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087B1 - 긴장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긴장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087B1
KR101777087B1 KR1020170035251A KR20170035251A KR101777087B1 KR 101777087 B1 KR101777087 B1 KR 101777087B1 KR 1020170035251 A KR1020170035251 A KR 1020170035251A KR 20170035251 A KR20170035251 A KR 20170035251A KR 101777087 B1 KR101777087 B1 KR 10177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nsion
deformable
tensile
deform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0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G01L5/102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using sensors located at a non-interrupted part of the flexibl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r inductance of electrical elements, e.g. by measuring variations of frequency of electrical oscillator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는, 긴장재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긴장재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긴장력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ENSION}
본 발명은 긴장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 또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긴장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콘크리트로 된 보나 거더 구조물 내부에 강선 등을 이용하여 프리 텐션 또는 포스트 텐션을 적용하고 있다.
이때, 프리 텐션 공법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강선 등을 최대한 당겨 주고 형틀에 시멘트를 부어 스팀으로 찍어내는 것을 말한다. 반면 포스트 텐션 공법은 강선 등을 미리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에 강선 등을 긴장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만, 공용 연한과 하중이력, 콘크리트 크리프와 건조수축, 강재의 릴렉세이션, 정착부의 손상, 온도 변화, 또는 강재 자체의 국부 손상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설계 긴장력과 실제 긴장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처짐이나 균열이 증가하여 구조물의 성능 저하 또는 심각한 안전도 저하가 야기된다.
따라서 강선 등에 작용된 긴장재의 긴장력 변화 또는 긴장력 손실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3월 23일에 출원된 KR 10-2015-0040155에는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에 형성된 개별 텐던의 긴장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 또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긴장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교량의 거더나 보와 같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긴장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긴장재 상에 눈금이 표시되어 케이스의 상대 이동에 따라서 케이스와 접촉하는 눈금을 읽음으로써 긴장력 또는 긴장력 손실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긴장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는, 긴장재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제1 변형 부재;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기 제1 변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변형 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변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총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긴장재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돌출되고,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기 긴장재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긴장재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긴장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긴장재의 긴장력 손실에 의해 상기 제1 변형 부재는 이완되고, 상기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수축될 수 있다.
삭제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강성이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강성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변형률이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변형률보다 클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긴장재의 외측에는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의해 가리켜지는 상기 눈금이 변화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는, 긴장재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제1 변형 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상기 제1 변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변형 부재; 및 외측면에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되는 긴장력 표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수축에 의해 이완되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이완에 의해 수축되며, 상기 긴장력 표시 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케이스가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에 의해 가리켜지는 상기 긴장력 표시 부재의 눈금이 변화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 또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교량의 거더나 보와 같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긴장재 상에 눈금이 표시되어 케이스의 상대 이동에 따라서 케이스와 접촉하는 눈금을 읽음으로써 긴장력 또는 긴장력 손실량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서 긴장력 작용 초기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서 긴장력 손실 발생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서 긴장력 작용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에서 긴장력 손실 발생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10)는 케이스(100) 및 변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긴강재(A)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긴장재(A)는 콘크리트 보와 같은 구조물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장재(A)의 일단은 콘크리트 보와 같은 구조물(B)의 일측에 고정되고, 긴장재(A)의 타단은 구조물(B)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긴장재(A)에 긴장력(tension)이 가해져서 구조물(B)에 대하여 프리 텐션 또는 포스트 텐션을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00)가 콘크리트 보와 같은 구조물 내부에 배치된 긴장재(A) 외에 기타 다른 긴장력이 가해질 수 있는 부재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케이스(100)는 구조물(B)의 타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스(100) 내에 변형부(200)가 배치되도록 케이스(10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케이스(100) 내에 변형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100)는 긴장재(A)에 고정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어, 추후 변형부(200), 특히 제1 변형 부재(210)의 변형, 예를 들어 수축 또는 이완에 따라서 긴장재(A)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는 제1 변형 부재(210)의 이완 시 긴장재(A) 상에서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고, 제1 변형 부재(210)의 수축 시 긴장재(A) 상에서 좌측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서 케이스(100)는 긴장재(A) 상에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긴장재(A)의 외측에는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 또는 긴장재(A)에서 발생되는 긴장력의 손실량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긴장재(A) 상에서 케이스(100)의 상대 이동에 따라서 케이스(100)에 의해 가리켜지는 눈금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눈금을 읽음으로써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 또는 긴장재(A)에서 발생되는 긴장력의 손실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장재(A) 상에서 변형부(200)가 이완되어 케이스(100)가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는 경우,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긴장재(A)의 길이가 증가되고 케이스(100)에 의해 가리켜지는 눈금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케이스(100)에 의해 가리켜지는 눈금이 증가하는 경우 긴장재(A)에서 긴장력의 손실이 발생했음을 판단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긴장재(A)의 외측에 직접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 또는 긴장재(A)에서 발생되는 긴장력의 손실량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A)에 긴장력 표시 부재(240)가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긴장재(A)는 구조물(B), 케이스(100)의 일측 및 제1 변형 부재(210)를 관통하여 고정 부재(220)의 일측에 연결되고, 긴장력 표시 부재(240)의 일단은 고정 부재(200)의 타측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타측 및 제2 변형 부재(230)를 관통하여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긴장력 표시 부재(240)에 표시된 눈금은 케이스(100)의 이동 범위, 또는 제1 변형 부재(210)과 제2 변형 부재(220)의 변형 범위를 고려하여 표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에는 변형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200)는 긴장재(A) 상에 구비되어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변형부(200)는 제1 변형 부재(210), 고정 부재(220) 및 제2 변형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 부재(210)의 일측은 케이스(100)의 일측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1 변형 부재(210)의 타측은 고정 부재(220)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부재(21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긴장재(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변형 부재(210)는 긴장재(A)에 가해지는 높은 긴장력에 서서히 수축되고 견딜 수 있도록 고강성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변형 부재(210)는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서 수축 또는 이완되고, 예를 들어 긴장재(A)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서서히 수축되고, 긴장력의 손실에 의해 서서히 이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 부재(210)의 타측에는 고정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220)는 긴장재(A) 상에서 제1 변형 부재(2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부재(220)는 긴장재(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긴장재(A)에 대하여 긴장력을 가해 목표 하중(예를 들어, 40톤)에 도달하면 고정 부재(220)를 긴장재(A)에 고정시킴으로써 제1 변형 부재(210)를 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220)로부터 긴장재(A)의 단부, 예를 들어 케이스(100)의 외부에 돌출된 긴장재(A)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220)를 기준으로 케이스(100)가 긴장재(A)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20)의 타측에는 제2 변형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변형 부재(230)의 일측은 고정 부재(220)의 타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 변형 부재(230)의 타측은 케이스(100)의 타측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변형 부재(230)는 고정 부재(220)를 사이에 두고 제1 변형 부재(2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 부재(22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긴장재(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2 변형 부재(220)는 제1 변형 부재(21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성이 훨씬 약하고 단순히 제1 변형 부재(210)의 변형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이때, 긴장재(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변형 부재(210) 및 제2 변형 부재(230)의 총 길이, 긴장재(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변형 부재(210), 고정 부재(220) 및 제2 변형 부재(230)의 총 길이, 또는 긴장재(A)의 길이방향을 따른 케이스(100)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변형 부재(210)가 수축되는 경우 제2 변형 부재(230)는 이완되고, 제1 변형 부재(210)가 이완되는 경우 제2 변형 부재(210)는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긴장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변형 부재(210)는 이완되는 반면 제2 변형 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으며, 긴장재(A)에 긴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변형 부재(210)는 수축되는 반면 제2 변형 부재(230)는 이완될 수 있다.
특히, 제1 변형 부재(210)의 강성이 제2 변형 부재(230)의 강성보다 크게 마련되어 제2 변형 부재(230)의 변형률이 제1 변형 부재(210)의 변형률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긴장재(A)의 긴장력 손실율을 감소시키면서 긴장재(A)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긴장재(A)의 긴장력 변화에 의해 제1 변형 부재(210)가 변형되어 제2 변형 부재(230)의 변형이 유도되고, 제2 변형 부재(230)의 변형에 의해 케이스(100)의 상대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가 좌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경우 제2 변형 부재(230)는 이완되고, 케이스(100)가 우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경우 제2 변형 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다.
따라서 긴장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케이스(100)가 우측으로 상대 이동되고 제2 변형 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으며, 긴장재(A)에 긴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케이스(100)는 좌측으로 상대 이동되고 제2 변형 부재(230)는 이완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10)에서 다음과 같이 긴장력 손실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긴장재(A)에 긴장력이 가해진 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긴장재(A)의 이완 등으로 인하여 긴장재(A)에 작용되는 긴장력이 감소하게 되면, 제1 변형 부재(210)가 이완되고, 제2 변형 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장재(A)에 긴장력이 가해진 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물(B)의 변형에 의해 긴장재(A)에 작용되는 긴장력이 감소하게 되는 경우 또한, 제1 변형 부재(210)가 이완되고, 제2 변형 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변형 부재(210) 및 제2 변형 부재(220)의 변형에 따라서 케이스(100)는 고정 부재(220)를 중심으로 긴장재(A)를 따라 우측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고, 긴장력 표시 부재(240)의 외측면에 표시된 눈금 또는 긴장재(A)의 외측에 새겨진 눈금이 증가하게 되면서, 긴장력의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반면, 긴장재(A)에 긴장력이 가해지면, 제1 변형 부재(210)는 수축되고, 제2 변형 부재(230)는 이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100)는 고정 부재(220)를 중심으로 긴장재(A)를 따라 좌측으로 상대 이동하게 되고, 긴장력 표시 부재(240)의 외측면에 표시된 눈금 또는 긴장재(A)의 외측에 새겨진 눈금이 감소하게 되면서 긴장력의 증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긴장력 표시 부재(240)의 외측면에 표시된 눈금 또는 긴장재(A)의 외측에 새겨진 눈금에 따라서 긴장력의 수치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거나 긴장력의 수치를 비율에 의해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력 측정 장치는 복수 개의 변형 부재를 포함하여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 또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교량의 거더나 보와 같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작용하는 긴장력의 손실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긴장력 측정 장치
100: 케이스
200: 변형부
210: 제1 변형 부재
220: 고정 부재
230: 제2 변형 부재
240: 긴장력 표시 부재
A: 긴장재
B: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10)

  1. 긴장재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변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부는,
    탄성 재질로 마련된 제1 변형 부재;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기 제1 변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탄성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변형 부재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변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변형 부재 및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총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긴장재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돌출되고,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케이스가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상기 긴장재의 길이가 변화되는 긴장력 측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긴장재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며,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긴장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까지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긴장력 측정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긴장력 손실에 의해 상기 제1 변형 부재는 이완되고, 상기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수축되는 긴장력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강성이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강성보다 크게 마련되어 상기 제2 변형 부재의 변형률이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변형률보다 큰 긴장력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외측에는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되고,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케이스에 의해 가리켜지는 상기 눈금이 변화되는 긴장력 측정 장치.
  8. 긴장재 상에 비고정 상태로 유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구비되어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에 의해 변형되는 제1 변형 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긴장재 상에 상기 제1 변형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변형 부재; 및
    외측면에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가리키는 눈금이 표시되는 긴장력 표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변형 부재는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수축에 의해 이완되고 상기 제1 변형 부재의 이완에 의해 수축되며,
    상기 긴장력 표시 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긴장재에 가해지는 긴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케이스가 상기 고정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긴장재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상기 케이스에 의해 가리켜지는 상기 긴장력 표시 부재의 눈금이 변화되는 긴장력 측정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35251A 2017-03-21 2017-03-21 긴장력 측정 장치 KR10177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51A KR101777087B1 (ko) 2017-03-21 2017-03-21 긴장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51A KR101777087B1 (ko) 2017-03-21 2017-03-21 긴장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087B1 true KR101777087B1 (ko) 2017-09-11

Family

ID=5992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51A KR101777087B1 (ko) 2017-03-21 2017-03-21 긴장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5683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横河住金ブリッジ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662A (ja) * 1998-07-29 2000-02-18 Ohbayashi Corp アンカー緊張力の測定方法
CN201218706Y (zh) 2008-04-23 2009-04-08 陈熠 设有指示表的卡尺用恒定测量力装置
KR101626259B1 (ko) 2015-10-06 2016-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력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662A (ja) * 1998-07-29 2000-02-18 Ohbayashi Corp アンカー緊張力の測定方法
CN201218706Y (zh) 2008-04-23 2009-04-08 陈熠 设有指示表的卡尺用恒定测量力装置
KR101626259B1 (ko) 2015-10-06 2016-05-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력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5683A (ja) * 2017-09-29 2019-04-25 株式会社横河住金ブリッジ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
JP7103820B2 (ja) 2017-09-29 2022-07-20 株式会社横河Nsエンジニアリング 機能分離型衝撃吸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aricio et al. Testing of externally prestressed concrete beams
Lan et al. Monitoring of structural prestress loss in RC beams by inner distributed Brillouin and fiber Bragg grating sensors on a single optical fiber
He et al. Bending behavior of concrete-encased composite I-girder with corrugated steel web
Briere et al. Dilation behavior of seven-wire prestressing strand–the Hoyer effect
Archundia-Aranda et 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haunched beams subjected to cyclic shear loading
Le et al. Flexural behaviour of precast segmental concrete beams internally prestressed with unbonded CFRP tendons under four-point loading
Bompa et al. Monotonic and cyclic performance of threaded reinforcement splices
Algoraf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externally prestressed segmental beam under torsion
Kim et al. Fiber Bragg grating-based long-gauge fiber optic sensor for monitoring of a 60 m full-scal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during lifting and loading
KR101777087B1 (ko) 긴장력 측정 장치
S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inelastic behavior of composite box girder under negative moment
JP2020091162A (ja) Pc桁の残存プレストレス力推定方法
Kim et al. Analysis of short-term prestress losses in post-tensioned structures using Smart Strands
Choi et al. Analytical models for estimation of the maximum strain of beam structures based o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sensors
Aguiar et al. Circular openings with transverse rebar as steel-concrete shear connection (part 1/2): Analytical model for strength and slip capacity
Peng et al. Shear behavior of two-span continuous concrete deep beams reinforced with GFRP bars
Lee et al. Post-yielding tension stiffening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using an image analysis method with a consideration of steel ratios
JP7057187B2 (ja) 梁の損傷評価方法
Hernández-Montes et al.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in-service long-term deflection response of symmetrically and non-symmetrically reinforced concrete piles
Abdelatif et al. Re-anchorage of a ruptured tendon in bonded post-tensioned concrete beams: Model validation
Sanchez et al. Interaction between patch loading, bending, and shear in steel girder bridges erected with the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Kim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behavior of a spliced PSC girder with precast box segments
O’BRIEN et al. 21 RELIEF OF CREEP/SHRINKAGE STRESSES IN INTEGRALLY CONSTRUCTED BRIDGES
Thiele et al. Specification for high-speed tensile tests on reinforcement bar coupler systems
Mossor Differences in moment redistribution in concrete beams prestressed with bonded and unbonded tend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