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759B1 -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 Google Patents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759B1
KR101774759B1 KR1020160175555A KR20160175555A KR101774759B1 KR 101774759 B1 KR101774759 B1 KR 101774759B1 KR 1020160175555 A KR1020160175555 A KR 1020160175555A KR 20160175555 A KR20160175555 A KR 20160175555A KR 101774759 B1 KR101774759 B1 KR 10177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registered patent
registered
value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우
전승표
성태응
김상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59B1/ko
Priority to PCT/KR2017/004106 priority patent/WO20181173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59B1/ko
Priority to CN201711086676.7A priority patent/CN10823019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인용기간 산정부가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상기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제1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통계값인 제1 통계값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및 제2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 전부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METHOD FOR GENERATING TECHNOLOGY LIFE INDEX DATABASE BASED BACKWARD CITATION AND METHOD FOR CALCULATING PERIOD OF LIKELY RETURN OF REGISTRATED PAT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해당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일정한 통계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형의 대상에만 국한되었던 가치 평가가 기술과 같은 무형의 대상까지 확대되었으며, 이를 기술 가치 평가라고 한다. 무형의 대상은 대상 자체가 유형의 대상처럼 눈에 보이지 않으며, 시장 및 경제 상황 등과 같이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기술 가치 평가는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기술 가치 평가의 결과는 주관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술 발전의 동향을 반영하는 특허 데이터를 이용해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기술 가치 평가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그 결과 해당 기술이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간 및 수익 예상 기간의 예측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특허 데이터를 이용한 기술 가치 평가 방법인 CLT(Cited-patent Life Time) 지수 활용법은 미국특허분류(USPC)를 이용하는바, 기술수명의 결정에 있어서 적용 분야의 선택이 불편하며, 전방인용 기간을 산출하는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에 기초 데이터 전체에 대한 인용수명 기간을 새롭게 계산해야 하므로 데이터 갱신에 과다한 시간과 노력이 소모되어 정기적인 신규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특허 데이터를 이용한 기술 가치 평가 방법인 TCT(Technology Cycle Time) 지수 활용법은 CLT 지수 활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후방인용 기간을 산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는 하나, 미국 특허 명세서를 기준으로 References Cited를 전부 고려하기 때문에 해당 등록특허와 유사도가 낮은 피인용특허들까지 전부 포함되어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까지 전부 포함되어 있으므로 기술수명지수가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까지 있다. 따라서, 등록특허와 유사도가 높은 피인용특허들만을 포함시켜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술수명지수에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롭고 진보적인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046963호(2008.02.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에 대한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에 대한 기술수명지수에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은 인용기간 산정부가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상기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제1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통계값인 제1 통계값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및 제2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 전부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분류는, IPC 분류, CPC 분류, US Class 분류, F-Term 분류 및 FI 분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계값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계값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 및 Q3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은 중앙값 선택부가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을 선택하는 단계, 경제 수명 산정부가 상기 선택한 중앙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잔존 수명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경제 수명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잔존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및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을 통해 상기 경제 수명을 산정할 수 있다.
경제 수명 =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 * (1 +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 / 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잔존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경제 수명에서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잔존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 중 작은 것을 선택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에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웹(Web)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심사과정에서 등록특허와 유사도가 높은 이유로 심사관이 인용한 피인용특허만을 포함시키므로, 산정된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을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산정된 기술수명지수가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이 필터링 기준을 통해 제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2015년 미국에서 등록된 등록특허에 대하여 IPC 분류 별로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웹 상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인용기간 산정부(110)는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 여기서 인용기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5년,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3년이라면, 인용기간은 2015년에서 2013년을 차감한 2년이 된다. 또한,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개수가 복수인 경우, 예를 들어, 피인용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3년, 피인용특허 2의 등록 년도가 2011년이라면, 인용기간은 2015년에서 2013년을 차감한 2년, 2015년에서 2011년을 차감한 4년이 된다. 하나의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반드시 한 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피인용특허가 존재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인용특허가 3개인 경우에는 인용기간은 3개가 산정되며, 피인용특허가 4개인 경우에는 인용기간은 4개가 산정된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피인용특허는 등록된 특허이어야 할 것이다. 등록 년도의 차이가 인용기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피인용특허는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 전부일 수 있으나,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만을 대상으로 인용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피인용특허 1, 피인용특허 2, 피인용특허 3과 같이 3개가 존재하며,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는 피인용특허 2와 피인용특허 3이라면, 인용기간 산정부(110)는 피인용특허 2와 피인용특허 3에 대한 인용기간만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 산정된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심사관이 인용한 피인용특허는 해당 등록특허와 유사도가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술수명 역시 유사한 추세를 나타낼 것임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용기간 산정부(110)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인용기간을 산정한다고 했던바,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의 인용기간, 등록특허 2의 인용기간 내지는 등록특허 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인용기간을 개별적으로 산정한다. 하나의 등록특허에 대한 인용기간을 통해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하게 된다면 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통계적 수치의 결과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복수의 등록특허는 국가 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권은 속지주의의 원칙으로 인해 등록된 국가 내에서만 권리범위가 미치며, 기술수명지수 역시 각 국가의 시장 및 경제적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한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일본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중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등을 분류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등록특허가 속하는 특정 분류는 IPC 분류, CPC 분류, US Class 분류, F-Term 분류 및 FI 분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모든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IPC 분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국가에서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상이한 분류를 사용한다면 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통일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제1 통계값 산정부(120)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통계값인 제1 통계값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 여기서 제1 통계값은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제1 통계값을 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등록특허가 속하는 기술 분류에 따라서 어떠한 항목을 이용하여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할지 상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한다.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5개이며, 인용기간이 각각 10년, 9년, 12년, 6년, 8년이라면, 등록특허 1에 대한 제1 통계값은 최대값 12년, 최소값 6년, 평균값 9년, 중앙값 9년, Q1 6년, Q3 12년이 될 것이다.
한편, 제1 통계값 산정부(120)는 제1 통계값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고 했던바, 상기 설명한 등록특허 1 내지 등록특허 n에 대하여 제1 통계값을 개별적으로 모두 산정하며, 이 경우 제1 통계값 역시 n개 산정될 것이다. 또한, 복수의 등록특허는 국가 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던바, 제1 통계값 역시 특정 국가에 등록된 등록특허에 대하여 분류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통계값 산정부(130)는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 전부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한다. 여기서 제2 통계값은 제1 통계값 산정부(120)가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계값과 마찬가지로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제2 통계값을 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에 대한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통계값 산정부(130)는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표준편차를 더 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필터링 기준을 중앙값 + 표준편차라고 한다면, 도 2에서 빗금친 부분들에 해당하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은 필터링을 통해 제거될 것이며, 그에 따라 등록 년도가 비교적 최근과 가까운 피인용특허들만 남게 되어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이 보다 잘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설명한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100)의 개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인용기간 산정부(110)가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S310).
여기서 인용기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5년,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3년이라면, 인용기간은 2015년에서 2013년을 차감한 2년이 된다. 또한,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개수가 복수, 예를 들어, 피인용특허 1의 등록 년도가 2013년, 피인용특허 2의 등록 년도가 2011년이라면, 인용기간은 2015년에서 2013년을 차감한 2년, 2015년에서 2011년을 차감한 4년이 된다. 하나의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반드시 한 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피인용특허가 존재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인용특허가 3개인 경우에는 인용기간은 3개가 산정되며, 피인용특허가 4개인 경우에는 인용기간은 4개가 산정된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나 피인용특허는 등록된 특허이어야 할 것이다. 등록 년도의 차이가 인용기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피인용특허는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 전부일 수 있으나,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만을 대상으로 인용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피인용특허 1, 피인용특허 2, 피인용특허 3과 같이 3개가 존재하며,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는 피인용특허 2와 피인용특허 3이라면, 인용기간 산정부(110)는 피인용특허 2와 피인용특허 3에 대한 인용기간만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 산정된 기술수명지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심사관이 인용한 피인용특허는 해당 등록특허와 유사도가 높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술수명 역시 유사한 추세를 나타낼 것임을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용기간 산정부(110)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인용기간을 산정한다고 했던바, 예를 들어, 등록특허 1의 인용기간, 등록특허 2의 인용기간 내지는 등록특허 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인용기간을 개별적으로 산정한다. 하나의 등록특허에 대한 인용기간을 통해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하게 된다면 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통계적 수치의 결과를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복수의 등록특허는 국가 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권은 속지주의의 원칙으로 인해 등록된 국가 내에서만 권리범위가 미치며, 기술수명지수 역시 각 국가의 시장 및 경제적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한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일본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중국 내 등록특허 전부에 대한 인용기간 등을 분류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등록특허가 속하는 특정 분류는 IPC 분류, CPC 분류, US Class 분류, F-Term 분류 및 FI 분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모든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IPC 분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국가에서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상이한 분류를 사용한다면 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통일성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후, 제1 통계값 산정부(120)가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통계값인 제1 통계값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S320).
여기서 제1 통계값은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제1 통계값을 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등록특허가 속하는 기술 분류에 따라서 어떠한 항목을 이용하여 기술수명지수를 산정할지 상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도록 한다. 등록특허 1에 대한 피인용특허가 5개이며, 인용기간이 각각 10년, 9년, 12년, 6년, 8년이라면, 등록특허 1에 대한 제1 통계값은 최대값 12년, 최소값 6년, 평균값 9년, 중앙값 9년, Q1 6년, Q3 12년이 될 것이다.
한편, 제1 통계값 산정부(120)는 제1 통계값을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다고 했던바, 상기 설명한 등록특허 1 내지 등록특허 n에 대하여 제1 통계값을 개별적으로 모두 산정하며, 이 경우 제1 통계값 역시 n개 산정될 것이다. 또한, 복수의 등록특허는 국가 별로 분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던바, 제1 통계값 역시 특정 국가에 등록된 등록특허에 대하여 분류하여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2 통계값 산정부(130)가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 전부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한다(S330).
여기서 제2 통계값은 제1 통계값 산정부(120)가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통계값과 마찬가지로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 제2 통계값을 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2 통계값 산정부(130)는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표준편차를 더 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필터링 기준을 중앙값 + 표준편차라고 한다면, 도 2에서 빗금친 부분들에 해당하는 등록 년도가 오래된 피인용특허들은 필터링을 통해 제거될 것이며, 그에 따라 등록 년도가 비교적 최근과 가까운 피인용특허들만 남게 되어 최신 기술 발전의 동향이 보다 잘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여기서 필터링 기준인 중앙값 + 표준편차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평균값 + 표준편차, Q3 + 표준편차와 같이 제1 통계값 중 어느 하나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필터링 기준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한 S210 내지 S230 단계에 따라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며, 이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2015년 미국에서 등록된 등록특허에 대하여 IPC 분류 별로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모습을 나타낸 것인바, 피인용특허 전체의 개수를 나타내는 지수인 CNT, 인용기간을 모두 합산한 지수인 SUM, 분산을 나타내는 지수인 V는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아닌 선택 사항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생성된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는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 포함)에 저장되어 권한을 부여 받은 유저가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장치(200)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장치(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수익 예상 기간은 해당 등록특허의 실시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간, 즉 기술수명기간으로 볼 수 있으며, 등록특허의 존속기간과는 상이한 개념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중앙값 선택부(210)는 후방인용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IPC 분류가 A01D인 경우, 후방인용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A01D의 중앙값을 선택한다.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12년이 선택될 것이다.
한편, 중앙값 선택부(210)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서 중앙값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구성이며, 평균값이나 Q3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평균값 선택부(미도시)나 Q3 선택부(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 수명 산정부(220)는 중앙값 선택부(210)가 선택한 중앙값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을 산정한다. 여기서 경제 수명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경제 수명 =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 * (1 +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 / 20)
한편,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10가지 평가지표로 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해당 등록특허의 명칭 등을 통해 경제 수명 산정부(220)가 웹(Web) 상에서 자료를 수집해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가 -1점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분류인 A01D의 중앙값은 12년,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는 -1점이므로, 상기 수학식에 따라 해당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은 12 * (1 + (-1/20))이므로 11.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잔존 수명 산정부(230)는 경제 수명 산정부(220)가 산정한 경제 수명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을 산정한다. 이는 경제 수명에서 해당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하여 산정하는 것인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등록된지 2년이 경과되었다면 잔존 수명은 11.4년 - 2년인 9.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240)는 잔존 수명 산정부(230)가 산정한 잔존 수명과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을 이용하여 해당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한다. 이는 잔존 수명과 해당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 중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인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이 9.4년이며, 법적 잔존 권리 기간(특허권의 존속기간 만료일에서 출원일부터 등록일까지의 기간 및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한 기간)이 17년이라면, 유효 경제 수명은 더 작은 값인 9.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이 길다 하여도 항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없다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며, 유효 경제 수명이 법적 잔존 권리 기간보다 큰 반대의 경우 역시 동일하다.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250)는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240)가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과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한다. 여기서 사업화 소요 기간은 해당 등록특허를 이용하여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업화에 소요된 시간을 의미하며, 등록특허마다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화 소요 기간은 유저에 의해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등록특허의 명칭 등을 통해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250)가 웹 상에서 자료를 수집해 자체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수익 예산 기간은 유효 경제 수명에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한다.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이 9.4년, 사업화 소요 기간이 1년이라면, 최종 수익 예상 기간은 9.4년 + 1년인 10.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이하, 상기 설명한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장치(200)의 개별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의 전체적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중앙값 선택부(210)가 후방인용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을 선택한다(S710).
예를 들어,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IPC 분류가 A01D인 경우, 후방인용 기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A01D의 중앙값을 선택한다.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12년이 선택될 것이다.
한편, 중앙값 선택부(210)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서 중앙값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구성이며, 평균값이나 Q3 등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평균값 선택부(미도시)나 Q3 선택부(미도시)가 S710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이후, 경제 수명 산정부(220)가 중앙값 선택부(210)가 선택한 중앙값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을 산정한다(S720).
여기서 경제 수명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을 통해 산정될 수 있다.
경제 수명 =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 * (1 +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 / 20)
한편,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함에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10가지 평가지표로 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해당 등록특허의 명칭 등을 통해 경제 수명 산정부(220)가 웹 상에서 자료를 수집해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라,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가 -1점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분류인 A01D의 중앙값은 12년,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는 -1점이므로, 상기 수학식에 따라 해당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은 12 * (1 + (-1/20))이므로 11.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다음으로 잔존 수명 산정부(230)가 경제 수명 산정부(220)가 산정한 경제 수명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을 산정한다(S730).
이는 경제 수명에서 해당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하여 산정하는 것인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등록된지 2년이 경과되었다면 잔존 수명은 11.4년 - 2년인 9.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이후,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240)가 잔존 수명 산정부(230)가 산정한 잔존 수명과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을 이용하여 해당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한다(S740).
이는 잔존 수명과 해당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 중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인바,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이 9.4년이며, 법적 잔존 권리 기간(특허권의 존속기간 만료일에서 출원일부터 등록일까지의 기간 및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한 기간)이 17년이라면, 유효 경제 수명은 더 작은 값인 9.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이 길다 하여도 항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없다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며, 유효 경제 수명이 법적 잔존 권리 기간보다 큰 반대의 경우 역시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250)가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240)가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과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이용하여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한다(S750).
여기서 사업화 소요 기간은 해당 등록특허를 이용하여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업화에 소요된 시간을 의미하며, 등록특허마다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화 소요 기간은 유저에 의해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등록특허의 명칭 등을 통해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250)가 웹 상에서 자료를 수집해 자체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수익 예산 기간은 유효 경제 수명에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한다.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이 9.4년, 사업화 소요 기간이 1년이라면, 최종 수익 예상 기간은 9.4년 + 1년인 10.4년으로 산정될 것이다.
상기 설명한 S710 내지 S750 단계를 통해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서 산정되는 수명이 소수점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올림 또는 반올림하거나 버림하여 산정할 수 있으며, 소수점 단위를 포함하는 형태 그대로 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은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 포함)에 저장된 형태로 웹 상에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웹 상에서 제공되는 화면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최종 산정된 수익 예산 기간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
110: 인용기간 산정부
120: 제1 통계값 산정부
130: 제2 통계값 산정부
200: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장치
210: 중앙값 선택부
220: 경제 수명 산정부
230: 잔존 수명 산정부
240: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
250: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

Claims (10)

  1. 인용기간 산정부가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와 상기 등록특허에 대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제1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통계값인 제1 통계값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단계; 및
    제2 통계값 산정부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 전부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용기간 산정부는,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년도와 상기 등록특허에 대한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분류는,
    IPC 분류, CPC 분류, US Class 분류, F-Term 분류 및 FI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계값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인용기간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하위 25%의 평균값) 및 Q3(상위 25%의 평균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계값은,
    상기 등록특허 별로 산정한 제1 통계값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앙값, Q1 및 Q3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5. 중앙값 선택부가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을 선택하는 단계;
    경제 수명 산정부가 상기 선택한 중앙값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잔존 수명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경제 수명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잔존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유효 경제 수명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잔존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 및
    수익 예상 기간 산정부가 상기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이용하여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분류에 속하는 복수의 등록특허 전부에 대하여, 등록특허의 등록년도와 상기 등록특허에 대한 심사과정에서 심사관에 의해 인용된 피인용특허의 등록 년도와의 차이값인 인용기간을 산정하고, 상기 인용기간에 대한 통계값인 제1 통계값과, 상기 제1 통계값에 대한 통계값인 제2 통계값을 산정하여 생성된,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을 통해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경제 수명 =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가 속한 특정 분류의 중앙값 * (1 + 기술수명 영향요인 평가 합계 / 20)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경제 수명에서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등록 년도 경과 년수를 차감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경제 수명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잔존 수명과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법적 잔존 권리 기간 중 작은 것을 선택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한 유효 경제 수명에 상기 수익 예상 기간을 산정하고자 하는 등록특허의 사업화 소요 기간을 합산하여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을 웹(Web) 상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KR1020160175555A 2016-12-21 2016-12-21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KR10177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5A KR101774759B1 (ko) 2016-12-21 2016-12-21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PCT/KR2017/004106 WO2018117342A1 (ko) 2016-12-21 2017-04-17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CN201711086676.7A CN108230191A (zh) 2016-12-21 2017-11-07 技术寿命指数数据库生成方法和收益预计期间核算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5A KR101774759B1 (ko) 2016-12-21 2016-12-21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759B1 true KR101774759B1 (ko) 2017-09-06

Family

ID=5992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555A KR101774759B1 (ko) 2016-12-21 2016-12-21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74759B1 (ko)
CN (1) CN108230191A (ko)
WO (1) WO20181173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35B1 (ko) * 2018-03-29 2018-07-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수명예측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178B1 (ko) 2015-12-21 2016-06-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다중 특허지표를 이용한 기술 수명 주기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67B1 (ko) * 2005-09-22 2007-05-2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적자산 정보의 핵심특허지수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9151373A (ja) * 2007-12-18 2009-07-09 Nec Corp 引用関係抽出システム、引用関係抽出方法、及び引用関係抽出用プログラム
KR101278135B1 (ko) * 2011-05-02 2013-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확률론적 특허 인용 분석에 기반한 미래 유망 특허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5598B1 (ko) * 2012-10-10 2015-07-2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잔존 기술수명 산출방법, 잔존 기술수명 산출장치 및 잔존 기술수명을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178B1 (ko) 2015-12-21 2016-06-2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다중 특허지표를 이용한 기술 수명 주기 분석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자료, ‘산업통상자원의 기술가치평가 실무가이드’(2014년 공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235B1 (ko) * 2018-03-29 2018-07-11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특허수명예측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342A1 (ko) 2018-06-28
CN108230191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4801B2 (ja) 情報推奨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サーバ
Alkema et al. Global estimation of child mortality using a Bayesian B-spline bias-reduction model
Simnett et al. Assurance on sustainability report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US8484069B2 (en) Forecasting discovery costs based on complex and incomplete facts
Popović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effort estimation methods in the software life cycle
Burcar Dunovic et al. Internal and external risk based assesment and evaluation for the large infrastructure projects
US10614495B2 (en) Adaptive and tunable risk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8489439B2 (en) Forecasting discovery costs based on complex and incomplete facts
JP2011065636A (ja) 変数スコアリングを使用するモデル最適化システム
US20140067521A1 (en) Marketing campaign management system
Kaiser et al. How to measure data quality?-a metric-based approach
CN109345109A (zh) 一种基于分类预测模型的员工评估方法及终端设备
US11062350B2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monitoring promotion status data, and non-volatile computer storage medium
Bhaskar et al. Demographic analysis 2010: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oreign-born migration component
KR101405309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데이터에 기반한 질병 확산 상황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1774759B1 (ko) 후방인용 기반의 기술수명지수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등록특허의 수익 예상 기간 산정 방법
CN113435713B (zh) 基于gis技术和两模型融合的风险地图编制方法及系统
Wahyudin et al. Defect prediction using combined product and project metrics-a case study from the open source" apache" myfaces project family
Kokkalis et al. Good practices for surplus production models
CN114971532B (zh) 一种企业画像的建立和管理方法及系统
KR101397185B1 (ko) 광고 관리 시스템 및 광고 관리 방법
CN116151460A (zh) 车辆智能化产品的优化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Foulonneau et al. Analyzing the open source communities' lifecycle with communication data
CN115330234A (zh) 数字化合规诊断方法、系统及存储介质
Ren et al. Research of software size estim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