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228B1 -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228B1
KR101776228B1 KR1020160086861A KR20160086861A KR101776228B1 KR 101776228 B1 KR101776228 B1 KR 101776228B1 KR 1020160086861 A KR1020160086861 A KR 1020160086861A KR 20160086861 A KR20160086861 A KR 20160086861A KR 101776228 B1 KR101776228 B1 KR 101776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electronic contract
business
contract
l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현웅
Original Assignee
나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현웅 filed Critical 나현웅
Priority to KR102016008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8Electronic negoti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계약 양식 저장부와 회원 등록부 및 전자계약 관리부를 포함한다. 계약 양식 저장부는 건설기계별로 규격화된 양식의 전자계약서를 저장한다. 회원 등록부는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들로부터 건설기계 종류, 건설기계 연식, 사업장 소재지, 건설기계 임대료 및 금융계좌정보를 포함한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사업자 등록증과 건설기계 등록증을 포함한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를 업로드받아 회원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전자계약 관리부는 건설기계를 대여받고자 하는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를 검색 및 선택하고, 계약 양식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이용하여 사용 사업자와 선택된 임대 사업자 간에 전자 가계약을 체결하고, 가계약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면 그 완료 사실을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계약을 최종 성립시키며, 사용 사업자와 임대 사업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계약서를 보관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Electronic rental contra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전자계약 시스템, 특히 건설기계 임대를 위한 전자계약 시스템이 개시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07047호에는 전자계약서 작성 시스템 및 전자계약서 작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계약 당사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간에 미리 설정된 동기화 코드를 이용하여 동기화시켜 전자계약서를 서로 실시간으로 공유한 상태에서 전자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07047호 (2014년 08월 27일 공고)
건설기계 임대에 특화된 전자계약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계약 양식 저장부와 회원 등록부 및 전자계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양식 저장부는 건설기계별로 규격화된 양식의 전자계약서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는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들로부터 건설기계 종류, 건설기계 연식, 사업장 소재지, 건설기계 임대료 및 금융계좌정보를 포함한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사업자 등록증과 건설기계 등록증을 포함한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를 업로드받아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계약 관리부는 건설기계를 대여받고자 하는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를 검색 및 선택하고, 계약 양식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이용하여 사용 사업자와 선택된 임대 사업자 간에 전자 가계약을 체결하고, 가계약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면 그 완료 사실을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계약을 최종 성립시키며, 사용 사업자와 임대 사업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계약서를 보관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는 건설기계를 대여받고자 하는 사용 사업자들로부터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사업자 등록증을 포함한 사용 사업자 관련 자료를 업로드받아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전자계약 관리부는 계약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임대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임대 사업자의 작업 완료 데이터와 사용 사업자의 작업 완료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자계약서에 반영할 수 있다.
전자계약 관리부는 계약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임대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 데이터를 수신 및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 임대 사업자의 작업 완료 사실을 통지하고,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며,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이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전자계약서에 반영할 수 있다.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는 임대 사업자의 가입 정보 중에서 일부에 대한 인증 을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회원 등록부는 임대 사업자의 가입 정보 중에서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에 포함된 정보와 불일치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임대 사업자의 회원 등록을 불허할 수 있다.
전자계약 관리부는 스케줄 관리부와 사업자 검색부 및 사업자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는 임대 사업자별로 작업 일자와 작업 장소를 포함한 작업 스케줄을 관리하며, 전자계약 관리부의 전자계약 체결에 맞춰 해당 임대 사업자의 작업 스케줄을 갱신할 수 있다. 사업자 검색부는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된 건설기계 종류와 작업 일자 및 작업 장소를 포함한 대여 요청 정보에 따라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를 검색하되, 임대 사업자별 작업 스케줄을 고려하여 임대 사업자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사업자 선택부는 검색된 임대 사업자를 사용 사업자의 계약 체결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대여 요청 정보에는 대여 조건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전자계약 관리부는 체결된 전자계약서에 대여 조건을 반영할 수 있다. 대여 조건에는 건설기계 임대료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임대 사업자 검색부는 임대 사업자들에 대한 각각의 평가 정보와 등록 주소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임대 사업자를 검색할 수 있다.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평가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 관리부는 임대 사업자와 계약을 맺었던 사용 사업자들에 의해 평가된 임대 사업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 사업자들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평가 관리부는 사용 사업자와 계약을 맺었던 임대 사업자들에 의해 평가된 사용 사업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임대 사업자들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관리할 수 있다.
임대 사업자 선택부는 임대 사업자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임대 사업자가 둘 이상일 경우 사용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거나, 검색된 임대 사업자들의 통신 단말로 사용 사업자 정보와 대여 요청 정보를 전달한 후에 대여를 최초 승인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다.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사용 사업자별 선호하는 임대 사업자를 등록하는 선호 사업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임대 사업자 선택부는 사용 사업자의 선호 임대 사업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등록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되, 미등록되어 있을 경우 또는 등록되어 있으나 그 등록된 임대 사업자의 작업 스케줄상 선택이 불가할 경우에 임대 사업자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다.
개시된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일반적인 전자계약 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운 건설기계 임대에 대해 전자계약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약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임대 사업자 단말(100)과 사용 사업자 단말(200) 및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이 반드시 이들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을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이라 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은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만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 외의 구성을 더 포함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임대 사업자는 건설기계를 소유하고 이를 임대하는 사업자를 말하며, 사용 사업자는 건설사, 건설현장의 책임자 혹은 건설기계를 대여받아 사용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단지 ‘사업자’라고 표현한 경우는 임대 사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사용자’라고 표현한 경우는 사용 사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사업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진 통신 단말이다. 이러한 통신 단말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PC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왑폰(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WAP phone),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접속 및 회원 가입을 하여 사업자로서의 회원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도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접속 및 회원 가입을 하여 사용자로서의 회원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 사업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200)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거나 미리 설치된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의해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혹은 등록된 회원으로서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사업자와 사용자로 하여금 건설기계 임대를 위한 전자계약을 지원한다.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단순히 기존에 이루어지던 사업자와 사용자 간의 오프라인 계약을 온라인으로 전환하여 양 당사자 간의 전자적인 계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건설기계를 소유한 사업자를 적극적으로 검색하고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고로, 건설기계 임대의 특성상 단기간 임대가 비일비재하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평소 거래하던 사업자와 임대계약을 맺고 싶다고 하더라도 이미 다른 사용자가 그 사업자와 임대 가계약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사업자를 찾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존에 새로운 사업자를 찾는 과정은 모두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고, 그 또한 주먹구구적인 방식이다. 이와 달리, 일 양상에 따른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그에 적합한 사업자를 자동으로 찾아서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같은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잘 알려진 서버 아키텍처와 같이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WAS)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네트워크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400)는 단말과 단말, 단말과 서버 간에 음성/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이다. 통신 네트워크(400)에는 복수의 이종 네트워크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400)는 TCP/IP, IPX, SPX, NetBIOS, 이더넷, ARCNET,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FDDI), IEEE 802.11, IEEE 802.11a 및 직접 동기화 연결 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계약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310)와 네트워크 통신부(320)와 데이터베이스(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관리자 인터페이스(310)는 관리자를 위한 입력 및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관리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고 조회 및 편집할 수 있으며,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실행 내용을 모니터링하는 등 관리자에게 부여된 모든 권한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3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업자 단말(100)들과 사용자 단말(200)들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320)는 TCP/IP, IPX, SPX, NetBIOS, 이더넷, ARCNET, Fiber Distributed Date Interface(FDDI), IEEE 802.11, IEEE 802.11a 및 직접 동기화 연결 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일부를 지원한다.
데이터베이스(330)는 복수의 저장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30)는 회원 정보 저장부(331)와 계약 양식 저장부(332) 및 전자계약 저장부(3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스케줄 저장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저장부는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는 사업자 회원들의 정보와 사용자 회원들의 정보가 저장된다. 사업자 회원 정보에는 회원 자격을 부여받기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정보 외에 사업자가 소유한 건설기계의 종류와 연식, 사업장 소재지, 및 금융계좌정보를 포함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자 회원 정보에는 회원 자격을 부여받기 위해 요구되는 일반적인 정보 외에 사용 사업자의 건설사명과 신용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는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증 파일과 건설기계 등록증 파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업자 등록증 파일이 저장될 수 있다.
계약 양식 저장부(332)에는 건설기계별로 규격화된 양식의 전자계약서들이 저장된다. 건설기계로는 굴삭기, 로울러, 도저, 로더, 크레인, 지게차, 덤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계약 양식 저장부(332)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 같은 모든 장비들의 다양한 기존 계약 양식을 규격화한 전자계약서 양식을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전자계약 저장부(333)에는 사용자와 사업자 간에 체결된 전자계약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전자계약 저장부(333)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와 사업자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케줄 저장부(334)에는 사업자들의 작업 스케줄이 저장된다. 작업 스케줄에는 당연히 작업 일자가 포함되며, 추가로 작업 장소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40)는 회원 등록부(341)와 전자계약 관리부(342)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주어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341)는 사업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사업자 등록부(341-1)를 포함하며, 추가로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3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자 등록부(341-1)는 사업자 단말(100)로부터의 사업자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사업자 회원 가입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 사업자 회원 가입 정보에는 사업자가 소유한 건설기계의 종류와 연식, 사업장 소재지, 및 금융계좌정보를 포함한 사업자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사업자 회원 가입 정보에는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 된 사업자 등록증과 건설기계 등록증을 포함한 사업자 관련 자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될 수 있다. 사업자 등록부(341-1)는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인증할 수 있으며, 인증에 성공할 경우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 사업자 회원 가입 정보를 저장하여 사업자 회원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341-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사용자 회원 가입 요청에 따라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회원 가입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 가입 정보에는 사용 사업자의 건설사명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회원 가입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업로드 된 사용 사업자의 사업자 등록증을 포함한 제 2 사업자 관련 자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은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될 수 있다. 사용자 등록부(341-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회원 가입 정보를 인증할 수 있으며, 인증에 성공할 경우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 사용자 회원 가입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 회원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업자 등록부(341-1)는 회원 가입 정보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사업자에 의해 입력된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에 대한 정보를 사업자 관련 자료인 건설기계 등록증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며,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원 가입을 불허할 수 있다. 즉, 사업자로 하여금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입력할 것을 요구하며, 다시 제대로 입력할 경우에만 회원 가입을 허가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회원 가입을 불허할 수 있다. 이때, 비교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 등록증은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업로드 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비교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 등록증은 사업자별 건설기계 등록을 허가하고 관리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에서 보관하는 것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사업자 등록부(341-1)는 그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사업자의 건설기계 등록증을 열람할 수 있다. 이 같이 하면, 사업자는 자신이 소유한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 특히 연식에 대한 허위 등록이 불가능하다.
한편, 사업자 등록부(341-1)는 사업자로부터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받지 않을 수도 있다. 대신에, 사업자 등록부(341-1)는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건설기계 등록증 이미지를 업로드 받고, 이미지 텍스트 추출 기법을 활용하여 건설기계 등록증 이미지로부터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에 대한 텍스트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사업자 회원 가입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업자 등록부(34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사업자별 건설기계 등록을 허가하고 관리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사업자의 건설기계 종류와 연식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업자의 사업자등록번호나 주민등록번호 등이 외부 서버에서 해당 사업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사업자 등록부(341-1)는 사업자의 사업자등록번호나 주민등록번호를 사업자의 식별정보로써 외부 서버에 전달하면서 해당 사업자의 건설기계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이에 외부 서버는 사업자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해당 사업자의 건설기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회신하는 것이다.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사용자와 사업자 간의 전자계약을 체결하며 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의 대여 요청을 시작으로 전자계약을 체결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사업자를 검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용자 단말(200)은 대여받고자 하는 건설기계의 종류와 작업 일자 및 작업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에 제공한다. 이에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사업자를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서 검색하며, 검색된 사업자를 사업자와 전자계약을 체결할 당사자로 선택한다.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계약 양식 저장부(332)에 저장된 대여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를 위한 전자계약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사업자 간에 전자 가계약을 체결한다. 사용자와 사업자는 각각 사용자 단말(200)과 사업자 단말(100)을 통해 전자 가계약 체결에 필요한 입력을 하거나 계약 내용 확인 및 동의를 할 수 있다. 가계약이 체결된 전자계약서는 전자계약 저장부(333)에 저장되는데, 이 전자계약서에는 사업자 정보와 사용자 정보, 대여 건설기계 종류에 대한 정보, 임대료, 및 작업 일자와 작업 장소에 대한 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전자 가계약이 체결되면, 사업자는 전자계약서에 따른 작업 일자에 해당 작업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후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사업자 단말(100)은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자계약서를 요청한다. 이에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전자계약 저장부(333)에서 해당 전자계약서를 검색하며, 검색된 전자계약서를 사업자 단말(100)로 전달한다.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100)에 표시된 전자계약서를 확인하고 가계약에 따른 작업 내용과 이를 완료하였음을 입력한다. 그리고 작업 현장에 있는 사용자에게 사업자 단말(100)에 작업 완료 승인을 위한 입력을 요청하며, 사용자는 사업자 단말(100)에 계약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승인하는 입력을 한다. 사업자 단말(100)은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작업 완료 승인 데이터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달하며,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작업 완료 승인 데이터를 해당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전자계약을 최종적으로 성립시킨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자계약서는 요청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업자 단말(200)은 사업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완료 데이터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완료 데이터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달하며,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는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작업 완료 승인 데이터를 해당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전자계약을 최종적으로 성립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없어서 사업자가 사용자로부터 직접 사업자 단말(100)에 작업 완료 승인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업자 단말(100)은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자계약서를 요청한다. 이에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전자계약 저장부(333)에서 해당 전자계약서를 검색하며, 검색된 전자계약서를 사업자 단말(100)로 전달한다. 사업자는 사업자 단말(100)에 표시된 전자계약서를 확인하고 가계약에 따른 작업 내용과 이를 완료하였음을 입력한다. 사업자 단말(100)은 작업 완료 데이터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작업 완료 데이터를 수신한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사용자 단말(200)로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작업 완료 승인을 입력하며, 사용자 단말(200)은 작업 완료 승인 데이터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작업 완료 승인 데이터를 해당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전자계약을 최종적으로 성립시킨다. 그리고 별도로 사업자는 사용자와 통화하여 작업을 완료하였음을 구두로 알릴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신뢰하여 작업 완료 승인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도 전자계약서는 사업자 단말(100)은 요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계약 관리부(342)는 스케줄 관리부(342-1)와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 및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342-1)는 사업자별로 작업 스케줄을 스케줄 저장부(334)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전자계약 관리부(342)에 의해 전자 가계약이 체결될 시에 그 계약 내용에 따라 스케줄 저장부(334)에 저장된 해당 사업자의 작업 스케줄을 갱신한다.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대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사업자를 검색한다. 대여 요청 메시지에는 건설기계 종류와 작업 일자 및 작업 장소가 포함되는바,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사업자를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서 검색하되, 스케줄 저장부(334)에 저장된 사업자별 작업 스케줄을 고려하여 대여 가능한 사업자를 검색한다.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에 의해 검색된 사업자를 사용자와의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한다. 다만,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에 의해 검색된 사업자가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업자를 선택해야만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검색된 모든 사업자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지정된 사업자를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한다. 물론, 사용자는 둘 이상의 사업자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바,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에 의해 최종 선택되는 사업자는 복수일 수 있다. 추가로,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하기 이전에 그 사업자의 사업자 단말(100)로 사용자 정보와 대여 요청 정보를 전달하면서 동의를 구하며 동의된 경우에만 최종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검색된 사업자(들)의 사업자 단말(100)로 사용자 정보와 대여 요청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사업자(들)은 사업자 단말(100)에 표시된 사용자 정보와 대여 요청 정보를 확인하고 대여 요청을 승인할 것인지 결정하며, 사업자 단말(100)은 사업자의 입력에 따라 대여 요청 승인 메시지를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로 전달한다. 이에 전자계약 관리 서버(300)의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대여 요청 승인 메시지를 전달한 사업자를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한다. 검색된 사업자가 복수일 경우, 가장 먼저 대여 요청을 승인한 사업자가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둘 이상의 사업자를 필요로 할 경우, 그 수만큼 대여 요청을 승인한 사업자들을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할 수 있으며, 대여 요청을 먼저 승인한 사업자부터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계약 체결 대상자로 선택하기 이전에 사업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하면서 동의를 구하며 동의된 경우에만 최종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사업자 검색시에 사업자들에 대한 평가 정보 및/또는 사업자들의 등록 주소지를 고려하여 사업자를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업자별 평가 정보는 사업자와 계약을 체결하였던 사용자들에 의해 평가된 정보이다. 여기서, 사업자 평가 정보는 사용자들에 의해 누적 평가된 수치화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업자에 대해 점수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40)는 평가 관리부(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 관리부(343)는 최종 성립된 전자 계약에 대해 사용자 단말(200)로 평가 항목들을 제시하면서 사업자에 대한 수치 평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평가 정보를 회신받아 관리할 수 있다. 사업자에 대한 평가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새로이 평가될 때마다 평가 정보를 누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업자 평가 정보는 회원 등록부(341)의 사업자 정보에 반영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열람 가능하다.
추가로, 평가 관리부(343)는 사용자 평가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평가 정보는 사업자들에 의해 누적 평가된 수치화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사업자는 사용자에 대해 점수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 항목에는 작업량이 적당한지, 작업에 대한 비용결제는 잘 이루어지는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평가 관리부(343)는 최종 성립된 전자 계약에 대해 사업자 단말(100)로 평가 항목들을 제시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수치 평가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업자 단말(100)로부터 평가 정보를 회신받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평가는 복수의 사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새로이 평가될 때마다 평가 정보를 누적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평가 정보를 회원 등록부(341)의 사용자 정보에 반영될 수 있으며, 사업자에 의해 열람 가능하다.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사업자 검색시에 평가 정보가 더 나은 사업자를 우선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가 1 ~ 10으로 수치화된 경우에,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평가 정보가 8 이상인 사업자만을 검색하며, 검색이 안될 경우 7 이하로 순차적으로 낮춰서 사업자를 검색한다. 또한,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는 사업자들의 등록 주소지 중에서 사용자의 작업 장소와 더 가까운 사업자를 우선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반경 이내에서만 사업자를 검색하며, 검색이 안될 경우에 반경을 단계적으로 더 높여서 사업자를 검색한다.
한편, 사용자의 대여 요청 정보에는 대여 조건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대여 조건에는 건설기계 임대료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건설기계 임대료는 사업자가 미리 정해놓는바, 사용자로 하여금 사업자가 제시한 임대료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여 요청 정보에 임대료 조건을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사업자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대여 조건도 받아들이는 경우에 한해 사용자와 가계약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40)는 선호 사업자 관리부(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호 사업자 관리부(344)는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하나 이상의 사업자를 등록한다. 선호 사업자 관리부(344)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업자를 지정받으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사업자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업자로 등록한다. 사용자별 선호 사업자 정보는 회원 정보 저장부(331)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전자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선호 사업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등록된 임대 사업자를 계약 체결 당사자로 선택한다. 다만, 미등록되어 있거나 등록은 되어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 일자에 작업 스케줄이 있는 경우, 임대 사업자 선택부(34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대 사업자 검색부(342-2)에 의해 검색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임대 사업자 단말 200 : 사용 사업자 단말
300 : 전자계약 관리 서버 310 : 관리자 인터페이스
320 : 네트워크 통신부 330 : 데이터베이스
331 : 회원 정보 저장부 332 : 계약 양식 저장부
333 : 전자계약 저장부 334 : 스케줄 저장부
340 : 제어부 341 : 회원 등록부
341-1 : 사업자 등록부 341-2 : 사용자 등록부
342 : 전자계약 관리부 342-1 : 스케줄 관리부
342-2 : 임대 사업자 검색부 342-3 : 임대 사업자 선택부
343 : 평가 관리부 344 : 선호 사업자 관리부

Claims (13)

  1. 건설기계별로 규격화된 양식의 전자계약서를 저장한 계약 양식 저장부;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들로부터 건설기계 종류, 건설기계 연식, 사업장 소재지, 건설기계 임대료 및 금융계좌정보를 포함한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사업자 등록증과 건설기계 등록증을 포함한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를 이미지 형태로 업로드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 등록부; 및
    건설기계를 대여받고자 하는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를 검색 및 선택하고, 계약 양식 저장부에 저장된 전자계약서를 이용하여 사용 사업자와 선택된 임대 사업자 간에 전자 가계약을 체결하고, 가계약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면 그 완료 사실을 전자계약서에 반영하여 계약을 최종 성립시키며, 사용 사업자와 임대 사업자의 열람이 가능하도록 전자계약서를 보관하는 전자계약 관리부;를 포함하되,
    전자 계약 관리부는 계약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임대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임대 사업자의 작업 완료 데이터와 사용 사업자의 작업 완료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자계약서에 반영하거나, 계약에 따라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임대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 데이터를 수신 및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 임대 사업자의 작업 완료 사실을 통지하고,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작업 완료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수신하며, 작업 완료 데이터 및 이에 대한 승인 데이터를 전자계약서에 반영하고,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는 임대 사업자의 가입 정보 중에서 일부에 대한 인증 을 위해 이용되며,
    회원 등록부는 임대 사업자의 가입 정보 중에서 임대 사업자 관련 자료에 포함된 정보와 불일치한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 임대 사업자의 회원 등록을 불허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원 등록부는 건설기계를 대여받고자 하는 사용 사업자들로부터 가입 정보를 입력받고 사업자 등록증을 포함한 사용 사업자 관련 자료를 업로드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자계약 관리부는 :
    임대 사업자별로 작업 일자와 작업 장소를 포함한 작업 스케줄을 관리하며, 전자계약 관리부의 전자계약 체결에 맞춰 해당 임대 사업자의 작업 스케줄을 갱신하는 스케줄 관리부;
    사용 사업자의 통신 단말로부터 입력된 건설기계 종류와 작업 일자 및 작업 장소를 포함한 대여 요청 정보에 따라 대여 요청된 건설기계를 소유한 임대 사업자를 검색하되, 임대 사업자별 작업 스케줄을 고려하여 임대 사업자를 검색하는 임대 사업자 검색부; 및
    검색된 임대 사업자를 사용 사업자의 계약 체결 대상으로 선택하는 임대 사업자 선택부;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대여 요청 정보에는 대여 조건이 더 포함되며,
    전자계약 관리부는 체결된 전자계약서에 대여 조건을 반영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대여 조건에는 건설기계 임대료 조건이 포함된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임대 사업자 검색부는 임대 사업자들에 대한 각각의 평가 정보와 등록 주소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고려하여 임대 사업자를 검색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임대 사업자와 계약을 맺었던 사용 사업자들에 의해 평가된 임대 사업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 사업자들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평가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평가 관리부는 사용 사업자와 계약을 맺었던 임대 사업자들에 의해 평가된 사용 사업자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임대 사업자들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임대 사업자 선택부는 임대 사업자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임대 사업자가 둘 이상일 경우 사용 사업자에 의해 지정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거나, 검색된 임대 사업자들의 통신 단말로 사용 사업자 정보와 대여 요청 정보를 전달한 후에 대여를 최초 승인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사용 사업자별 선호하는 임대 사업자를 등록하는 선호 사업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임대 사업자 선택부는 사용 사업자의 선호 임대 사업자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등록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되, 미등록되어 있을 경우 또는 등록되어 있으나 그 등록된 임대 사업자의 작업 스케줄상 선택이 불가할 경우에 임대 사업자 검색부에 의해 검색된 임대 사업자를 선택하는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KR1020160086861A 2016-07-08 2016-07-08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KR101776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861A KR101776228B1 (ko) 2016-07-08 2016-07-08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861A KR101776228B1 (ko) 2016-07-08 2016-07-08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228B1 true KR101776228B1 (ko) 2017-09-07

Family

ID=59925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861A KR101776228B1 (ko) 2016-07-08 2016-07-08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2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70A1 (ko) * 2018-04-19 2019-10-24 주식회사 코헴 건설 계약 및 결제 관리 시스템
KR20200028588A (ko) 2018-09-07 2020-03-17 김준범 로봇 리스 중계 플랫폼 및 로봇 리스 시스템
KR20200090025A (ko) * 2019-01-18 2020-07-28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렌탈 방법
KR20200111150A (ko) 2018-09-07 2020-09-28 김준범 로봇 리스 중계 플랫폼 및 로봇 리스 시스템
KR102257888B1 (ko) * 2020-11-25 2021-05-27 강건욱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KR20210061652A (ko) * 2019-11-20 2021-05-28 지혜령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70A1 (ko) * 2018-04-19 2019-10-24 주식회사 코헴 건설 계약 및 결제 관리 시스템
KR20200028588A (ko) 2018-09-07 2020-03-17 김준범 로봇 리스 중계 플랫폼 및 로봇 리스 시스템
KR20200111150A (ko) 2018-09-07 2020-09-28 김준범 로봇 리스 중계 플랫폼 및 로봇 리스 시스템
KR20200090025A (ko) * 2019-01-18 2020-07-28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렌탈 방법
WO2020149623A3 (ko) * 2019-01-18 2020-09-03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렌탈 방법
KR102221159B1 (ko) 2019-01-18 2021-02-26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KR20210061652A (ko) * 2019-11-20 2021-05-28 지혜령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KR102264977B1 (ko) * 2019-11-20 2021-06-16 지혜령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KR102257888B1 (ko) * 2020-11-25 2021-05-27 강건욱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228B1 (ko) 건설기계 임대 전자계약 시스템
JP5197843B1 (ja) 認証連携システムおよびidプロバイダ装置
CN102365890B (zh) 对于中间联网设备的可验证的服务计费
US20140344460A1 (en) Brokering network resources
US20020013831A1 (en) System having mobile terminals with wireless access to the internet and method for doing same
CN104520836A (zh) 用于促进应用之间的服务提供的系统和方法
US200302002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vasive computing services through a middle tier service provider utilizing public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589290B1 (ko)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592352A (zh) 一种基于智能电视的文件共享方法及系统
KR20190130913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다 계정 관리 방법
CN100391168C (zh) 一种管理同步标记语言终端设备的方法、系统及终端
CN111553496A (zh) 基于联盟区块链的电子保修单管理系统
CN105809504A (zh) 一种构建快速存储数据的应用商店系统
KR101632700B1 (ko) 재능 공유 시스템 장치 및 재능 공유 방법
KR100366026B1 (ko) 인터넷상에서 경매 방식을 이용한 프로젝트 사업자 선정방법
JP4660817B2 (ja) 携帯端末機種情報配信方法及び同配信システム
JP2003323525A (ja) 行政サービス仲介装置、行政サービス仲介方法、及び、行政サービス仲介プログラム
KR101829654B1 (ko) 대리인을 통한 서비스 수행관리 및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03413B2 (ja) ポイント交換システム
JP2001229127A (ja) ウェブサイト間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KR20160064461A (ko) 서버 푸시를 이용한 실시간 업무처리 시스템
JP2003087404A (ja) 通信網機能設定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CN100574496C (zh) 在不同访问机制和网络技术间的漫游
JP2004334411A (ja) 業務管理システム
JP2002170057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消費者からのアイデア募集及び知的財産運用代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