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729B1 -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 Google Patents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729B1
KR101774729B1 KR1020170010835A KR20170010835A KR101774729B1 KR 101774729 B1 KR101774729 B1 KR 101774729B1 KR 1020170010835 A KR1020170010835 A KR 1020170010835A KR 20170010835 A KR20170010835 A KR 20170010835A KR 101774729 B1 KR101774729 B1 KR 10177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fluid
tube
hos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훈
Original Assignee
구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훈 filed Critical 구태훈
Priority to KR102017001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7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introduction of sources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14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6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66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61N5/1002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 A61N2005/1003Intraluminal radiation therapy having means for centering a radioactive source within the lumen, e.g. ballo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타는 직장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할 때, 암이 위치한 부위를 팽창시켜 팽팽하게 펴고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타는 전립선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할 때, 전립선과 대응되는 직장 부분을 가압하여 직장벽이 전립선에 밀착되도록 하여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인다. 아울러, 풍선을 팽창시켜 해당 부분을 고정하여 방사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본 발명의 원리는 대장암과 소장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Balloon catheter for improving the curative effacement of radiation in rectal cancer, prostate cancer, colorectal cancer or, carcinoma of small intestine}
본 발명은 풍선 카테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장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암이 위치한 부위를 팽창시켜 팽팽하게 펴고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립선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전립선과 대응되는 직장 부분을 가압하거나 팽창시켜 직장벽이 전립선에 밀착, 가압되도록 하여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는 풍선 카테타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대장암과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는 풍선 카테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밤톨 크기의 부속 생식샘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립선은 위로는 방광과 맞닿아 있으며 아래로는 비뇨 생식격막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앞쪽으로는 두덩전립샘 인대로 두덩뼈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옆으로는 내장쪽 골반근막으로 싸여 있다. 전립샘의 뒤로는 직장방광중격(直腸膀胱中隔)에 의해 직장과 분리되어 있고, 전립샘 안쪽에는 요도가 지나간다.
전립선암은 직장벽에 매우 가까운 전립선의 뒷부분에서 주로 발생한다. 전립선은 대략 5mm ~ 20mm 정도로 움직이는 조직이므로, 전립선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할 때 방사선을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전립선과 근접한 직장벽의 대부분이 방사선에 의해서 피폭되었다.
이에 따라, 방사선 치료시 전립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풍선 카테타를 이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상기 방안은 풍선을 직장 내에 삽입한 후, 물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풍선을 팽창시켜 직장벽이 전립선에 밀착 가압되도록 하여 전립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방안은 방사선 치료시, 전립선을 고정시킴으로써 암을 제외한 부분이 피복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치료 효과를 높인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방안은 풍선이 직장 운동 또는 괄약근에 의해서 뒤(직장 밖)로 밀려 나오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풍선 삽입시, 풍선이 정위치에 위치 되었는지를 막대에 새겨진 눈금으로 알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립선은 움직이므로 매번마다 그 위치가 동일하지 않고, 이에 따라 막대 눈금만으로는 풍선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방사선 치료시, 전립선과 직장에 피복된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풍선 카테타는 방사선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직장암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경우, 직장벽이 평평하지 않고 방사선 치료 중에도 직장이 계속 움직이므로 직장을 팽팽하게 하고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직장에 풍선을 삽입한 후 팽창시켜 직장벽을 평평하게 펴서 고정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직장암에 적용되는 풍선 카테타도 직장 운동 또는 괄약근에 의해서 뒤로 밀려 나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방사선 치료시, 풍선을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과, 전립선과 직장에 피복된 방사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립선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전립선과 대응되는 직장 부분을 가압하거나 팽창시켜 직장벽이 전립선에 밀착, 가압되도록 하여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립선암을 치료하기 위해서 풍선을 직장에 삽입하는 경우, 풍선이 정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장암이 위치한 부위를 팽창시켜 팽팽하게 펴고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립선암, 직장암 등을 방사선 치료하는 경우에 풍선이 뒤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립선암, 직장암 등을 방사선 치료하는 경우에 해당 부위의 방사선 피복량을 측정할 수 있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립선암, 직장암 뿐만 아니라, 대장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는 풍선 카테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풍선 카테타(100)(200)(300)(400)(500)(600)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100)는,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110); 및, 풍선부(1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관(150);을 포함한다.
풍선부(110)는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를 포함한다.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는 상기 유체의 의해 동시에 팽창ㆍ수축되고, 보조 팽창부(130)는 메인 팽창부(120)의 뒤에 형성된다.
보조 팽창부(130)는, 메인 팽창부(120)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되, 메인 팽창부(1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팽창되는 보조 수평부(131); 및 보조 수평부(131)의 후단에서 관(150)을 향한 곡면으로 팽창되는 보조 곡면부(132);를 포함한다. 풍선부(110)가 직장에 삽입된 후 팽창되면 보조 팽창부(130)는 항문 괄약근과 협력하여 풍선부(110)가 직장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15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풍선부(110)를 관통하여 풍성부(110)의 선단에 결합된다. 관(150)은 풍선부(110)를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에 삽입된 풍선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그리고, 관(150)의 선단에는 유체의 유입, 배출을 위한 구멍(15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200)는,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210); 및, 풍선부(2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관(150);을 포함한다.
풍선부(210)는 직장벽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었을 때 전립선으로 인해 직장벽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팽창된다.
풍선부(210)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를 포함한다. 오목부(211)는 풍선부(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볼록부(216)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1)의 앞,뒤에 각각 형성된다.
볼록부(216)는 유체 유입으로 볼록하게 팽창되고, 오목부(211)는 볼록부(21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는 전립선으로 인한 직장벽의 상기 돌출 형상과 형합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이에 따라 풍선부(210)를 직장 내에 삽입시 상기 돌출 형상 부분이 오목부(211)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300)는 풍선부(110)와 호스(350)를 포함한다. 풍선 카테타(300)는, 풍선 카테타(100)와 비교하여, 호스(350)가 유연하고 그 길이가 길다는 차이점이 있다. 풍선 카테타(300)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시 대장 또는 소장을 팽팽하게 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400)는 풍선부(210)와 호스(350)를 포함한다. 풍선 카테타(400)는, 풍선 카테타(200)와 비교하여, 호스(350)가 유연하고 그 길이가 길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풍선 카테타(400)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시 대장 또는 소장을 팽팽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500)는 풍선부(110)와, 관(150) 및, 관(150)의 후단에 연결된 호스(350)를 포함한다. 풍선부(110)는 상술한 풍선부(110)와 동일하다. 유체는 호스(350)와 관(150)을 통해서 풍선부(110)에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관(150)은 풍선부(1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고, 호스(350)는 플렉스블하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600)는 풍선부(210)와, 관(150) 및, 관(150)의 후단에 연결된 호스(350)를 포함한다. 풍선부(210)는 상술한 풍선부(210)와 동일하다. 유체는 호스(350)와 관(150)을 통해서 풍선부(210)에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관(150)은 풍선부(2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고, 호스(350)는 플렉스블하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전립선암을 방사선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전립선과 대응되는 직장 부분을 가압하거나 팽창시켜 직장벽이 전립선에 밀착, 가압되도록 하여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전립선암을 치료하기 위해서 풍선을 직장에 삽입하는 경우, 풍선이 정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기존에는 막대에 새겨진 눈금으로 풍선 위치를 측정하였으나, 전립선이 움직이는 조직이므로 이러한 방법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타는 전립선의 외부 형상에 형합하는 오목한 구조를 가지므로, 풍선 삽입시 사용자(의사)가 손으로 감지하는 느낌만으로도 풍선이 전립선에 정위치하였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셋째, 직장암이 위치한 부위를 팽창시켜 팽팽하게 펴고 고정함으로써 방사선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넷째, 전립선암 또는 직장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경우, 직장 운동 또는 괄약근에 의해서 풍선이 뒤(직장 밖)로 밀려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전립선암 또는 직장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경우에 해당 부위의 방사선 피복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섯째, 풍선부에 백금 등으로 된 마커를 설치함으로써, 풍선부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일곱째, 전립선암, 직장암 뿐만 아니라, 대장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립선과 그 주위 조직을 보여주는 해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풍선 카테타의 풍선부만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V-V'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는 도 2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에 백금 마커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b는 도 2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풍선의 외부 표면에 바슘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도 2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b는 도 2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풍선부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2의 풍선 카테타를 이용하여 직장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풍선 카테타의 풍선부만을 확대해서 그린 도면.
도 12는 도 11의 XII-XII'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a는 도 9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에 백금 마커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b는 도 9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풍선의 외부 표면에 바슘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a는 도 9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b는 도 9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풍선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9의 풍선 카테타를 이용하여 전립선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투명한 풍선부(110)를 통해서 보이는 관(150)과, 관(150)에 형성된 구멍(152) 등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풍선 카테타(100)는 풍선부(110)와 관(150)을 포함한다.
풍선부(110)는 관(150)을 통해서 공급된 유체, 예를 들어, 60% 조영제(바슘 3번)를 포함하는 saline에 의해서 팽창될 수 있다. 풍선부(110)는 실리콘, 폴리우레탄, 나일론, PET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그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부(110)는 대략 70ml의 물이 주입되면 완전히 팽창되는데, 직장에 무리가 생기지 않도록 70ml를 초과하는 물을 주입하기 위해 관(150)에 압력이 인가되더라도 더 이상 팽창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풍선부(110)는 실리콘 등의 재료를 경화시켜서 만들 수 있다.
풍선부(110)는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를 포함한다.
메인 팽창부(120)는 유체 유입에 의해서 주변 직장벽을 팽창시켜 팽팽하게 할 수 있을 정도로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팽창부(120)는 팽창되었을 때 직경(d1)이 30mm ~ 50mm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팽창부(120)는 유체의 유입에 의해서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팽창되는 메인 수평부(121)와, 메인 수평부(121)의 앞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는 제1 곡면부(122) 및, 메인 수평부(121)의 뒤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보조 수평부(131)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123)를 포함한다. 메인 수평부(121)와 제1,2 곡면부(122)(123)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는 메인 수평부(121)를 포함하는 풍선은, 구형(球形) 풍선 및 타원형 풍선과 비교하여, 직장을 팽팽하게 펴는데 유리하고 직장벽을 통해 전립선을 측방향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메인 팽창부(120)의 선단에는 결합부(127)가 형성된다. 결합부(127)는 관(150)의 선단이 풍선부(11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관(150)의 선단에는 마커(백금 마커)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보조 팽창부(130)는 보조 수평부(131)와 보조 곡면부(132)를 포함한다. 보조 팽창부(130)의 내부 공간은 메인 팽창부(1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보조 팽창부(130)와 메인 팽창부(120)는 함께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보조 팽창부(130)는 접착부(133)에 의해서 관(150)에 접착된다. 접착부(133)는 풍선부(110)의 후단이 관(150)에 접착되어 밀봉되는 부분이다.
보조 팽창부(130)는 괄약근과 협력하여 풍선부(110)가 후진하는 것 즉, 직장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비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풍선이 직장 운동에 의해서 뒤로 밀려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
보조 수평부(131)는 제2 곡면부(123)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풍선부(110)가 팽창할 때 원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되, 팽창시 메인 팽창부(121)의 직경(d1) 보다 작은 직경(d2)으로 팽창된다.
구체적으로, 보조 팽창부(130)가 팽창되었을 때 보조 팽창부(130)의 직경(d2)은 10mm ~ 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3mm ~ 17mm이다. 그리고, 보조 팽창부(130)의 길이(L1, 보조 수평부(131)와 보조 곡면부(132)를 합친 길이)는 15mm ~ 2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8mm ~ 22mm이다.
만약, 보조 팽창부(130)의 직경(d2, 즉, 보조 수평부의 직경)과 길이(L1)가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면 풍선부(110)의 후진 방지에 효과적이지 못하게 된다.
보조 곡면부(132)는 보조 수평부(131)의 후단에서 관(150)을 향한 볼록한 곡면으로 팽창되는 부분이다. 보조 곡면부(132)의 후단에는 접착부(133)가 형성된다.
관(150)은 풍선부(11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풍선부(110)로부터 유체를 배출한다. 관(15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풍선부(110)를 관통하여 풍선부(110)의 선단(결합부, 127)에 결합된다. 그리고, 관(150) 중에서 풍선부(110)에 삽입된 부분에는 다수 개의 구멍(152)이 형성된다. 구멍(152)을 통해서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관(150)은 그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관(150)의 후단에는 밸브(160)가 설치된다. 밸브(160)는 유체 공급수단 예를 들어, 주사기(도면에 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조절한다. 풍선부(110)가 직장에 삽입된 후 미리 정해진 양의 유체가 공급 완료되면 밸브(160)가 닫히게 되고, 방사선 치료가 완료되면 밸브(160)가 개방되어 유체가 배출된 후 풍선부(110)가 직장으로부터 배출된다.
관(150)은 풍선부(110)를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에 삽입된 풍선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관(150)의 외부 표면에는 관(150)의 길이방향으로 눈금이 인쇄되거나 새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150)은 클램프와 같은 지지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이 때 관(150)과 클램프의 상대적인 위치를 눈금으로 파악함으로써 풍선부(110)의 직장내 삽입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a는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백금 마커가 관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백금 마커(172)는 인체 내부에 삽입된 풍선부(110)를 X선 촬영 또는 CT 촬영할 때 모니터를 통해서 풍선부(1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백금 마커(172)는 관(150) 중에서 풍선부(110)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되거나, 풍선부(110)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관(150) 부분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거나, 상기 선단과 후단 사이의 관(150) 부분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b는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바슘 테이프가 풍선부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바슘 테이프(174)는 인체 내부에 삽입된 풍선부(110)를 X선 촬영 또는 CT 촬영할 때 풍선부(1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도 7a는 도 2의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7b는 풍선부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이 부착된 것을 보여준다.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으로는 방사선 감광 필름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감광작용을 이용한 선량계, 또는 다이오드 배열판 등을 포함하는 방사선 전리 작용을 이용한 선량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은 암 부위 위에 조사된 누적 방사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7b와 같이 풍선부(110)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부착되면, 풍선부가 팽창할 때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암 부위에 밀착되므로, 암 부위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풍선부(110)의 외부 표면에 설치(부착)되는 구성에서는, 풍선부(110)의 팽창, 수축과 함께 방사선량 측정수단(170)도 팽창, 수축하게 되므로 폴리 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풍선부(110)에 더욱 적합하다.
그러면, 풍선 카테타(100)를 이용하여 직장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150)을 클램프에 설치한 후, 풍선부(110)가 수축된 상태에서 풍선 카테타(100)를 전진시켜 풍선부(110)가 직장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관(150)에 새겨진 눈금과 클램프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면 풍선부(110)가 직장 내에 삽입된 깊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백금 마커(172) 또는 바슘 테이프(174) 등은 X선 촬영 또는 CT 촬영시 풍선부(110)의 위치를 모니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서 보여준다.
이어서, 밸브(160)를 개방하고 유체를 공급하여 풍선부(110)를 일부 팽창시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장이 팽팽해지면서 암 부위가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은 모니터 등을 관찰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암 부위가 팽팽하게 되고 고정되면 방사선을 조사한다. 누적 방사선량은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방사선 치료가 완료되면 밸브(160)를 개방하여 풍선부(110)를 수축시킨 후, 항문을 통해서 풍선부(110)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풍선부(110)가 팽창하여 암 부위를 팽팽하게 하고 고정하면 해당 암 부위에만 집중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암 주변의 정상 세포에는 방사선량을 최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풍선 카테타(100)를 이용하여 전립선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과정은 전립선과 대응되는 직장 부분을 팽창시키거나 가압시킨다는 점을 제외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인의 임상 시험에 의하면, 직장암의 방사선 치료는 기존에 15~20회에 걸쳐서 이루어졌는데, 풍선 카테타(100)를 이용하면 5~9회 치료로 기존의 15~20회 치료와 동일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아울러, 동일한 방사선량을 조사했을 때 기존 방법에 비해 종양의 크기를 60% 이상 더 줄어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2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투명한 풍선부(210)를 통해서 보이는 관(150)과, 관(150)에 형성된 구멍(152)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9 ~ 10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8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풍선 카테타(200)는 풍선부(210)와 관(150)을 포함한다.
풍선부(210)에 주입되는 유체(물), 풍선부(210)의 재질 및, 풍선부(210)에 일정량의 유체가 주입되어 팽창 완료되면 그 이상의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압력을 인가하더라도 풍선부(210)가 더 이상 팽창하지 않는 것 등은 제1 실시예의 풍선부(110)와 동일하다. 그리고, 풍선부(210)는 그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부(210)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를 갖는다. 오목부(211)는 풍선부(210)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위치하고, 볼록부(216)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1)의 전,후에 형성된다. 풍선부(210)에 유체가 유입되면 볼록부(216)는 볼록하게 팽창되고 오목부(211)는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되어 오목하게 된다.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는 동시에 팽창된다.
구체적으로, 오목부(211)는 최소 직경지점(212)이 15mm ~ 25mm의 직경(p1)을 갖는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볼록부(216)는 최대 직경지점(217)이 22mm ~ 32mm의 직경(p2)을 갖는 원형 단면을 이루도록 팽창되되, 직경(p2)은 직경(p1) 보다 5mm ~ 10mm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 볼록부(216)의 최대 직경지점(217) 사이의 거리(s1)는 30mm ~ 5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 차이(p2-p1)가 5mm 미만이거나 10mm를 초과하는 경우 및, 상기 거리(s1)가 30mm 미만이거나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풍선부(210)의 형상이 전립선의 돌출 형상과 형합되지 않으므로 전립선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없다.
그리고, 결합부(127)와 접착부(133)를 제외한 풍선부(210)의 길이(s2, 풍선부가 실질적으로 팽창되는 부분의 길이)는 80mm ~ 10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s2)가 80mm 미만인 경우에는 전립선의 돌출 형상과 형합하도록 오목부(211)와 볼록부(216)가 굴곡되기에 부족하고, 길이(s2)가 100mm를 초과하면 오목부(211)와 볼록부(216)의 경사가 너무 완만하여 전립선의 돌출 형상과 형합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풍선부(210)의 이와 같은 팽창 형상은 팽창된 풍선부(210)가 직장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전립선으로 인해 직장벽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과 형합한다. 따라서, 전립선은 오목부(211)에 안착될 수 있고, 안착된 상태에서 가압되므로 전립선의 움직임을 없애거나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풍선부(210)를 직장에 삽입하였을 때, 전립선이 오목부(211)에 안착되는 것을 사용자(의사)도 느낄 수 있으므로 풍선부(210)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진다.
관(150)은 풍선부(21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풍선부(210)로부터 유체를 배출한다. 관(150)은 제1 실시예의 관(150)과 동일하다. 따라서, 관(150)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풍선부(210)를 관통하여 풍성부(210)의 선단(결합부, 127)에 결합되는 구성과, 관(150) 중에서 풍선부(210)에 삽입된 부분에는 다수 개의 구멍(152)이 형성되는 구성과, 구멍(152)을 통해서 유체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구성과, 관(150)은 풍선부(210)를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에 삽입된 풍선부(21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구성과, 관(150)의 외부 표면에 눈금이 새겨져 있는 구성 및, 관(150)을 클램프와 같은 지지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성 등은 제1 실시예의 관(150)과 동일하다.
아울러, 관(150)의 후단에는 설치되는 밸브(160) 및 유체 공급수단(주사기)도 제1 실시예의 밸브(150) 및 유체 공급수단(주사기)과 동일하다.
한편, 풍선 카테타(200)는, 풍선 카테타(100)와 마찬가지로, 방사선량 측정수단(170)과 마커(172)(17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풍선부(210)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관(150) 부분에 백금 마커(172)가 설치될 수 있다. 백금 마커(172)는 관(150) 중에서 풍선부(210)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되거나, 풍선부(210)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는 관(150) 부분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거나, 상기 선단과 후단 사이의 관(150) 부분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b는 풍선 카테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바슘 테이프(174)가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한편, 도 14a는 풍선부(210)의 선,후단 사이의 관(150) 부분에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도 14b는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부착된 것을 보여준다.
도 14b와 같이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에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부착되면, 풍선부(210)가 팽창할 때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직장벽에 밀착되므로, 암 부위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에 설치(부착)되는 구성에서는, 풍선부(210)의 팽창, 수축과 함께 방사선량 측정수단(170)도 팽창, 수축하게 되므로 폴리 우레탄으로 만들어진 풍선부(210)에 더욱 적합하다.
그러면, 풍선 카테타(200)를 이용하여 전립선암을 방사선 치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150)을 클램프에 설치한 후, 풍선부(210)가 수축된 상태에서 풍선 카테타(200)를 전진시켜 풍선부(210)가 직장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관(150)에 새겨진 눈금과 클램프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면 풍선부(210)가 직장 내에 삽입된 깊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백금 마커(172) 또는 바슘 테이프(174) 등은 X선 촬영 또는 CT 촬영시 풍선부(210)의 위치를 모니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서 보여준다.
이어서, 밸브(160)를 개방하고 유체를 공급하여 풍선부(210)를 팽창시키면 볼록부(216)와 오목부(21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모니터 등으로 관찰하면서 풍선부(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전립선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마커(172)(174) 또는 조영제(풍선부에 주입된 조영제)는 모니터를 통해서 풍선부(21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울러, 관(150)에 새겨진 눈금과 클램프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하면 풍선부(210)가 직장 내에 삽입된 깊이를 알 수 있다.
한편, 전립선은 움직이는 기관이므로, 풍선 카테타(200)를 이전 치료 때와 동일한 눈금 깊이로 삽입하더라도 풍선부(210)가 전립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풍선부(210)가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를 가지므로, 풍선부(210)를 삽입시 전립선이 오목부(211)에 안착하게 되고, 이러한 안착은 사용자(의사)가 관(150)을 통해서 손으로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풍선 카테타(200)는 사용자의 손 느낌만으로도 풍선부(210)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유리하다. 또한, 기존의 구형(球形) 또는 타원형 카테타는 전립선을 단순히 눌러서 고정시켰음에 비해, 풍선 카테타(200)에서는 전립선이 오목부(211)에 안착된 상태에서 눌려지므로 전립선 고정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립선이 오목부(211)에 안착되면 사용자(의사)는 풍선부(210)가 전립선을 가압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전립선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전립선 위치가 고정되면 방사선을 조사한다. 누적 방사선량은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선 치료가 완료되면 밸브(160)를 개방하여 풍선부(210)를 수축시킨 후, 항문을 통해서 풍선부(210)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3, 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 ~ 17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15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풍선 카테타(300)(400)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시 해당 부위를 팽창시켜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풍선 카테타(300)는, 풍선 카테타(100)와 비교하여, 풍선부(110)가 플렉스블한 호스(350)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350)를 통해서 유체가 공급, 배출되며, 호스(350)의 길이가 길고 유연(flexible)하며, 호스의(350) 끝단에 밸브(160)가 설치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110)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구멍(152)이 형성되어 풍선부(11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한다. 호스(350)가 길고 플렉스블하므로, 풍선부(110)가 항문을 통해 삽입된 후 대장 또는 소장에 도달할 수 있다.
풍선 카테타(400)는, 풍선 카테타(200)와 비교하여, 풍선부(210)가 플렉스블한 호스(350)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350)를 통해서 유체가 공급, 배출되며, 호스(350)의 길이가 길고 유연(flexible)하며, 호스(350)의 끝단에 밸브(160)가 설치되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그리고,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210)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구멍(152)이 형성되어 풍선부(210)에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한다. 호스(350)가 길고 플렉스블하므로, 풍선부(210)가 항문을 통해 삽입된 후 대장 또는 소장에 도달할 수 있다.
제5, 6 실시예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 ~ 19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 ~ 도 17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풍선 카테타(500)는, 풍선 카테타(100)와 비교하여, 관(150)의 후단에 호스(350)가 연결되며, 호스(350의 후단에 밸브(160)가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관(150)과 호스(350)의 연결은 관(150)의 후단이 호스(350)에 삽입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150)은 풍선부(110)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재질로 만들어지고, 호스(350)는 플렉스블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풍선 카테타(500)는 직장암 또는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시 직장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풍선부(110)의 길이(메인 팽창부와 보조 팽창부를 합친 길이)가 6cm일 때, 관(150)의 총 길이는 10cm ~ 2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선 카테타(600)는, 풍선 카테타(200)와 비교하여, 관(150)의 후단이 호스(350)에 연결되고 호스(350)의 후단에 밸브(160)가 설치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관(150)과 호스(350)의 재질 및, 관(150)과 호스(350)의 결합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풍선 카테타(600)는 직장암 또는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시 직장을 팽창 또는 가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 풍선 카테타
110, 210 : 풍선부 120 : 메인 팽창부
121 : 메인 수평부 122 : 제1 곡면부
123 : 제2 곡면부 127 : 결합부
130 : 보조 팽창부
131 : 보조 수평부 132 : 보조 곡면부
133 : 접착부 150 : 관
160 : 밸브 211 : 오목부
212 : 오목부(211)의 최소 직경지점 216 : 볼록부
217 : 볼록부(216)의 최대 직경지점 350 : 호스
d1 : 메인 팽창부(120)의 직경 d2 : 보조 팽창부(130)의 직경
p1 : 최소 직경지점(212)의 직경 p2 : 최대 직경지점(217)의 직경
s1 : 최대 직경지점(217) 사이의 거리
s2 : 풍선부(210)가 실질적으로 팽창되는 부분의 길이

Claims (15)

  1.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110); 및,
    풍선부(1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관(150);을 포함하고,
    풍선부(110)는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를 포함하며,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는 상기 유체에 의해 동시에 팽창ㆍ수축되고, 보조 팽창부(130)는 메인 팽창부(120)의 뒤에 형성되며,
    보조 팽창부(130)는,
    메인 팽창부(120)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팽창되되, 메인 팽창부(12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팽창되는 보조 수평부(131); 및
    보조 수평부(131)의 후단에서 관(150)을 향한 곡면으로 팽창되는 보조 곡면부(132);를 포함하고,
    직장에 삽입된 후 풍선부(110)가 팽창되면 보조 팽창부(130)는 항문 괄약근과 협력하여 풍선부(110)가 직장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관(15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풍선부(110)를 관통하여 풍성부(110)의 선단에 결합되며, 관(150)은 풍선부(110)를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에 삽입된 풍선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고, 관(150)의 선단에는 유체의 유입, 배출을 위한 구멍(152)이 형성되며,
    메인 팽창부(120)는 팽창시에 직장을 외측으로 밀어서 직장벽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 팽창부(120)는,
    상기 유체의 유입에 의해서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팽창되는 메인 수평부(121); 및,
    메인 수평부(121)의 앞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는 제1 곡면부(122); 및,
    메인 수평부(121)의 뒤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보조 수평부(131)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3. 제2항에 있어서,
    관(150)의 후단에는 플렉스블한 호스(350)가 연결되고, 호스(350)의 후단에는 상기 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160)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는 호스(350)를 통해서 관(150)에 공급되고,
    관(150)의 길이는 10cm ~ 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4.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110); 및,
    풍선부(1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고, 플렉스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호스(350);을 포함하고,
    풍선부(110)는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를 포함하며, 메인 팽창부(120)와 보조 팽창부(130)는 상기 유체의 의해 동시에 팽창ㆍ수축되고, 메인 팽창부(120)는 보조 팽창부(130)의 앞에 형성되며,
    메인 팽창부(120)는,
    상기 유체의 유입에 의해서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팽창되는 메인 수평부(121); 및,
    메인 수평부(121)의 앞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는 제1 곡면부(122); 및,
    메인 수평부(121)의 뒤에서 관(150)을 향해 바깥쪽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보조 팽창부와 연결되는 제2 곡면부(123);를 포함하고,
    호스(350)의 선단이 풍선부(110)를 관통하여 풍성부(110)의 선단에 결합되며, 호스(350)의 선단에는 유체의 유입, 배출을 위한 구멍(152)이 형성되고,
    메인 수평부(121)는 팽창시에 대장 또는 소장을 외측으로 밀어서 대장벽 또는 소장벽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팽창부(130)가 팽창되었을 때 보조 팽창부(130)의 직경(d2)은 10mm ~ 20mm 이고 길이(L1)는 15mm ~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6. 제5항에 있어서,
    메인 팽창부(120)의 선단에는 관(150) 또는 호스(350)의 선단이 결합되는 결합부(127)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풍선부(110)가 팽창될 때 결합부(127)의 직경은 보조 팽창부(130)의 직경(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7. 제5항에 있어서,
    관(150) 또는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110)에 삽입되는 부분, 또는 풍선부(110)의 외부 표면에는 직장 또는 대장 또는 소장에 삽입된 풍선부(110)의 위치를 알려주는 마커(172)(17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8. 제5항에 있어서,
    풍선부(110)의 외부 표면, 또는 관(150) 또는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110)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9.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210); 및,
    풍선부(2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관(150);을 포함하고,
    풍선부(210)는 직장벽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전립선으로 인해 직장벽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팽창되며,
    관(150)은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이 풍선부(210)를 관통하여 풍선부(210)의 선단에 결합되며, 관(150)은 풍선부(210)를 직장에 삽입하고 직장에 삽입된 풍선부(210)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고, 관(150)의 선단에는 유체의 유입, 배출을 위한 구멍(152)이 형성되며,
    풍선부(210)는 직장벽을 외측으로 밀어서 전립선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0.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하는 풍선부(210); 및,
    풍선부(210)에 상기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통로가 되는 호스(350);을 포함하고,
    호스(350)의 선단에는 유체를 풍선부(210)에 공급, 배출하기 위한 구멍(152)이 형성되며, 풍선부(210)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를 포함하고,
    오목부(211)는 풍선부(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볼록부(216)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1)의 앞,뒤에 각각 형성되며,
    볼록부(216)는 유체 유입으로 볼록하게 팽창되고 오목부(211)는 볼록부(21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되며,
    풍선부(210)가 대장 또는 소장에서 팽창될 때, 암 부위가 오목부(211)에 안착되어 암 부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1. 제9항에 있어서,
    풍선부(210)는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를 포함하고,
    오목부(211)는 풍선부(210)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볼록부(216)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오목부(211)의 앞,뒤에 각각 형성되며,
    볼록부(216)는 유체 유입으로 볼록하게 팽창되고 오목부(211)는 볼록부(21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해서 오목한 형상으로 되며,
    오목부(211)와 볼록부(216)는 전립선으로 인한 직장벽의 상기 돌출 형상과 형합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팽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돌출 형상 부분이 오목부(211)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2. 제11항에 있어서,
    관(150)의 후단에는 플렉스블한 호스(350)가 연결되고, 호스(350)의 후단에는 상기 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160)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는 호스(350)를 통해서 관(150)에 공급되고,
    관(150)의 길이는 10cm ~ 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풍선부(210)가 팽창되었을 때, 오목부(211)의 최소 직경(p1)이 15mm ~ 25mm이고, 볼록부(216)의 최대 직경(p2)이 22mm ~ 32mm이되, 직경(p2)이 직경(p1) 보다 5mm ~ 10mm 크고,
    두 볼록부(216)의 최대 직경지점(217) 사이의 거리(s1)가 30mm ~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4. 제13항에 있어서,
    관(150) 또는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210)에 삽입되는 부분, 또는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에는 인체에 삽입된 풍선부(210)의 위치를 알려주는 마커(172)(17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15.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풍선부(210)의 외부 표면, 또는 관(150) 또는 호스(350) 중에서 풍선부(210)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사선량 측정수단(17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타.
KR1020170010835A 2017-01-24 2017-01-24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KR10177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35A KR101774729B1 (ko) 2017-01-24 2017-01-24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35A KR101774729B1 (ko) 2017-01-24 2017-01-24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729B1 true KR101774729B1 (ko) 2017-09-05

Family

ID=5992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35A KR101774729B1 (ko) 2017-01-24 2017-01-24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72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7292A (zh) * 2018-08-23 2018-11-20 重庆市肿瘤研究所 一种新型直肠癌放疗患者直肠给药装置及方法
KR101985607B1 (ko) * 2017-12-15 2019-06-03 구태훈 직장암과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KR20200088059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61849A (ko) * 2019-11-20 2021-05-2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직장 삽입 튜브
CN112999532A (zh) * 2021-03-16 2021-06-22 融仁(杭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前列腺与直肠隔离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07B1 (ko) * 2017-12-15 2019-06-03 구태훈 직장암과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CN108837292A (zh) * 2018-08-23 2018-11-20 重庆市肿瘤研究所 一种新型直肠癌放疗患者直肠给药装置及方法
KR20200088059A (ko) * 2019-01-14 2020-07-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102213798B1 (ko) * 2019-01-14 2021-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팔의 동맥으로 삽입되어 복강 출혈을 막는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KR20210061849A (ko) * 2019-11-20 2021-05-28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직장 삽입 튜브
WO2021101336A3 (ko) * 2019-11-20 2021-07-1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직장 삽입 튜브
KR102312274B1 (ko) * 2019-11-20 2021-10-1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직장 삽입 튜브
CN112999532A (zh) * 2021-03-16 2021-06-22 融仁(杭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前列腺与直肠隔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729B1 (ko)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EP2195091B1 (en) Kit for delivery of brachytherapy to a subject
CA2902707C (en) Brachytherapy device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KR101985607B1 (ko) 직장암과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US8500618B2 (en) Dual gynecological balloon packing system
US85509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radiation therapy
CA2850621C (en) Internal body cavity therapeutic applicator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ATE465670T1 (de) Vorrichtung zum bestrahlen mittels röntgenstrahlen der inneren oberflächen von körperhöhlen
US20190143085A1 (en) Endorectal balloon with gas lumen and stopper
TWI636771B (zh) Human tissue radiation protector and auxiliary method of radiation therapy
US9381334B2 (en) Endorectal balloon with gas release lumen
US20190053935A1 (en) Immobilization Device for Radiation Treatment
WO2015182853A1 (ko) 전립선 고정용 카테타
KR101345421B1 (ko)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US10335609B2 (en) Multitube esophageal brachytherapy catheter
US20200316402A1 (en) Catheter apparatus and brachytherapy system
US201501906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Displacement in Brachytherapy
US11033244B2 (en) In vivo radiation amount measuring instrument using film dosimeter that undergoes shape change with expansion
KR102093932B1 (ko)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를 위한 직장 풍선 장치
CA2624942C (en) Location and stabilization device
JPH09122260A (ja) 治療装置
US20140336441A1 (en) Endorectal balloon with gas release lumen
WO2014158940A1 (en) Multitube esophageal brachytherapy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