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322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322B1
KR101774322B1 KR1020150184182A KR20150184182A KR101774322B1 KR 101774322 B1 KR101774322 B1 KR 101774322B1 KR 1020150184182 A KR1020150184182 A KR 1020150184182A KR 20150184182 A KR20150184182 A KR 20150184182A KR 101774322 B1 KR101774322 B1 KR 10177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elding
refrigerant
connection pipe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648A (ko
Inventor
김홍성
이상열
김주혁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322B1/ko
Priority to US16/065,631 priority patent/US10941989B2/en
Priority to PCT/KR2016/013865 priority patent/WO2017111333A1/ko
Publication of KR2017007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permanent joint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2Brazing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4Filling of continuous seams
    • B23K33/006Filling of continuous seams for cylindrical work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leeves, nip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23K2201/1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 F28F2275/045Fastening; Joining by brazing with particular processing steps, e.g. by allowing displacement of parts during brazing or by using a reservoir for storing braz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에 타공되어 구비되는 용접홀, 상기 용접홀 위에 설치되는 용접링 및 상기 냉매관의 일부는 상기 연결관 끝단을 통해서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용접홀은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상기 연결관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며, 가열을 통해 상기 냉매관과 상기 연결관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Air conditioner and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내부의 관들을 관외측 삽입 용접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용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좁은 장소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 및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 조화기 등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때, 분리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공조 공간 내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에서 충분한 열교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의 압축 또는 팽창을 수행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순으로 순환하여 열을 전달하는 싸이클을 가진다. 상기 싸이클에 따라 공기 조화기는 하절기에는 실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냉방 싸이클로 동작하고, 동절기에는 냉방 싸이클과 반대로 순환하여 실내로 열을 공급하는 히트 펌프(Heat pump)의 난방 싸이클로 동작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 조화기의 냉방 사이클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1), 사방밸브(2), 실외열교환기(3), 실외팬(4), 팽창밸브(5), 실내열교환기(6) 및 실내팬(7)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방과정을 살펴보면, 실내열교환기(6)로부터 압축기(1)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냉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밸브(2)를 통해 실외열교환기(3)로 토출된다.
상기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실외팬(4) 구동을 통해 실외기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와 열 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 변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 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5)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브(5)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증발작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되어 실내열교환기(6)로 토출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6)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내열교환기(6)의 주위 공기와 열 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 변화를 이룬 후, 사방밸브(2)를 통해 다시 압축기(1)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운전되면 실외열교환기(3)는 증발기로 기능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6)는 응축기로 기능하며, 상기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운전되면 실외열교환기(3)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6)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한편,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는 냉매가 이동할 수 있는 냉매관을 포함한다. 공정상 다수개의 냉매관이 열교환율을 높일 수 있는 핀에 나란하게 연결된다. 이 때 각각의 냉매관의 끝단을 이을 때 연결관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연결관과 냉매관을 이을 때 용접링을 이용하여 용접을 진행한다. 연결관이 냉매관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전에 연결관에 용접링을 설치한다.
공정 과정을 살펴보면, 다수개의 냉매관이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연결관이 냉매관의 위로 용접링과 함께 연결이 된 상태에서 용접이 시작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접링이 녹아 연결관과 냉매관 사이로 스며들어야 하지만 중력의 영향 등으로 용접의 효과가 떨어지고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용접 진행시, 용접링이 냉매관과 연결관 사이에 원활하게 스며들어 용접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내구성을 높여 냉매관과 연결관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각각 포함하는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 압축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일부를 타공하여 용접홀을 형성하는 타공단계; 상기 연결관의 타공된 부위에 용접링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을 통해서 상기 냉매관을 삽입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냉매관을 잇는 용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단계는 상기 냉매관이 상기 연결관 내부로 삽입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일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의 폭은 상기 용접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용접홀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링의 지름은 상기 연결관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관은 상기 용접홀과 상기 연결관 입구단 사이의 거리보다 소정거리 더 깊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과 상기 냉매관의 끝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보다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냉매관을 예열하는 예열단계; 및 상기 용접링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단계의 경우, 상기 냉매관 및 상기 연결관이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이 상기 냉매관보다 상기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실내열교환기 및 실외열교환기;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에 타공되어 구비된 용접홀; 상기 용접홀 위에 설치되는 용접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관의 일부는 상기 연결관 끝단을 통해서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용접홀은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상기 연결관의 끝단 사이에 위치하며, 가열을 통해 상기 냉매관과 상기 연결관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길이방향 중 임의의 단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용접홀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보다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관 및 상기 연결관은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냉매관보다 상기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홀의 폭은 상기 용접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접링이 냉매관과 연결관 사이에 원활하게 스며들어 용접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력을 이용하여 용접링이 냉매관과 연결관 사이에 원활하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내구성을 높여 냉매관과 연결관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공기조화기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연결관과 냉매관을 용접하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4는 연결관과 냉매관을 용접하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관과 냉매관을 용접하는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에 용접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용접링이 연결관에 구비된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도면이다.
도 8는 연결관과 냉매관을 용접하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열교환기(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열교환기(10)는 도 1에 도시된 실내열교환기(6) 또는 실외열교환기(3)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춰줄 수 있도록 고온 또는 저온의 냉매가 지나가는 통로인 다수개의 냉매관(12) 및 상기 다수개의 냉매관(12) 내부에 흐르는 냉매가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핀(13)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냉매관(12)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다수개의 핀(13)은 다수개의 냉매관(12)과 수직하도록 서로 소정간격 거리를 둔 채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냉매관(12)은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가늘고 긴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핀(13)은 얇은 금속 판에 해당하며 핀(13)과 핀(13)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냉매와 공기 사이의 열교환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핀(13)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핀(13)을 구성하는 판 중간에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개의 구멍(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핀(13)의 세부적인 형태와 관련하여 다양한 종래 기술이 존재하고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수개의 냉매관(12)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되 연결관(11, 14)을 이용하여 냉매관(12)들을 서로 연결한다. 하나의 연결관(11, 14)은 두 개의 냉매관(12) 끝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연결관(11, 14)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냉매관(12)은 다수개의 긴 유로를 형성하도록 연결관을 설치한다. 냉매는 냉매관(12)과 연결관(11, 14)으로 형성된 긴 유로를 통해 흐르게 되며 다수개의 핀(13)과 수직으로 지그재그로 가로지르며 외부 공기와 열교환을 하게 된다. 연결관(11, 14)과 냉매관(12)의 조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긴 유로가 다수개의 핀(13)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율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연결관(11, 14)은 Y자 연결관(11)과 U자 연결관(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Y자 연결관(11)은 열교환기(10)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나 열교환기(10) 외부로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U자 연결관(14)은 열교환기(10) 내부에서 냉매가 다수개의 냉매관(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냉매관(12)의 끝단을 잇는 역할을 한다.
냉매의 전체 흐름을 살펴보면, 열교환기(10)로 향하는 냉매는 다수개의 유로로 분지되어 다수개의 Y자 연결관(11)을 통해 냉매관(12)으로 유입된다. Y자 연결관(11)을 통해 냉매관(12)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다수개의 핀(13)을 수직으로 지나치면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이 때 열교환기(10)의 일단에서 유입된 냉매는 냉매관(12)을 통해 열교환기(10)의 타단으로 배출되지만 냉매관(12)의 끝단에 구비된 U자 연결관(14)을 통해서 다시 다수개의 핀(13)을 수직으로 지나치게 된다. 수회의 지그재그 이동을 하게 되면 열교환기(10)의 타단으로 냉매가 방출된다. 열교환기(10) 타단에 냉매관(12)의 끝단에 구비된 Y자 연결관(11)을 통해서 냉매가 방출되게 되며, 다수개의 Y자 연결관(11)으로부터 방출된 냉매는 압축기나 팽창밸브로 향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냉매관(12)과 Y자 연결관(11)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U자 연결관(1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Y자 연결관(11), U자 연결관(14) 구분 없이 연결관(11)으로 통일해서 호칭하도록 한다. 또한 냉매가 열교환기(10)에서 열교환을 마치고 나오는 부분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아래 기술될 연결관(11)의 입구단은 냉매관(12)과 연결된 부위를 의미하며, 냉매관(12)의 끝단은 연결관(11)과 연결된 부위를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1)과 냉매관(12)을 용접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공정 편의상 다수개의 냉매관이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관(11)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지면 위에 냉매관(12), 냉매관(12) 위에 연결관(11)이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위치 관계를 전제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살펴보면, 냉매관(12)의 끝단을 확관한 후 확관된 끝단에 연결관(11)을 삽입한 것을 알 수 있다. 연결관(11)을 삽입하기 전 용접링(15)을 사전에 연결관(11)에 설치한 후, 연결관(11)을 냉매관(12)에 삽입하게 된다. 도 3과 같이 셋팅이 완료되면 용접링(15)은 냉매관(12)의 끝단과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접링(15)을 토치를 이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용접링(15)이 녹아 연결관(11)과 냉매관(12) 사이로 스며들게 되고 용접이 완성되게 된다.
하지만 도 3과 같은 경우, 냉매관(12) 내부로 연결관(11)을 삽입하기 때문에 유로가 갑자기 좁아지게 되어 압력 손실 및 냉매의 유동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용접을 하게 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냉매관(12)과 연결관(11)이 결합되어 접한 부위 아래에까지 흘러내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냉매관(12) 내부로 새어나가게 되면 냉매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며, 다른 냉매관(12)과의 압력 불균형이 생겨 열교환기(10)가 고장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도 4를 살펴보면, 냉매관(12)이 연결관(11) 내부로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유로가 갑자기 좁아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손실 및 냉매의 유동 흐름이 불균형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냉매관(12)에 용접링(15)을 설치한 후 냉매관(12)을 연결관(11)에 삽입한다. 삽입이 종료되면, 용접링(15)은 연결관(11)의 입구단과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용접링(15)을 토치를 이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용접링(15)이 녹아 연결관(11)과 연결관(11)과 냉매관(12)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며들게 된다.
하지만 도 4와 같은 경우,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모두 연결관(11)과 냉매관(12)으로 스며들지 않으며 일부는 중력의 영향에 의해서 냉매관(12) 아래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5는 도 3과 도 4의 문제점을 보완한 실시예에 해당한다. 냉매관(12)이 연결관(11)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도 4와 동일하다. 도 5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11) 상에 용접홀(16)이 더 구비될 있다. 용접홀(16)은 타공되는 방식으로 연결관(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관(11)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는 구멍에 해당한다. 용접홀(16)은 가열되어 액체 상태로 상 변화한 용접링(15)이 스며들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접홀(16)은 냉매관(12)이 연결관(11)에 삽입된 후 냉매관(12)과 연결관(11)이 접해있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냉매관(12)이 연결관(11)에 삽입된 후, 냉매관(12)의 끝단과 연결관(11)의 입구단 사이에 용접홀(1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되어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된 용접링(15)이 냉매관(12)과 연결관(11)이 접해있는 범위 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용접홀(16)은 연결관(11)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링(15)이 골고루 스며들 수 있도록 각각의 용접홀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용접링(15)은 고리 형태를 하고 있으므로, 용접홀(16)은 연결관(11)의 길이방향 중 임의의 단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을 위한 최종 셋팅 상태를 살펴보면, 연결관(11) 상에 형성된 용접홀(16) 위에 용접링(15)이 설치된 상태에서 냉매관(12)이 용접링(15)이 설치된 위치보다 더 깊숙하게 연결관(11) 내부로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용접링(15)을 토치를 이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액체 상태로 상 변화한 용접링(15)이 용접홀(16)을 통해서 연결관(11)과 냉매관(12)이 접해있는 틈 사이로 스며들게 된다. 용접링(15)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위 아래방향 모두 모세관 현상의 원리로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스며들게 된다.
용접링(15)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방향으로는 중력의 영향도 작용한다. 따라서 아래방향으로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스며드는 속도가 더 빠르며 스며드는 양도 더 많아진다. 따라서 용접홀(16)은 연결관(11)의 입구단보다 냉매관(12)의 끝단과 더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골고루 스며들기 위함이다.
한편, 용접홀(16)의 연결관(11) 길이방향 폭은 용접링(15)의 연결관(11) 길이방향 폭보다 약간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링(15)이 용접홀(16)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기 위함이다.
도 6 및 도 7은 연결관(11)에 냉매관(12)이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용접링(15)도 설치되기 전의 연결관(11)의 모습이다. 용접홀(16)의 모양 및 개수는 상기 언급한 용접홀(16)의 특징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개의 냉매관(12), 복수개의 냉매관(12)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11)을 포함하는 실내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 압축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크게 연결관(11)의 일부를 타공하여 용접홀(16)을 형성하는 타공단계(S100), 연결관(11)의 타공된 부위에 용접링(15)을 설치하는 설치단계(S200), 연결관(11)의 입구단을 통해서 냉매관(12)을 삽입하는 삽입단계(S300), 연결관(11)과 냉매관(12)을 잇는 용접단계(S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타공단계(S100)는 냉매관(12)이 연결관(11) 내부로 삽입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공단계(S100)를 통해서 형성되는 용접홀(16)이 연결관(11)의 입구단과 냉매관(12)의 끝단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추후 용접단계(S400)에서 용접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타공단계(S100)를 통해서 형성된 용접홀(16)은 연결관(11)의 일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용접홀(16)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타공된다. 추후 용접단계(S400)에서 용접링(15)이 용접홀(16) 내부로 골고루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타공단계(S100)에서 형성되는 용접홀(16)의 연결관(11) 길이방향 폭은 용접링(15)의 연결관(11) 길이방향 폭보다 약간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링(15)이 용접홀(16)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기 위함이다.
설치단계(S200)에서 설치되는 용접링(15)의 지름은 연결관(11)의 지름보다 크게 구비된다. 냉매관(12)이 연결관(11)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 상 용접링(15)이 연결관(11) 외부에서 내부로 스며드는 것이 용접의 불량률을 가장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관(11)의 입구단과 냉매관(12)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용접홀(16)은 상기 냉매관(12)의 끝단과 더 가깝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용접단계(S400)에서 용접링(15)을 가열하게 되면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은 타공단계(S100)를 통해서 형성된 용접홀(16)을 통해서 연결관(11)과 냉매관(12)이 접해있는 틈 사이로 모세관 현상의 원리를 통해 스며들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 냉매관(12)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로 구비되고 냉매관(12) 위에 연결관(11)이 구비되기 때문에 용접을 하게 될 경우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에 중력이 추가적으로 더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링(15)이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 방향으로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더 많이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용접홀(16)의 위치는 냉매관(12)의 끝단보다 연결관(11)의 입구단과 더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타공단계(S100), 설치단계(S200) 및 삽입단계(S300)를 거치고 나면 용접단계(S400)를 마지막으로 진행하게 된다. 용접단계(S400)는 토치 등의 불꽃으로 용접링(15)을 가열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용접단계(S400)는 냉매관(12)을 예열하는 예열단계를 먼저 거친 후, 용접링(15)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거치게 된다. 용접링(15)이 용접 불꽃에 녹으면 뜨거운 쪽으로 붙어서 흐르는 경향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예열단계를 거치게 되면 액체 상태의 용접링(15)이 용접홀(16)을 통해서 더욱 잘 스며들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압축기
2 : 사방밸브
3 : 실외열교환기
4 : 실외팬
5 : 팽창밸브
6 : 실내열교환기
7 : 실내팬
10 : 열교환기
11 : Y자 연결관
12 : 냉매관
13 : 핀
14 : U자 연결관
15 : 용접링
16 : 용접홀

Claims (17)

  1. 복수개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각각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또는 실외 열교환기, 압축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용접홀이 타공되는 타공단계;
    상기 연결관의 타공된 부위 외측면에 용접링이 설치되는 설치단계;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을 통해서 상기 냉매관이 삽입되는 삽입단계;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냉매관을 잇는 용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관은 상기 용접홀과 상기 연결관 입구단 사이의 거리보다 소정거리 더 깊게 삽입되고, 상기 용접단계에서 상기 용접링은 용접에 의해 상기 용접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상기 냉매관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단계는 상기 냉매관이 상기 연결관 내부로 삽입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접홀의 높이는 상기 용접링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링의 지름은 상기 연결관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과 상기 냉매관의 끝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보다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냉매관을 예열하는 예열단계; 및,
    상기 용접링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단계는,
    상기 냉매관 및 상기 연결관이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냉매관보다 상기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조방법.
  12. 복수개의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들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을 포함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상기 각각의 연결관의 둘레를 따라 타공되는 다수개의 용접홀;
    상기 용접홀 위에 설치되는 용접링; 및,
    상기 냉매관의 일부는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을 통해 상기 용접홀과 상기 연결관 입구단 사이의 거리보다 소정거리 더 깊게 상기 연결관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냉매관 또는 상기 용접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용접링이 녹아 상기 용접홀을 통해 상기 냉매관과 상기 연결관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홀은 상기 연결관의 입구단보다 상기 냉매관의 끝단과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 및 상기 연결관은 지면과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냉매관보다 상기 지면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2항에 있어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용접홀의 높이는 상기 용접링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184182A 2015-12-22 2015-12-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7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182A KR101774322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US16/065,631 US10941989B2 (en) 2015-12-22 2016-11-29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6/013865 WO2017111333A1 (ko) 2015-12-22 2016-11-2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182A KR101774322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648A KR20170074648A (ko) 2017-06-30
KR101774322B1 true KR101774322B1 (ko) 2017-09-04

Family

ID=5909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182A KR101774322B1 (ko) 2015-12-22 2015-12-22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41989B2 (ko)
KR (1) KR101774322B1 (ko)
WO (1) WO2017111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2309A1 (en) * 2012-09-25 2014-04-0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MX2018006994A (es) * 2016-10-31 2018-11-09 Zhang Yue Panel sandwich metalico de tubos ecos y aplicaciones del mismo.
CN114918680B (zh) * 2022-06-28 2024-02-06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空调连接管一体式加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58B1 (ko) * 2003-04-08 2005-04-19 한국과학기술원 용가재 침투용 관통구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접합방법
JP2008164108A (ja)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配管接続機構
KR101265285B1 (ko) * 2011-05-30 2013-05-16 동원금속 (주) 차량용 고장력강 범퍼 빔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9261A (en) 1981-03-26 1982-10-01 Yoshiaki Kawada Connnecting method for stainless steel pipes
KR20010026725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자동 삽입기
EP1504840A1 (de) * 2003-07-30 2005-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 subsidary of Ford Motor Company Lötverbindung mit mehreren überlappenden Blechen
US20090200363A1 (en) * 2008-02-13 2009-08-13 Trane International Inc. Braze Ring
KR20090091529A (ko) 2008-02-25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와 그 제조 방법
US8033018B2 (en) * 2008-06-13 2011-10-11 Goodman Global,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tube and fin heat exchanger with reduced tube diameter
JP5490838B2 (ja) * 2012-03-14 2014-05-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挿入部及びその接合方法
KR101422074B1 (ko) 2012-10-18 2014-07-23 노한영 열교환용 인아웃렛 파이프의 고정구조
JP6207958B2 (ja) * 2013-10-07 2017-10-04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958B1 (ko) * 2003-04-08 2005-04-19 한국과학기술원 용가재 침투용 관통구를 이용하는 브레이징 접합방법
JP2008164108A (ja)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配管接続機構
KR101265285B1 (ko) * 2011-05-30 2013-05-16 동원금속 (주) 차량용 고장력강 범퍼 빔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7755A1 (en) 2019-01-17
WO2017111333A1 (ko) 2017-06-29
US10941989B2 (en) 2021-03-09
KR20170074648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9916B2 (ja) 熱交換器
CN100592017C (zh) 微流道扁平管式热交换器
CN103797317B (zh) 热泵装置和热泵装置的控制方法
JP6352401B2 (ja) 空気調和装置
US20150033789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heat exchanger
EP1686331A2 (en) Supercooling apparatus of a multiple air conditioner
KR1017743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조방법
JP6371046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JP6115111B2 (ja) 熱交換器
JP6923051B2 (ja) 熱交換器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
KR20110019219A (ko) 공기조화기
CN103229004A (zh) 空调装置
CN107044704A (zh) 一种热泵系统及其化霜控制方法
EP3136039A1 (en) Laminat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er
EP3845851A1 (en)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6788763B2 (ja) 熱交換器、室内機、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2228380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却装置
WO2021199138A1 (ja) 熱交換器、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6440867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ならびに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6888697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7106814B2 (ja) 熱交換器
KR20180123378A (ko) 냉매의 균등분배가 가능한 냉동용 증발기
KR102066347B1 (ko) 유체 압력을 이용한 파이프 확관 장치
JP2012220069A (ja) 熱交換器、冷凍サイクル装置、冷蔵庫、および空気調和機
JP3575035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