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421B1 -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421B1
KR101345421B1 KR1020110070569A KR20110070569A KR101345421B1 KR 101345421 B1 KR101345421 B1 KR 101345421B1 KR 1020110070569 A KR1020110070569 A KR 1020110070569A KR 20110070569 A KR20110070569 A KR 20110070569A KR 101345421 B1 KR101345421 B1 KR 101345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alloon
pressure
prostat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445A (ko
Inventor
조재호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4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74Prostate operation, e.g. prostatectomy, turp, bhp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47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4Large intest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립선의 암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할 때,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하고, 전립선과 근접한 직장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직장 내에 삽입하도록 된 것으로서,
공기주입수단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 측 외주연에는 눈금자가 형성된 중공형의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수단의 작동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 풍선; 및
상기 튜브와 결합된 풍선의 직장 내 삽입시, 상기 튜브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삽입저항을 극복하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풍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RECTAL EXPANSION APPARATUS FOR IMMOBILIZATION OF PROSTATE INTERNAL MOTION}
본 발명은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립선 암의 방사선 치료 간에 혹은 방사선 치료 중에 생기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풍선효과를 이용한 직장의 확장을 통해서 전체 직장이 아니라 전면 일부만 방사선에 최소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직장 부작용을 크게 경감시키며, 상대적으로 종양의 치료선량도 높일 수 있어서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밤톨 크기의 부성선 기관이다. 이는 포도송이 모양의 선조직과 이를 둘러싸는 섬유근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방광경부에 고정되어 방광 아래쪽의 요도를 마치 도너츠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한편, 근래 들어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육식 위주의 음식물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 중년 남성들의 암 가운데 전립선암이 빠른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립선암(6.2%)은 남성의 암 발생률에서 위암(30.3%), 폐암(15.1%), 대장암(14.4%), 간암(13.1%)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또한, 전립선암(6.2%)의 암 증가율은 12.3%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립선암은 서서히 진행하며 특이한 증상을 보이지 않아 대부분 말기가 되어야 발견되고 사망률이 폐암에 이어 두 번째이다.
전립선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기관찰요법,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방사선치료법, 냉동수술요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의과학의 발전에 따라 상기한 외과적 수술방법에 비해 방사선치료가 동등하거나 더욱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방사선을 전립선암의 치료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방사선을 이용한 전립선암의 치료가 나름 대로의 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종양 주변의 건강한 정상 조직에 방사선이 가해질 경우 해당 부위가 방사능에 피폭되어 매우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를 갖는다.
즉, 전립선의 선암은 일반적으로 직장벽에 매우 가까운 전립선의 뒷 부분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전립선이 치료중에 움직이게 되므로 방사선을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밖에 없었고, 이 경우 전립선과 근접한 직장벽의 대부분이 방사선에 피폭되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립선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시, 방사선은 전립선을 포함한 직장의 대부분에 피폭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직장 벽이 섬유화되는 부작용이 발생될 수도 있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부작용을 없애고 치료효과를 높인 근접방사선치료법이 행해지고 있다. 근접 방사선치료는 치료 성공률과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앞으로 전립선암의 대표적 치료 방법으로 널리 사용될 전망이다.
이러한 근접방사선치료법은 전립선 내의 종양 및 종양 부근에 방사선방출물질인 동위원소가 내장된 시드(seed)를 주사하여, 동위원소가 종양의 암 조직을 집중적으로 파괴하도록 하는 원리를 갖는다. 이 치료법은 특히 고령이나 심장질환 등으로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유용하며, 기존 수술적 치료의 대표적 부작용인 요실금이나 발기부전을 겪지 않고도 치료가 가능해 환자 삶의 질을 높여주는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경(10)내에 위치하는 요도(12)의 방광(16)과의 연결부위에 전립선(20)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립선(20)에 다수의 방사선시드(3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방사선시드(30)는 방사선시드삽입바늘(32)을 통해 시술되며 전립선 내에 심어진 상태로 방사선을 조사한다.
특히 상기 방사선시드(30)의 삽입각도나 삽입 위치는 전립선(30) 내부의 종양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방사선시드(30)는 예컨대 5mm 정도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밀폐수용되는 방사선소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는 보통 티타늄으로 제작된다. 또한 방사선소스는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방출물질로서 예컨대 이리듐(Ir-192)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근접방사선치료법은 시드(30)가 원하지 않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각각의 시드(30)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균일한 방사선 조사가 가능하였으나, 서로 붙어 있거나 근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근접방사선치료법은 시술 후에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촬영을 통해서 전립선 내에서 시드(30)의 위치이동을 관찰하고 보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시 치료영역(방사선 피폭영역)에 포함되는 직장벽을 감소시켜 정상조직이 방사선에 피폭되어 발생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료선량을 높혀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942159호(2010.02.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시에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고, 전립선에 매우 근접하여 방사선 피폭영역에 위치한 직장과 같은 주위 정상조직이 방사선에 최소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립선의 암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할 때,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하고, 전립선과 근접한 직장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직장 내에 삽입하도록 된 것으로서,
공기주입수단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 측 외주연에는 눈금자가 형성된 중공형의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수단의 작동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 풍선; 및
상기 튜브와 결합된 풍선의 직장 내 삽입시, 상기 튜브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삽입저항을 극복하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풍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카테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 카테터는,
상기 튜브 내에 위치하는 고정부와, 일부가 상기 풍선 내에 위치하는 교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풍선의 교체시에 상기 교환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교환부는 나사 구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풍선과 근접한 영역의 상기 튜브에는,
직장 내로 삽입되어 팽창된 상기 풍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움직임 방지용 풍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움직임 방지용 풍선의 외주면에는 굴곡진 직장 내벽과의 접촉영역이 확장되도록 골과 산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튜브에는,
상기 튜브와 풍선 내부의 압력 변화시에 이를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압력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공기주입수단과 근접한 영역의 튜브 일부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풍선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의 단부 영역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풍선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부에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주름부가 펼쳐질 때 나타나고,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여 상기 주름부가 접혀질 때 숨겨지는 컬러플한 압력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된 분기관;
상기 분기관 내부를 상기 튜브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적용 공간과 상기 튜브 내부와 구분되는 압력비적용 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압력적용 공간의 압력 상승시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며,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돌출되는 표시돌기를 구비한 격막; 및
상기 압력적용 공간에 공기 주입되어 압력이 상승할 때 상기 격막이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면서 상기 표시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적용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격막의 원상태로 복원으로 상기 표시돌기가 숨겨지도록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의 분기관에 형성되는 표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가 직장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움직임을 항문 입구 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튜브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튜브 고정수단은,
환자가 눕혀지는 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체; 및
일단이 상기 삽입 고정홈의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 고정홈의 다른쪽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된 튜브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상기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다시 공기주입수단 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튜브 폐쇄클립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튜브 폐쇄클립은, 하부 누름부재와 상부 누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누름부재의 각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 타단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누름부재 사이에 튜브를 위치시킨 후 각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튜브 내부의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풍선은,
상기 풍선을 감싸는 보조풍선을 하나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풍선에는 다수개의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를 따라 구비되는 약액 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약액을 상기 주입공을 통하여 직장내에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립선 암의 방사선 치료시에, 전립선과 매우 근접한 직장의 내부로 풍선을 삽입하여 직장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전립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정상조직인 직장 벽의 방사선 피폭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종양의 치료선량도 높일 수 있어서 치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립선의 움직임이 없어서 방사선의 조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에 눈금자가 구비됨으로써 풍선의 팽창위치가 각각의 환자에게 일정하게 재현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환자의 전립선에 방사능을 조사하여 전립선 치료하는 영상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립선암 치료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가 직장에 삽입되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사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가 직장에 삽입되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 사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사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시 직장벽에 방사선이 피폭된 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의 분리 구조를 갖는 지지 카테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움직임 방지용 풍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튜브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보조풍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폐쇄클립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사진이고, 7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시 직장벽에 방사선이 피폭된 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전립선의 암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할 때, 전립선이 움직이지 않도록 그 위치를 고정하고, 전립선과 매우 근접한 직장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직장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공기주입수단(10)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 측 외주연에는 눈금자(22)가 형성된 중공형의 튜브(20)와, 튜브(2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공기주입수단(10)의 작동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도록 구성된 풍선(30)과, 튜브(20)와 결합된 풍선(30)의 직장 내 삽입시, 튜브(20)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삽입저항을 극복하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풍선(30) 내부에 위치하도록 튜브(20)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카테터(4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주입수단(1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풍선(30)에 적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주사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기 형태의 공기주입수단(10)에는 눈금이 형성되므로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인지할 수 있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튜브(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신축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튜브(20)의 일측 외주면에는 풍선(30)의 삽입 깊이를 알 수 있도록 눈금자(22)가 표시된다. 이 눈금자(22)는 해당 환자의 전립선 위치, 즉 풍선(30)이 팽창되어야할 위치를 직장의 깊이로서 파악되도록 한다. 따라서, 시술자는 해당 환자에 대한 풍선(30)의 팽창위치를 눈금자(22)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재 치료시 풍선(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재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눈금자(22)에는 숫자나 문자 등이 표기되어 시술자가 용이하게 눈금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30)은 직장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주입수단(10)에 의해 팽창되어 직장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튜브(20)의 일측단에 억지끼움으로 결합 된다. 그러나, 풍선(30)은 튜브(20)와 다양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 체결방식, 클립 고정방식, 고주파 융착방식 등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튜브(20)와 풍선(30)의 결합부위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지지 카테터(40)는 튜브(20)와 결합된 풍선(30)의 직장 내 삽입시, 플랙시블한 구조의 튜브(20)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삽입저항을 극복하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풍선(30) 내부에 위치하도록 튜브(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 카테터(40)는 솔리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풍선(30) 내부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주입수단(10)으로부터 공기가 주입될 때 주입되는 공기가 지지 카테터(40)를 통하여 풍선(30)에 주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이용하여 전립선 암의 방사선 치료시, 전립선을 고정하고, 이 전립선과 매우 근접한 직장을 팽창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카테터(40)가 튜브(20) 내부에 삽입되고, 튜브(20)의 입구에 공기주입수단(10)이 결합되며, 튜브(20)의 타단에 풍선(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풍선을 환자의 직장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풍선(30)과 튜브(20)는 막대 형태의 지지 카테터(40)에 의해 직장내 삽입시 삽입저항을 극복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풍선(30)과 튜브(20)가 직장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30)의 위치를 설정한다. 즉, 별도의 영상장비 등을 이용하여 직장 내로 삽입된 풍선의 위치가 전립선의 위치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이 과정을 통하여 풍선(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풍선(30)의 위치가 설정되면, 튜브(20)에 형성된 눈금자(22)를 통하여 풍선(30)의 위치를 눈금으로서 기록한다. 이 기록은 해당 환자의 재 치료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즉, 재 치료시에는 기 기록된 정보(풍선의 삽입 깊이)를 토대로 풍선(30)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일정한 재현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풍선(30)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공기주입수단(10)을 이용하여 풍선(3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다. 이 과정으로 풍선(30)이 팽창되면서 직장을 팽창시키게 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30)이 직장 내에서 팽창될 경우에 직장은 풍선(30)의 형태에 따라 팽창되고, 이와 동시에 인접한 전립선을 압박하여 전립선이 치료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풍선(30)의 팽창으로 직장이 팽창하고, 전립선이 고정된 상태에서 방사선 치료가 진행된다.
방사선은 전립선에 집중적으로 조사되지만, 주변 정상조직에도 조사된다. 특히, 전립선과 매우 근접한 직장의 상부 벽 영역이 방사선에 피폭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장이 풍선(30)에 의해 팽창됨으로써, 직장 벽이 방사능에 피폭되는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장용 확장장치가 적용되지 않아 직장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사선 치료를 할 경우에는 직장의 대부분이 방사선에 피폭되지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장이 본 발명에 따른 직장용 확장장치에 의해 팽창된 상태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될 경우, 방사선은 전립선과 인접한 영역의 직장 벽에만 피폭되고, 나머지 영역의 직장 벽은 방사선 피폭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장용 확장장치가 직장을 팽창시키게 되므로 직장이 팽창하면서 직장 벽이 전립선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방사선의 조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에는 직장용 확장장치를 직장에 설치한 후 방사선 치료시 직장벽에 방사선이 피폭된 량을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직장이 직장용 확장장치에 의해 확장된 상태에서 실시한 방사선 치료시 직장 벽에 피폭된 방사선 량과, 직장용 확장장치가 적용되지 않아 직장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한 방사선 치료시 직방 벽에 피폭된 방사선 량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즉, 직장용 확장장치가 적용되지 않아 직장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한 방사선 치료보다, 직장이 직장용 확장장치에 의해 확장된 상태에서 방사선 치료를 할 때에 방사선 피폭량이 현저하게 낮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따르면, 전립선 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시 직장 내부에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를 설치한 후 풍선(30)을 팽창시켜 직장을 확장시키게 되므로, 확장된 직장 벽이 전립선을 압박하게 되어 방사선 치료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시 직장 벽의 일부분(전립선에 근접한 영역)만이 방사서에 피폭되므로 직장 벽의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조직의 섬유화와 같은 문제점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풍선(30)의 직장 내 삽입시 튜브(20) 내부에 지지 카테터(40)가 설치되므로 풍선(30)의 직장 내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튜브(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눈금자(22)를 통하여 풍선(30)의 고정위치를 알 수 있음으로 동일 환자의 재 치료시 일정한 재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의 분리 구조를 갖는 지지 카테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지지 카테터(40)가 튜브(20) 내에 위치하는 고정부(42)와, 일부가 상풍선(30) 내에 위치하는 교환부(44)로 이루어지고, 교환부(44)는 고정부(42)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풍선(30)의 교체시에 교환부(44)가 고정부(42)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한 환자에게 사용이 완료된 풍선을 교체하기 위해서 풍선(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 카테터(40)의 교환부(44)를 고정부(42)에서 분리하고, 풍선(30)을 튜브(20)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한 후 교환부(44)를 튜브(20)로부터 꺼내 제거한다. 그리고, 새로운 교환부(44)를 튜브(20)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부(42)에 체결하여 결합하고, 이어서 새로운 풍선(30)을 튜브(20)에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한다. 이에 따라 1회 사용후 튜브(20)와 지지 카테터(40) 전체를 폐기하지 않아도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움직임 방지용 풍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이 적용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풍선(30)과 근접한 영역의 튜브(20)에 형성되는 풍선(30)의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이 더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이러한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은 도너츠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0)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튜브(20)의 외주면을 감싸는 관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튜브(20)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은, 튜브(30)에 형성된 분기공(38)에 의해 튜브(20)와 연통되어 있어서, 공기주입수단(10)에 의해 공기가 주입될 때 풍선(30)과 같이 팽창하면서 직장 벽을 가압함으로써 튜브(20)는 물론, 풍성(30)의 고정된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에 의해 전립선과 근접한 영역의 직장에서 팽창되는 풍선(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이 직장 내부로 삽입되어 팽창되었을 때, 넓은 면적이 안정적으로 직장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움직임 방지용 풍선(36)의 외주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직장 내벽과의 접촉영역이 확장되도록 골과 산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수단은, 튜브(20)와 풍선(30) 내부의 압력 변화시에 이를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압력감지수단이 튜브(20)에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다.
제1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수단은 공기주입수단(10)과 근접한 영역의 튜브(20) 일부에 주름부(28)가 형성되어, 튜브(20)와 풍선(30)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된 것이다. 이때, 주름부(28)의 골 영역에는 주름부(28)가 펼쳐질 때 나타나고, 튜브(2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여 주름부(28)가 접혀질 때 숨겨지는 압력표시부(28A)가 더 구비된다. 이 압력표시부(28A)는 파란색 또는 노란색 등으로 채색하여 시인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러한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직장 내에 삽입된 풍선(30)이 터질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음으로써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수단은, 튜브(20)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6)과, 분기관(26) 내부를 튜브(20)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적용 공간(26A)과 튜브(20) 내부와 구분되는 압력비적용 공간(26B)으로 구분하고, 압력적용 공간(26A)의 압력 상승시 압력비적용 공간(26B)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며, 압력비적용 공간(26B) 쪽으로 돌출되는 표시돌기(26C)를 구비한 격막(26D)과, 압력적용 공간(26A)에 공기 주입되어 압력이 상승할 때 격막(26D)이 압력비적용 공간(26B)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면서 표시돌기(26C)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압력적용 공간(26A)의 압력이 낮아지면 격막(26D)의 원상태로 복원으로 표시돌기(26C)가 숨겨지도록 압력비적용 공간(26B) 쪽의 분기관(26A)에 형성되는 표시공(26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격막(26D)이 압력의 변화에 따라 변형되면서 표시돌기(26C)가 표시공(26E)으로 나타나거나 숨겨지으로써 풍선(30) 및 튜브(20)의 파손여부 또는 공기의 누출여부, 누출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수단은, 튜브(20)로부터 분기된 분기관(26A)의 단부 영역에 주름부(26F)가 형성되어, 튜브(20)와 풍선(20)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다. 이때, 주름부(26F)의 골에는 압력표시부(26G)를 표시하되, 파란색 또는 노란색 등으로 채색하여 시인성을 높이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튜브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튜브(20)가 직장 내부로 삽입된 튜브(20)의 움직임을 항문 입구 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튜브 고정수단가 구비된 것을 제외하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튜브 고정수단은 환자가 눕혀지는 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에는 튜브(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52)이 형성된 고정체(50)와, 일단이 삽입 고정홈(52)의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은 삽입 고정홈(52)의 다른 쪽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삽입 고정홈(52)에 삽입된 튜브(20)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54)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때, 록킹부재(54)는 벨크로테잎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홈(52)의 다른 쪽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록칭부재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튜브(20)가 튜브 고정수단에 의해 항문의 입구 쪽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튜브(20)의 움직임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풍선(30)의 위치변동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폐쇄클립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측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공기주입수단(10)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다시 공기주입수단(10) 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튜브 폐쇄클립(60)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폐쇄클립(60)은, 하부 누름부재(62)와 상부 누름부재(64)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누름부재(62,64)의 각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 타단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하부 누름부재(62,64) 사이에 튜브(20)를 위치시킨 후 각 타단이 결합되어 튜브(20) 내부의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누름부재(62)의 타단에는 걸림턱(62A)이 형성되고, 상부 누름부재(64)의 타단에는 걸림턱(62A)에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돌기(64A)가 돌출 형성되다.
이러한 튜브 폐쇄클립(60)을 이용하여 지지 카테터(40)가 없는 영역을 가압함으로써 튜브(20)에 주입된 공기가 공기주입수단(10) 측으로 다시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하부 누름부재(62,64) 사이에 튜브(20)가 위치한 상태에서 걸림돌기(64A)가 걸림턱(62A)에 걸리도록 상,하부 누름부재(62,64)를 근접시킴으로써 상,하부 누름부재(62,64)가 튜브(20)를 가압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고, 이로써 공기의 누출은 방지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에 구비되는 보조풍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는, 풍선(30)을 감싸는 보조풍선(70)을 하나 더 구비하고, 보조풍선(70)에는 다수개의 주입공(72)이 형성되며, 튜브(20)를 따라 구비되는 약액 주입관(74)을 통하여 공급되는 약액을 주입공(72)을 통하여 직장 내에 주입하도록 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보조풍선(7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주입공(72)을 구비하여 풍선(30)의 전체를 감싸고, 그 입구는 약액 주입관(74)과 연통되도록 튜브(2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풍선(70)이 풍선(30)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약액 주입관(74)으로 주입되는 약액이 보조 풍선(70)과 풍선(30) 사이로 공급된 후 각 주입공(72)을 통하여 직장 내로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풍선(70)에 의해 직장 내로 약액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공기주입수단 20 : 튜브
22 : 눈금자 26 : 분기관
26A: 압력적용 공간 26B : 압력비적용 공간
26C: 표시돌기 26D : 격막
26E : 표시공 26G,28A : 압력표시부
26F,28 : 주름부 30 : 풍선
36 : 움직임 방지용 풍선 38 : 분기공
40 : 지지 카테터 42 : 고정부
44 :교환부 50 : 고정체
52 : 삽입 고정홈 54 : 록킹부재
60 : 튜브 폐쇄클립 62 : 하부 누름부재
62A : 걸림턱 64A : 걸림돌기
70 : 보조풍선 72 : 주입공
74 : 약액 주입관

Claims (15)

  1. 삭제
  2. 전립선의 암 조직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암을 치료할 때, 전립선의 위치를 고정하고, 전립선과 근접한 직장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직장 내에 삽입하도록 된 것으로서,
    공기주입수단과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타단 측 외주연에는 눈금자가 형성된 중공형의 튜브; 상기 튜브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주입수단의 작동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된 풍선; 및 상기 튜브와 결합된 풍선의 직장 내 삽입시, 상기 튜브가 형태를 유지하면서 삽입저항을 극복하도록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풍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튜브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카테터는,
    상기 튜브 내에 위치하는 고정부와, 일부가 상기 풍선 내에 위치하는 교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환부는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풍선의 교체시에 상기 교환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교환부는 나사 구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과 근접한 영역의 상기 튜브에는,
    직장 내로 삽입되어 팽창된 상기 풍선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움직임 방지용 풍선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방지용 풍선의 외주면에는 굴곡진 직장 내벽과의 접촉영역이 확장되도록 골과 산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에는,
    상기 튜브와 풍선 내부의 압력 변화시에 이를 감지하여 표시하기 위한 압력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공기주입수단과 근접한 영역의 튜브 일부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풍선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된 분기관의 단부 영역에 주름부가 형성되어, 상기 튜브와 풍선의 내부 압력 상승시 펼쳐져 늘어나고, 압력 하강시 접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에는,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주름부가 펼쳐질 때 나타나고, 상기 튜브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여 상기 주름부가 접혀질 때 숨겨지는 압력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상기 튜브로부터 분기된 분기관;
    상기 분기관 내부를 상기 튜브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적용 공간과 상기 튜브 내부와 구분되는 압력비적용 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압력적용 공간의 압력 상승시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며,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돌출되는 표시돌기를 구비한 격막; 및
    상기 압력적용 공간에 공기 주입되어 압력이 상승할 때 상기 격막이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으로 부풀어 변형되면서 상기 표시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압력적용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면 상기 격막의 원상태로 복원으로 상기 표시돌기가 숨겨지도록 상기 압력비적용 공간 쪽의 분기관에 형성되는 표시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직장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의 움직임을 항문 입구 쪽에서 고정하기 위한 튜브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튜브 고정수단은,
    환자가 눕혀지는 침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튜브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체; 및
    일단이 상기 삽입 고정홈의 한쪽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 고정홈의 다른쪽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된 튜브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기 위한 록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공기주입수단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다시 공기주입수단 쪽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튜브 폐쇄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폐쇄클립은,
    하부 누름부재와 상부 누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누름부재의 각 일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며,
    각 타단은 선택적으로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누름부재 사이에 튜브를 위치시킨 후 각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튜브 내부의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상기 풍선을 감싸는 보조풍선을 하나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풍선에는 다수개의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를 따라 구비되는 약액 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약액을 상기 주입공을 통하여 직장내에 주입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KR1020110070569A 2011-07-15 2011-07-15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KR101345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69A KR101345421B1 (ko) 2011-07-15 2011-07-15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569A KR101345421B1 (ko) 2011-07-15 2011-07-15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445A KR20130009445A (ko) 2013-01-23
KR101345421B1 true KR101345421B1 (ko) 2013-12-30

Family

ID=4783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569A KR101345421B1 (ko) 2011-07-15 2011-07-15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94B1 (ko) 2015-03-17 2016-09-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움직임 고정용 직장 확장장치
KR101778463B1 (ko) 2016-09-13 2017-09-13 (의료)길의료재단 직장수술용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700B1 (ko) * 2013-10-31 2014-04-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전립선암의 고정밀 방사선치료를 위한 3중 풍선 시스템
KR101672934B1 (ko) 2015-02-11 2016-11-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초음파 영상유도 직장 풍선 장치, 그 제어 시스템 및 방사선 치료 방법
CN114028697A (zh) * 2021-12-22 2022-02-11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便捷使用的直肠手术术后吻合口扩张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878A1 (en) * 2001-12-14 2003-06-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theter based balloon for therapy modification and positioning of tissue
JP2008513057A (ja) * 2004-09-14 2008-05-01 バイオセンス・ウェ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クランプ
WO2011012323A1 (en) * 2009-07-31 2011-02-03 B. Braun Medical Sas Catheter for transanal irri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4878A1 (en) * 2001-12-14 2003-06-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theter based balloon for therapy modification and positioning of tissue
JP2008513057A (ja) * 2004-09-14 2008-05-01 バイオセンス・ウェブスタ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カテーテルクランプ
WO2011012323A1 (en) * 2009-07-31 2011-02-03 B. Braun Medical Sas Catheter for transanal irrig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494B1 (ko) 2015-03-17 2016-09-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립선 움직임 고정용 직장 확장장치
KR101778463B1 (ko) 2016-09-13 2017-09-13 (의료)길의료재단 직장수술용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445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6915C (en) Intracavitary catheter for use in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KR101345421B1 (ko) 전립선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한 직장용 확장장치
US9149653B2 (en) Brachytherapy device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radiation procedures
TW568766B (en) An implantable surgical staple, a surgical treatment device,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pparatus and apparatus for implanting a staple into a patient
ES2260275T3 (es) Revestimiento de cavidad corporal.
JP5059875B2 (ja) 穿刺用バルーン付きガイドチューブ
JP6802327B2 (ja) 挿管可能なエアウェイ装置
JP6085087B2 (ja) 人工気道装置
WO2009027394A1 (en) Method and kit for delivery of brachytherapy to a subject
JPH0263475A (ja) 前立せん尿道拡張装置
KR101774729B1 (ko) 직장암, 전립선암, 대장암 또는 소장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US10201446B2 (en) Conforming anchor for duodenal barrier
EP2911732B1 (en) Apparatus for aiding organ treatment
KR101985607B1 (ko) 직장암과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풍선 카테타
US20140107472A1 (en) Balloon catheter and applicator with balloon catheter
JP2018531136A6 (ja) 医療用インフレータブルバルーン
JP2018531136A (ja) 医療用インフレータブルバルーン
WO2015182853A1 (ko) 전립선 고정용 카테타
EP3199128B1 (en) Device for inserting an inflatable balloon
US201501906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Displacement in Brachytherapy
CN101547629B (zh) 特别是用于无创手术的保护装置
CN109349995A (zh) 一种肛肠内窥镜保护套
CN219110574U (zh) 一种可视化充气型肛管
US20150209168A1 (en) Deflation needle with stabilization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8025052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cing tissues during brachy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