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019B1 -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019B1
KR101835019B1 KR1020160177906A KR20160177906A KR101835019B1 KR 101835019 B1 KR101835019 B1 KR 101835019B1 KR 1020160177906 A KR1020160177906 A KR 1020160177906A KR 20160177906 A KR20160177906 A KR 20160177906A KR 101835019 B1 KR101835019 B1 KR 101835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data
building
bim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호
김길채
전현우
최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청운대학교 인천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6017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BIM 프로그램과, 상기 BIM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수행하며, BIM 프로그램에서 추가로 사용될 서비스를 생성하면서 편집하고 BIM 프로그램에 탑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프로그램 연동부, BI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부하데이터를 검색, 분류, 호출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동부, 상기 데이터 연동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호출, 변환하며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부하를 연산하면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부에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산부, 상기 데이터 연동부에 연동되면서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작업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제어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 구성부, 상기 작업테이블 구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해 건물 부하에 대한 정보를 생성,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리포트 구성부, 상기 리포트 구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출력,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부하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BIM 프로그램에서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BIM 프로그램과 연동시키면서 사용함으로써, BIM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의 오류를 보완하면서 건물의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BI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건물의 구축시 발생하는 정보의 오차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The BIM -based cooling and heating load caculation system and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BIM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물의 시뮬레이션 시 구조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냉, 난방 부하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 난방 부하의 적용 오류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오차 등을 사전에 예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IM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물의 시뮬레이션 시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264409호와 같이 BIM 기반의 프로그램에 건물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미들웨어를 별도로 구축하여, BIM 프로그램과 미들웨어가 서로 호환되도록 하면서 생성된 데이터를 별도로 구축된 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데이터를 토대로 건물의 에너지 부하량을 예측하면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그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사용자가 건물 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BIM 프로그램, 미들웨어, 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과 같이 3개의 프로그램을 구축하면서 서로 호환되도록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3개의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함으로써, 시스템의 대형화되면서 복잡하게 구현되어 구축비용, 운용비용, 관리비용 등이 상승하게 되고, 시스템의 사용이나 유지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보다 정확한 건물에 부하 등의 정보를 통해 건물의 구축시 실제 건물과 시뮬레이션 상에서의 데이터의 오차에 따른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며, 건물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시스템을 간편화시켜 시스템의 대형화, 복잡화를 사전에 예방하여, 시스템의 구축, 운용,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BIM 프로그램과, 상기 BIM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수행하며, BIM 프로그램에서 추가로 사용될 서비스를 생성하면서 편집하고 BIM 프로그램에 탑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프로그램 연동부, BI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부하데이터를 검색, 분류, 호출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동부, 상기 데이터 연동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호출, 변환하며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부하를 연산하면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부에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산부, 상기 데이터 연동부에 연동되면서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작업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제어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 구성부, 상기 작업테이블 구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해 건물 부하에 대한 정보를 생성,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리포트 구성부, 상기 리포트 구성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출력,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출력부로 구성된 부하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BIM 프로그램에서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BIM 프로그램과 연동시키면서 사용함으로써, BIM 프로그램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의 오류를 보완하면서 건물의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BI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건물의 구축시 발생하는 정보의 오차에 따른 에너지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건물에 대한 부하정보를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건물의 시뮬레이션시 건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부하응용 프로그램만을 BIM 프로그램에 연동시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이 커지면서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구축, 관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비용절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인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인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의 2단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인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의 5단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의 8단계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M 프로그램(100),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BIM 프로그램(100)은 건물의 3D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3D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건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모델링 데이터와 건물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기능, 부하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은 상기 BIM 프로그램(100)에 연동되어, BIM 프로그램(100) 내에서 BIM 프로그램(100)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BIM 프로그램(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해 보완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연산시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주고 있는 에너지 부하(건물에 적용되는 냉, 난방부하)에 대한 기능을 추가하거나 보완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BIM 프로그램(100)에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BIM 프로그램(100)에서 추가되어 사용되거나 보완될 기능들을 생성, 수정, 편집, 제어하면서 BIM 프로그램(100)에 탑재할 수 있도록 탑재모듈, 생성모듈, 편집모듈과 같은 모듈 등이 포함된 프로그램 연동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BIM 프로그램(100)에서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에너지 효율의 계산을 위해 제공하는 시뮬레이션의 모델링 및 부하의 정보로 이루어진 데이터에 대한 검색, 분류와 호출을 수행하면서 시뮬레이션의 진행에 따른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및 BIM 모델링 데이터 분류, BIM 부하 데이터 분류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된 데이터 연동부(220)가 구성된다.
즉, 상기 데이터 연동부(220)는 BIM 프로그램(100)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 적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상호 연동되어 서로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연동부(2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호출하면서 부하 및 다양한 정보에 대한 수치 등의 변환과 같이 데이터의 변환을 수행함과 동시에,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부하의 연산을 수행하면서 연산에 따라 생성된 정보를 데이터 연동부(220)에 저장하고,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부하정보 등의 적합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된 데이터 연산부(230)가 구성된다.
즉, 상기 데이터 연산부(230)는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에너지 효율에 활용되는 냉, 난방 부하에 대한 연산을 실시하면서 부하데이터에 대한 적용여부 및 적합성 등을 파악하도록 형성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데이터 연산부(230)는 냉, 난방 부하에 대한 데이터 연산시 BIM 프로그램(100)에서 제공하는 부하데이터에 대한 단위를 변환할 수 있는 단위변환모듈, 건물의 외기(통풍, 환기)의 부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외기부하 연산모듈, 사람의 현열, 잠열 부하 등에 대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부하 연산모듈, 데이터 적합성 파악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BIM 프로그램(100) 및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을 통해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부하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도록 작업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된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테이블 구성부(240)에 포함되는 모듈은 작업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는 생성모듈, 작업테이블을 수정, 제어, 관리할 수 있는 수정모듈, 작업테이블을 삭제할 수 있는 삭제모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를 통해 건물의 냉, 난방부하에 대한 데이터가 적용되어 시뮬레이션된 건물에 대한 건물에 대한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된 리포트 구성부(2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필요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는 건물의 부하 설계 기준, 건물전체 부하, 건물구역 부하, 건물공간 부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추출된 정보를 용이하게 문서형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문서양식 편집모듈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이를 통해 건물의 설계기준, 건물 및 구역 집계표, 구역별 계산표, 공간 집계표, 공간별 계산표 등과 같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BIM 프로그램(100) 및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연동을 통해 생성 및 적용되는 데이터와 수식방법을 검토하여, 데이터와 수식방법 등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면서 적용의 오류시 데이터 연산부(230)를 통해 건물의 시물레이션 및 부하데이터에 대한 연동을 재실시하면서 리포트 구성부(250)에서 추출되는 정보를 다시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추출된 건물의 정보를 다양한 형태의 문서나 방법 등으로 출력,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 등이 포함된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출력부(260)는 엑셀, PDF, 한글과 같이 다양한 출력물 형태나 파일형태 등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는 상술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아울러,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은 BIM 프로그램(100)과 호환되면서 BIM 프로그램(100) 내에서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설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건물에 대한 설계준비를 하도록 한다.(S10)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높이, 넓이, 실내 사무실의 수량, 창문의 수량 등과 같은 정보를 준비하면서 BIM 프로그램(100)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도록 준비 및 설계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IM 프로그램(100)과 연동할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을 실행시키면서 BIM 프로그램(100)에 연동하여 사용할 기능들에 대한 시스템을 생성하면서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 형성된 프로그램 연동부(210)를 통해 BIM 프로그램(100)에 연동, 탑재하도록 한다.(S20)
그러면, 상기 BIM 프로그램(100) 상에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된 기능들이 추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BIM 프로그램(100)에서 부하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수식 또는 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부하계산세트나 부하계산확인 정보와 같은 기능이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되면서 프로그램 연동부(210)를 통해 BIM 프로그램(100) 내에 연동되면서 BIM 프로그램(100) 상에 아이콘 등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BIM 프로그램(100)를 이용하여 기능추가를 선택하면서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된 기능을 불러오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된 기능 등이 프로그램 연동부(210)를 통해 BIM 프로그램(100)에서도 호환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BIM 프로그램(100) 상에 추가 또는 보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연동하게 되면,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제어시스템이 BIM 프로그램(100)과 호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기능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각 구성을 제어, 관리하게 된다.(S30)
그리고,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 형성된 데이터 연동부(230)를 통해 BIM 프로그램(100)에서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부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면서 데이터 연동부(230)에 저장하도록 한다.(S40)
예를 들어, BIM 프로그램(100)을 통해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필요한 데이터인 건물의 공간 및 구역의 면적이나 볼륨, 패밀리, 창문이나 천정 또는 보와 같은 건물의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 유형, 재료, 두께 열전도율, 열저항, 열관류율 등의 정보나 주소, 위치, 경도 습도, 온도, 일사량, 일조시간, 건물과 공간에 대한 요약, 사람 수, 통풍, 환기 기류, 최고 냉, 난방부하, 시간 및 주차장, 경기장, 학교 등과 같은 건물의 종류 등 건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추출하면서 그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연동부(230)에 저장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덧붙여, BIM 프로그램(100)에서 모델링 데이터 모듈에 포함되는 건물의 공간 및 구역의 면적이나 볼륨, 패밀리, 창문이나 천정 또는 보와 같은 건물의 구조 및 부하데이터 모듈에 포함된 유형, 재료, 두께 열전도율, 열저항, 열관류율 등의 정보나 주소, 위치, 경도 습도 등과 같은 각각의 모듈에 분류되는 것이다.
즉, BIM 프로그램(100) 상에서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의 데이터를 불러오면서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데이터 연동부(230)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데이터 연동부(230)에 상술한 건물 시뮬레이션 시 필요한 기능을 저장하면서,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필요한 건물의 부하데이터의 적용을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를 통해 작업테이블을 생성하도록 한다.(S50)
예를 들어, BIM 프로그램(100) 상에서 시뮬레이션시 적용되는 상술한 부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를 통해 작업테이블을 생성한 후,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BIM 프로그램(100)에서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건물에 대하여 데이터 연동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송받으면서 해당 정보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도록 한다.(S60)
다시 말해,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서 데이터 연동부(230)에 저장되어 있던 건물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분류, 선택, 호출하면서 BIM 프로그램(100) 상에서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건물에 적용하면서 해당 건물의 부하데이터 대한 내용을 생성, 수정, 추출, 적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에 포함되어 있던 건물의 부하 설계 기준모듈, 건물전체 부하모듈, 건물구역 부하모듈, 건물공간 부하모듈에 의해 해당 건물과 관련한 부하데이터가 적용, 추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모듈 등에 의해 해당 건물에서 적용되는 부하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추출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를 리포트 구성부(250)를 이루고 있는 각 모듈들의 정보가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적용되면서 추출된 정보를 토대로 데이터 연산부(230)에서 건물에 필요한 부하데이터를 적용, 연산하여 문서형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70)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BIM 프로그램(100) 상에서는 건물구조(높이, 면적, 창문 등과 같은 구조)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고 있으며,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작업테이블 구성부(240)에서 건물에 시뮬레이션시 부하데이터를 적용하기 위한 작업테이블을 생성하고, 리포트 구성부(250)에 포함되고 있는 각 모듈별인 건물의 부하 설계 기준모듈, 건물전체 부하모듈, 건물구역 부하모듈, 건물공간 부하모듈에 대한 부하데이터와 관련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데이터 연산부(230)에서는 건물의 시뮬레이션시 건물의 구조에 대한 부하데이터를 적용하여 그에 맞는 냉, 난방부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연산부(230)에 포함되고 있는 단위변환모뮬, 건물의 외기(통풍, 환기)의 부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외기부하 연산모듈, 사람의 현열, 잠열 부하 등에 대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부하 연산모듈을 통해 단위변환모듈에 의해 부하에 대한 단위 및 수치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위와 수치로 변환되도록 하며, 외기부하 연산모듈 및 사람부하 연산모듈에 의해 건물 자체에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닌 공기의 흐름, 환기와 같은 건물의 외부에서 영향을 주는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면서 건물 내에서 있는 사람들에 의한 영향이나 잠열(물체의 온도는 변화없이 상태만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 및 현열(물체의 상태는 변화가 없으면서 온도만을 변화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에 대한 부하데이터를 연산하여 추출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 연산부(230)를 통해 시뮬레이션 되고 있는 건물에 대한 부하데이터를 추출, 적용, 제어하여 건물의 상황에 맞는 부하정보를 리포트 구성부(25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연산부(230)를 통해 건물의 냉, 난방부하에 대한 데이터를 연산하여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부하에 대한 리포트를 출력하기 전에 데이터 연산부(230)에 포함된 데이터 적합성 파악모듈을 통해 건물의 냉, 난방 부하에 대한 데이터의 적용 적합성을 파악하게 된다.
그런 후, 부하데이터에 대한 적용 및 결과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면,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리포트를 구성하여 데이터 연동부에 해당 정보 등을 저장하며, 부하데이터에 대한 적용 및 결과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현재 작성중인 리포트의 추출을 삭제, 제어하면서 해당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를 통해 생성된 작업테이블 및 해당 작업테이블에 적용된 부하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면서 새롭게 데이터 연동부(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드하면서 다시 작업테이블 구성부(240)를 통해 새로운 작업테이블을 생성하면서 다시 부하데이터를 적용하여 데이터 연상부(230) 및 리포트 구성부(250)를 통해 리포트를 재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건물의 시뮬레이션시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제공하는 냉, 난방 부하에 대한 단위 및 수치를 정확하게 변환하여 적용하도록 하며, 건물의 구조나 유형에 따른 부하데이터를 정확하게 분류, 추출, 호출, 연산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건물, 구역, 공간 유형의 시간대별 점유율 등의 데이터를 통해 부하단위를 변환시키면서 외기값 등의 부하데이터가 오차없이 정확하게 적용된 건물 및 구역의 집계표, 구역별 계산표, 공간 집계표, 공간별 계산표 등의 정보로 생성되면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서양식의 형태나 파일형태 등으로 생성되면서 출력부(260)에 의해 출력되는 것이다.(S80)
상기와 같이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건물의 구조에 대한 부하를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면서 실제적인 건물의 구축시 해당 건물 구조에 대해 냉, 난방 부하를 정확하게 적용하게 되어 냉, 난방에 대한 오차를 없애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BIM 프로그램(100)을 통해 건물의 시뮬레이션 시 하나의 부하응용 프로그램(200)만으로도 부하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건물의 정확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다수의 시스템이 필요 없어, 시스템의 대형화, 복잡화를 예방하여 시스템 구축, 운용, 관리비용 등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BIM 프로그램(100)과 부하응용 프로그램(200) 간 호환성을 향상시켜 BIM 프로그램(100)에서 오류없이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면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을 BIM 프로그램(100)과 편리하게 연동시켜 간편하게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0 : BIM 프로그램
200 : 부하응용 프로그램
210 : 프로그램 연동부 220 : 데이터 연동부
230 : 데이터 연산부 240 : 작업테이블 구성부
250 : 리포트 구성부 260 : 출력부
500 :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Claims (8)

  1.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BIM 프로그램(100);
    상기 BIM 프로그램(100)과의 연동을 수행하며, BIM 프로그램(100)에서 추가로 사용될 서비스를 생성하면서 편집하고 BIM 프로그램(100)에 탑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프로그램 연동부(210), BIM 프로그램(100)에서 제공하는 부하데이터를 검색, 분류, 호출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동부(220), 상기 데이터 연동부(22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호출, 변환하며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부하를 연산하면서 생성된 데이터를 데이터 연동부(220)에 저장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데이터 연산부(230), 상기 데이터 연동부(220)에 연동되면서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대한 작업테이블을 생성, 수정, 삭제, 제어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 구성부(240), 상기 작업테이블 구성부(24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통해 건물 부하에 대한 정보를 생성,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리포트 구성부(250), 상기 리포트 구성부(25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파일형태로 출력, 제어, 관리할 수 있는 모듈이 형성되는 출력부(260)로 구성된 부하응용 프로그램(200);
    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데이터 연산부(230)에서는 건물의 부하데이터 단위변환모듈, 외기부하 연산모듈, 사람부하 연산모듈의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리포트 구성부(250)에는 건물의 부하 설계 기준모듈, 건물전체 부하모듈, 건물구역 부하모듈, 건물공간 부하모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의 리포트 구성부(250)에서는 리포트의 생성시 BIM 프로그램(100)과 부하응용 프로그램(200)에서 생성된 데이터에 대한 수식계산 검토를 실시하면서 데이터 연산부(230)를 통해 단위변환의 실시, 외기와 사람의 부하와 잠열부하를 재계산하여 정확한 정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5. 건물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BIM 프로그램과 건물의 부하에 대한 정보를 BIM 프로그램에 연동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연동부, 데이터 연동부, 데이터 연산부, 작업테이블 구성부, 리포트 구성부, 출력부로 이루어진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BI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물의 설계를 준비하는 1단계(S1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BIM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프로그램 연동부를 통해 BIM 프로그램에 생성, 연동, 탑재하는 2단계(S2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연동부를 통해 연동된 BIM프로그램에서 부하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3단계(S3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연동부를 통해 BIM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부하 계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면서 데이터 연동부에 저장하는 4단계(S4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작업테이블 구성부에서는 BIM 프로그램상에서 건물의 시뮬레이션에 적용하고자 하는 작업테이블을 생성, 제어하면서 건물의 부하계산에 대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5단계(S5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리포트 구성부에서는 작업테이블 구성부에서 생성된 작업테이블에 BIM 프로그램과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연동부에서 전송받은 건물 부하 데이터를 토대로 건물 부하 모듈에 대한 정보를 구성, 수정, 추출, 적용하기 위한 6단계(S6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리포트 구성부에서 건물의 부하에 대한 데이터 생성시 건물 부하 모듈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데이터 연산부를 통해 건물 부하 데이터에 대한 변환, 추출, 적용을 수행하면서 건물 부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7단계(S70);
    상기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리포트 구성부에서 연산한 정보를 토대로 연산된 건물의 부하에 대한 정보와 그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정보를 문서형태로 생성하면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8단계(S8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S60)에서는 건물부하 설계기준 모듈, 건물전체 부하 모듈, 건물구역 부하 모듈, 건물공간 부하 모듈에 대한 데이터가 구성, 추출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7단계(S70)에서는 데이터 연산부를 통해 부하데이터는 부하데이터의 단위변환 모듈, 외기부하 연산 모듈, 현열과 잠열부하로 통합되는 사람부하 연산 모듈의 데이터가 사용, 추출되면서 데이터 연동부에 저장되면서 건물 부하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7단계(S70)에서는 부하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연산부를 통해 건물에 대한 시뮬레이션시 부하 정보에 대한 적용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부하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적용되었을 경우에는 건물의 시뮬레이션과 그에 대한 정보를 적용함과 동시에 부하계산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데이터 연동부에 저장하며, 부하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을 경우 4단계(S40)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설정방법.
KR1020160177906A 2016-12-23 2016-12-23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KR101835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06A KR101835019B1 (ko) 2016-12-23 2016-12-23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06A KR101835019B1 (ko) 2016-12-23 2016-12-23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019B1 true KR101835019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906A KR101835019B1 (ko) 2016-12-23 2016-12-23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9853A (zh) * 2019-12-31 2020-06-02 浙江大学 一种基于bim技术和人流量统计的建筑空调温度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09B1 (ko) 2012-09-04 2013-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09B1 (ko) 2012-09-04 2013-05-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9853A (zh) * 2019-12-31 2020-06-02 浙江大学 一种基于bim技术和人流量统计的建筑空调温度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itchcock et al. Transforming IFC architectural view BIMs for energy simulation: 2011
Elnabawi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building energy modeling: investigation of interoperability and simulation results
Hygh et al. Multivariate regression as an energy assessment tool in early building design
Jeong et al. A framework to integrate object-oriented physical modelling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building thermal simulation
Del Giudice et al. BIM for cultural heritage
O'Donnell Transforming BIM to BEM: Generation of building geometry for the NASA Ames sustainability base BIM
Jeong et al. Transl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building energy modeling using model view definition
Chen et al. Investigation of interoperability betwee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
US20080281573A1 (en) Digital design ecosystem
CN110276555A (zh) 基于互联网和bim的住宅建筑实体全生命周期分析方法
KR101714400B1 (ko) 실시간 에너지 형별성능내역서 자동 산출을 위한 에너지 빌딩정보 모델링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775311B1 (ko) 건축 설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설계 방법
Shivsharan et al. 3D Modeling and energy analysis of a residential building using BIM tools
Senave et al. Link between BIM and energy simulation
KR20140070193A (ko) Bim 기반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 방법
Sporr et al. Automatically creating HVAC control strategie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eat provisioning and distribution
Calquin et al. Interoperability map between BIM and BPS software
KR101835019B1 (ko) Bim 기반의 냉, 난방 부하산출 시스템 및 설정방법
Honti et al. Possibilities of bim data exchange
Scheffer et al. Evaluation of open data models for the exchange of sensor data in cognitive building
KR101923220B1 (ko) Bim 기반 냉, 난방 부하에 따른 열원장비의 설정시스템 및 설정방법
Lilis et al. Semi-automatic thermal simulation model generation from IFC data
Ferrero et al. How to apply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imulation at the various design stages: a recipes approach
Noack et al. Technical challenges and approaches to transfer building information models to building energy
Heffernan et al. From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to BEM (Building Energy Modelling): a collaborative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