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512B1 -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512B1
KR101774512B1 KR1020160055426A KR20160055426A KR101774512B1 KR 101774512 B1 KR101774512 B1 KR 101774512B1 KR 1020160055426 A KR1020160055426 A KR 1020160055426A KR 20160055426 A KR20160055426 A KR 20160055426A KR 101774512 B1 KR101774512 B1 KR 10177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bracket
hole
rainwater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수정
Original Assignee
㈜스페이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페이스선 filed Critical ㈜스페이스선
Priority to KR102016005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로서, 내부에 빗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이격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Rainwater Storage Block}
본 발명은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이 용이하고 빗물이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특성상 여름에 많은 비가 내리는 만큼 이 빗물을 모아서 겨울과 봄의 가뭄 시에 사용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댐의 건설은 불가피하기는 하나 여기에는 돈과 시간, 환경문제, 침수지역의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공공시설 및 가정 등에서 빗물탱크를 만들어 빗물을 모아 빗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화장실 용수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물부족을 일부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댐의 필요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구 및 장치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 10-1575259호 “빗물 집수 장치”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닥 판과; 상기 바닥 판의 전, 후 및 상, 하에 각각 형성되는 벽면 부와; 상기 바닥 판과 벽면 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장착되고 빗물을 저장하는 내부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 부의 상부에는 통로가 형성되는 상부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벽면 부와 벽면 부의 연결부분으로 일 측에 제 1 체결구가 구비되는 날개부가 더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제 1 체결구와 결합되는 제 2 체결구가 장착되며, 상기 벽면 부는 상기 내부 커버에 수용되는 빗물에 따라 수직 작동할 수 있도록 비닐,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 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 부의 상부에는 부력체가 삽입장착되며, 상기 벽면 부의 상부 외면에는 상기 상부 커버와 착·탈되도록 고정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벽면 부는 가장 자리 둘레를 따라 공기층이 형성되고, 일 측에는 상기 공기층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 부의 상부 가장 자리 둘레와 측면 가장 자리 둘레가 여러 번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집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빗물 집수 장치는 압축이 용이하여 휴대 및 보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다수의 빗물 집수장치를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외관의 특성 상 한계점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251286호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에는 통상의 빗물 집수받이홈등과 결합/설치되어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이물질이 축적되는 침전관과, 상기 집수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제1저수통과, 상기 제1저수통의 최하측에는 축척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과, 집수된 물을 필요시 배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집수배출구와, 제1저수통의 일측 측면에는 만수시 유입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빗물배출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통을 이용한 빗물집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빗물 집수 장치는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관을 이용하여 집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 또한 다수의 빗물 집수 장치를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외관의 특성 상 한계점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고 빗물이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빗물 저장장치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빗물 저장장치를 나란히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 저장장치의 적재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는, 내부에 빗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이격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본체는, 상부면 일 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집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빗물 저장공간으로 빗물을 수용하도록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양 측단에는 상기 유입구의 돌출된 높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입구와 가까운 쪽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본체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함입되는 것으로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통공과, 상기 제1 통공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까지 연장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통공의 제2 직경은, 상기 제1 통공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까지 통공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통공이 형성된 주변영역을 따라 방사형으로 함입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날개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본체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이격날개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이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격날개는, 일 측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상기 건물의 벽면과 패스너(fastener)를 삽입하여 결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표면을 감싸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체결공과, 양 끝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브라켓은, 두 개의 보조브라켓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는 보조브라켓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는,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커버와,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측부 전면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측부 전면까지 연장되는 연장실드로 구성되는 보조브라켓실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보조브라켓실드는, 상기 연장실드의 후면 중앙부위를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양 측면에 각각 상기 보조브라켓의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실드절곡부 및,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실드절곡부의 끝 단에서 내측으로 추가 절곡 연장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에 의하면,
1) 빗물 저장장치를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고,
2) 빗물 저장장치를 적층 또는 나란히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사이 간격을 벌리고, 각각의 빗물 저장장치의 결합에 사용되는 이격날개를 형성하며,
3) 이격날개를 감싸 외부 충격으로부터 결합을 보호하는 보조브라켓실드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용이하게 결합면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통공이 형성된 본체의 단면을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통공주변에 방사형으로 리브를 형성한 본체를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보조브라켓을 장착한 이격날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보조브라켓실드를 장착한 보조브라켓 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는 내부에 빗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양 측면에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이격날개(200)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것으로서,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를 두 개 이상 적층 또는 나란히 보관하는 경우, 다른 본체(1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날개(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로 빗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는 집수관과 결합되어 빗물 저장공간으로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유입구(300)가 형성되고, 측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이 밀폐되는 장방형 구조를 갖는다. 즉, 직육면체의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본체(100)는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00)의 상부를 살펴보면, 상부면 일 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집수관과 결합되어 빗물 저장공간으로 빗물을 수용하도록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유입구(30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부면의 중앙부위에는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집수관과 결합되어 내부공간으로 빗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유입구(3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하게 상부면이 개방되어 빗물이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는 집수관과 결합되도록 마치 음료수 페트병의 입구와 유사한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원통형의 집수관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표면이나 내부면을 따라 돌기나 나사산을 형성하여 보다 향상된 결합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부면에 유입구(300)만이 존재하는 경우, 돌출되어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서 유입구(300)가 안전하게 보호되기 힘들다. 또한 빗물 저장장치는 앞서 밝힌바와 같이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여 사용하되, 필요에 따라 수량을 조절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빗물 저장장치의 추가 또는 제거 과정에서 유입구(30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유입구(300)가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유입구(300)를 기준으로 양 측단에는 유입구(300)의 돌출된 높이까지 연장되고, 유입구(300)와 가까운 쪽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110)가 각각 형성된다. 이 돌출부(110)는 유입구(3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입구(30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본체(100)의 상부면으로 부터 연장된 것이다. 따라서 높이가 유입구(300)와 동일하거나 유입구(300)보다 높아 상단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먼저 흡수할 수 있으며, 측면의 경우에도 본체(100)의 너비를 그대로 갖기 때문에 유입구(300)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입구(300)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지게 되어 역시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또한 돌출부(110)이 먼저 흡수 할 수 있게 된다.
또, 유입구(300)는 별도의 뚜껑을 보유할 수도 있다. 뚜껑은 집수관을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입구(3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10)의 높이는 이 뚜껑을 고려하여 보다 높게 형성될 필요성이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110)은 유입구(3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데에 활용되는 것이므로 그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더욱 적용될 수도 있다. 돌출부(11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돌출부(110)의 내 측면이자 유입구(300)와 가까운 쪽의 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강도 및 경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존의 각진 구조보다 뚜껑을 잠그거나 해체하는 과정에서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00)의 전면에는 후면까지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400)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400)을 형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본체(100) 내부공간에 빗물을 수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빗물 저장장치의 내부 공간에 물을 일정 수준 이상 채울 경우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물이 하부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 때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의 특성 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하부면과 상부면이 존재하는 최상단 또는 최하단은 소재의 버팀강도의 영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불룩해지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나, 중앙부위로 갈수록 측면에서 버틸 수 있는 강도가 줄어들어 점차 불룩하게 팽창되는 배부름형상이 나타난다.
다시 말해 이러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측면이 쉽게 팽창되지 못하도록 버팀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통공(400)의 형성은 이러한 버팀강도를 부여하는데 효과적인 해결수단이 된다. 빗물 저장장치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되는 것이되, 이를 관통하면서 형성된 내측면이 추가적인 버팀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즉 셔츠와 같은 옷에서 단추를 모두 잠갔을 때가 단추를 맨 위 및 맨 아래만 잠갔을 때 보다 외력이나 내부 부품으로부터 더욱 버틸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원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통공(400)이 추가적인 버팀강도를 부여하는 만큼 통공(400) 또한 더욱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도 2는 통공이 형성된 본체의 단면을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2를 더 참조하여 통공(4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통공(400)을 이중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이중구조라고 함은 도면을 기준으로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함입되는 제1 직경을 갖는 제1 통공(410)과 제1 통공(410)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후면까지 연장 관통되는 것으로서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통공(420)로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되는 통공(400)이 형성되되, 그 내부공간이 전협 배광 형태를 갖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중구조를 통해 본체(100)를 관통하는 것은 단일 직경을 갖는 통공(400)으로 본체(100)를 관통했을 때 보다 강력한 버팀강도를 제공하게 되므로, 본체(100)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양의 빗물을 본체(100)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제2 통공(42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돌출부(110)과 같이 내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강도 및 경도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즉, 제2 통공(420)의 내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되, 제1 통공(410)과 맞닿는 부위로부터 후면까지 점차 통공(400)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강도 및 경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도 3은 통공주변에 방사형으로 리브를 형성한 본체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공(400) 주변영역에는 방사형으로 함입된 복수개의 리브(4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430)는 마치 방사형으로 형성된 주름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전면이나 후면에서 정면으로부터 충격을 받는 경우, 일정 수준 함입되었다가 다시 복귀되는 것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응하여 원래 형상으로 복구되는 물리적 수순이다. 이 때 외부로부터 충격이 일정 수준 함입되는 것을 본체(100)가 버틸 수 있는 양을 넘어가는 경우, 외형이 찌그러지거나 깨져 원래의 형태로 복구가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복구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방사형으로 함입된 복수개의 리브(430)를 형성한다. 이 리브(430) 구조는 또한 리브(430)가 형성된 곳으로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면이나 후면에서 정면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우선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된 리브(430) 각각으로 충격이 분산되되, 각 리브(430)가 함입된 형태만큼 추가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기존의 리브(43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의 층격을 흡수하더라도 본체(100)의 외형이 구겨지거나 깨지지 않게 된다.
다만 리브(430) 각각의 형상은 제한이 없으나, 충격 분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통공(400)의 주변영역에서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리브(4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로 돌아와,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본체(100)를 세워 보관할 때에 본체(100)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본체(100)를 받치는 지지대(500)가 형성된다.
이 때, 지지대(500)는 이격날개(200)와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격날개(200)의 연장된 길이는 본체(100)의 길이보다 작고, 본체(100)는 이격날개(200)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이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500)와 본체(100)로부터 지지대(50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지지대(500)는 양 측면의 하단부 또는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적어도 양 측면의 하단부나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지지대(500)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대(500)는 본체(100)의 제조 시 일체형으로 함께 제조될 수도 있으나, 본체(100)의 보관 위치의 변경 등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지지대(50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착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대(500)의 형상은 삼각기둥이나 육면체 등 지면 및 본체(100)와의 결합면을 보유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조되더라도 상관 없으나, 다만 본체(100)의 주변 영역에 빗물이 이동하는 관(파이프)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 이 관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기둥 등 경사면을 갖는 형태나 기존 지지대(500)의 형상에 관(파이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대(500)가 탈착형인 경우, 지지대(500)는 본체(100)와 결합되는 면에 슬라이딩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레일, 똑딱이, 결착구성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구조가 형성되거나,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의 패스너(230)(fastener)로 물리적 결합을 형성하는 브라켓 역할을 하여 이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또, 지지대(500)가 지면과 맞닿는 면은 단순히 무게로만 본체(100)를 지지하는 경우라면 지면과 맞닿는 면을 보다 넓게 형성하거나 지면에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의 패스너(230)(fastener)로 물리적 결합을 형성한다. 이것에 더하여 지지대(500)를 단순하게 지면과 결착시켜 본체(10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인 경우라면, 지지대(500)에 절곡부(210)를 형성하여‘ㄴ’형상을 갖도록 하고, 본체(100)와의 결착면 및 지면과의 결착면만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지지대(500)의 일 측에는 돌출 형성되어 빗물저장공간에 수용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추가로 포함된다. 이 배출구에는 별도의 뚜껑이나 수도꼭지를 달아 직접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으며, 호스나 배수관을 연결하여 원거리로 빗물을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본체(100)를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는 경우 본체(100)와 본체(100)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날개(200)가 형성된다.
이격날개(200)는 각 본체(100)가 서로 맞닿지 않아 일정 수준의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본체(100)와 본체(10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이 공간을 빗물이 지나가는 파이프를 위치시키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격날개(200) 또한 지지대(500)와 마찬가지로 양 측면의 하단부 또는 전면과 후면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적어도 양 측면이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날개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날개(200)는 본체(100)의 제조 시 일체형으로 함께 제조될 수도 있으나, 본체(100)의 보관 위치의 변경 등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 이격날개(20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착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격날개(200)가 탈착형인 경우, 지지대(500)와 동일하게 본체(100)와 결합되는 면에 슬라이딩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레일, 똑딱이, 결착구성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구조가 형성되거나,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의 패스너(230)(fastener)로 물리적 결합을 형성하는 브라켓 역할을 하여 이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격날개(200)의 형상 또한 육면체 등의 본체(100)와의 결합면을 보유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제조되더라도 상관 없으나, 다만 본체(100)의 주변 영역에 빗물이 이동하는 관(파이프)이 위치하게 되는 경우 이 관이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기존 이격날개(200)의 형상에 관(파이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절곡부를 형성하고 보조브라켓을 장착한 이격날개의 사시도 및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격날개(200)를 벽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절곡부(21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이격날개(200)는 일 측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절곡부(210)에는 건물의 벽면과 패스너(230)(fastener)를 삽입하여 결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220)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본체(100)와 결합되는 면에는 슬라이딩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레일, 똑딱이, 결착구성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구조가 형성되거나,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의 패스너(230)(fastener)로 물리적 결합을 형성하는 브라켓 역할을 하여 이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절곡부(210)가 브라켓 역할을 하는 경우,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을 표면에 직접 삽입하여 관통공을 후 형성하거나 미리 체결공(220)을 형성하여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 과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공(220)에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미리 형성하거나,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이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내주면 일부에 마찰돌기를 형성하여 삽입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통공 이외에도 절곡부(210)의 표면을 감싸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브라켓(240)을 추가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보조브라켓(240)은 체결공(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체결공(220)과, 양 끝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연장부(2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보조브라켓(240)은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이 삽입될 때 절곡부(210)의 일 측을 감싸 함께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삽입부위의 파손 등의 절곡부(210) 손상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날개 절곡부(210)의 표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절곡부(210)의 체결공(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체결공(220)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나사, 못, 클립, 스테이플러 등의 일반적인 흔들림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브라켓(240)의 끝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연장부(241)를 형성하여 보조브라켓(24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보조브라켓실드를 장착한 보조브라켓 결합체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더욱, 이격날개(200)는 본체(100)와 본체(100)를 적층하거나 나란히 보관하는 특성 상 다른 본체(100)의 날개와 맞닿게 되는데, 이 경우 이격날개(200)와 이격날개(200)의 사이에서 두 이격날개(200)를 붙잡아 상호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는다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체(10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0)와 본체(100)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브라켓(24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으로 보조브라켓(240)간의 결합을 통해 날개와 날개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브라켓(240)과 보조브라켓(240)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되는, 다시 말해 두 개의 보조브라켓(240)을 결합한 보조브라켓(240) 결합체를 형성하고, 이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상부면에는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커버(251)가 결합되고,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하부면에는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커버(252)가 결합되며, 상부커버(251)의 측부 전면에서 하부커버(252)의 측부 전면까지 연장되는 연장실드(253)를 포함하는 보조브라켓실드(250)가 추가로 구성된다. 이 보조브라켓실드(250)를 통해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외부면을 보호하되, 연장실드(253)의 후면 중앙부위에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정돌기(254)가 돌출형성되어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사이공간에 끼움 결합되고, 연장실드(253)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보조브라켓(240)의 연장부(2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실드절곡부(255)와, 실드절곡부(255)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추가 절곡 연장되는 걸림부(256)가 형성되어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에 끼움결합되어 보조브라켓(240) 결합체의 외면을 보호하면서 날개와 날개의 결합을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복수개의 빗물 저장장치를 적층 또는 나란히 보관할 수 있는 빗물 저장장치를 제공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10: 돌출부
200: 이격날개 210: 절곡부
220: 체결공 230: 패스너
240: 보조브라켓 241: 연장부
242: 보조체결공 250: 보조브라켓실드
251: 상부커버 252: 하부커버
253: 연장실드 254: 고정돌기
255: 실드절곡부 256: 걸림부
300: 유입구 400: 통공
410: 제1 통공 420: 제2 통공
430: 리브 500: 지지대

Claims (10)

  1.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로서,
    내부에 빗물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관통하는 통공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서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이격날개;로 구성되되,
    상기 통공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함입되는 것으로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통공과, 상기 제1 통공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까지 연장 관통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제2 통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면 일 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집수관과 결합되어 상기 빗물 저장공간으로 빗물을 수용하도록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기준으로 양 측단에는 상기 유입구의 돌출된 높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유입구와 가까운 쪽의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의 제2 직경은,
    상기 제1 통공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후면까지 통공의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통공이 형성된 주변영역을 따라 방사형으로 함입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날개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본체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본체는,
    상기 이격날개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이 지면과 맞닿은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날개는,
    일 측단으로부터 절곡 연장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에는,
    건물의 벽면에 패스너(fastener)를 삽입하여 결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표면을 감싸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체결공과,
    양 끝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두 개의 보조브라켓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결합되는 보조브라켓 결합체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는,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의 상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커버와,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커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측부 전면에서 상기 하부커버의 측부 전면까지 연장되는 연장실드로 구성되는 보조브라켓실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실드는,
    상기 연장실드의 후면 중앙부위를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가로질러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양 측면에 각각 상기 보조브라켓의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실드절곡부 및,
    상기 보조브라켓 결합체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실드절곡부의 끝 단에서 내측으로 추가 절곡 연장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KR1020160055426A 2016-05-04 2016-05-04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KR10177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26A KR101774512B1 (ko) 2016-05-04 2016-05-04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26A KR101774512B1 (ko) 2016-05-04 2016-05-04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512B1 true KR101774512B1 (ko) 2017-09-04

Family

ID=599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426A KR101774512B1 (ko) 2016-05-04 2016-05-04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5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98B2 (ja) * 1992-02-20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論理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処理装置
JP3145276B2 (ja) * 1995-07-20 2001-03-12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電池の充放電監視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ック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898B2 (ja) * 1992-02-20 2000-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論理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ータ処理装置
JP3145276B2 (ja) * 1995-07-20 2001-03-12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電池の充放電監視回路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ック電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25312A1 (en) Debris cage
US6612320B2 (en) Economic double-story umbrella as conveniently anchored
EP2995486B1 (en) Shielding device
KR101849530B1 (ko)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US9279271B2 (en) Connected fence for collecting rain water
US7302770B2 (en) Stabilized A-frame sign stand
JP2010532835A (ja) バリケード
US20130048043A1 (en) Tie down anchor
KR100950778B1 (ko)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KR101774512B1 (ko) 기립형 빗물 저장장치
US20090013923A1 (en) A-frame barricade
KR101783021B1 (ko) 조립 가능한 모듈 타입 빗물 저장장치
KR100888757B1 (ko) 돗자리겸용 물놀이튜브
KR20180087271A (ko) 배수관 입구용 고정 구조를 가진 필터 망
CN215889031U (zh) 一种用在卫浴防潮膜上的底部密封件
CN205604744U (zh) 一种建筑施工用的基坑护栏
AU2015334509B2 (en) Underground mine support
US9394710B2 (en) Flow diverting weir for a swimming pool skimmer
US20100300014A1 (en) Roof frame and cover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KR101050541B1 (ko) 유수에 의한 토사 유출 방지용 배수 유도장치
CN217231879U (zh) 一种露天煤矿的排土场水土流失防护装置
KR200429219Y1 (ko) 비닐하우스의 비닐 보호용 끈 지지구
KR200430877Y1 (ko) 암거집 다발배수관 연결부재
KR200325889Y1 (ko) 비닐하우스의 비닐 고정용 패드 연결구
CN213740842U (zh) 一种具有固定结构的水利工程蓄水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