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101B1 -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101B1
KR101775101B1 KR1020170012293A KR20170012293A KR101775101B1 KR 101775101 B1 KR101775101 B1 KR 101775101B1 KR 1020170012293 A KR1020170012293 A KR 1020170012293A KR 20170012293 A KR20170012293 A KR 20170012293A KR 101775101 B1 KR101775101 B1 KR 10177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ar
reinforcing body
mai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동석
Original Assignee
오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석 filed Critical 오동석
Priority to KR1020170012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1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1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ior multi-layer structure comprises: a partition portion position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an indoor space and a ceiling surface to partition the indoor space, and a part of which is fixated in contact with a wall surface; a colum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to a bottom surface on an edge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supporting the partition portion; a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forming an inclination; and an edg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toward the ceiling surface along the edge of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partition portion, the column portion, the stepped portion, and the edge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s such,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is able to quickly and stably be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and reduces risks of accidents due to construction.

Description

실내용 복층 구조물{INDOOR DOUBLE FLOOR STRUCTURE}{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공간을 용이하게 구획하여 실내 공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multi-laye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multi-layer structure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an indoor space by easily partitioning an indoor space.

최근 주거공간의 소형화에 따라 오피스텔, 원룸 등과 같은 도시형 생활 주택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형 생활 주택에는 1개의 층에 대한 층고를 높여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복층형 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작은 실내 공간이라도 적어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다양한 활동이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recent years, urban residential properties such as office buildings, office rooms, and the like have been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miniaturization of residential space. In such an urban living house, a multi-storey structure may be applied to increase the floor height of one floor to divide the interior space. Thus, even a small indoor space can be divided into at least two spaces, and various activities can be performed in separate spaces.

일반적으로 복층형 구조는 실내 공간에 중층(middle floor)을 형성하고, 실내 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하층은 중층의 하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사무를 보거나 생활을 하기 위한 공간, 즉 동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천장을 갖는다. 또한, 상층은 중층의 상측에 형성된 실내 공간으로서, 휴식 또는 취침을 취하기 위한 공간, 즉 정적 공간으로 이용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천장을 갖고, 적어도 일측은 개방된다.Generally, the multi-layered structure forms a middle floor in the interior space and divides the interior space in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Here, the lower layer is an indoor spa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floor, and is used as a space for office work or living, i.e., a dynamic space, and has a relatively high ceiling. Further, the upper layer is used as a space for taking a rest or sleeping, i.e., a static space, and has a relatively low ceiling, and at least one side is opened.

한편, 복층형 구조에서 실내 공간을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하는 중층의 시공이 상당히 중요하다. 실내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중층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하며,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중층은 가벼운 무게를 가지면서도, 화재에 대한 난연성 및 습기 또는 수분에 대한 내수성도 양호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복층용 구조를 위한 중층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재 구조, 목재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of the middle layer dividing the indoor space into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the multi-layer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the middle layer must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be structurally stable, and be easily installed. In addition, the middle layer should have a light weight and good flame retardancy against fire and good water resistance against moisture or moisture. The middle layer for the multi-layer structure consists of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 steel structure, and a wood structure.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철근이 배열된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층은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갖는다. 거푸집이 실내 공간 내에 설치되어야 하고,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자재의 운반 및 거푸집의 시공에 따른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중층은 상당한 시공 시간이 필요하고, 그 작업 공정도 복잡하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양생 과정이 이루어지기에, 시공 기간은 더욱더 증가된다. 또한, 철재 구조의 중층은 절단된 철재 파이프를 상호 간에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철재 파이프의 용접 상태가 검사되어야 하고, 용접된 철재 파이프에는 스크류에 의해 합판이 고정되기도 하고, 도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여기서, 용접 작업이 실내 공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 공간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질 때 불꽃은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즉, 실내 공간에 복층형 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화재로 인해 실내 공간을 포함하는 건축물에 대한 재산상의 피해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층형 구조물은 실내 공간에 시공될 때 시공 기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하게 시공될 필요가 있다. The middle layer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ists of a concrete layer with reinforcing bars arranged. This middle layer has a relatively large load. The formwork must be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and it takes time to transport the material for the formwork installation and to construct the formwork. As a result, the middle layer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quires a considerable construction time, and the work process is complicated. Also, since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the construction period is further increased. Further, the middle layer of the steel structure is formed by welding the cut steel pipes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welding condition of the steel pipe is to be inspected, and the welded steel pipe may be fixed with the screw by the screw, and the coating may be performed. Here, the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indoor space. At this time, when the weld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indoor space and the building including it, the flame may cause fire danger. That is, in a process of constructing a multi-layered structure in an indoor space, a fire may cause property damage to a building including an indoor space. Therefore, the multi-layer structure needs to be installed safely while reducing the construction time when it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694호(공고일: 2002년 3월 12일)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67694 (Notification Date: March 12, 20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에 시공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multi-layer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and stably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실내 공간에 시공될 때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indoor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when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고, 일부가 벽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파티션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티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파티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경사를 이루는 계단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부, 상기 기둥부,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part positioned between a floor surface and a ceiling surface of an indoor space to partition the indoor space, and a part of which is fixed in contact with a wall surface; A column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to the bottom surface at an edge of the partition part and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 A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tapered; And a rim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toward the ceiling surface along an edge of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partition portion, the column portion, the step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파티션부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하부 파티션부;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상기 상부 파티션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rtitioning part may include a lower partition part having a plan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column part; An upper partition part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lower partition part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ition part, the step part and the frame par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top and bottom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lower partition unit and the upper partition unit.

또한,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상기 상부 파티션부의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파티션부; 및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파티션 바아들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메인 파티션부의 하면에는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 파티션부의 메인 파티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계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부 파티션부의 메인 파티션부의 상면에는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lower partition part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has a planar shape and includes a main partition part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bar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column part being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a main partition part of the lower partition part, The step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the ri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 파티션부의 메인 파티션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상기 상부 파티션부의 메인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천장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테두리 기둥부들; 및 상기 테두리 기둥부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테두리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im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m pos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ain partition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formed to face the ceiling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a frame part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ame posts.

또한,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하부 파티션부 및 상기 상부 파티션부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상하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rtition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art bolted to the lower partition part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arts.

또한, 상기 실내용 복층 구조물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천장면을 연결하고,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so,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may include a fixed column portion that connects the rim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and is fixed to the ceiling portion.

또한, 상기 계단부는 상기 파티션부와 상기 벽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과 상기 파티션부에 연결된 기둥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pace formed by the wall surface and the column portion connected to the partition portion.

또한, 상기 복층 구조물은,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파티션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ulti-layer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disposed across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the lower partition portion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the lower partition portion. can do.

또한, 상기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파티션부; 및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파티션 바아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양종단부 사이에 상기 메인 파티션부가 위치되고, 상기 메인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 바아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 각각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한 쌍의 고정부들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upper partition part and the lower partition part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has an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bar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shape of a bar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partition part being located in the opening part, the partition reinforcement part being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art bent downwardly, A reinforcing body portion positioned to intersect the main partition portion and the partition portion; And a pair of fixing portions which are movable alo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are movable up and down respectively,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And fixing them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하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천정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와 겹쳐질 수 있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나사부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xing unit may include: a fixed plate having a guide opening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ody is inserted, the fixed plate being movable along the reinforcing body and being movable up and down; A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toward the main partition portion side and intersecting with the fixing plate; And a fastening plat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ceiling face and capable of overlapping with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In the state where the end portions of the fasten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body overlap, And is fastened to the main partition part through the plate and the end part of the reinforcing body part.

또한, 상기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또한,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파티션 바아에 고정시키는 바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rtition reinforc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ar fix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to fix the reinforcing body to the partitioning bar.

또한, 상기 바아 고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대응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보강 몸체부가 위치되는 제 1 가이드 바아들;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파티션 바아가 위치되는 제 2 가이드 바아들를 포함하되, 나사부가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 및 상기 제 2 가이드 바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파티션 바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r fix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plat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 first guide bar son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and havi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therebetween; And a second guide bar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 plate and having the partition bar therebetween, wherein a threaded portio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bar and the second guide bar, And is fastened.

또한, 상기 바아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바아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r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bar elastic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이 달성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achieved by the actual double 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실내 공간에 시공된다.(1) It is installed quickly and stably in an indoor space.

(2) 시공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감소된다.(2)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construction is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에 러너들 및 스터드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이 마감재에 의해 마감 처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의 상부 파티션부에 파티션 보강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티션 보강부가 상부 파티션부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unners and studs are installed in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shown in FIG. 1 is finished by a finishing material.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ition reinforcemen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ition part of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shown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reinforcement part shown in FIG. 4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ition p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러너(110)들 및 스터드(120)들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이 마감재(130)에 의해 마감 처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의 상부 파티션부(113)에 파티션 보강부(106)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파티션 보강부(106)가 상부 파티션부(113)에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double-layer structur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unner 110 and a stud 120 in the indoor multi-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shown in FIG. 1 is finished by the finishing material 130,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om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shown in FIG. 4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of the contents multi-layered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를 포함하며, 실내 공간(10)을 상하로 구획하여 구획된 상태로 유지한다.1, an interior duplex structur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rtition 101, a column 102, a step 103, and a rim 104 , And the indoor space (10)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to be maintained in a divided state.

파티션부(101)는 실내 공간(10)에서 천장면(11)과 바닥면(12)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파티션부(101)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천장면(11) 및 바닥면(12)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로 인해, 실내 공간(10)은 파티션부(101)에 의해 상층 및 하층으로 구획된다. 즉, 파티션부(101)는 실내 공간(10)에서 중층(middle floor)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파티션부(101)의 일부가 벽면(13)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또한, 파티션부(101)는 하부 파티션부(111), 상부 파티션부(113) 및 상하 연결부(115)를 포함한다.The partition part 101 is located between the ceiling surface 11 and the floor surface 12 in the indoor space 10. [ At this time, the partition portion 101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ceiling surface 11 and the bottom surface 12. As a result, the indoor space 10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layer and a lower layer by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That is, the partition part 101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middle floor in the indoor space 10. A part of the partition part 101 is contacted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13. [ The partition part 101 includes a lower partition part 111, an upper partition part 113, and an upper and lower connection part 115.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는 상호 간에 대응하도록 이격된다. 즉, 상부 파티션부(113)는 하부 파티션부(11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하부 파티션부(111)에 대응하도록 하부 파티션부(111)의 상측에 위치된다.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are spac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at is,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is located above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wer part partition part 111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partition part 111. [

상하 연결부(115)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즉,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는 상하 연결부(115)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는 일반적인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 전기 배선, 공기조화 배관, 화재 경보 장치 등이 배치되기도 한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115 are formed of at least one pair, and connect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That is,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are kept separated by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arts 115. In addition, a general ceiling-mounted lighting, an electric wiring, an air-conditioning pipe, a fire alarm system,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또한, 파티션부(101)는 보강부(117)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이때, 보강부(117)는 상하 연결부(115)로부터 이격되고, 상하 연결부(115)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하 연결부(115)들 사이에 보강부(117)가 위치되기도 한다. 보강부(117)는 상하 연결부(115)와 조합하여, 상부 파티션부(113)에 하중이 가해질 때 상부 파티션부(113)를 지지하여,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보강부(117)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상부 파티션부(113)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ortion 117. The reinforcing portion 117 connects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portion 117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115 and positioned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115. Also, the reinforcing portion 117 may be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115 formed of at least one pair. The reinforcing portion 117 supports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so that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portion 117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The reinforcing portion 117 can easily connect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and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

또한,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는 각각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include a main partition part 101a and a partition bar 101b, respectively.

메인 파티션부(101a)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파티션부(101a)의 형상에 따라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전체적인 형상도 결정된다. 메인 파티션부(101a)의 중앙에는 개구부(101a')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01a')는 메인 파티션부(101a)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파티션부(101a)의 일부가 벽면(13)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has a planar shape. That is, the overall shape of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is also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An opening 101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At this time, the opening 101a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A part of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3 and fixed.

본 실시예의 메인 파티션부(101a)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메인 파티션부(101a)는 4개의 모서리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4개의 모서리 부분 중 2개의 모서리 부분이 벽면(13)에 접촉된 것으로 도시된다. 이때, 개구부(101a')도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전체적인 형상도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메인 파티션부(101a)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벽면(13)의 형태 및 배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partition 101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is composed of four corner portions, and two corner portions of the four corner portions are shown as being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3. [ At this time, the opening portion 101a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is also a rectangle. Meanwhile, the shape of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wall surface 13.

또한, 상하 연결부(115) 및 보강부(117)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 및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특히, 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117)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관통하여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에 체결됨으로써,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를 연결한다.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115 and the reinforcing portion 117 are used to connect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 Particularly, the reinforced portion 117 formed in the form of a bolt passes through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and is fasten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파티션 바아(101b)들은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파티션 바아(101b)들은 각각 개구부(101a')에 위치되어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로 인해, 메인 파티션부(101a)은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The partitioning bars 101b are each formed in a bar shape. The partitioning bars 101b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openings 101a 'and fixed to the main partitioning portion 101a,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is not deformed by the partition bars 101b.

한편, 앞서 언급된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지지되어 낙하되지 않을 수 있고, 상부 파티션부(113)의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측에 위치되는 사람 또는 사물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하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즉,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는 파티션 바아(101b)들에 의해 하부 파티션부(111)와 상부 파티션부(113) 사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apparatu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may be supported by the partition bars 101b of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may not fall down, Can be protected from a load that can be applied by a person or object located above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by the partitioning bars (101b) of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That is, an apparatus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can be stably disposed between the lower partition part 111 and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by the partition bars 101b .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기둥부(102)는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으로부터 바닥면(12)까지 연장된다. 이때, 기둥부(102)는 수직방향으로 바닥면(12) 상에 위치되어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지지한다. 즉,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에 의한 실내 공간(10)의 상하 구획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기둥부(102)는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에 벽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바닥면(12)에 고정되기도 한다.The column portion 102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Particularly, the column portion 102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to the bottom surface 12. At this time, the column portion 102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That is, the column portion 102 stably holds the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indoor space 10 by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and divides the lower space of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The column portion 102 is used to form a wall in the lower spac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and is also fixed to the floor surface 12. [

한편, 본 실시예의 기둥부(102)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하부 파티션부(11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이격되도록 배열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면(13)과 접촉하지 않는 메인 파티션부(101a)의 모서리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The pillars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pillars 102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long the main partition 101a of the lower partition 111. However, It can be formed only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non-contact main partition portion 101a.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계단부(103)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일측면으로부터 바닥면(12)까지 연장된다. 이때, 계단부(103)는 경사를 이룬다. 즉,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의 상측과 파티션부(101)의 하측 사이를 사람이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사람은 계단부(103)를 이용하여 파티션부(10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실내 공간(10)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103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In particular, the stepped portion 103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to the bottom surface 12. At this time, the step 103 is inclined. In other words, the stepped portion 103 is configured to allow a person to mov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and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Thus, the person can selectively use the indoor space 1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by using the stepped portion 103.

또한,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와 벽면(1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이때, 파티션부(101)는 벽면(13)으로부터 이격되어 벽면(13)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계단부(103)의 측면은 각각 벽면(13) 및 기둥부(102)에 의해 구획된 파티션부(101)의 하측 공간에 접촉된다. 또한, 계단부(103)의 하단은 인접하게 위치된 기둥부(102)의 하단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때, 계단부(103)는 파티션부(101)와 조합하여, 복층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실내 공간(10)의 바닥면(12) 전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이로 인해,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실내 공간(10)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pped portion 103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portion 101 and the wall surface 13. At this time,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is not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3 from the wall surface 13.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0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pac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partitioned by the wall surface 13 and the column portion 102, respectively. The lower end of the stepped portion 10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adjacent column portion 102. The stepped portion 103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bottom surface 12 of the indoor space 10 in order to install the multi-layered structure 100 in combination with the partition portion 101. Accordingly, the multi-layer structure 100 can be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whil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10.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특히, 테두리부(104)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테두리부(104)는 수직방향으로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에 위치된다. 즉,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측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테두리부(104)는 테두리 기둥부(141) 및 테두리 프레임부(143)를 포함한다. The rim portion 104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In particular, the rim portion 104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 At this time, the rim portion 104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rim portion 104 defines the upper space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The rim portion 104 also includes a rim 141 and a rim frame portion 143.

테두리 기둥부(141)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메인 파티션부(101a)의 상면으로부터 천장면(12)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테두리 기둥부(141)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이격된다. 한편, 테두리 기둥부(141)는 계단부(103)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11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The rim 141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of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to the ceiling surface 12 thereof. The rim 141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ridg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rim 141 is not formed in the upper partition part 113 to which the stepped part 103 is connected.

테두리 프레임부(143)는 테두리 기둥부(141)들의 상단을 연결한다. 이로 인해, 테두리 기둥부(141)들은 테두리 프레임부(143)와 조합하여, 파티션부(101)의 상측을 둘러싸는 구획된 공간을 형성한다. 테두리 기둥부(141)의 길이에 따라, 테두리부(104)는 파티션부(101)의 상측 공간에 난간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기도 하고, 벽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기도 한다.The frame part 143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rame posts 141. Thus, the frame posts 141 form a partitioned space that surrounds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ing portion 101, in combination with the frame frame portion 143.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rim 141, the rim 104 may be used to form a railing in the upper space of the partition 101, or may be used to form a wall.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이루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실내 공간(10)에 시공된다. 따라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에 신속하면서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가공될 수도 있다. 특히, 실내 공간(10)에서의 용접 작업이 생략될 수 있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을 실내 공간(10)에 시공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의 요소가 감소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 101, the column part 102, the step part 103 and the rim part 104 constituting the actual double-laye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in a state of being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can be quickly and stably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The interior duplex structure 100 may also be processed by applying 3D printing technology in order to integrally form the partition part 101, the column part 102, the step part 103 and the rim part 104 . Particularly, the welding work in the indoor space 10 can be omitted, and the risk factor of an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indoor double-layer structure 100 is installed in the indoor space 10 can be reduced.

한편,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너(110) 및 스터드(12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러너(110) 및 스터드(120)는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에 설치된다.2, the runner 110 and the stud 12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lay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ere, the runner 110 and the stud 120 are installed in the partition part 101, the column part 102, the step part 103 and the rim part 104.

러너(11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기둥부(10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러너(110)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러너(110)들은 파티션부(10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설치되기도 하고, 메인 파티션부(101a)와 평행하도록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되기도 하며, 계단부(103)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설치되기도 한다. A plurality of runners 110 are arrang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lumnar section 102 in the interior double-layer structure 100, respectively. The runners 110 are arranged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For example, the runners 110 may be installed along the main partition 101a of the partition 101, along the bottom surface 12 parallel to the main partition 101a, 103, respectively.

스터드(120)는 러너(110)들과 교차하여 러너(110)들을 연결한다. 스터드(120)도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스터드(120)들도 상호 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스터드(120)는 파티션부(101)의 메인 파티션부(101a)를 따라 설치된 러너(110)와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된 러너(110)를 연결하기도 하고, 계단부(103)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도록 설치된 러너(110)와 바닥면(12)을 따라 설치된 러너(110)를 연결하기도 한다. 한편, 스터드(120)는 파티션 바아(101b)를 따라 설치되어, 메인 파티션부(101a)에 설치된 러너(110)들을 연결하기도 한다.The stud 120 intersects the runners 110 to connect the runners 110. A plurality of studs 120 are also provided, and the studs 12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tud 120 connects the runner 110 installed along the main partition 101a of the partition 101 with the runner 110 installed along the bottom surface 12, and the step 103 And a runner 110 installed along the bottom surface 12 to connect the runner 110 and the runner 110 to each other. The stud 120 is installed along the partition bar 101b and connects the runners 110 installed in the main partition 101a.

상기와 같은 러너(110) 및 스터드(120)에는 보드(board) 형태의 마감재(130)가 설치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101), 기둥부(102), 계단부(103) 및 테두리부(104)는 마감재(130)에 의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마감재(130)는 못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러너(110) 및 스터드(120)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러너(110), 스터드(120) 및 마감재(130)는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벽체 및 바닥체를 형성하는 데에 이용된다.The runner 110 and the stud 120 are provided with a board 130 in the form of a board so that the partition 101, the column 102, the step 103 and the rim portion 104 can be finished by the finishing material 130. [ The finish 130 is secured to the runners 110 and studs 120 by nails, screws, or the like. The runner 110, the stud 1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130 are used to form a wall and a bottom in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

또한,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고정 기둥부(105)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고정 기둥부(105)는 테두리부(104)를 천장면(11)에 연결한다. 이로 인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실내 공간(100)의 바닥면(12) 및 벽면(13) 뿐 아니라, 천장면(11)에도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가 실내 공간(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러너(110), 스터드(120) 및 마감재(130)가 설치되어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의 마감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the fixed post 105. The fixed post 105 connects the rim 104 to the ceiling 11. This allows the interior duplex structure 100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11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12 and the wall surface 13 of the interior space 100. Accordingly, the runner 110, the stud 120, and the finishing material 130 are installed on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in a state where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is fixed to the indoor space 100, A finishing process of the polishing cloth 100 can be performed.

한편, 고정 기둥부(105)가 1개인 경우에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이 마감 처리될 때, 고정 기둥부(105)는 테두리부(104) 및 천장면(11)으로부터 제거되어, 마감 처리된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에 대한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xed column portion 105 is one, the fixed column portion 105 is removed from the rim portion 104 and the ceiling portion 11 when the interior double-layer structure 100 is finishing, Layered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내용 복층 구조물(100)은 파티션 보강부(106)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4 and 5, the indoor multi-laye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As shown in FIG.

파티션 보강부(106)는 파티션부(101)의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을 가로질러 상부 파티션부(113)에 결합된다. 상부 파티션부(113)는 파티션 보강부(106)에 의해 앞서 언급된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측에서 가해질 수 있는 하중에 대하여 보다 향상된 구조적 안정성을 갖게 된다. 또한, 파티션 보강부(106)는 보강 몸체부(161), 고정부(163)들 및 바아 고정부(165)들을 포함한다.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is coupled to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acros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has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the load that can be applied by the partition reinforcement portion 106 above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mentioned above. Further,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includes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he fixing portions 163, and the bar fixing portions 165.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에 걸쳐 위치된다. 이때,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 및 파티션 바아(101b)들과 교차한다. 또한,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지고, 메인 파티션부(101a)가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is positioned over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and the partitioning bars 101b.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intersects with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and the partition bar 101b. Both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re bent downward and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kinds of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

고정부(163)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고정부(163)에는 보강 몸체부(161)가 관통된다. 고정부(163)는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정부(163)는 보강 몸체부(161)의 구부러진 종단부에 연결되도록 이동하고, 보강 몸체부(161)를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고정부(163)는 고정 플레이트(163a), 지지 플레이트(163b), 체결 플레이트(163c) 및 탄성부(163d)를 포함한다.The fixing portions 163 are formed in a pair.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penetrates each of the fixing portions 163. The fixing portion 163 is movable alo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nd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portion 163 is moved to be connected to the bent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nd is used to fix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The fixing portion 163 includes a fixing plate 163a, a supporting plate 163b, a fastening plate 163c, and an elastic portion 163d.

고정 플레이트(163a)에는 가이드 개구(163a')가 형성된다. 보강 몸체부(161)는 가이드 개구(163a')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163a)를 관통한다. 또한, 가이드 개구(163a')는 고정 플레이트(163a)의 상하이동 범위를 제한한다.A guide opening 163a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163a.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penetrates the fixing plate 163a through the guide opening 163a '. Further, the guide opening 163a 'restricts the up-down movement range of the fixed plate 163a.

지지 플레이트(163b)는 고정 플레이트(163a)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고정 플레이트(163a)와 교차한다. 여기서, 메인 파티션부 측은 메인 파티션부(101a)가 위치된 방향을 의미한다.The support plate 163b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fixed plate 163a toward the main partition portion side and crosses the fixed plate 163a. Here, the main partition part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partition part 101a is located.

체결 플레이트(163c)는 지지 플레이트(163b)의 종단으로부터 천장면(11)을 향하여 연장된다. 체결 플레이트(163c)는 고정 플레이트(163a)와 평행하게 위치된다.The fastening plate 163c extends from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163b toward the ceiling surface 11. The fastening plate 163c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fastening plate 163a.

탄성부(163d)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지지 플레이트(163b)의 상면에 위치된다.The elastic portion 163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b.

메인 파티션부(101a)가 보강 몸체부(161)의 양종단부 사이에 위치될 때, 고정부(163)는 메인 파티션부(101a)와 메인 파티션부(101a)에 가장 인접한 파티션 바아(101b)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63a)가 가이드 개구(163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체결 플레이트(163c)가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kinds of end portions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he fixing portion 163 is positioned between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and the partition bar 101b closest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 5 (a), the fixing plate 163a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opening 163a 'so that the fastening plate 163c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

고정 플레이트(163a)는 메인 파티션부(101a)를 향하여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63a)의 상면과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하고, 체결 플레이트(163c)가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에 상응하도록 위치될 때까지, 상기 고정 플레이트(163a)는 보강 몸체부(161)를 따라 이동한다. 이어서, 고정 플레이트(163a)가 가이드 개구(163a')를 따라 상향 이동한다. 이로 인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63b)의 상면은 메인 파티션부(101a)의 하면에 메인 탄성부(163d)를 통해 접촉되고, 체결 플레이트(163c)는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와 겹쳐진다. 겹쳐진 체결 플레이트(163)와 보강 몸체부(161)의 종단부에는 제 1 나사부(106a)가 관통하여 메인 파티션부(101a)에 체결된다. 이때, 보강 몸체부(161)는 메인 파티션부(101a)에 고정된다. The fixing plate 163a moves alo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oward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plate 163c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s shown in Figure 5 (b) The fixing plate 163a moves alo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until it is positioned correspondingly. Then, the fixing plate 163a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opening 163a '. 5 (c),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3b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through the main elastic portion 163d, and the fastening plate 163c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overlaps with the terminating end of the portion 161. The first screw portion 106a passes through the end portions of the overlapping fastening plate 163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nd is fasten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is fix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101a.

바아 고정부(165)는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 사이에 위치되어, 보강 몸체부(161)를 파티션 바아(101b)에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보강 몸체부(161)는 상부 파티션부(11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아 고정부(165)는 삽입 플레이트(165a),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및 바아 탄성부(165d)를 포함한다.The bar fixing portion 165 is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101b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o fix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to the partitioning bar 101b. Thus,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The bar fixing section 165 includes an insertion plate 165a, a first guide bar 165b, a second guide bar 165c and a bar elastic section 165d.

삽입 플레이트(165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가 상호 간에 대응하는 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또한, 삽입 플레이트(165a)는 파티션 바아(101b)와 보강 몸체부(161)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The insertion plate 165a has a plate shape, and the partition bar 101b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have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Further, the insertion plate 165a is insert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101b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nd positioned.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고, 보강 몸체부(161)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때,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guide bars 165b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guide bars 165b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65a. The first guide bars 165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is insert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bars 165b.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guide bars 165b is two or four.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고, 파티션 바아(101b)는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때,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의 개수는 2개 또는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guide bars 165c are formed in plural and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65a. The second guide bars 165c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partitioning bar 101b is insert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guide bars 165c.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second guide bars 165c is two or four.

한편, 제 2 가이드 바아(165c)에는 제 2 나사부(106b)가 관통되어 파티션 바아(101b)에 체결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나사부(106b)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를 관통하여 보강 몸체부(161)에 체결된다. 이로 인해, 바아 고정부(165)는 보강 몸체부(161) 및 파티션 바아(101b)에 고정되면서 보강 몸체부(161)를 파티션 바아(101b)에 연결하면서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crew portion 106b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guide bar 165c and is fastened to the partition bar 101b.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second screw portion 106b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guide bar 165b and is fastened to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 The bar fixing section 165 is fixed to the reinforcing body section 161 and the partitioning bar 101b while fixing the reinforcing body section 161 to the partitioning bar 101b.

바아 탄성부(165d)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위치된다. 바아 탄성부(165d)도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 및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위치된다. 바아 탄성부(165d)는 제 1 가이드 바아(165b)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161)의 하면에 접촉되고, 제 2 가이드 바아(165c)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파티션 바아(101b)의 상면에 접촉된다. 이때, 바아 탄성부(165d)는 보강 몸체부(161)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접촉 및 파티션 바아(101b)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접촉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바아 탄성부(165d)가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위치된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 플레이트(165a)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될 수 있다.The bar elastic portion 165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65a, respectively. The bar elastic portion 165d is also located between the first guide bars 165b and between the second guide bars 165c. The bar elastic portion 165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inserted between the first guide bars 165b and inserted into the partition bars 165b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guide bars 165c 101b. At this time, the bar elastic portion 165d functions to reduce noise due to contact between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161 and the insertion plate 165a and contact between the partition bar 101b and the insertion plate 165a.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which the bar elastic portion 165d is locat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65a,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only on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165a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티션 보강부(106)는 용접 작업없이 상부 파티션부(113)에 조립되어 고정하는 구성이다.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without welding.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파티션 보강부(106)는 상부 파티션부(113)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파티션부(101)의 하부 파티션부(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파티션 보강부(106)는 1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is shown to be installed only in the upper partition portion 113, but it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ition portion 111 of the partition portion 101. Further, although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106 is shown as one,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a plurality of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s 106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실내용 복층 구조물
101: 파티션부
101a: 메인 파티션부
101b: 파티션 바아
111: 하부 파티션부
113: 상부 파티션부
115: 상하 연결부
117: 보강부
102: 기둥부
103: 계단부
104: 테두리부
141: 테두리 기둥부
143: 테두리 프레임부
105: 고정 기둥부
106: 파티션 보강부
161: 보강 몸체부
163: 고정부
165: 바아 고정부
100: Indoor double layer structure
101: partition part
101a: main partition part
101b: partition bar
111: Lower partition part
113: upper partition part
115:
117:
102:
103:
104:
141:
143:
105: fixed post part
106:
161: Reinforcing body portion
163:
165: Baago Government

Claims (14)

복층 구조물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장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을 구획하고, 일부가 벽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파티션부;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파티션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파티션부를 지지하는 기둥부;
상기 파티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경사를 이루는 계단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파티션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부, 상기 기둥부,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파티션부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둥부가 연결되는 하부 파티션부;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계단부 및 상기 테두리부가 연결되는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와 상기 상부 파티션부를 연결하는 상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 구조물은,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파티션부와 상기 하부 파티션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파티션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파티션부 및 상기 하부 파티션부의 각각은,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파티션부; 및
각각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연결되고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파티션 바아들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하측으로 구부러진 양종단부 사이에 상기 메인 파티션부가 위치되고, 상기 메인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 바아들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보강 몸체부;
각각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강 몸체부가 관통하는 가이드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이동가능한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으로부터 메인 파티션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교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천장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와 겹쳐질 수 있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나사부는 상기 체결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종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파티션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In the multi-layer structure,
A partition part position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space and the ceiling surface to partition the indoor space and a part of which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 column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to the bottom surface at an edge of the partition part and supporting the partition part;
A stepp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and tapered; And
And an ed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portion toward the ceiling surface along an edge of the partition portion,
The partition portion, the column portion, the step portion, and the rim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 partitioning unit,
A lower partition part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connected to the column part;
An upper partition part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lower partition part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ition part, the step part and the frame part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d a top and bottom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lower partition unit and the upper partition unit,
The multi-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located across the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the lower partition portion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the lower partition portion,
Wherein each of the upper partition part and the lower partition part comprises:
A main partition part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bar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open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erein the partition reinforcing portion comprises:
A reinforcing body portion located between the main partitions and the main partitions and being positioned to intersect the main partition and the partition bar;
And a pair of fixing portions, each of which passes through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is movable alo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is movable up and down,
Wherein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to fix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xed plate formed with a guide opening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ody part is inserted and movable along the reinforcing body part and movable up and down;
A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toward the main partition portion side and intersecting with the fixing plate; And
And a fastening plat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ceiling surface, the fastening plate being capable of overlapping with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Wherein the threaded portion passes through the end portions of the fasten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is fastened to the main partition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end portions of the fastening plate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overla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하부 파티션부 및 상기 상부 파티션부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상하 연결부로부터 이격된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portion bolted to the lower partition portion and the upper partition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por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 구조물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천장면을 연결하고,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는 고정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xing column portion connecting the rim portion and the ceiling portion and fixed to the cei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부는 상기 파티션부와 상기 벽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벽면과 상기 파티션부에 연결된 기둥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wall surface and is in contact with a space formed by the wall surface and the column portion connected to the partition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ortion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 보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보강 몸체부를 상기 파티션 바아에 고정시키는 바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2. The part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r fix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to fix the reinforcing body to the partitioning ba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고정부는,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의 대응면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고, 상기 파티션 바아와 상기 보강 몸체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 플레이트;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보강 몸체부가 위치되는 제 1 가이드 바아들;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그 사이에 상기 파티션 바아가 위치되는 제 2 가이드 바아들를 포함하되,
나사부가 상기 제 1 가이드 바아 및 상기 제 2 가이드 바아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파티션 바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bar-
An insertion plat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nd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ing bar and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A first guide bar son exten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and having the reinforcing body portion therebetween; And
And a second guide bar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and having the partition bar therebetween,
And the threaded portion passe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guide bar and the second guide bar and is fastened to the partition ba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고정부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상면 및 상기 삽입 플레이트의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되는 바아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구조물.
14.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bar-
Further comprising a bar elastic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osition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plate.
KR1020170012293A 2017-01-25 2017-01-25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KR1017751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93A KR101775101B1 (en) 2017-01-25 2017-01-25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93A KR101775101B1 (en) 2017-01-25 2017-01-25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101B1 true KR101775101B1 (en) 2017-09-19

Family

ID=6003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93A KR101775101B1 (en) 2017-01-25 2017-01-25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1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79B1 (en) * 2017-08-21 2018-03-08 오동석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75Y1 (en) * 2003-04-30 2003-08-14 김광산 An upstairs room structure of living ro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75Y1 (en) * 2003-04-30 2003-08-14 김광산 An upstairs room structure of living roo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279B1 (en) * 2017-08-21 2018-03-08 오동석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01852B2 (en) Modular Building
US11505939B2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US11578486B2 (en) Panel system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KR101835279B1 (en)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JP6349207B2 (en) Fireproof structure of balcony
KR101775101B1 (en) Indoor double floor structure
JP2019138053A (en) Skeleton earthquake-resistant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of skeleton earthquake-resistant building and renewal method
US3755973A (en) Modular building system
JPH11324204A (en) Structure of building
JP5347557B2 (en) Column beam frame
KR101086060B1 (en) Prefebrication module
KR20110107047A (en) Prefabricated house
JP2003082869A (en) Boardlike house
JP2000160675A (en) Multiple dwelling house
KR101425942B1 (en) Modular structure for lowering story-height
JP2019183517A (en) Partition board installation structure
JP7101154B2 (en) Skip floor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JP3866356B2 (en) Wall base and floor finish storage structure
JP2007056643A (en) Room-reinforcing frame of building and room-reinforcing 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e same
US20200002934A1 (en) Super shear panels
JP2501707B2 (en) Floor panel structure of building unit
JP4434425B2 (en) Exterior wall construction method
JPH11324352A (en) Apartment-house
JPH1171918A (en) Building and construction thereof
JP2016023437A (en)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