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056B1 - 소방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소방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056B1
KR101776056B1 KR1020150188193A KR20150188193A KR101776056B1 KR 101776056 B1 KR101776056 B1 KR 101776056B1 KR 1020150188193 A KR1020150188193 A KR 1020150188193A KR 20150188193 A KR20150188193 A KR 20150188193A KR 101776056 B1 KR101776056 B1 KR 10177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nozzle
water
hol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906A (ko
Inventor
이준호
유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15018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분무 방수 및 직사 방수가 가능하므로 인력 및 장비가 감소하고 쉽고 빠르게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의 끝부분에 설치되고 파괴 및 방수가 행해지는 파괴방수노즐을 포함하고, 파괴방수노즐은 내부에 소방용수가 유입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통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며 앞쪽 끝부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몸통과, 몸통의 결합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첨단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붐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몸통에 연결되며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로드와,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몸통 내부에 선단이 노출되는 상태로 로드의 유로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관과, 첨단부재 뒤쪽에 연결되고 첨단부재가 몸통의 결합구멍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진 이동되면 연장관을 인출시켜 연장관의 선단을 결합구멍 내부에 조립시키도록 설치되는 인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방 방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 방수 장치 {Discharging Water Device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소방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방을 위해 물이나 소화제 등의 소방용수를 목표지점으로 방출시키는 소방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9-009715호에는 다단 붐식 소방차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다단 붐식 소방차는 화재진압시 건물의 벽체나 창문 등을 파괴해 통로를 형성한 후 방수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단 붐식 소방차는 방수노즐에 파괴칼날이 형성됨에 따라 유리창이나 벽 등을 파괴하면서 방수가 이루어지므로 인력이 절감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며 화재 진압의 용이함을 제공하게 된다.
방수노즐은 파괴칼날이 회전하고 파괴칼날 둘레에 형성되는 분출구멍을 통해 방사형으로 물을 분무시키게 되는데, 방수거리가 짧아 화재가 난 지점이 방수노즐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 진압이 어려워, 소방관이 위험을 무릅쓰고 직접 투입되거나 별도로 사다리소방차 등이 동원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체를 파괴하며 분무 방수로 화재를 진압함과 아울러 직사 방수로 방수사정거리를 향상시켜 방수범위가 향상되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화재진압이 가능한 소방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소방 방수 장치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의 끝부분에 설치되고 파괴 및 방수가 행해지는 파괴방수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괴방수노즐은 내부에 소방용수가 유입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을 통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며 앞쪽 끝부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몸통과, 상기 몸통의 결합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첨단부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붐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몸통에 연결되며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로드와,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 내부에 선단이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로드의 유로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관과, 상기 첨단부재 뒤쪽에 연결되고 상기 첨단부재가 상기 몸통의 결합구멍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진 이동되면 연장관을 인출시켜 연장관의 선단을 결합구멍 내부에 조립시키도록 설치되는 인출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의 결합구멍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첨단부재에는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몸통의 결합구멍에는 교체노즐이 상기 첨단부재와 교체되어 결합된다. 교체노즐은 앞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방출구를 통해 소방용수를 직사 방수한다. 교체노즐에는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대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첨단부재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다공관과, 상기 다공관의 다른쪽 끝부분 외면 주위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내면이 상기 다공관의 외면과 복수의 살대로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의 선단 내면과 나사결합되는 연결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의 앞쪽 끝부분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결합부가 형성되고, 몸통의 뒤쪽 끝부분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암결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의하면,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팁이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몸통과 팁이 결합시 분무 방수되고 몸통과 팁이 분리시 직사 방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노즐이 목표위치에 접근하여 방수를 행함은 물론 멀리 떨어진 거리까지 방수가 가능하므로 방수사정거리가 향상되고 작업의 용이성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첨단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첨단부재가 분리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로드가 분리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교체노즐이 결합된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에 있어서 파괴방수노즐의 몸통과 교체노즐이 분리된 측면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소방 방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2), 붐(10) 그리고 파괴방수노즐(20)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2)에는 붐(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기단대(4)가 설치된다. 기단대(4)는 붐(10)을 차량으로부터 수평 회전시킨다.
상기 붐(10)은 신축 및 굴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괴방수노즐(20)을 화염에 근접시키는 등 소방용수의 방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붐(10)은 방수 위치 설정 과정에서 파괴방수노즐(20)로 유리창, 벽체, 천장 등의 장애물을 파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붐(10)은 여러 개의 붐이 다단식(telescopic)으로 결합되는 신축붐(12)과, 상기 신축붐(12)의 끝부분에 힌지(hinge) 결합되는 굴절붐(14)을 포함한다.
상기 신축붐(12)은 첫째 단에 위치한 붐이 기단대(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굴절붐(14)은 신축붐(12)의 마지막 단에 위치한 붐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운동으로 회전된다.
상기 붐(10)에는 차량에 설치된 급수탱크(미도시)나 소화전 등으로부터 파괴방수노즐(20)로 소방용수를 급수시키기 위한 급수배관(18)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소방용수로는 물이나 소화제 등이 사용된다.
상기 파괴방수노즐(20)은 화재 장소의 장애물을 파괴하고 상기 급수배관(18) 등을 통해 이송되는 소방용수를 방수하도록 구성된다. 즉 파괴방수노즐(20)은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21), 첨단부재(26), 로드(30), 연장관(34) 그리고 인출대(35)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21)은 내부에 소방용수가 유입되고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을 통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며 앞쪽 끝부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결합구멍(24)이 형성된다. 몸통(21)은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구분하여 앞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고, 뒷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통(21)을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 중에서 몸통(21)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수직으로 몸통(22)을 관통하고, 몸통(22) 앞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앞쪽으로 경사지게 몸통(22)을 관통하고, 몸통(22) 뒷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뒤쪽으로 경사지게 몸통(22)을 관통한다.
상기 첨단부재(26)는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고 장애물 파괴시 용이하도록 대략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첨단부재(26)의 뒤쪽에는 상기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된다.
상기 첨단부재(26)의 결합돌기(27) 외면에는 결합구멍(24)의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첨단부재(26)에는 몸통(21) 내부와 연통되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통(21)과 첨단부재(26)는 로드(30)의 내부를 통해 내부로 소방용수가 이송됨에 따라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시킨다.
상기 로드(3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굴절붐(14)의 마지막 단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몸통(21)에 연결되며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32)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30)는 한쪽 끝부분이 굴절붐(14)과 힌지결합되도록 연결부(40)를 구비한다. 연결부(40)에는 상기 로드(30)의 유로 내부로 소방용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0)와 굴절붐(14)의 마지막 단은 유압실린더(16)로 연결된다. 로드(30)는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운동시 회전된다(도 1~도 3 참조).
상기 로드(30)와 몸통(21)은 나사결합된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30) 앞쪽 끝부분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결합부(33)가 형성되고, 몸통(21)의 뒤쪽 끝부분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결합부(33)와 나사결합되는 암결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관(34)은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32)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21) 내부에 선단이 노출되는 상태로 로드(30)의 유로(32)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인출대(35)는 상기 첨단부재(26)의 뒤쪽에 연결되고 첨단부재(26)가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진 이동되면 상기 연장관(34)을 인출시켜 연장관(34)의 선단을 결합구멍(24) 내부에 조립시킨다.(도 5 참조)
따라서 로드(30)의 유로 내부로 이송되는 소방용수는 상기 연장관(34)을 통해 결합구멍(24)으로 이송된 후 몸통(21)의 앞쪽으로 똑바르게 직사 방수가 가능하다.
상기 인출대(35)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37)이 형성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첨단부재(26)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다공관(36)과, 상기 다공관(36)의 다른쪽 끝부분 외면 주위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내면이 상기 다공관(36)의 외면과 복수의 살대(39)로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34)의 선단 내면과 나사결합되는 연결테(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괴방수노즐(2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21)의 결합구멍(24)에 상기 첨단부재(26)와 교체되어 결합되는 교체노즐(28)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교체노즐(28)은 상기 연장관(34)을 통해 결합구멍으로 이송되는 소방용수를 효과적으로 직사 방수한다. 교체노즐(28)은 앞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방출구(28a)를 통해 소방용수를 직사 방수한다. 교체노즐(28)은 상기 차량(2) 또는 붐(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 가능하다.
상기 교체노즐(28)의 뒤쪽 끝부분에는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9)가 형성되며 결합돌기(29) 외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교체노즐(28)과 연장관(34)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 : 차량 4 : 기단대
10 : 붐 12 : 신축붐
14 : 굴절붐 16 : 유압실린더
18 : 급수배관 20 : 파괴방수노즐
21 : 몸통 22 : 노즐구멍
23 : 암결합부 24 : 결합구멍
26 : 첨단부재 27, 29 : 결합돌기
28 : 교체노즐 28a : 방출구
30 : 로드 31 : 유입구
32 : 유로 33 : 수결합부
34 : 연장관 35 : 인출대
36 : 다공관 38 : 연결테
40 : 연결부

Claims (5)

  1. 차량(2)과, 상기 차량(2)에 설치되는 붐(10)과, 상기 붐(10)의 끝부분에 설치되고 파괴 및 방수가 행해지는 파괴방수노즐(20)을 포함하고,
    상기 붐(10)은 여러 개의 붐이 다단식으로 결합되고 첫째 단에 위치한 붐이 상기 차량(2)의 기단대(4)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신축붐(12)과, 상기 신축붐(12)의 마지막 단에 위치한 붐에 힌지 결합되고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운동으로 회전되는 굴절붐(14)을 포함하고,
    상기 파괴방수노즐(20)은 내부에 소방용수가 유입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을 통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며 앞쪽 끝부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결합구멍(24)을 구비하고 뒤쪽 끝부분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암결합부(23)를 구비하는 몸통(21)과,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21) 내부와 연통되어 소방용수를 분무 방수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7)를 구비하여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첨단부재(26)와,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에 상기 첨단부재(26)와 교체되어 결합되고 앞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방출구(28a)를 통해 소방용수를 직사 방수하며 상기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결합돌기(29)를 구비하는 교체노즐(28)과, 한쪽 끝부분이 상기 붐(10)에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몸통(21)에 연결되며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32)가 형성되고 앞쪽 끝부분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23)와 나사결합되는 수결합부(33)를 구비하는 로드(30)와, 내부에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유로(32)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21) 내부에 선단이 노출되는 상태로 상기 로드(30)의 유로(32)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관(34)과, 상기 첨단부재(26) 뒤쪽에 연결되고 상기 첨단부재(26)가 상기 몸통(21)의 결합구멍(24)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진 이동되면 연장관(34)을 인출시켜 연장관(34)의 선단을 결합구멍(24) 내부에 조립시키도록 설치되는 인출대(35)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21)은 앞부분과 뒷부분으로 구분하여 앞부분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고, 뒷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몸통(21)을 관통하는 복수의 노즐구멍(22) 중에서 몸통(21)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수직으로 몸통(21)을 관통하고, 몸통(21) 앞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앞쪽으로 경사지게 몸통(21)을 관통하고, 몸통(21) 뒷부분에 위치하는 노즐구멍(22)은 뒤쪽으로 경사지게 몸통(21)을 관통하고,
    상기 인출대(35)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37)이 형성되며 한쪽 끝부분이 상기 첨단부재(26)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다공관(36)과, 상기 다공관(36)의 다른쪽 끝부분 외면 주위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되고 내면이 상기 다공관(36)의 외면과 복수의 살대(39)로 연결되어 소방용수가 이송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34)의 선단 내면과 나사결합되는 연결테(38)를 포함하는 소방 방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88193A 2015-12-29 2015-12-29 소방 방수 장치 KR10177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93A KR101776056B1 (ko) 2015-12-29 2015-12-29 소방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93A KR101776056B1 (ko) 2015-12-29 2015-12-29 소방 방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06A KR20170078906A (ko) 2017-07-10
KR101776056B1 true KR101776056B1 (ko) 2017-09-20

Family

ID=5935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93A KR101776056B1 (ko) 2015-12-29 2015-12-29 소방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6233U1 (ru) * 2019-11-25 2020-02-21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Челябин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Пожарная машин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3775A (zh) * 2018-04-18 2018-09-21 中山市精镀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消防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155B1 (ko) * 2009-11-09 2011-10-10 윤성균 자바라식 물분무소화장치
KR101229517B1 (ko) * 2010-02-22 2013-02-04 김동섭 타격겸용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155B1 (ko) * 2009-11-09 2011-10-10 윤성균 자바라식 물분무소화장치
KR101229517B1 (ko) * 2010-02-22 2013-02-04 김동섭 타격겸용 소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6233U1 (ru) * 2019-11-25 2020-02-21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Челябин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Пожарная машин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06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56B1 (ko) 소방 방수 장치
US20200222736A1 (en) Fog-cloud generating nozzle
CN204261240U (zh) 一种消防用喷枪
KR101756281B1 (ko) 소방 장치
CN106492384A (zh) 一种可更换枪头的多功能转角消防水枪
KR10127952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722248B1 (ko) 소화 장치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KR102456367B1 (ko) 소방용 파괴 방수 모듈
CN206285390U (zh) 一种环形喷射炮
CN202620538U (zh) 消防喷水枪
CN102114313B (zh) 高层建筑外墙消防水枪
RU171904U1 (ru) Насадок-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установки водопен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KR101890878B1 (ko) 가스분사노즐
KR101957483B1 (ko) 소방용 파괴 방수 노즐장치
CN205626798U (zh) 一种新型手提式灭火器
KR20220045333A (ko) 소화기의 분사노즐 구조
CN103537034A (zh) 具有安全逃生功能的消防水带
CN209967491U (zh) 一种具有穿刺、散射、动力功能的消防抢救水枪
KR101799182B1 (ko) 소화용 분사노즐
KR102622050B1 (ko) 화재진압용 폼스틱 방사장치
CN106492377B (zh) 一种泡沫消防灭火装置及其应用
KR20120017993A (ko) 살수기
KR102619893B1 (ko)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