피디엠스 배관 볼트 설계 관리 방법
Au et al. Quality management for 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ject in Hong Kong
Bronack Inventory management system
CN111967817A (zh) 一种基于plm系统对物料进行装箱的方法及系统
Belov et al. ROSATOM’s NPP development system architecting: systems engineering to improve plant development
Van Ruijven Ontology for systems engineering: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Guise et al. A standardized knowledge model for high-voltage equipment catalogue data contributes to simplify the life of end users and manufacturers
Kundu Service information blueprint: A scheme for defining service information requirements
Billinton et al. Practical application of reliability and maintainability concepts to generating station design
Kirov et al. APPLICATION OF INTEGRATED LOGISTIC SUPPORT I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PRODUCT LIFE CYCLE
Ahmed Classification standard in large process plants for integration with robust data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