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076B1 -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076B1
KR101775076B1 KR1020160149425A KR20160149425A KR101775076B1 KR 101775076 B1 KR101775076 B1 KR 101775076B1 KR 1020160149425 A KR1020160149425 A KR 1020160149425A KR 20160149425 A KR20160149425 A KR 20160149425A KR 101775076 B1 KR101775076 B1 KR 10177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pot
coupon
information
electronic vou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상, 유다은, 유승민 filed Critical 유명상
Priority to KR102016014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기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개인 또는 단체 등 누구나 온-라인 상에서 쉽게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은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용이하게 기부를 실현하고, 새로운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MOBILE TERMINAL AND INTERGRATED DON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합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개인 또는 단체 등 누구나 온-라인 상에서 쉽게 기부에 참여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단체, 적십자사, 사회복지 공동 모금회 및 유니세프(Unicef) 등과 같은 기부단체들은 소외된 계층에 대하여 생활비를 지원하거나, 미 자립 단체 또는 시골 단체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기 위한 부실 단체 지원비, 기아, 재난 등과 같은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어린이들을 포함하는 사람들을 원조하기 위한 원조비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기부금을 모금하고 있다.
현재 전술한 단체를 통해 기부금을 내고자 하는 사람은 해당 기부단체를 찾아가 직접 기부하거나, 기부를 하고자 하는 기부단체가 소유한 계좌로 이체 또는 자동이체를 통해 기부를 하거나, ARS 전화 기부 등과 같이 다양한 루트를 통해 기부를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기부단체를 방문하여 기부하는 경우, 현금으로만 기부가 가능하여 현금이 아닌 형태로는 기부를 할 수 없고, 이체의 경우에도 자신의 계좌에 잔금이 남아 있어야만 기부를 할 수 있어 통장 계좌에 잔금이 없는 경우 기부를 할 수 없었으며, ARS 전화 기부의 경우, 소액의 기부만을 할 수 있어 기부금에 제약을 받거나 전화상에서 번거로운 조작을 통해 기부금을 전달해야 하고, ARS 전화기부의 경우 연말 소득 공제를 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부단체를 직접 방문하여 기부금을 기부하는 경우, 기부단체에서는 방문 기부자들로부터 기부금을 수납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입해야 하며, 단체 기부금 관리자가 일일이 기부금을 계수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관리자 입장에서 불편하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98843호(공고일자: 2014.06.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073호(공개일자: 2013.11.1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개인들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의 쿠폰을 발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기부행위를 실현하고,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여 새로운 형태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배포를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합기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콘트롤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처리부; 화면을 구성 및 제공하는 화면 제공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기 화면 제공부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발급을 요청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관리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서비스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포함하는 전자 바우처의 발급 요청을 요청하고, 발급된 전자 바우처를 관리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부; 및 상기 쿠폰 또는 전자 바우처를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폰은 현물과의 교환 권한 또는 현물 구매시 일정금액의 할인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쿠폰 관리부는, 상기 쿠폰에 의해 거래가 진행되면 상기 쿠폰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바우처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전자 바우처 관리부는, 상기 전자 바우처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 바우처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기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설치 메시지에 대응하여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결과를 상기 통합 기부 시스템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현물에 표기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현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QR 코드 처리부; 및 현물에 내장된 NFC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NFC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현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NFC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은,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으로서, 업체로부터 기부된 현물에 대한 사항을 현물 정보로 등록하며, 현물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을 발급하는 기부 모금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서비스 내용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설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부 모금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기부된 현물에 대하여 등록절차를 처리하고, 등록된 현물의 재고량을 관리하는 현물관리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현물에 대한 쿠폰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급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업체서버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주문을 위한 상기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바우처 관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우처 관리부는, 상기 전자 바우처 발급시 발생하는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 계정에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유무를 확인하는 일반회원 관리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 및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 및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전자화폐를 지급하거나, 지급된 전자화폐의 증감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은 누구나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용이하게 기부를 실현하고, 새로운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 또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QR 코드 또는 NFC 신호 등을 인식하여 종래 제한된 방식으로만 정보 제공을 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손쉽게 기부물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및 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의 기부 모금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의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쿠폰 발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 바우처 발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의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된 모바일 단말기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컴포넌트와 등가 혹은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모두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쿠폰', '전자 바우처' 및 '전자화폐' 등에 대하여 사용되는 '관리'의 용어는 해당 쿠폰, 전자 바우처 및 전자화폐의 발급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이용에 따른 데이터의 폐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및 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은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100)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300)으로서, 업체로부터 기부된 현물에 대한 사항을 현물 정보로 등록하며, 현물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을 발급하는 기부 모금 서버(310)와, 모바일 단말기(100)에 서비스 내용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320)와, 모바일 단말기(100)에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설치 메시지를 발송하고,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는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통합 기부 시스템(300)의 각 서버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상기 서버들과 연동하여 쿠폰 등을 발급받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으며, 탑재된 카메라 장치 또는 근거리통신장치를 이용하여 QR 코드 또는 NFC 신호를 인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 등의 컴퓨팅 장치이다.
기부 모금 서버(310)는 기업으로부터 기부받은 현물에 대한 정보를 현물정보로서 저장한다. 기부 현물 정보는, 기부 현물의 종류, 기부 현물의 이미지, 기부 현물 구매처, 교환 쿠폰의 개수, 할인 쿠폰의 개수, 및 할인 쿠폰의 할인율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예를 들어, A 기업으로부터 햄버거 1,000개를 기부 받은 경우, 기부 현물의 이미지는 햄버거의 이미지가 해당되며, 기부 현물 구매처는 A 기업의 가맹점들의 위치가 해당된다. 햄버거를 교환할 수 있는 교환 쿠폰의 개수가 100개, 10% 할인 쿠폰의 개수가 900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부 모금 서버(310)는, 또한 기부 현물에 대한 다수의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회원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부받은 현물에 상응하는 금액을 현물을 기부한 기업의 기부금으로서 국세청 서버에 기부금 신고 처리한다. 따라서 기업 입장에서는 현물을 기부하고, 그에 대한 기부금 처리를 할 수 있어, 기업 세금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32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서비스 주문 및 전자 바우처 발급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를 처리하는 서버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320)는 다수의 회원관리, 주문내용 수신 및 서비스 제공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 세서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320)는 회원등록된 업체들로부터 해당 업체의 서비스 분야 및 실시간 반영되는 할인율과 같은 서비스 정보를 회원등록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그로부터 전자 바우처 발급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 및 관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각 업체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자 바우처를 발급받아 모바일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내용은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예로서, 업체관계자인 가맹점 사장이 특정 상품에 대하여 60 %의 할인율을 적용하고자 하면, 업체서버(400)를 통해 그 할인율을 결정하고,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320)가 업체정보를 갱신함으로써 해당 상품의 전자 바우처에는 그러한 할인율이 반영되게 된다. 추가적으로, 해당 업체가 기부단체등과 연계하여 할인율을 기부형태로 전환하는 경우, 해당 업체에 대한 감세혜택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공익적 측면에서 특정 사용자를 지원하는 경우, 일예로서 결식아동에 대한 급식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면, 시스템내 사용자를 급식대상자로 등록하고, 미리 지급된 포인트로 결제처리되는 식당 이용권에 대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함으로써 일반적인 식사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통카드 업체와 연계하는 경우, 현재 현금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통카드에 상응하는 가상의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고, 이를 인식시키는 형태로 모바일 단말기(100)를 교통카드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후결제 교통카드 발급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카드의 사용비용은 무상으로 처리될 수 있고, 잔액을 기부단체와 연계하여 기부형태로 전환하면 공익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품을 기부받은 기부단체에서는 해당 상품에 대한 QR 코드를 발급받아 상품의 포장상에 표기하거나, 상품내 NFC 모듈을 실장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3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절차를 처리 및 관리하는 서버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330)는 다수의 회원관리 및 어플리케이션 설치요청을 지연 없이 처리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컴퓨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330)는 외부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500)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중, 계약된 업체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그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요청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설치 메시지(Message)를 발송하여 설치에 따른 전자화폐를 지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의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전술한 기부 모금 서버(310),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320) 및 서비스 서버(330)는 웹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 미들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업체서버(100)는 각 지역에 위치한 오프라인(Off-Line) 쇼핑몰, 음식점, 헬스장, 병원, 극장 및 기타 서비스업체에 구비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업체관계자에 의해 당해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분야를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300)에 등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100)가 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300)에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진행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제공하게 된다.
모바일 단말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과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과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기(100)는, 휴대용 컴퓨팅 장치로서, 통신장치(101), 디스플레이 장치(102), 인터페이스 장치(103), AP(104) 및, 메모리(10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101)는 정보 통신망과 접속하여 통합 기부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100)가 메모리(105)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그 프로그램으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정보통신망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구동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비디오 어뎁터(Video Adapt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성하는 화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고, 그 화면내 콘텐츠, 광고정보 및 발급된 이미지 형태의 쿠폰 및 전자 바우처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설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소형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 적합한 소형의 액정표시소자(LCD), 전기영동소자(EPD) 및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3)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03)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키 버튼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의 버튼을 클릭하는 터치 스크린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장치(103)을 조작하여 쿠폰 또는 전자바우처의 발급을 요청하거나, 설치메시지를 선택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AP(Application Processor; 104)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105)에 저장된 OS, 웹 브라우저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을 실행하고 모바일 단말기(100)에 탑재된 각 모듈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AP(104)는 각 구성모듈과 내부적으로 서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버스는 메모리 버스(Memory Bus)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 주변 장치 버스(Peripheral Device) 및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들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구조들을 하나이상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OS,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이 저장될 뿐만 아니라, 기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따라 실행시 프로세스가 상주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05)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05)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은 통합 기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쿠폰 또는 전자 바우처의 발급 및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기능을 각각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06)는 물품상에 표기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해당 물품이 기부된 물품인 것을 인식하고, 시스템에 해당 물품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NFC 장치(107)는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기(100)내 탑재되어 물품에 포함된 NFC 발신모듈의 신호를 인식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부 물품을 인식하고 시스템에 해당 물품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 결합되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합기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콘트롤러(110)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처리부(112)와, 화면을 구성 및 제공하는 화면 제공부(113)과, 통합기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기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제공부(114)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발급을 요청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관리부(115)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서비스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포함하는 전자 바우처의 발급 요청을 요청하고, 발급된 전자 바우처를 관리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부(116)와, 쿠폰 또는 전자 바우처를 화면상에 반영하는 제어부(117)와,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코드 처리부(118)와, NFC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NFC 처리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콘트롤러(110)는 통신부(도 2의 101)를 제어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0)과 통합 기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 처리부(112)는 인터페이스부(도 2의 102)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그램 구동에 반영하는 역할을 한다.
화면 제공부(113)는 프로그램 화면을 구성하고, 디스플레이 장치(도 2의 103)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화면 제공부(113)에서는 쿠폰 및 전자 바우처의 발급요청화면, 발급된 쿠폰 및 전자 바우처 화면, 각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메시지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14)는 통합 기부 시스템으로부터 광고 콘텐츠 및 업체정보 등이 수신되면, 이를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쿠폰 관리부(115)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부 모금 서버(도 2의 310)에 등록된 현물에 대한 거래를 위한 쿠폰발급을 요청하고, 쿠폰이 발급되면 이를 수신하여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바우처 관리부(116)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도 2의 320)에 등록된 업체들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자 바우처 발급을 요청하고, 전자 바우처가 쿠폰이 발급되면 이를 수신하여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전자 바우처는 해당 서비스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업체서버(도 2의 400)으로부터 제공되어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에 등록된 업체정보를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업체정보를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전자 바우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17)는 쿠폰 및 전자바우처의 발급이 요청되면 쿠폰 관리부(115) 및 전자바우처 관리부(116)를 제어하여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고, 발급요청을 해당 서버에 전송하며 그 회신을 수신하여 해당 구성요소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7)는 프로그램 구동시,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QR코드 처리부(118)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장치(도 2의 106)과 연동하여 그 카메라 장치가 기부된 물품상에 표기된 QR 코드를 촬영하면, 그 촬영결과에 따라 해당 물품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QR코드 처리부(118)는 인식결과에 따라 제어부(117)를 통해 그 물품을 기부한 기업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하여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QR코드는 이와 유사한 바코드로 대체될 수 있다.
NFC 처리부(119)는 모바일 단말기에 탑재되는 NFC 장치(도 2의 107)과 연동하여 기부된 물품내 실장된 NFC 모듈로부터 NFC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인식하고, 제어부(117)를 통해 그 물품을 기부한 기업 등에 대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화면 제공부(11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통합 기부 시스템과 연동하여 쿠폰 및 전자 바우처를 발급받으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추천받아 설치할 수 있고, 물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버들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기부 모금 서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의 기부 모금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의 기부 모금 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기부 모금 서버(31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1)와, 기부된 현물에 대하여 등록절차를 처리하고, 등록된 현물의 재고량을 관리하는 현물관리부(312)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현물에 대한 쿠폰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급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처리부(313)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1)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현물관리부(312)는 기업 등으로부터 기부 받은 현물에 대한 사항을 현물정보로 시스템 내에 등록하고, 그 현물의 재고량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현물관리부(312)는 업체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현물에 대한 데이터를 시스템내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등록하는 등록처리모듈(3121) 및, 쿠폰의 발급 및 폐기시 이를 반영하여 현물의 재고를 기준으로 현물정보를 관리하는 재고관리모듈(3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현물정보로는 기부 현물 정보는, 기부 현물의 종류, 기부 현물의 이미지, 기부 현물 구매처, 교환 쿠폰의 개수, 할인 쿠폰의 개수, 및 할인 쿠폰의 할인율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물정보는 모바일 단말기의 현물에 대한 QR 코드 또는 NFC 신호 인식시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쿠폰 처리부(313)는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쿠폰을 발급하거나, 발급된 쿠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쿠폰 처리부(313)는 쿠폰이 발급 또는 사용되면, 현물 관리부(312)와 연계하여 해당 현물정보에 반영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쿠폰 발급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쿠폰을 발급하는 발급모듈(3131)과, 현물 관리부(312)와 연계하여 발급된 쿠폰이 사용 또는 이전되면 이를 폐기 또는 이전처리하는 유지관리모듈(31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관리부(314)는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위해, 회원 관리부(314)는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일반회원관리모듈(3141) 및 현물을 기부한 기업들에 대한 업체정보를 관리하는 업체회원 관리모듈(314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DB(350)는 현물 등록 및 쿠폰 발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합 DB(350)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및 업체정보, 쿠폰 발급내역 및 폐기내역 등이 있다. 이러한 통합 DB(350)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회원정보 등을 후술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 및 서비스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의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여 서비스 공급 업체에서 가능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고 이를 통한 기부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도 5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의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32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21)와,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업체서버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주문을 위한 상기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바우처 관리부(322)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1)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바우처 관리부(322)는, 업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바우처 관리부(322)는 회원 관리부(323)에 요청하여 사용자 및 업체의 회원등록유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에 대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바우처 발급모듈(3221)과, 전자 바우처 발급에 대한 비용을 처리하는 결제모듈(3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323)는 회원등록된 일반 사용자 및 업체들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업체서버(100)로부터 서비스 내용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업체정보에는, 서비스 내용으로는 해당 업체의 상품, 비용 및 할인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게 위해, 회원 관리부(323)는 접속되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일반회원관리모듈(3231) 및 업체정보와, 해당 업체서버로부터 서비스 내용을 수신 및 취합하는 업체회원 관리모듈(323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DB(350)는 전자 바우처 발급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합 DB(350)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및 업체정보, 바우처 발급내역 및 결제내역 등이 있다.
서비스 서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33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31)와,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 계정에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31)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신부(331)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설치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링크(Link) 주소를 설치 메시지 형태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2)는, 사용자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따라 요청되면, 어플리케이션 설치절차 및 전자화폐 지급절차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2)는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고, 만약 회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록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요청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주소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에 따른 보상으로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지정된 액수의 전자화폐를 지급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 주소는 단문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32)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유무를 확인하는 일반회원 관리모듈(3321)과, 모바일 단말기(100)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 및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3322)과,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전자화폐를 지급하거나, 지급된 전자화폐의 증감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모듈(33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DB(350)는 어플리케이션 설치절차 및 전자화폐 지급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각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전자화폐 금액 등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330)는 금융기관서버와 연결되어 각 사용자에게 지급된 전자화폐를 현금 또는 이에 준하는 포인트로 환전할 수 있으며, 공익적 측면으로 기부업체와 연계하여 기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합 기부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에 따른 혜택을 전술한 가상의 전자화폐뿐만 아니라, 특정 상품과 같은 현물에 대한 교환 및 할인쿠폰의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통합 기부 시스템의 서비스 서버에서 지급하는 전자화폐는, 현금, 가상포인트 및 현물교환 및 할인쿠폰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결제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기부 시스템과 연동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쿠폰 발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기부모금 서버(도 1의 310)과 연동하여 기부된 현물에 대한 쿠폰을 발급 받을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발급된 쿠폰에 대한 쿠폰화면(600)은 기부 현물 정보에 기반하여 교환 쿠폰 또는 할인 쿠폰에 기부 현물의 이미지(601)와, 기부 현물을 구매할 수 있는 기부 현물 구매처에 대한 정보 및 할인 쿠폰의 할인율 등(60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쿠폰 화면(600)에는 교환할 수 있는 현물의 이미지와 이름 및 교환처 이외에도 이를 실제 사용할 때 이용되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603)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전자 바우처 발급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도 1의 320)과 연동하여 업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바우처 화면(610)은 전술한 소셜 커머스 할인 가맹점들의 서비스와 유사하게 실시간 혜택이 포함된 각 음식점의 리스트창(611)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바우처 화면(610)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업체 아이콘(612)를 선택하여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에 급식대상자로 등록된 경우에는 일반결제 바우처과 동일한 형태의 급식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급식대상자에게 일반인과 외형적으로 동일한 전자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 의해 푸시 메시지가 발송된 모바일 단말기의 일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도 1의 330)과 연동하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먼저, 모바일 단말기(100)는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621)을 광고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620)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어플리케이션(62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라 지급되는 전자화폐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화면(620)에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100) 번호 입력란(622)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입력란(622)에 자신의 명의로 등록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는, 본 모바일 단말기(100)의 번호에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설치 메시지를 송부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번호에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설치메시지(631)를 발송하게 되며, 메시지화면(630)에서 그 설치메시지(610)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치메시지(631)는 SMS 또는 MMS 형태로 발송될 수 있다. 특히, 설치 메시지(631)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링크 주소(632)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다운로드 링크 주소(632)를 선택하는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11 : 통신콘트롤러
112 : 입력처리부 113 : 화면제공부
114 : 콘텐츠 제공부 115 : 쿠폰 관리부
116 : 전자 바우처 관리부 117 : 제어부
118 : QR 코드 처리부 119 : NFC 처리부

Claims (10)

  1. 정보통신망을 통해 통합기부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콘트롤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처리부;
    화면을 구성 및 제공하는 화면 제공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기 화면 제공부를 통해 표시하는 콘텐츠 제공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발급을 요청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관리부;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으로 서비스 공급업체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포함하는 전자 바우처의 발급 요청을 요청하고, 발급된 전자 바우처를 관리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부; 및
    상기 쿠폰 또는 전자 바우처를 상기 화면상에 반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기부 시스템은,
    업체로부터 기부된 현물에 대한 사항을 현물 정보로 등록하며, 현물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부에 제공하고, 상기 쿠폰 관리부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을 발급하는 기부 모금 서버;
    서비스 내용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바우처 관리부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 및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설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 모금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 콘트롤러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기부된 현물에 대하여 등록절차를 처리하고, 등록된 현물의 재고량을 관리하는 현물관리부;
    상기 쿠폰 관리부로부터 등록된 현물에 대한 쿠폰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급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처리부; 및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폰은 현물과의 교환 권한 또는 현물 구매시 일정금액의 할인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쿠폰 관리부는,
    상기 쿠폰에 의해 거래가 진행되면 상기 쿠폰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바우처는 해당 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전자 바우처 관리부는,
    상기 전자 바우처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면 상기 전자 바우처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기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설치 메시지에 대응하여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결과를 상기 통합 기부 시스템에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현물에 표기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현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QR 코드 처리부; 및
    현물에 내장된 NFC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NFC 신호를 인식하여 해당 현물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NFC 처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6.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는 통합 기부 시스템으로서,
    업체로부터 기부된 현물에 대한 사항을 현물 정보로 등록하며, 현물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현물의 거래를 위한 쿠폰을 발급하는 기부 모금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서비스 내용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전자 바우처 관리 서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하나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설치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에 대한 알림을 수신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기부 모금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기부된 현물에 대하여 등록절차를 처리하고, 등록된 현물의 재고량을 관리하는 현물관리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등록된 현물에 대한 쿠폰발급 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쿠폰을 발급하고, 발급된 쿠폰을 관리하는 쿠폰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바우처 관리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 및 업체서버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업체서버에서 제공하는 업체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주문을 위한 상기 전자 바우처를 발급하는 바우처 관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우처 관리부는,
    상기 전자 바우처 발급시 발생하는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결제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시 사용자 계정에 전자화폐를 지급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유무를 확인하는 일반회원 관리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식별 및 설치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모듈; 및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전자화폐를 지급하거나, 지급된 전자화폐의 증감을 관리하는 전자화폐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KR1020160149425A 2016-11-10 2016-11-10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KR10177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25A KR101775076B1 (ko) 2016-11-10 2016-11-10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425A KR101775076B1 (ko) 2016-11-10 2016-11-10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076B1 true KR101775076B1 (ko) 2017-09-05

Family

ID=5992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425A KR101775076B1 (ko) 2016-11-10 2016-11-10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0816A1 (en) * 2020-06-12 2021-12-16 Juan Carlos Vera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and Charging a Fixed Donation Amou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5109A (ja) 2014-03-26 2015-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特典付与サーバ及び特典付与システム
KR101567897B1 (ko) 2013-09-06 2015-11-11 주식회사 팩시스템즈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추천에 수반한 다단계 리워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897B1 (ko) 2013-09-06 2015-11-11 주식회사 팩시스템즈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추천에 수반한 다단계 리워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5185109A (ja) 2014-03-26 2015-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特典付与サーバ及び特典付与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0816A1 (en) * 2020-06-12 2021-12-16 Juan Carlos Vera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and Charging a Fixed Donation Amount
US11721156B2 (en) * 2020-06-12 2023-08-08 Juan Carlos Vera System and method of setting and charging a fixed donation amou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55700A (ja) 携帯装置による自己精算の方法
KR20110111727A (ko) 스마트폰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거래 및 광고 방법
KR101806481B1 (ko) 키오스크 장치를 이용한 전자 바우처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625916B1 (ko)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및 장치
KR102062867B1 (ko) 쇼핑몰 제휴된 키오스크를 활용한 스마트 모금 시스템
JP20240529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076664A (ko) 포인트를 이용한 선택기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51605A1 (en) Smart fundraising system using kiosk
KR102127431B1 (ko) 배달 주문 매출 정산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JP5806907B2 (ja) 旅行販売システム及び旅行販売方法
CA29359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urchasing medical prescriptions
KR101593275B1 (ko)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1775076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기부 시스템
KR102313173B1 (ko) 큐알코드를 이용한 기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2078A (ko) 오픈뱅킹 api 기반의 간편모금 방법 및 시스템
TW200405189A (en) Payment escrow system and payment escrow method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0669540B1 (ko)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1149A (ko) 의약품 주문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129648A (ko) 거스름돈 이체되는 복합판매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505031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161341B1 (ko) 전용 바코드를 이용한 상품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2220B1 (ko) 금융상품과 결합된 선정산 기반의 대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89477A (ko) 모바일 키오스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