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870B1 -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 Google Patents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870B1
KR101773870B1 KR1020160062769A KR20160062769A KR101773870B1 KR 101773870 B1 KR101773870 B1 KR 101773870B1 KR 1020160062769 A KR1020160062769 A KR 1020160062769A KR 20160062769 A KR20160062769 A KR 20160062769A KR 101773870 B1 KR101773870 B1 KR 10177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line
prevention
main bod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드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드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드엠
Priority to KR102016006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신발용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발용 아웃솔은 바닥면 전방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전방 구획 라인과, 상기 제1 전방 구획 라인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중간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바닥면 양측의 상기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후방 구획 라인을 포함하는 제1 구획부; 상기 제1 구획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구획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방지 본체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메인 직선부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직선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1 보조 직선부와, 상기 제1 메인 직선부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1 방지 어셈블리; 및 바닥면에서 상기 제1 구획부의 전측과 상기 제1 구획부의 후측에 한 쌍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되는 측면 미끄럼방지 패턴이 형성되는 측면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outsole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신발용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도록 개발되었지만,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신발에 대한 인식 또한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운동화 한 켤레로 여러 가지 운동을 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걷기(walking), 뛰기(running), 등산, 축구, 테니스, 야구, 골프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특성화된 기능성 신발이 개발되고 있다.
신발은 크게 발등 및 관절 부위를 보호하는 갑피부분(upper part), 및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부분(sole par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밑창부분을 통해서는 보행 및 주행시 충격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고, 밑창부분이 무거울 경우에는 사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밑창부위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할 수 있으며 가벼운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밑창부위의 구조는 크게 인솔(insole), 미드솔(midsole) 및 아웃솔(outsole)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아웃솔은 지면에 직접 접촉되며 지면의 상태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보행이나 런닝시에 지면 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눈이나 비로 인해 노면에 습기가 많은 경우 슬립을 방지하는 기능이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슬립 방지 기능은 일반적인 스포츠화의 모든 아웃솔에 요구되는 특성이지만, 특히, 등산 시와 같이 지면 상태가 불규칙하거나 산이나 계곡처럼 지면을 주로 구성하는 바위 표면이 물기로 젖어 있는 경우는 겉창과 지면의 계면에 존재하는 수분이 슬립을 가속시킴으로써 아웃솔의 슬립 방지 기능이 부족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선박 등과 같이 작업의 특성상 바닥이 항상 젖어 있는 특수 작업장에서도 슬립 방지의 기능은 매우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구성 및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웃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817521호 등록특허 제10-08116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한 신발용 아웃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발용 아웃솔은 바닥면 전방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전방 구획 라인과, 상기 제1 전방 구획 라인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중간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바닥면 양측의 상기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후방 구획 라인을 포함하는 제1 구획부; 상기 제1 구획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구획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방지 본체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메인 직선부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직선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1 보조 직선부와, 상기 제1 메인 직선부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1 방지 어셈블리; 및 바닥면에서 상기 제1 구획부의 전측과 상기 제1 구획부의 후측에 한 쌍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되는 측면 미끄럼방지 패턴이 형성되는 측면 미끄럼 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용 아웃솔은, 바닥면 후방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2 전방 구획 라인과, 상기 제2 전방 구획 라인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중간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중간 구획 라인과, 바닥면 양측의 상기 제2 중간 구획 라인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2 후방 구획 라인을 포함하며,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2 구획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2 구획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방지 본체와,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메인 직선부와,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메인 직선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2 보조 직선부와, 상기 제2 메인 직선부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방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획부, 상기 제1 방지 어셈블리, 상기 측면 미끄럼 방지부, 상기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2 방지 어셈블리는 바닥면의 나머지 부분보다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신발용 아웃솔은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한 구조로부터 미끄럼 방지 기능이 탁월한 신뢰도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측면 미끄럼 방지부 구조를 더 채용함으로써, 측면으로 미끄러질 때 전후 지그재그 패턴이 측면의 직각 방향으로 마찰되며 측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주요부인 미끄럼 방지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저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주요부인 미끄럼 방지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저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신발 중에서도 비가 오거나 물이 있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화를 일례를 들어, 이에 적용되는 아웃솔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아웃솔은 갑피와 일체화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로 분리하여 제조한 후 접착시킨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아웃솔은 장화 외에 운동화나 등산화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부(100)와 솔(sole)부(200) 및 미끄럼 방지부(30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갑피부(100)는 착용자의 발등과 발목 및 발목 상측의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방수 성능을 지닌 원단에 합포된 것으로, 방수, 방한 및 기밀을 유지하며 착용자의 발등 및 발목과 다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솔부(200)는 갑피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갑피부(100)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솔부(200), 미끄럼 방지부(300) 및 측면 미끄럼 방지부(400)를 모두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신발용 아웃솔의 일례에 해당한다.
미끄럼 방지부(300)는 솔부(2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솔부(2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솔부(200)의 나머지 부분보다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갑피부(100)는, 착용자의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싸는 제1 커버부(110)와, 착용자의 발목 상측의 부분을 감싸는 제2 커버부(120)와, 제1 커버부(110)와 제2 커버부(120) 사이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갑피부(100)는, 폴리우레탄 고무(PU), 니트릴고무(NBR), 네오프렌 고무(N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부타디엔고무(BR), 클로로프렌고무(CR)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원단(이하 미도시)과, 원단에 합포되는 것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필름 시트를 복수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멀티 레이어 시트(이하 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단에 멀티 레이어 시트를 합포하여 갑피부(100)를 제작하는 것은 가볍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갑피부(100)의 재봉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잠수복을 재봉하는 특수 미싱 장치를 사용하여 절단면이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생활 방수 또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미끄럼 방지부(3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구획부(310)와 제1 방지 어셈블리(320)와 제2 구획부(330)와 제2 방지 어셈블리(34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구획부(310)는 솔부(200)의 바닥면 전방부에 형성되고, 솔부(200)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크게 제1 전방 구획 라인(311)과 제1 중간 구획 라인(312, 313)과 제1 후방 구획 라인(314)을 포함한다.
제1 방지 어셈블리(320)는 제1 구획부(310)의 내측에 형성되고, 솔부(200)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크게 제1 방지 본체(321)와 제1 메인 직선부(322, 323)와 제1 보조 직선부(324)와 제1 패턴부(325)를 포함한다.
제2 구획부(330)는 솔부(200)의 바닥면 후방부에 형성되고, 솔부(200)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크게 제2 전방 구획 라인(331)과 제2 중간 구획 라인(332, 333)과 제2 후방 구획 라인(334)을 포함한다.
제2 방지 어셈블리(340)는 제2 구획부(330)의 내측에 형성되고, 솔부(200)보다 마찰계수가 더 큰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크게 제2 방지 본체(341)와 제2 메인 직선부(342, 343)와 제2 보조 직선부(344)와 제2 패턴부(345)를 포함한다.
제1 구획부(310)의 제1 전방 구획 라인(311)은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만나는 것이다.
제1 구획부(310)의 제1 중간 구획 라인(312, 313)은 제1 전방 구획 라인(311)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제1 구획부(310)의 제1 후방 구획 라인(314)은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의 제1 중간 구획 라인(312, 313)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만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구획부(310)는, 솔부(200)의 바닥면 전방으로부터 제1 전방 구획 라인(311)과, 제1 중간 구획 라인(312, 313)과, 제1 후방 구획 라인(314)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도보 동작에 따른 하중을 제1 구획부(310)의 형성 방향 및 후술할 제1 방지 어셈블리(32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분산 지지하게 된다.
또한, 후술할 제1 방지 어셈블리(320)는, 제1 전방 구획 라인(311)과 제1 중간 구획 라인(312, 313)과 제1 후방 구획 라인(314)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방지 어셈블리(320)의 제1 방지 본체(321)는 제1 구획부(310)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제1 방지 어셈블리(320)의 제1 메인 직선부(322, 323)는 제1 방지 본체(321)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제1 방지 어셈블리(320)의 제1 보조 직선부(324)는 제1 방지 본체(32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1 메인 직선부(322, 323)와 직교를 이루는 것이다.
제1 방지 어셈블리(320)의 제1 패턴부(325)는 제1 메인 직선부(322, 323)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제1 방지 본체(321)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방지 본체(321)가 돌출된 원기둥으로 가정할 경우, 제1 메인 직선부(322, 323)와 제1 보조 직선부(324) 및 제1 패턴부(325)는 제1 방지 본체(32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도보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제1 메인 직선부(322, 323)와 제1 보조 직선부(324) 및 제1 패턴부(325)의 형성된 폭이 가변하는 형상 변형 및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구획부(330)의 제2 전방 구획 라인(331)은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만나는 것이다.
제2 구획부(330)의 제2 중간 구획 라인(332, 333)은 제2 전방 구획 라인(331)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제2 구획부(330)의 제2 후방 구획 라인(334)은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의 제2 중간 구획 라인(332, 333)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솔부(200)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만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구획부(330)는, 솔부(200)의 바닥면 전방으로부터 제2 전방 구획 라인(331)과, 제2 중간 구획 라인(332, 333)과, 제2 후방 구획 라인(334)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도보 동작에 따른 하중을 제1 구획부(310)의 형성 방향 및 후술할 제1 방지 어셈블리(32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분산 지지하게 된다.
또한, 후술할 제2 방지 어셈블리(340)는, 제2 전방 구획 라인(331)과 제2 중간 구획 라인(332, 333)과 제2 후방 구획 라인(334)이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제2 방지 어셈블리(340)의 제2 방지 본체(341)는 제2 구획부(330)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제2 방지 어셈블리(340)의 제2 메인 직선부(342, 343)는 제2 방지 본체(341)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제2 방지 어셈블리(340)의 제2 보조 직선부(344)는 제2 방지 본체(341)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2 메인 직선부(342, 343)와 직교를 이루는 것이다.
제2 방지 어셈블리(340)의 제2 패턴부(345)는 제2 메인 직선부(342, 343)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제2 방지 본체(341)의 상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방지 본체(341)가 돌출된 원기둥으로 가정할 경우, 제2 메인 직선부(342, 343)와 제2 보조 직선부(344) 및 제2 패턴부(345)는 제2 방지 본체(34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어,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고 도보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제2 메인 직선부(342, 343)와 제2 보조 직선부(344) 및 제2 패턴부(345)의 형성된 폭이 가변하는 형상 변형 및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아웃솔은 바닥면에서 제1 구획부(310)의 전측과 제1 구획부(310)의 후측에 한 쌍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되는 측면 미끄럼방지 패턴이 형성되는 측면 미끄럼 방지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면 미끄럼 방지부(400)는 지면이 닿는 면적이 가장 넓은 바닥면의 전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미끄럼 방지부(300)에 더하여 형상 변형 및 탄성 변형을 허용하면서, 측면으로 미끄러질 때 전후 지그재그 패턴이 측면의 직각 방향으로 마찰되며 측면 미끄럼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수 및 기밀 유지는 물론,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며, 미끄럼 방지 기능 또한 탁월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생산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트럭 및 오토바이 운전자, 자전거 탑승 운행자, 수산시장이나 하역장 등지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의 작업화 등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갑피부
110...제1 커버부
120...제2 커버부
130...연결부
200...솔부
300...미끄럼 방지부
310...제1 구획부
311...제1 전방 구획 라인
312, 313...제1 중간 구획 라인
314...제1 후방 구획 라인
320...제1 방지 어셈블리
321...제1 방지 본체
322, 323...제1 메인 직선부
324...제1 보조 직선부
325...제1 패턴부
330...제2 구획부
331...제2 전방 구획 라인
332, 333...제2 중간 구획 라인
334...제2 후방 구획 라인
340...제2 방지 어셈블리
341...제2 방지 본체
342, 343...제2 메인 직선부
344...제2 보조 직선부
345...제2 패턴부
400...측면 미끄럼 방지부

Claims (3)

  1. 바닥면 전방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전방 구획 라인과, 상기 제1 전방 구획 라인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중간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바닥면 양측의 상기 제1 중간 구획 라인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1 후방 구획 라인을 포함하는 제1 구획부;
    상기 제1 구획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구획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방지 본체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메인 직선부와,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메인 직선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1 보조 직선부와, 상기 제1 메인 직선부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방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1 방지 어셈블리; 및
    바닥면에서 상기 제1 구획부의 전측과 상기 제1 구획부의 후측에 한 쌍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돌출되는 측면 미끄럼방지 패턴이 형성되는 측면 미끄럼 방지부;
    를 포함하는 신발용 아웃솔.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 후방부에 형성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형상으로 돌출되되,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2 전방 구획 라인과, 상기 제2 전방 구획 라인의 양단부측과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중간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고, 바닥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중간 구획 라인과, 바닥면 양측의 상기 제2 중간 구획 라인과 각각 양단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바닥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바닥면 전방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바닥면 상에 배치되며 상호 만나는 제2 후방 구획 라인을 포함하며,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2 구획부의 내측에 형성되며 일정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2 구획부가 형성하는 내측 영역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방지 본체와,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메인 직선부와,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메인 직선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2 보조 직선부와, 상기 제2 메인 직선부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방지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재그 형상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제2 방지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 상기 제1 방지 어셈블리, 상기 측면 미끄럼 방지부, 상기 제2 구획부 및 상기 제2 방지 어셈블리는 바닥면의 나머지 부분보다 마찰 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웃솔.
KR1020160062769A 2016-05-23 2016-05-23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KR10177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69A KR101773870B1 (ko) 2016-05-23 2016-05-23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69A KR101773870B1 (ko) 2016-05-23 2016-05-23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870B1 true KR101773870B1 (ko) 2017-09-01

Family

ID=5992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769A KR101773870B1 (ko) 2016-05-23 2016-05-23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06B1 (ko) 2017-10-18 2019-04-10 주식회사 제이드엠 3d 사이프 적용된 아웃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23Y1 (ko) * 2005-07-26 2005-12-20 백수호 신발 갑피용 기초원단
JP2011255030A (ja) 2010-06-10 2011-12-22 Bridgestone Sports Co Ltd 靴底および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223Y1 (ko) * 2005-07-26 2005-12-20 백수호 신발 갑피용 기초원단
JP2011255030A (ja) 2010-06-10 2011-12-22 Bridgestone Sports Co Ltd 靴底および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06B1 (ko) 2017-10-18 2019-04-10 주식회사 제이드엠 3d 사이프 적용된 아웃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2756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EP3148361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ner and outer midsole layers
US7204044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granular surfaces
US7730640B2 (en) High performance boot
US8516721B2 (en) Articles of footwear
EP3510885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n article of footwear
US7047672B2 (en) Sole for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US9526298B2 (en) Footwear with improved sole assembly
EP2566361B1 (en) High foot mobility shoe
US20110113646A1 (en) Articles of Footwear
CA3066563C (en) Pain prevention footwear sole
US20130036629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CN102123621A (zh) 具有鞋前部板的鞋类物品
JP2012501717A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US7748142B2 (en) Article of footwear for long jumping
EP3054803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KR101650790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KR101773870B1 (ko) 측면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신발의 아웃솔
CN113260272B (zh)
KR101638250B1 (ko) 부츠
KR20070094530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류
JP6195884B2 (ja) 耐滑性に優れた靴
CN214594507U (zh) 一种具有支撑回弹性能的运动鞋及运动鞋底
KR101805568B1 (ko) 미끄럼방지용 부츠
JP3191411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