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11B1 -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11B1
KR101775311B1 KR1020170024486A KR20170024486A KR101775311B1 KR 101775311 B1 KR101775311 B1 KR 101775311B1 KR 1020170024486 A KR1020170024486 A KR 1020170024486A KR 20170024486 A KR20170024486 A KR 20170024486A KR 101775311 B1 KR101775311 B1 KR 10177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formation
architectural design
architectural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이광수
임국현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102017002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기반으로 한 건축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설계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객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건축 설계 과정을 간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System for designing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designing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기반으로 한 건축 설계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설계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객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건축 설계 과정을 간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건축 설계에 있어서, 건축물의 외부 모델링 정보와 내부 설계요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물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의 건축 설계가 가능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모의 설계함으로써, 건축 설계 과정의 오차가 현저히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건축 설계 과정이 간소화되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한 건축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기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이란, 3차원 가상 공간에서의 건축 설계 기술로서, 건축물의 외부 모델링 정보 및 내부 설계 정보가 포함된 3차원 형태의 건축물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모의 설계하되, 건축 설계와 동시에 건축 설계에 따른 자동 개산견적 연산이 가능한 건축 설계 기술을 말한다.
한편, 최근에는 정부 차원에서 건축 설계의 표준화를 추진함에 따라, 공공 발주 공사에서 BIM 기술 적용에 의한 개산견적 적용이 의무화되면서, BIM 기술이 필수적인 기술 분야로 각광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BIM 기술을 이용한 건축 설계는, 건축 현황 및 설계 개요 입력, 건축물의 속성 정보 입력 및 건축물 모의 배치 등의 각각의 설계 과정 간의 호환성이 부족하여, 각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타 단계에 적용하여 활용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각 단계 별로 요구되는 정보를 매번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여 건축 설계 과정이 지체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업무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로서는, 단계별 호환이 가능한 BIM 설계 데이터를 구축한다 하더라도, 호환 과정에서 데이터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실질적인 데이터 사용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88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있어서, 건축 설계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객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상기 건축 설계 과정을 간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모의 건축 설계의 결과에 따라,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실질적인 거주 환경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둘 이상의 모의 건축 설계 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대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건축 설계 대안 중 보다 효과적인 대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건축 설계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 설계 과정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킨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은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를 생성하는 단계와,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주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이 수정됨에 따라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와,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도가 수정됨에 따라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 정보는, 건축물의 형상 정보, 면적 정보, 높이 정보, 층수 정보,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상기 속성 정보 및 배치 형태에 근거하여,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 검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의 차이점을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기반으로 건축 설계를 지원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 및 저장하는 프로젝트 관리부와,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와,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주동 모델과,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정되는 경우, 해당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배치도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속성 정보는, 건축물의 형상 정보, 면적 정보, 높이 정보, 층수 정보,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속성 정보 및 배치 형태에 근거하여,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석표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배치도를 생성하되,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 검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는,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건축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의 차이점을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는,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 및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대비표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있어서, 건축 설계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객체 기반으로 구성하여 상기 건축 설계 과정을 간소화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모의 건축 설계의 결과에 따라,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실질적인 거주 환경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둘 이상의 모의 건축 설계 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대비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건축 설계 대안 중 보다 효과적인 대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건축 설계 과정에서 생성되는 건축 설계에 필요한 복수의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필요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 설계 과정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킨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CAD 파일, 스케치업 파일, 스프래드 시트, 엑셀(Excel) 및 워드(Word) 파일을 포함한 텍스트(Text)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건축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타 프로그램과 연동이 가능한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건축 프로젝트 생성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건축 현황 및 법규 입력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건축 설계 개요 입력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건축 객체 배치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의 배치 결과에 따른 환경 및 에너지 분석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의 건축 설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건축 설계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100)은 프로젝트 관리부(110), 입력부(120), 생성부(130), 보정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로서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프로젝트 관리부(11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110)는 모의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술할 건축 설계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건축 현황 및 법규,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및 분석표에 근거하여, 하나의 모의 건축 설계 결과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 관리부(110)는 하나 이상의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건축 프로젝트를 저장 이력 별로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저장 이력 별로 나열된 상기 건축 프로젝트는 후술되는 건축 설계 개요 및 배치도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각각의 건축 설계 내용을 보다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현황이란,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대지 위치의 인근 부대시설 정보 및 도로 정보를 포함한 기 건설된 건축물의 현황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건축 법규란, 상기 대지 위치의 건축물의 높이 제한 및 면적 제한을 포함한 건축물에 대한 법적 규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설계 개요란, 상기 대지 위치에 건설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예상 건축 면적 및 예상 사업대지면적을 포함한 건축 계획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건축 객체란, 건설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하나 이상의 속성정보(예를 들어, 건축물의 형상 정보, 면적 정보, 높이 정보, 층수 정보,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가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형성된 객체일 수 있다.
또한, 주동 모델이란, 상기 하나 이상의 건축 객체가 상기 속성 정보,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배치된 상기 건축 객체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형태의 배치도에서 상기 건축 객체를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하여 배치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정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아니함에 유의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100)은,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를 용이하게 대비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차이점을 하나 이상의 항목별로 대비하여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차이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입력부(1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입력부(120)는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 받아 상기 건축 프로젝트에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용을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부터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항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에 입력 가능한 하나 이상의 내용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내용을 근거로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내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은 후술되는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이란,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기 저장된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포함되는 내용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된 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일한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를 반복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생성부(1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 받은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은,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 및 상기 사업대지면적 내의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에 "10000평"의 값을 을 입력하고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에 "아파트=7000평, 주차장=1000평 및 주민공동시설=1000평"의 값을 입력하면,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 및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과, 해당 항목에 대응하는 "10000평" 및 "아파트=7000평, 주차장=1000평 및 주민공동시설=1000평"의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이 전술한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 및 상기 사업대지면적 내의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또한, 상기 생성부(130)는 건축물의 크기, 높이, 면적, 부피, 층수 및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건축물의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건축 객체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구축된 하나 이상의 건축 객체의 배치 결과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건축 객체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주동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건축 객체의 속성 정보 및 배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출력부(140)를 통해 상기 배치도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결과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배치도를 생성하되,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인근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으로 검측함으로써,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이 배치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정밀한 배치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배치도를 통해 주동 모델 및 주동 모델에 포함되는 건축 객체의 속성 정보를 확인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도를 통해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경우, 해당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건축 객체의 속성 정보가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을 수정하는 경우, 해당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건축 객체의 속성 정보가 수정됨으로써,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배치도가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도는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현 가능한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은 해당 파일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및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F 형식의 문서파일로 저장된 상기 배치도는 PDF 작성 프로그램인 아크로뱃(Acrobat)을 통해 확인 및 편집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치도의 출력 가능한 파일 형식이 상기 PDF 및 DWG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 형태를 2D 및 3D 등의 시인 가능한 형태로 표현 가능한 형식의 파일이라면 어떠한 파일 형식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생성부(130)는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결과에 근거하여,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출력부(140)를 통해 상기 분석표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결과에 따른 실질적인 거주 환경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표의 상기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은 건축 설계에 따른 투자율과 대비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분석표를 통해 투자 대비 효율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환경 분석은,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결과에 따른 예상 일조 시간, 일영 시간, 기류 흐름 및 예측 경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일 수 있으며, 상기 월별 에너지 요구량 분석은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결과에 따른 단위 면적당 냉난방 에너지, 조명 에너지 및 수도 에너지 소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동 모델 및 주동 모델에 포함되는 건축 객체의 배치 결과에 따른 배치도는 CAD 및 스케치업 포맷의 파일이나, BIM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설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 가능한 2D 및 3D 형태의 도면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저장 및 이용될 수 있고,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분석표는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 저장 및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보정부(140)는,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정되는 경우, 해당 수정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에 포함되는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정부(140)는 사용자가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되는 값 중, 건축물의 면적 정보에 대한 값을 수정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건축 객체의 건축물의 속성 정보 중 건축물의 면적 정보를 자동으로 수정함으로써,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되는 값을 수정함에 따라, 상기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일일이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배치도에서 상기 건축 객체의 단위 세대 수 정보를 수정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상기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건축물의 단위 세대 수 정보를 자동으로 수정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수정하고자 하는 항목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50)는, 상기 배치도 및 분석표와, 후술할 대비표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에게 모의 건축 설계 결과에 따른 상기 배치도, 분석표 및 대비표를 제공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모의 건축 설계의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60)는,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하며,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10)와 통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1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100)은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 중복적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함으로써,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생성 작업 중, 중복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성 작업으로 인한 작업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CAD 및 스케치업 포맷의 파일이나, BIM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설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 가능한 2D 및 3D 형태의 도면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로 저장된 상기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건축 객체의 배치 결과에 따른 배치도와,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 저장된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분석표는 상기 통신부(1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에 업로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CAD 및 스케치업 포맷의 파일이나, BIM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설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 가능한 2D 및 3D 형태의 도면 파일 및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는 CAD 프로그램,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에서 후술되는 클라우드 서버(10)로부터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건축 설계 개요 및 분석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게 되므로, 클라우드 서버(10)를 통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과 건축 설계 시스템(100)의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엑셀 프로그램을 통해 건축 설계 개요를 작성한 후, 클라우드 서버(10)에 업로드하는 경우, 건축 설계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통신부(16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해당 엑셀 파일에 작성된 내용을 근거로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설계 개요가 자동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설계 개요를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여 클라우드 서버(10)에 업로드 하는 경우, 다른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10)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엑셀 파일의 확인 및 편집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건축 설계 개요의 내용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다.
다만, 이때, 클라우드 서버(10)를 통해 연동 가능한 파일 형식 및 프로그램이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과정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과정이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먼저, 모의 건축 설계가 가능한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S701)하는 단계 및 해당 건축 프로젝트에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S702)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는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포함되는 내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내용을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부터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에 입력 가능한 하나 이상의 항목의 내용이 자동 추출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입력된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하나 이상의 항목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를 작성 및 생성(S703)하는 단계 및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주동 모델을 생성(S704)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축 설계 개요를 생성하는 단계(S703) 및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주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704)는 전후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주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704)가 선행되는 경우, 먼저, 사용자가 주동 모델 생성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건축 객체를 선택하고, 선택된 건축 객체에 건축 설계 개요를 각각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건축 설계 개요에 근거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건축 객체가 배치되어 주동 모델로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주동 모델 및 주동 모델에 포함되는 건축 객체를 추가적으로 배치 및 편집할 수 있되, 상기 주동 모델 및 건축 객체가 배치되는 과정에서 상술한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의 정합성이 자동으로 판단됨으로써, 상기 주동 모델 및 주동 모델의 배치도의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 설계 시스템은 정합성 판단 결과 건축 객체가 인근 도로 정보와 정합되지 않는 경우 배치도에서 해당 주동 모델의 색상을 붉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동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건축 객체는 각각 평수 및 층수 등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필요한 평수 및 층수 등의 사항을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선택하고 편집 및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해당 건축 객체에 대한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축물의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를 생성하고 표시(S705)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치도는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2D 및 3D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현 가능한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출력된 파일은 해당 파일을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및 편집될 수 있다.또한, 배치도는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인근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 검측한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됨으로써, 상기 건축 객체는 오차 없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정되는 경우, 해당 수정에 근거하여 상기 속성 정보가 자동으로 수정(S706)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속성 정보가 자동으로 수정됨에 따라, 해당 수정에 대응하는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치 결과에 따른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S707)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건축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의 차이점을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하여 표시(S708)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다수의 건축 설계 대안 중 보다 효과적인 대안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100)은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10)에 업로드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10)를 통해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및 분석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및 분석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상기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및 분석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로 자동 변환하는 템플릿에 반영함으로써, 자동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환된 PDF 및 DWG 형식의 문서파일은, 사용자에 의해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배치도 및 분석표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내용이 편집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 : 클라우드 서버
100: 건축 설계 시스템
110: 프로젝트 관리부
120: 입력부
130: 생성부
140: 보정부
150: 출력부
160: 통신부

Claims (12)

  1.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 및 상기 사업대지면적 내의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를 생성하는 단계;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주동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이 수정됨에 따라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상기 배치도를 통해 상기 속성 정보가 수정됨에 따라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구축된 상기 건축 객체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속성 정보 및 배치 형태에 근거하여,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 및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의 차이점을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 모델 및 상기 주동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건축 객체의 배치 결과에 따른 상기 배치도는 CAD 및 스케치업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상기 분석표는 엑셀(Excel) 및 워드(Word) 파일을 포함한 텍스트(Text)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건축물의 형상 정보, 면적 정보, 높이 정보, 층수 정보,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 검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설계 방법은,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7.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기반으로 건축 설계를 지원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에 있어서,
    건축 프로젝트를 생성 및 저장하되,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둘 이상의 건축 프로젝트의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의 차이점을 표시하는 대비표를 생성하는 프로젝트 관리부;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 현황 및 법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건축 현황 및 법규와 연동하여 예상 사업대지면적 항목 및 상기 사업대지면적 내의 용도별 예상 면적 항목과,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값을 표시하는 건축 설계 개요와, 건축물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건축 객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주동 모델과,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형태를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배치도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이 수정되는 경우, 해당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속성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배치도를 통해 상기 속성 정보가 수정되는 경우, 해당 수정에 대응하여 상기 건축 설계 개요에 포함된 값 및 상기 속성 정보에 근거하여 구축된 상기 건축 객체를 수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배치도,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 및 둘 이상의 상기 건축 프로젝트의 대비표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생성부는 상기 속성 정보 및 배치 형태에 근거하여, 예상 거주 환경 및 월별 에너지 요구량을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표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분석표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며,
    상기 주동 모델 및 상기 주동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건축 객체의 배치 결과에 따른 상기 배치도는 CAD 및 스케치업 파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저장되고,
    상기 건축 설계 개요 및 상기 분석표는 엑셀(Excel) 및 워드(Word) 파일을 포함한 텍스트(Text) 워드프로세서 포맷의 파일이나 스프레드시트 포맷의 파일과 같은 전자 문서 형태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정보는,
    건축물의 형상 정보, 면적 정보, 높이 정보, 층수 정보, 단위 세대 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배치도를 생성하되, 상기 건축 객체 간의 거리 정보, 도로 정보 및 대지 정보를 포함하는 인동선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건축 객체 및 주동 모델의 배치 가능 여부를 자동 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설계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건축 설계 개요, 건축 객체, 주동 모델 및 배치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설계 시스템.
KR1020170024486A 2017-02-24 2017-02-24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KR10177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86A KR101775311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86A KR101775311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11B1 true KR101775311B1 (ko) 2017-09-05

Family

ID=5992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86A KR101775311B1 (ko) 2017-02-24 2017-02-24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2251A (zh) * 2020-12-30 2022-07-01 久瓴(江苏)数字智能科技有限公司 筏板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522394B1 (ko) * 2022-11-11 2023-04-18 주식회사 텐일레븐 풍환경 분석을 이용한 건축설계 시스템
KR102556271B1 (ko) * 2022-12-22 2023-07-18 주식회사 텐일레븐 도형을 이용한 건축설계 시스템
WO2023177134A1 (ko) * 2022-03-16 2023-09-21 에스에이피엔디에이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에 대한 공간 배치 자동 설계 방법 및 복수의 사물에 대한 공간 배치 자동 설계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75B1 (ko) 2006-08-14 2008-0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간 협업을 위한 건축설계 전산관리시스템
KR100848820B1 (ko) * 2007-10-23 2008-07-28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매스를 이용한 건축 기준 표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536730B1 (ko) 2014-09-15 2015-07-15 (주) 한길아이티 Bim 건축 설계 협업을 위한 클라우드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475B1 (ko) 2006-08-14 2008-01-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간 협업을 위한 건축설계 전산관리시스템
KR100848820B1 (ko) * 2007-10-23 2008-07-28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매스를 이용한 건축 기준 표현 시스템 및 방법
KR101536730B1 (ko) 2014-09-15 2015-07-15 (주) 한길아이티 Bim 건축 설계 협업을 위한 클라우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2251A (zh) * 2020-12-30 2022-07-01 久瓴(江苏)数字智能科技有限公司 筏板的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WO2023177134A1 (ko) * 2022-03-16 2023-09-21 에스에이피엔디에이 주식회사 복수의 사물에 대한 공간 배치 자동 설계 방법 및 복수의 사물에 대한 공간 배치 자동 설계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522394B1 (ko) * 2022-11-11 2023-04-18 주식회사 텐일레븐 풍환경 분석을 이용한 건축설계 시스템
KR102556271B1 (ko) * 2022-12-22 2023-07-18 주식회사 텐일레븐 도형을 이용한 건축설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311B1 (ko)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Gao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ased building energy modelling: A review
Sadeghi et al. Develop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BIM) for building handover, operation and maintenance
KR101752913B1 (ko)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RU2644506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ектам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птималь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цифровыми моделями
US8843352B2 (en) System and methods facilitating interfacing with a structur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US20070285424A1 (en) Generating annotation graphics in 2D form to model 3D elements
Gil et al. Assessing computational tools for urban design: towards a “city information model”
CN104679932A (zh) 智能化电力工程设计方法及系统
US11250179B2 (en) Engineering drawings and digital twins
Hamedani et al. Evaluation of performance modelling: optimizing simulation tools to stages of architectural design
Chognard et al. Digital construction permit: A round trip between GIS and IFC
Borkowski et al. A case study on building information (BIM) and land information (LIM) models including geospatial data
Honti et al. Possibilities of bim data exchange
KR20140073748A (ko) 특징형상 기반의 한옥 건축물 모델링 시스템 및 모델링 방법
Adão et al. Procedural generation of traversable buildings outlined by arbitrary convex shapes
Alsharif A review on the challenges of BIM-based BEM automated application in AEC industry
WO2008137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i-automatic land planning
US11709974B2 (en) Model and technical documents
KR101835019B1 (ko)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Raffee et al. Building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Lilis et al. Simulation model generation combining IFC and CityGML data
Papadopoulos et al. Evaluation of integration between a BIM platform and a tool for structural analysis
KR20160044220A (ko) 공정계획 통합화 시스템
Lobos et al. A framework to integrate databases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building energy assess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