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15B1 -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 Google Patents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15B1
KR101773415B1 KR1020150064886A KR20150064886A KR101773415B1 KR 101773415 B1 KR101773415 B1 KR 101773415B1 KR 1020150064886 A KR1020150064886 A KR 1020150064886A KR 20150064886 A KR20150064886 A KR 20150064886A KR 101773415 B1 KR101773415 B1 KR 10177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ber filter
fiber
media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801A (ko
Inventor
박성원
이우녕
우성우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15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29/00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여재 탈부착이 손쉬운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Fiber Filter Having Fixing Apparatus for Easy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Fiber Media}
본 발명은 섬유여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여재 탈부착이 손쉬운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에 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의 섬유여과기의 섬유여재 고정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섬유여과기는 섬유여재 다발(11)의 양단부를 묶어 섬유여과기(1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장치(12)에 결속시키거나, 섬유여재 다발(21)의 상부를 하나로 묶어 고리(22)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리(22)를 섬유여과기(20)의 상부에 마련된 고정장치(23)에 결속시키는 방식으로 섬유여재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섬유여과기(10, 20)의 고정장치(12, 23)는 섬유여재 다발(11, 21)의 상부를 견고히 잡아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섬유여재 다발(11, 21)을 교체함에 있어, 고정장치(12, 23)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 부품들을 모두 해체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용량 섬유여과기에서도 섬유여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 교체가 용이한 섬유여과기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62594호 (2002년 11월 14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여재를 섬유여재 걸대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섬유여과기는: 여과수 유출공이 다수 형성된 다공관, 상기 다공관 상부 또는 하부에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 및 상기 섬유여재 걸대에 의해 다공관 주위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섬유여재 다발을 포함하는 섬유여과기로서, 상기 다공관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판상형 여재걸대 고정판; 상기 여재걸대 고정판에 연장되어 장착되는 중심고정축; 및 상기 여재걸대 고정판 또는 중심고정축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에 접촉하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여재 다발의 일단부는 고리 형태의 섬유여재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후 섬유여재 걸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는: 일단부는 여재걸대 고정판 또는 중심고정축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구조이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가 섬유여재 걸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의 일단부는 용접에 의해 여재걸대 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는: 하부면이 만입된 평면상 원형상을 이루는 캡(cap) 구조이고, 중앙부에 중심고정축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구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에 고정되며, 외주면은 섬유여재 걸대와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캡구조는 평경판 구조, 접시형 경판 구조, 정반타원형 경판 구조, 근사타원형 경판 구조, 깊은접시형 경판 구조, 플로팅형 경판 구조 및 반구형 경판 구조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구는 중심고정축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팅 체결은: 상기 결속구와 중심고정축을 볼팅 체결 결속시키는 고정너트 및 상기 결속구의 위치를 고정너트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을 이용하여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판상형 또는 캡 구조이고, 중앙부에 중심고정축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가 형성되어 있고, 결속구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홈은 섬유여재 걸대가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홈은,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구는 중심고정축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팅 체결은: 상기 결속구와 중심고정축을 볼팅 체결 결속시키는 고정너트 및 상기 결속구의 위치를 고정너트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을 이용하여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섬유여과기에 따르면, 여재걸대 고정판 또는 중심고정축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섬유여재 다발을 섬유여재 걸대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여과기에 따르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섬유여재 다발을 섬유여재 걸대에 고정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섬유여재 다발을 섬유여재 걸대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여과기에 따르면, 볼팅 체결 결속 구조에 의해 섬유여재 다발을 섬유여재 걸대에 고정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섬유여재 다발을 섬유여재 걸대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도 1,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섬유여과기의 섬유여재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과기를 나타내는 정면 내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6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E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과기를 나타내는 정면내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A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과기(100)는 여과수 유출공이 다수 형성된 다공관(110), 다공관 상부 또는 하부에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 및 섬유여재 걸대에 의해 다공관 주위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다수 개의 섬유여재 다발(140)을 포함하는 섬유여과기(100)에 있어서, 여재걸대 고정판(121), 중심고정축(122) 및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재걸대 고정판(121)은 판상형 구조로서, 다공관(110)과 동일 축상에 위치하도록, 다공관(1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중심고정축(122)은 여재걸대 고정판(121)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여재걸대 고정판(121)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여재걸대 고정판(121) 또는 중심고정축(12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섬유여재 다발(140)이 여재걸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에 탈착가능한 구조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여재 다발(140)의 상부 또는 하부는 고리 형태의 섬유여재 고정부(141)에 의해 고정된 후 섬유여재 걸대(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첫 번째 타입의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일단부는 여재걸대 고정판(12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가 섬유여재 걸대(1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절곡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일단부는 용접에 의해 여재걸대 고정판(121)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소정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거나, 상기 절곡부(124)를 중심으로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일단부를 접거나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타단부를 들어올리거나 형태를 변형시켜, 섬유여재 고정부(141)를 섬유여재 걸대(120)에 결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구성 부품을 분해하거나 재조립해야하는 작업이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대비 현저히 향상된 작업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6의 B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6의 C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하부면이 만입된 평면상 원형상을 이루는 캡(cap)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중심고정축(122)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125)가 형성되어 있고, 결속구(125)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되며, 외주면은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엎어높은 캡 구조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구조는, 평경판 구조, 접시형 경판 구조, 정반타원형 경판 구조, 근사타원형 경판 구조, 깊은접시형 경판 구조, 플로팅형 경판 구조 및 반구형 경판 구조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조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125)는 중심고정축(122)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볼팅 체결은 고정너트(126) 및 이탈방지너트(127)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너트(126)는 결속구(125)와 중심고정축(122)을 볼팅 체결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너트(127)는 결속구(125)의 위치를 고정너트(126)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12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너트(127)의 최대외경은 고정너트(126)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부와 하부 방향에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의도에 의해,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된 고정너트(126)를 회전시켜 고정너트(126)의 상하위치를 변경시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상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상하 위치 변경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손쉽게 섬유여재 고정부(141)를 탈착시킬 수 있으며, 구성 부품을 분해하거나 재조립해야하는 작업이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대비 현저히 향상된 작업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의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는 도 11의 D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1의 E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128)이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 중심고정축(122)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129)가 형성되어 있고, 결속구(129)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홈(128)은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평면상 원형을 이루는 판상형 또는 캡 구조의 부재로서,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홈(128)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홈(128)은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홈(128)은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와 맞닿으며 섬유여재 걸대(120)의 일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홈(128)의 형상 및 크기는 섬유여재 걸대(120)와 대응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구(129)는 중심고정축(122)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언급한 볼팅 체결은 고정너트(126) 및 이탈방지너트(127)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너트(126)는 결속구(125)와 중심고정축(122)을 볼팅 체결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너트(127)는 결속구(125)의 위치를 고정너트(126)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12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너트(127)의 최대외경은 고정너트(126)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부와 하부 방향에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의도에 의해,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된 고정너트(126)를 회전시켜 고정너트(126)의 상하위치를 변경시켜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상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상하 위치 변경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법은, 손쉽게 섬유여재 고정부(141)를 탈착시킬 수 있으며, 구성 부품을 분해하거나 재조립해야하는 작업이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래 기술대비 현저히 향상된 작업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소용량 섬유여과기
11: 섬유여재 다발
12: 고정장치
20: 대용량 섬유여과기
21: 섬유여재 다발
22: 고리
23: 고정장치
100: 섬유여과기
110: 다공관
120: 섬유여재 걸대
121: 여재걸대 고정판
122: 중심고정축
123: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
124: 절곡부
125: 결속구
126: 고정너트
127: 이탈방지너트
128: 홈
129: 결속구
140: 섬유여재 다발
141: 섬유여재 고정부

Claims (13)

  1. 여과수 유출공이 다수 형성된 다공관(110), 상기 다공관 상부 또는 하부에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 및 상기 섬유여재 걸대에 의해 다공관 주위에 인접하여 고정되는 섬유여재 다발(140)을 포함하는 섬유여과기(100)에 있어서,
    상기 다공관(110)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판상형 여재걸대 고정판(121);
    상기 여재걸대 고정판(121)에 연장되어 장착되는 중심고정축(122); 및
    상기 여재걸대 고정판(121) 또는 중심고정축(122)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에 탈부착되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
    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여재 다발(140)의 일단부가 고리 형태의 섬유여재 고정부(141)에 의해 고정된 후 섬유여재 걸대(120)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속되고,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가 섬유여재 걸대(1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절곡부(124) 또는 만입된 구조 또는 굴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일단부는 여재걸대 고정판(121)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구조이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가 섬유여재 걸대(1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절곡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의 일단부는 용접에 의해 여재걸대 고정판(12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하부면이 만입된 평면상 원형상을 이루는 캡(cap) 구조이고,
    중앙부에 중심고정축(122)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1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속구(125)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되며, 외주면은 섬유여재 걸대(120)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구조는 평경판 구조, 접시형 경판 구조, 정반타원형 경판 구조, 근사타원형 경판 구조, 깊은 접시형 경판 구조, 플로팅형 경판 구조 및 반구형 경판 구조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선택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25)는 중심고정축(122)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볼팅 체결은:
    상기 결속구(125)와 중심고정축(122)을 볼팅 체결 결속시키는 고정너트(126) 및
    상기 결속구(125)의 위치를 고정너트(126)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12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127);
    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여재 고정부 걸림장치(123)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128)이 형성된 캡 구조이고,
    중앙부에 중심고정축(122)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구(129)가 형성되어 있고, 결속구(129)를 이용하여 중심고정축(122)에 고정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홈(128)은 섬유여재 걸대(120)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홈(128)은, 방사형 가지로 형성된 섬유여재 걸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129)는 중심고정축(122)과 볼팅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팅 체결은:
    상기 결속구(129)와 중심고정축(122)을 볼팅 체결 결속시키는 고정너트(126) 및
    상기 결속구(129)의 위치를 고정너트(126)에 고정시키도록, 고정너트(12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볼팅 체결되는 이탈방지너트(127);
    을 이용하여 볼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여과기.
KR1020150064886A 2015-05-08 2015-05-08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KR10177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86A KR101773415B1 (ko) 2015-05-08 2015-05-08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886A KR101773415B1 (ko) 2015-05-08 2015-05-08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01A KR20160131801A (ko) 2016-11-16
KR101773415B1 true KR101773415B1 (ko) 2017-08-31

Family

ID=5754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886A KR101773415B1 (ko) 2015-05-08 2015-05-08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594B1 (ko) 2001-02-27 2002-11-29 (주)성신엔지니어링 공극 제어형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01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7253B1 (en) Module for assembly of a disc filter
US10562002B2 (en) Easy clean catalyst filter basket
US10143952B2 (en) Filter frame
RU2440171C1 (ru) Дисковое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8349048B2 (en) Filter arrangement
CN208799972U (zh) 过滤膜组件及过滤装置
RU2017135071A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вращающимся барабаном
KR101773415B1 (ko) 섬유여재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섬유여과기
JP5643311B2 (ja) 容器、特に圧力容器
RU2019102030A (ru) Хим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содержащий плавающую тарелку
WO2015122966A1 (en) Cleaning system
JPH10513116A (ja) 濾過装置
KR101599208B1 (ko) 착탈형 집진후드
US6706182B2 (en) Caged pleated filter cartridge assemblies and filtration systems employing the same
KR200479114Y1 (ko) 디스크형 여과장치의 필터
CN102600651B (zh) 可拆卸烛式滤芯
WO2013183639A1 (ja) フィルタ装置
US9764289B2 (en) Membrane securement device
JP2014074239A (ja) 紡糸口金パック
CN102240471A (zh) 过滤装置
JP2019130438A (ja) 産業用集塵機のカートリッジ型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WO2015199145A1 (ja) カートリッジホルダー及びカートリッジ装置
KR101805645B1 (ko) 섬유여과기의 여재걸대 마운트
KR10118092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에어필터
CN202506199U (zh) 可拆卸烛式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