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440B1 -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440B1
KR101774440B1 KR1020160121007A KR20160121007A KR101774440B1 KR 101774440 B1 KR101774440 B1 KR 101774440B1 KR 1020160121007 A KR1020160121007 A KR 1020160121007A KR 20160121007 A KR20160121007 A KR 20160121007A KR 101774440 B1 KR101774440 B1 KR 10177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membrane
raw water
membrane module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16012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분리조(500)로의 이송 라인(L1)은 원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분기부(L3)를 구비한 헤드(L2)와 유체 소통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되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함으로써, MBR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도 막분리조 내의 세라믹 막무기막의 물리세정이 꾸준히 이루어질 수 있어서 처리 효율은 감소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무기막 물리세정이 이루어지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MBR system)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A membrane bioreactor system comprising a membrane separation tank in where the inlet waters are flowed upwardly}
본 발명은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MBR system)에 관한 것으로,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물학적 처리 장치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폐수조(10)에 저류된 원수는 펌프(P1)에 의하여 무산소조(20)로 이송되어 교반 처리되고, 무산소조(20)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펌프(P2)에 의하여 호기조(30)로 유입되어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처리된다. 처리 효율을 위하여 컴프레서(60)에서 공기가 추가로 공급되고 교반기(미도시)가 교반을 수행한다.
호기조(30)에서 생물학적 처리된 처리수는 펌프(P3)에 의하여 침전조(50)로 이송되어 고액 분리되어 처리되며, 상등수인 최종 처리수가 처리수 이송 펌프(P)에 의하여 이송된다.
침전조(50)에서 침전된 슬러지 중 일부는 잉여 슬러지로서 외부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반송 슬러지로서 펌프(P4)에 의하여 호기조(30)로 반송된다.
최근, 고도 하폐수 처리를 위하여, 침전조를 사용하지 않고 막분리조를 사용한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MBR system; membrane bioreactor system)이 사용된다.
MBR 시스템을 이용한 MBR 공법은, 생물학적 처리와 분리막 여과 공정을 이용한 고도 처리 공법으로서, 침전조를 설치하지 않고 폭기조 내에 막을 침지시켜 처리수를 생산하는 공법이다.
생물학적 처리 장치의 침전조(50)와 비교하여 구분되는, MBR 시스템의 막분리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tank) 내의 DO(dissolved oxygen, 용존산소농도)가 높게 유지된다. 침전조의 경우 고액 분리 침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DO를 낮춰야 하지만, 막분리조의 경우 미생물 성장 및 스크러빙(scrubbing)에 의한 막오염 제어를 위하여 높은 DO를 유지한다. 막분리조는 과폭기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둘째, 미생물을 포함한 슬러지가 하층으로 침전되는 침전조를 갖는 종래의 "호기조-침전조" 생물학적 처리 장치와 달리, 막분리조에서는 MLSS(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또는 MLVSS(mixed liquor volatile suspended solid)농도(이하, "MLSS/MLVSS 농도"로 지칭)가 조 내 전체에 걸쳐 높다. 침전을 통한 고액 분리를 하지 않으며, 침지된 막에 의하여 막공경에 의한 물리적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막분리조 전체에서 높은 MLSS/MLVSS 농도가 유지되어 조 전체에서 미생물량이 많다.
MBR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은 높은 효용성으로 널리 사용되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높은 MLSS/MLVSS 농도가 유지되기에 막분리조에 포함된 막 세정이 필요한데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 세정을 위하여 처리 공정이 잠시 중단되어야 하여 처리 효율이 낮아진다.
둘째, 높은 MLSS/MLVSS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산소가 공급되어 DO를 높이거나 교반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컴프레서나 교반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설비 투자 비용의 증가는 물론, 운영 비용의 상승 요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1083호는, 막분리조에 별도의 폭기 장치 및 미생물 주입 장치를 추가한 MBR 시스템을 개시한다. 처리 효율의 상승이 예상되나, 처리수량 이상의 운영 비용으로 인하여 경제적 문제가 가중된다.
미국공개특허 제12/973,083호는, 오히려 막분리조에 동역학적 입자성 물질 제거기를 추가하였다. 이 경우 입자성 물질 제거로 인하여 MLSS/MLVSS 농도가 낮아져서, 호기조에 별도의 미생물을 계속 주입하여야 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8496호는, 막분리조 내의 막 세정을 위하여 화학 약품을 주입한다. 이 경우 막의 공극(pore) 등에 포함된 오염물(fouling)의 제거가 효과적일 수 있으나, 화학 약품 주입시 공정이 정지되는 효율 저하의 문제 및 화학 약품 주입에 따른 운영 비용 상승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31083호 미국공개특허 제12/973,08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884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MBR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고서도 막분리조 내 분리막의 막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총 처리 효율의 감소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물론, 이와 더불어 우수한 막 세정 효과를 거두고자 함은 당연하다.
또한, 막분리조에 별도의 컴프레서나 교반기를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교반 성능을 거두고 높은 DO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기조(300)에서 처리된 원수가 이송 라인(L1)을 통해 유입된 후 막분리조(500)에 토출되며, 상기 원수는 상기 막분리조(500) 내의 무기막 모듈(570)에 의하여 분리된 후 처리수 이송 라인(L5)을 통해 처리수로서 배출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MBR system)에 있어서, 상기 이송 라인(L1)은 상기 원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분기부(L3)를 구비한 헤드(L2)와 유체 소통하며,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되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이송 라인(L1)은 상기 헤드(L2) 및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고,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은 상기 이송 라인(L1)으로 이송되는 원수 중 일부를 상기 막분리조(500) 내에서 하방으로 토출하며,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의 토출측 말단에 인접하여 무동력 교반기(580)가 위치하고,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교반기 베이스(581)의 중심부(582)로부터 상기 교반기 베이스(581)의 외측까지 방사상 연장되는 제 1 교반익(583) 및 제 2 교반익(58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교반익(583)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다시 높아져서 가운데가 파인 형태이며, 상기 제 2 교반익(584)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이고, 상기 제 1 교반익(583) 및 상기 제 2 교반익(584)에 의하여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교반익(583) 및 상기 제 2 교반익(584)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는 일부의 분기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 세정하고,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일부의 분기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 세정함과 동시에 상기 막분리조(500)의 교반을 수행하고,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을 통해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의 상부로 토출되어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를 회전시키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단에서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 상향식으로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면서 처리되어 상기 처리수로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지 않되 수리학적인 흐름으로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막 모듈(570)은 다수의 무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은 각각 상기 다수의 무기막 각각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원수를 상방으로 토출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무기막의 재질은 세라믹, 스테인레스(SUS), 티타늄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라인(L1)에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20)가 구비되고, 상기 상향식으로 유입된 원수 중 상기 일부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2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과 함께 상기 다수의 무기막 각각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상방으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막분리조(500)에서 상기 호기조(300)로 슬러지가 반송되는 라인에 다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라인(L1)은 상기 헤드(L2) 및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고,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은 상기 이송 라인(L1)으로 이송되는 원수 중 일부를 상기 막분리조(500) 내에서 하방으로 토출하며,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의 토출측 말단에 인접하여 무동력 교반기(58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교반기 베이스(581)의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연장되는 제 1 교반익(583) 및 제 2 교반익(58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교반익(583)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다시 높아지는 형태이며, 상기 제 2 교반익(584)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상기 제 1 및 제 2 교반익(583, 58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MBR 공정을 정지시키지 않으면서도 원수의 공급을 통한상향 스크러빙 효과를 동시에 주기에 막분리조 내의 세라믹 막무기막의 물리세정이 꾸준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 효율은 감소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무기막의 물리세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막분리조에 별도의 컴프레서나 교반기 없이도 우수한 교반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LSS/MLVSS 농도는 물론 DO 역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막분리조 내에서 처리되지 않은 원수가 호기조로 반송되는 경우, 호기조에서도 미생물을 충분히 공급받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물학적 처리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BR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MBR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막분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MBR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무동력 반응기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하폐수"는 하수 또는 폐수를 의미하며 피처리수이다. 처리수가 되는 공정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일부 처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를 원수로 통칭한다. 한편, 각 공정 별로 전 공정에서 이송된 공정수 역시 해당 공정에서의 "원수"로 지칭한다.
이하에서, "무기막"은 세라믹,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의 무기 재질로 형성된 막(membrane)을 의미한다. 또한, 다수의 무기막 및 관련 부품들을 더 포함하여 막여과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 부품을 "무기막 모듈"로 지칭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MBR 시스템은, 종래 일반적인 MBR 시스템과 같이, 하폐수조(100), 무산소조(200), 호기조(300) 및 막분리조(500)를 포함한다. 각 조의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막분리조(500)에 포함되는 분리막 모듈은 유기막 중에서도 무기막을 포함하는 무기막 모듈(5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막은 높은 MLSS/MLVSS 농도에서도 우수한 처리 효율을 가짐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본 발명 특유의 세정 방법에 의한 세정 효과가 우수하고, 그러한 세정 방법에 대하여서도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무기막의 재질은 세라믹, 스테인레스(SUS), 티타늄 등일 수 있다.
호기조(300)에서 생물학적 처리된 원수는 펌프(P3)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고 이송 라인(L1)을 통하여 막분리조(500)에 이송된다. 이송 라인(L1)에는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20)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한 후 마이크로 버블화하여 막분리조(500)에 함께 공급한다. 이를 통하여 막분리조(500)는 높은 DO를 유지할 수 있다.
호기조(300)에서 막분리조(500)로 이송되는 이송 라인(L1)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송 라인(L1)은 헤드(L2)에 연결되고, 헤드(L2)에는 다수의 분기부(L3)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다수의 분기부(L3) 중 일부는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면에서는 3개의 분기부(L3)가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고, 2개의 분기부(L3)가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분기부(L3)는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원수를 상향식으로 공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분기부(L3)에서 상향식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원수이며 약 0.3 ~ 2bar의 높은 수압으로 막분리조(500)에 공급된다. 이 중 일부는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면서 막여과 처리된다.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 버블이 포함된 원수가 무기막을 스크러빙(scrubbing)하면서 무기막(571~574) 표면의 막오염물질(F)을 물리세정하는 기능도 당연히 수행한다.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지 못하는 다른 일부도 있는데, 이 역시 무기막(571~574) 표면의 막오염물질(F)을 물리세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방으로 상승하여 무기막 모듈(570)을 벗어날 경우 막분리조(500) 전체로 흩어지면서 슬러지가 바닥으로 중력 침전이 되지 않도록 교반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한 원수의 무기막 모듈(570) 통과 여부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즉, 처리와 무기막의 물리세정과 교반의 기능을 모두 충분히 수행하도록,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분기부(L3)들은 무기막 모듈(570)의 다수의 무기막(571~574) 각각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원수를 토출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무기막 모듈에서는 각각의 무기막에 원수가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는 반대의 개념이다. 이를 통하여, 무기막(571~574) 사이로 원수가 상방을 향하도록 공급되어 우수한 스크러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처리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는 분기부(L3)에서 상향식으로 공급되는 원수 역시 마이크로 버블을 포함하는 원수이며 약 0.3 ~ 2bar의 높은 수압으로 막분리조(500)에 공급된다. 해당 분기부(L3)의 상측에 무기막 모듈(570)이 없기에 막분리조(500) 내측에 고속 고압으로 공급되어 교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별도의 컴프레서나 교반기 없이도 우수한 교반력 제공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별도의 무기막 물리세정 공정이나, 추가 컴프레서 또는 교반기 없이도, 원수의 처리와 동시에 무기막 물리세정이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버블이 꾸준히 공급되어 높은 DO가 유지되고 MLSS/MLVSS 농도 역시 유지된다.
한편, 막분리조(500)의 일측에는 호기조(300)로 미생물 포함 슬러지를 반송시키는 라인이 구비되어 슬러지 반송 펌프(P4)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진다. 여기에도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30)가 구비되어 호기조(300)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DO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다른 MBR 시스템에는, 제 1 실시예에 추가로 무동력 교반기(580)가 구비된다.
무동력 교반기(580)는 교반기 베이스(581)의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연장되는 제 1 교반익(583) 및 제 2 교반익(584)을 구비한다.
제 1 교반익(583)은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다시 높아지는 형태이며, 제 2 교반익(584)은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상이한 교반익을 통하여 다양한 유류를 형성하여 와류를 복잡하게 형성하고 교반력을 높일 수 있다.
무동력 교반기(580)는 외부 동력 없이, 막분리조(500)에 공급되는 원수의 힘, 다시 말하면 펌프(P3)에 의한 원수의 수압으로 교반력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펌프(P3)는 원수를 이송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높아진 수압은 버려지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무산소조(500)의 교반을 수행한다.
높은 수압의 원수는 무동력 교반기(580)에 직접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송 라인(L1)은 헤드(L2) 및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고,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은 이송 라인(L1)으로 이송되는 원수 중 일부를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의 토출측 말단에 인접한 무동력 교반기(580)를 향하여 하방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토출한다.
무동력 교반기(580)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또는 교반익(583, 584)에 의하여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별도로 또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100: 하폐수조
20, 200: 무산소조
30, 300: 호기조
50: 침전조
60: 컴프레서
500: 막분리조
520, 530: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570: 무기막 모듈
571, 572, 573, 574: 무기막
580: 무동력 교반기
581: 교반기 베이스
582: 중심부
583: 제 1 교반익
584: 제 2 교반익
P1, P2, P3: 펌프
P4: 슬러지 반송 펌프
P: 처리수 이송 펌프
F: 막오염물질
L1: 이송 라인
L2: 헤드
L3: 분기부
L4: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
L5: 처리수 이송 라인

Claims (8)

  1. 호기조(300)에서 처리된 원수가 이송 라인(L1)을 통해 유입된 후 막분리조(500)에 토출되며, 상기 원수는 상기 막분리조(500) 내의 무기막 모듈(570)에 의하여 분리된 후 처리수 이송 라인(L5)을 통해 처리수로서 배출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MBR system)에 있어서,
    상기 이송 라인(L1)은 상기 원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분기부(L3)를 구비한 헤드(L2)와 유체 소통하며,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되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이송 라인(L1)은 상기 헤드(L2) 및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고,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은 상기 이송 라인(L1)으로 이송되는 원수 중 일부를 상기 막분리조(500) 내에서 하방으로 토출하며,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의 토출측 말단에 인접하여 무동력 교반기(580)가 위치하고,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교반기 베이스(581)의 중심부(582)로부터 상기 교반기 베이스(581)의 외측까지 방사상 연장되는 제 1 교반익(583) 및 제 2 교반익(584)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교반익(583)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고 다시 높아져서 가운데가 파인 형태이며, 상기 제 2 교반익(584)은 상기 중심부(582)로부터 방사상 외측방향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이고,
    상기 제 1 교반익(583) 및 상기 제 2 교반익(584)에 의하여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는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 1 교반익(583) 및 상기 제 2 교반익(584)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방에 위치하는 일부의 분기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 세정하고,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일부의 분기부에서 토출되어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 세정함과 동시에 상기 막분리조(500)의 교반을 수행하고,
    상기 막분리조(500)에 유입된 원수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하방 토출 및 교반 라인(L4)을 통해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의 상부로 토출되어 상기 무동력 교반기(580)를 회전시키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상기 무기막 모듈(570)의 하단에서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 상향식으로 유입된 원수 중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면서 처리되어 상기 처리수로서 배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통과하지 않되 상기 무기막 모듈(570)을 물리세정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막 모듈(570)은 다수의 무기막(571~574)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분기부(L3) 중 상기 어느 하나 이상은 각각 상기 다수의 무기막(571~574) 각각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원수를 상방으로 토출하도록 위치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라인(L1)에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20)가 구비되고,
    상기 상향식으로 유입된 원수 중 상기 일부는 상기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2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버블과 함께 상기 다수의 무기막 각각의 사이의 공간을 향하여 상방으로 토출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조(500)에서 상기 호기조(300)로 슬러지가 반송되는 라인에 다른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530)가 더 구비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21007A 2016-09-21 2016-09-21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KR10177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07A KR101774440B1 (ko) 2016-09-21 2016-09-21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007A KR101774440B1 (ko) 2016-09-21 2016-09-21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440B1 true KR101774440B1 (ko) 2017-09-05

Family

ID=5992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007A KR101774440B1 (ko) 2016-09-21 2016-09-21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00A (ko) * 2021-08-17 2023-02-27 유한회사 호원 개선된 반응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응축수의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24B1 (ko) * 2014-10-24 2015-09-22 열린환경기술 주식회사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224B1 (ko) * 2014-10-24 2015-09-22 열린환경기술 주식회사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00A (ko) * 2021-08-17 2023-02-27 유한회사 호원 개선된 반응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응축수의 재활용 시스템
KR102522459B1 (ko) * 2021-08-17 2023-04-18 유한회사 호원 개선된 반응조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 응축수의 재활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3413B2 (en) Aerated anoxic membrane bioreactor
US7118674B2 (en) Energy-efficient biological treatment with membrane filtration
CN101426565B (zh) 包含膜生物反应器和消化有机物质的处理容器的过滤装置
KR20120069587A (ko)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및 이동상 바이오 리액터 원수 처리 시스템
KR100785044B1 (ko) 기존의 하수처리시설을 고도처리시설로 리모델링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고도처리시설의 운전 방법
US1105315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0926268B1 (ko) 생물학적 처리와 침지형 분리막여과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WO2012079288A1 (en) Process, apparatus and membrane bio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EP2998278B1 (en) Water treatment device
KR101774440B1 (ko) 상향식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막분리조를 포함하는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EP2222608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ater treatment
JP2014061506A (ja) 液体処理設備
WO2006029635A2 (en) Process for intensified,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in an mbr
KR102023630B1 (ko) 역방향 자연유하 방식의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026130B1 (ko)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Hussain et al. Membrane bio reactors (MBR) in waste water treatment: a review of the recent patents
KR20180032139A (ko) 역방향 자연유하 방식의 막생물 반응기 시스템
KR100400358B1 (ko) 유입수 부하변동에 따른 간헐운전방식의 침지형 막분리활성슬러지 오폐수 처리 시스템
JPH0985294A (ja) 排水処理設備
KR100795072B1 (ko) 가축분뇨를 포함하는 고농도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06924A (ko) 석유화학폐수의 재이용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579B1 (ko) 활성 슬러지 공법을 이용하는 기존의 하수 처리공정으로부터 개선된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US9796614B1 (en) Bow pump and 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820860B1 (ko) 입상 활성 슬러지와 막 생물반응기를 사용한 복합 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0814323B1 (ko) 멤브레인 생물 반응기 및 유기물질 소화용 처리조를포함하는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