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865B1 -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865B1
KR101775865B1 KR1020170023284A KR20170023284A KR101775865B1 KR 101775865 B1 KR101775865 B1 KR 101775865B1 KR 1020170023284 A KR1020170023284 A KR 1020170023284A KR 20170023284 A KR20170023284 A KR 20170023284A KR 101775865 B1 KR101775865 B1 KR 10177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sentences
verb
languag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묵
Original Assignee
이상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묵 filed Critical 이상묵
Priority to KR102017002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언어 교습 장치에 의한 언어 교습 방법은, 제 1 언어에 포함된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가 선택되는 단계와, 선택된 어느 한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때에 문장을 이루는 연관관계를 가지는 M개의 연관 단어가 선택되는 단계와, 어느 한 동사와 M개의 연관 단어가 조합된 K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와, K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K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와, K개의 원어 문장과 K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한 후에 답변을 입력 받는 교습을 수행하는 단계와, 교습을 수행한 후에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를 제외한 다른 동사가 선택되어 이후의 과정 및 교습을 N개의 동사가 소진될 때까지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사는 세계의 어떤 언어라 할지라도 포함될 수밖에 없는 품사이고, 하나의 동사는 그 자체로도 문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핵심 단어이며, 이러한 핵심 단어인 동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장 형태를 우선 학습하면 해당 언어의 문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교습효율 및 학습효율이 향상되고, 이러한 동사 중심의 교습 및 학습법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INING LANGUAGES}
본 발명은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원어 문장과 해석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예시 문장을 활용하여 학습자에게 언어를 교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국경에 따라 시장을 구분하지 않고 전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보고 경쟁하는 글로벌 시대에서는 상호간의 의사 소통을 위한 언어 학습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그런데, 세계의 언어는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공용어인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이외에도 3,000개 내지 6,000개의 언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계의 언어들을 한 명의 학습자가 모두 학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겠지만 되도록 많은 수의 언어를 상대적으로 더 쉽게 학습할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국어를 이미 습득한 학습자가 복수의 외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 대표적인 교습법이 언어별로 대부분 상이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습효율 및 학습효율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한국어를 이미 습득한 학습자에게 영어를 교습하는 경우라면, 시제, 조동사, 수동태, 부정사, 동명사, 분사, 접속사와 절 등과 같이 문장의 구조에 따라 챕터(chapter)를 나누어서 교습 및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교습 및 학습법은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를 교습 및 학습할 때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세계의 언어들은 문장(또는 말)의 기능이나 내용면에서 상호간에 유사성이 있는 동시에 다른 점이 있기 마련이기에, 문장 구조에 따라 챕터별로 나누는 교습 및 학습법은 복수의 외국어에 공통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01108호, 등록일자 2009년 05월 29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교습 및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언어에서 선정된 소정 개수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어 문장과 이에 대한 해석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기 선정된 동사가 소진될 때까지 수행하는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은 상기 언어 교습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언어 교습 장치에 포함된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은, 동사 자체로 이루어지는 제1 원어 문장과, 상기 동사 및 상기 동사 앞에 배치되는 연관 단어를 포함하는 제2 원어 문장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 각각은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는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은, 동사 자체로 이루어지는 제1 원어 문장과, 상기 동사 및 상기 동사 앞에 배치되는 연관 단어를 포함하는 제2 원어 문장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 각각은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교습 및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언어에서 선정된 소정 개수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어 문장과 이에 대한 해석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기 선정된 동사가 소진될 때까지 수행한다.
동사는 세계의 어떤 언어라 할지라도 포함될 수밖에 없는 품사이고, 하나의 동사는 그 자체로도 문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핵심 단어이며, 이러한 핵심 단어인 동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장 형태를 우선 학습하면 해당 언어의 문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교습효율 및 학습효율이 향상되고, 이러한 동사 중심의 교습 및 학습법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관 단어가 변경됨에 따라서 문장의 문법적 구조가 바뀌도록 구성된 원어 문장을 통해서, 사용자는 외국어를 각각의 문법의 유형별로 확장하면서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100)는 출력부(110), 입력부(120), 데이터베이스(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학습자가 자신과 동일한 공간에 배치된 언어 교습 장치(100)를 이용하여 언어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언어 학습을 위한 질문에 활용될 수 있는 원어 문장이 저장된다. 제 1 언어에 포함된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가 선택되고, 선택된 어느 한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때에 문장을 이루는 연관관계를 가지는 M개의 연관 단어가 선택되며, 어느 한 동사와 M개의 연관 단어가 조합된 K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고, K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K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된 경우에, K개의 원어 문장과 K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30)는 N개의 동사마다 K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된다. 여기서, K개의 원어 문장 또는 해석 문장에 포함되는 어느 한 문장에는 다른 문장과 비교할 때에 연관 단어가 달라질 때마다 해당 원어 문장이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는 명령문, 부정명령문, 권유문, 부정권유문,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평서문(대답 긍정), 평서문(대답 부정), 상관접속사문, 동명사문, 부사절 접속사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130)에는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L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제 1 언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주어가 선택되고, 어느 한 주어와 N개의 동사가 조합된 L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며, L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L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된 경우에,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L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N, M, K 및 L은 자연수라면 어떠한 수라도 무방하다.
출력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K개의 예시 문장 또는 L개의 예시 문장이 활용된 질문을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이러한 출력부(110)는 디스플레이(111)를 통해 화면에 질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스피커(113)를 통해 질문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출력부(110)는 도 4를 참조하면, 동사만으로 이루어진 제1 원어 문장을, 동사 앞에 연관 단어가 위치하는 제2 원어 문장보다 상대적으로 상단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부(110)는 제2 원어 문장을 명령문, 부정명령문, 권유문, 부정권유문,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평서문(대답 긍정), 평서문(대답 부정), 상관접속사문, 동명사문, 부사절 접속사문의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학습자에 의해 입력되면 이를 제어부(140)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의 학습자에 의한 답변을 키보드(121)나 터치 스크린(123)의 키 신호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125)을 통해 학습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에 대응하여 저장된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한 후에 학습자에 의한 답변을 입력 받도록 입력부(120)를 제어하는 교습을 수행한다.
또, 제어부(140)는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를 중심으로 하는 교습을 수행한 후에 교습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기 설정된 이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동사에 대응하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하며,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이수 조건을 충족하면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를 제외한 다른 동사에 대응하여 저장된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N개의 동사에 대한 교습이 완료, 즉 교습의 반복에 의해 N개의 동사가 소진되면, 제 1 언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주어가 선택되고, 어느 한 주어와 N개의 동사가 조합된 L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며, L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L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된 상태에서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L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출력부(110)를 통해 L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학습자에게 제시한 후에 입력부(120)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답변을 입력 받는 복습 교습을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간 대응 관계를 기초로 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정확성을 산출하고, L개의 예시 문장 중에서 답변의 정확성이 기 설정된 복습 이수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문장을 학습 부진 문장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학습 부진 문장에 포함된 동사를 대상으로 하여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200)는 통신망(220)를 통해 상호 접속될 수 있는 통신 단말(210)과 서버(230)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210)은 출력부(211) 및 입력부(213)를 포함하며, 서버(230)는 제어부(231) 및 데이터베이스(233)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학습자가 자신과 동일한 공간에 배치되거나 자신이 휴대할 수 있는 통신 단말(210)을 이용하여 통신망(220)을 통해 서버(230)에 접속된 상태에서 서버(230)에 의해 제공되는 언어 교습을 통해 언어 학습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도 2에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통신 단말(210)과 서버(230)에는 상호간의 정보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수단을 각각 구비한다.
도 1의 실시예와 도 2의 실시예를 비교하여 보면, 도 1의 언어 교습 장치(100)는 출력부(110), 입력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어부(140)가 동일한 공간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2의 언어 교습 장치(200)는 출력부(211)와 입력부(213)는 학습자가 위치한 공간에 함께 위치할 수 있는 통신 단말(210)에 내장되며, 제어부(231)와 데이터베이스(233)는 교습자가 위치한 공간에 함께 위치할 수 있는 서버(230)에 내장된다는 것이다.
도 2의 출력부(211)는 도 1의 출력부(110)와 비교할 때에 동일 또는 유사 역할을 수행하며, 도 2의 입력부(213)는 도 1의 입력부(120)와 비교할 때에 동일 또는 유사 역할을 수행하고, 도 2의 데이터베이스(233)는 도 1의 데이터베이스(130)와 비교할 때에 유사 역할을 수행하며, 도 2의 제어부(231)는 도 1의 제어부(140)와 비교할 때에 동일 또는 유사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은, 제 1 언어에 포함된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가 선택되는 단계(S3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된 어느 한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때에 문장을 이루는 연관관계를 가지는 M개의 연관 단어가 선택되는 단계(S30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어느 한 동사로부터 기 설정된 단어거리 내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때에 문장을 이루는 단어가 선택될 수 있다.
또, 어느 한 동사와 M개의 연관 단어가 조합된 K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S30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K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K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S307)를 더 포함한다.
또, K개의 원어 문장과 K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한 후에 답변을 입력 받는 교습을 수행하는 단계(S309, S31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교습을 수행할 때에 원어 문장을 활용한 질문과 해석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교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K개의 원어 문장 또는 해석 문장에 포함되는 어느 한 문장에는 다른 문장과 비교할 때에 연관 단어에 따라서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어서, 교습을 수행한 후에 교습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측정하는 단계(S31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성취도는 원어 문장과 해석 문장간 대응 관계를 기초로 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정확성을 산출하며, 산출된 정확성을 학습성취도로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기 설정된 이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는 단계(S315)를 더 포함한다.
또는,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기 설정된 이수 조건을 충족하면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를 제외한 다른 동사가 선택되어 이후의 과정 및 교습을 N개의 동사가 소진될 때까지 수행하는 단계(S317, S319)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N개의 동사에 대한 모든 교습이 완료되면 어느 한 주어가 선택되어 선택된 어느 한 주어와 N개의 동사가 조합된 L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S321, S32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L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L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되는 단계(S325)를 더 포함한다.
또,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L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한 후에 답변을 입력 받는 복습 교습을 수행하는 단계(S327, S329)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간 대응 관계를 기초로 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정확성을 산출하는 단계(S33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L개의 예시 문장 중에서 답변의 정확성이 기 설정된 복습 이수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문장을 학습 부진 문장으로 선정하는 단계(S333, S335)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선정된 학습 부진 문장에 포함된 동사를 대상으로 하여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는 단계(S337)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어 교습 장치에 의한 언어 교습 및 학습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도 1에 예시된 언어 교습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언어 교습 및 학습 과정에 대해 대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언어 학습을 위한 질문에 활용될 수 있는 예시 문장이 저장된다. 제 1 언어에 포함된 N개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한 동사가 선택(S301)되고, 선택된 어느 한 동사의 앞이나 뒤에 위치할 때에 문장을 이루는 연관관계를 가지는 M개의 연관 단어가 선택되며(S303), 어느 한 동사와 M개의 연관 단어가 조합된 K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고(S305), K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K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된 경우에(S307), K개의 원어 문장과 K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30)는 N개의 동사마다 K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된다.
예컨대, 제 1 언어가 "영어"이며, 제 2 언어가 "한국어"이고, N개의 동사 중에서 "come"이 선택된 경우에 아래의 표 1의 예시와 같은 예시 문장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순번 제 2 언어 제 1 언어
1 와라. Come.
2 오지마. Don?t come.
3 오자. Let?s come.
4 오지말자. Let?s not come.
5 너 오니? Do you come?
6 너 올 수 있니? Can you come?
7 너 올거니? Will you come?
8 너 와야하니? Do you have to come?
9 너 오는거 좋아하니? Do you like to come?
10 너 오길 원하니? Do you want to come?
11 너 오고 싶니? Would you like to come?
12 오시겠습니까? Would you come?
13 너 왔었니? Did you come?
14 너 와본적 있니? Have you ever come?
15 너 오는 중이니? Are you coming?
16 너 오는 중이었니? Were you coming?
17 너 가끔 오니? Do you sometimes come?
18 너 자주 오니? Do you often come?
19 너 절대 안오니? Do you never come?
20 너 거의 안오니? Do you hardly come?
또, 도 4는 제 1 언어가 "베트남어"이며, 제 2 언어가"한국어"이고, N개의 동사 중에서 "
Figure 112017018189223-pat00001
"가 선택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는 예시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또, 도 5는 제 1 언어가 "베트남어"이며, 제 2 언어가 "영어"이고, N개의 동사 중에서 "
Figure 112017018189223-pat00002
"가 선택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는 예시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면, 데이터베이스(130)에는 K개의 원어 문장과 K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K개의 예시 문장이 저장되며, 제어부(140)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과 이에 대한 학습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 교습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출력부(110)를 제어하여 원어 문장이나 해석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학습자에게 표시하며(S309), 입력부(120)를 제어하여 학습자의 답변을 입력 받는다(S311). 이때, 질문을 제시할 때에 원어 문장을 활용한 질문과 해석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교번으로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질문 및 답변 과정을 살펴보면, 출력부(110)의 디스플레이(111)에는 "와라"가 표시되면서 "와라"에 대응하는 원어 문장을 입력부(120)의 키보드(121)나 터치스크린(123) 또는 마이크로폰(125)으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질문이 디스플레이(111)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출력부(110)의 스피커(113)에는 "Come"이 음성으로 출력되면서 해당 음성에 대응하는 원어 문장을 입력부(120)의 키보드(121)나 터치스크린(123) 또는 마이크로폰(125)으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질문이 스피커(113)를 통해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하는 정보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질문과 답변 과정은 한 개의 예시 문장씩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모든 예시 문장이 소진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원어 문장이나 해석 문장을 활용한 질문은 디스플레이(111)에 의한 동영상 재생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MP3 등과 같은 다양한 코덱을 지원할 수 있는 음성재생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답변은 제어부(140)로 전달되며, 제어부(140)는 해당 동사의 교습에 대한 학습성취도를 측정한다(S313). 여기서, 제어부(140)는 단계 S309에서 제시한 질문과 단계 S311에서 답변에 대해 원어 문장과 해석 문장간 대응 관계를 기초로 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의 정확성을 산출하며, 산출된 정확성을 학습성취도로서 간주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S311에서 마이크로폰(125)을 통해 답변이 입력된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답변 음성을 먼저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원어 문장과 해석 문장 중에서 단계 S309의 질문 과정에서 이용된 텍스트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정도를 수치화하여 정확성 및 학습성취도로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계 S313에서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기 설정된 이수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해당 동사에 대응하는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한다(S315). 예컨대, 단계 S309 내지 S315가 여러 번에 걸쳐서 반복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반복 횟수를 초과하면 예외 처리하여 반복적인 교습을 중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 S309 내지 S315의 교습 및 학습 과정에서 활용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면, 동사만으로 이루어진 제1 원어 문장을, 동사 앞에 연관 단어가 위치하는 제2 원어 문장보다 상대적으로 상단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부(110)는 제2 원어 문장을 명령문, 부정명령문, 권유문, 부정권유문,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평서문(대답 긍정), 평서문(대답 부정), 상관접속사문, 동명사문, 부사절 접속사문의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S309 내지 S315의 교습 및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는 해당 동사에 대한 다양한 문법적 구조를 학습하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단계 S313에서 측정된 학습성취도가 기 설정된 이수 조건을 충족하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N개의 동사에 대한 교습이 모두 이루어졌는지, 즉 N개의 동사가 모두 소진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17).
여기서, 교습할 동사가 남아 있다면 제어부(140)는 N개의 동사 중에서 이전에 단계 S309 및 S311에서 교습된 동사를 제외한 다른 동사를 선택하며(S319), 이렇게 변경 선택된 동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 저장된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제시하도록 출력부(110)를 제어하고, 학습자의 답변을 입력 받도록 입력부(120)를 제어하는 교습을 수행하며, 이러한 교습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N개의 동사에 대한 교습이 모두 이루어졌을 때, 즉 N개의 동사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N개의 동사에 대한 교습이 완료, 즉 교습의 반복에 의해 N개의 동사가 소진되면, 제 1 언어에 포함되는 어느 한 주어가 선택되고(S321), 어느 한 주어와 N개의 동사가 조합된 L개의 원어 문장이 선택되며(S323), L개의 원어 문장이 제 2 언어로서 해석된 L개의 해석 문장이 선택된 상태에서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이 이루는 L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한다. 즉, 출력부(110)를 통해 L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질문을 학습자에게 제시한 후(S327)에 입력부(120)를 통해 학습자에 의한 답변을 입력 받는 복습 교습을 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한다(S329). 예컨대, "you"가 주어로 선택되고, N개의 동사로서 stay, do, drink, go, like, hate, borrow, do, call, meet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되는 N개의 동사는 단계 S309 내지 S315의 과정을 통해 교습 및 학습된 N개의 동사이다. 이러한 복습 교습 과정은 단계 S309 및 S311과 비교할 때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리 및 개념에 의해 수행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L개의 원어 문장과 L개의 해석 문장간 대응 관계를 기초로 하여, 단계 S327의 질문에 대한 단계 S329의 답변에 대한 정확성을 산출하고(S331), L개의 예시 문장 중에서 답변의 정확성이 기 설정된 복습 이수 조건을 충족(S333)하지 않은 문장을 학습 부진 문장으로 선정한다(S335).
예컨대, 제어부(140)는 단계 S313에서와 같이 단계 S329에서 마이크로폰(125)을 통해 답변이 입력된 경우라면, 답변 음성을 먼저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L개의 예시 문장 중에서 단계 S327의 질문 과정에서 이용된 텍스트 정보를 비교하고, 일치 정도를 수치화하여 답변의 정확성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계 S335에서 선정된 학습 부진 문장에 포함된 동사를 대상으로 하여 K개의 예시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재수행하도록 출력부(110) 및 입력부(120)를 제어한다. 예컨대, 단계 S309 내지 S315의 교습 및 학습 과정이 여러 번에 걸쳐서 다시 수행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반복 횟수를 초과하면 예외 처리하여 반복적인 교습을 중단할 수도 있다(S337).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의하면 교습 및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언어에서 선정된 소정 개수의 동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원어 문장과 이에 대한 해석 문장을 활용한 교습을 기 선정된 동사가 소진될 때까지 수행한다.
동사는 세계의 어떤 언어라 할지라도 포함될 수밖에 없는 품사이고, 하나의 동사는 그 자체로도 문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언어를 구성하는 핵심 단어이며, 이러한 핵심 단어인 동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장 형태를 우선 학습하면 해당 언어의 문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교습효율 및 학습효율이 향상되고, 이러한 동사 중심의 교습 및 학습법은 세계의 다양한 언어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언어 교습 장치 110, 211 : 출력부
111 : 디스플레이 113 : 스피커
120, 213 : 입력부 121 : 키보드
123 : 터치스크린 125 : 마이크로폰
130, 233 : 데이터베이스 140, 231 : 제어부
210 : 통신 단말 220 : 통신망
230 : 서버

Claims (10)

  1. 언어 교습 장치에 의한 언어 교습 방법으로서,
    상기 언어 교습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언어 교습 장치에 포함된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은,
    동사 자체로 이루어지는 제1 원어 문장과,
    상기 동사 및 상기 동사 앞에 배치되는 연관 단어를 포함하는 제2 원어 문장을 둘 이상 포함하되,
    상기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 각각은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문장의 구조의 종류에는,
    부정명령문, 권유문, 부정권유문,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평서문(대답 긍정), 평서문(대답 부정), 상관접속사문, 동명사문 및 부사절 접속사문 중 적어도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제1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을 상기 문장 구조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순서대로 표시하되, 상기 제1 원어 문장보다 상대적으로 하단에 표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동사를 변경한 후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교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 개의 원어 문장은,
    동사 자체로 이루어지는 제1 원어 문장과,
    상기 동사 및 상기 동사 앞에 배치되는 연관 단어를 포함하는 제2 원어 문장을 둘 이상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 각각은,
    문법적으로 분류되는 문장의 구조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문장의 구조의 종류에는,
    부정명령문, 권유문, 부정권유문, 일반의문문, 부정의문문, 의문사 의문문, 평서문(대답 긍정), 평서문(대답 부정), 상관접속사문, 동명사문 및 부사절 접속사문 중 적어도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 원어 문장을 표시한 후, 상기 표시된 제1 원어 문장보다 상대적으로 하단에 상기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을 상기 문장 구조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순서대로 표시하되, 상기 제1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것과 상기 둘 이상의 제2 원어 문장을 표시하는 것을 동사가 변경될 때마다 반복하여 수행하는
    언어 교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제 1 항에 따른 언어 교습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023284A 2017-02-22 2017-02-22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KR10177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84A KR101775865B1 (ko) 2017-02-22 2017-02-22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284A KR101775865B1 (ko) 2017-02-22 2017-02-22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756 Division 2016-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865B1 true KR101775865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84A KR101775865B1 (ko) 2017-02-22 2017-02-22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41B1 (ko) 2022-03-30 2022-05-02 최준석 교습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영어문법_수동태 2]시제와 3,4,5형식 수동변형")(2015.12.19.)(http://gbenglish.tistory.com/6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241B1 (ko) 2022-03-30 2022-05-02 최준석 교습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schirner Listening and reading proficiency levels of college students
Kusumawardani et al. Th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grammar competence and speaking fluency
CN110797010A (zh) 基于人工智能的问答评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080066913A (ko) 컴퓨터에 의한 구두 언어 능력 평가
KR101635144B1 (ko) 텍스트 시각화와 학습자 말뭉치를 이용한 언어학습 시스템
KR20160008949A (ko) 음성 대화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77362B1 (ko)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Wang et al.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system based on dynamic question generation and error predic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KR101160623B1 (ko) 영어 학습법 및 그 장치
Schulze et al. Intelligent CALL
KR20180130746A (ko) 빅데이터 기반 언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Wilske Form and meaning in dialog-based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KR102031482B1 (ko)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102563530B1 (ko) 독해와 작문 능력의 향상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101775865B1 (ko) 언어 교습 방법 및 장치
US20020069047A1 (en) Computer-aided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system
CN113205729A (zh) 一种面向外国留学生的演讲评测方法、装置及系统
JP2019061189A (ja) 教材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
Xu et al. A generic framework for building dialogue games for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 in the flight domain
US20090061398A1 (en) Language Teaching Method and Apparatus
Kwon et al. GenieTutor: a computer assisted second-language learning system based on semantic and grammar correctness evaluations
KR20090054951A (ko) 주니어용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어 학습장치
Eludiora et al. Development of an English to Yorùbá Machine Translator
KR102395702B1 (ko) 문장을 이루는 단위를 단계별 확장하여 스텝화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Sihombing et al. Students Written Production Error Analysis in the EFL Classroom Teaching: A Study of Adult English Learners Err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