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293B1 - 분리형 창틀 - Google Patents

분리형 창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293B1
KR101773293B1 KR1020160041909A KR20160041909A KR101773293B1 KR 101773293 B1 KR101773293 B1 KR 101773293B1 KR 1020160041909 A KR1020160041909 A KR 1020160041909A KR 20160041909 A KR20160041909 A KR 20160041909A KR 101773293 B1 KR101773293 B1 KR 10177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detachable
frame member
present
separat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노열
김한솔
손은선
유상인
최덕원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창틀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면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부재와,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는 하단창틀; 상기 하단창틀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 각각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상기 탈부착부재와 탈착되는 제1탈부착수단을 갖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창문 가이드레일을 갖는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 사이, 상기 하단창틀 상부면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슬라이드 부재가 형성된 제2분리형 창틀부재를 포함하여, 분리되는 창틀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3개로 분리될 수 있고, 탈착시 먼지 분산을 최소화하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의 중앙부까지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 분리향 창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창틀{Separate type window frame}
본 발명은 분리형 창틀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되는 창틀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3개로 분리될 수 있고, 탈착시 먼지 분산을 최소화하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의 중앙부까지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한 분리형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일측은 하단창틀이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그 타측에는 직각방향으로 수직창틀을 삽입후 열융착, 또는 하단창틀과 수직창틀이 별도의 연결재에 의해 비스결합이 이루어져 창틀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창틀 상부의레일 상에서 호차가 설치된 창문이 구동을 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산업화의 시작과 더불어 자동차와 공장의 매연, 중국의 황사 등 대기오염이 발생하여 연간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 사망자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실외 대기오염으로 인한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내유입 역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실내에 대기오염 물질이 유입되면서 오염물질이 창틀에 쌓여 2차 유입에 대한 유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창틀에 쌓인 먼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할 필요가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 창틀청소는 대부분 창문이 장착된 상태에서 물청소, 걸레질로 청소를 할 수 밖에 없으며 창틀하단의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창틀에서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리형 창틀이 도입되었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창틀(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분리형 창틀(1) 중앙부의 부분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분리형 창틀은 창문(3)이 장착된 상태에서 2개의 분리형 창틀부재(2)를 하단창틀(4)에서 분리 가능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에 손잡이나 개폐장치의 유무에 따라 창틀 중앙부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중앙부를 제대로 청소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탈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분리되는 창틀로 인한 틈새바람에 쉽게 침투될 수 있어 열손실이 증가된다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창틀의 중앙부 역시 손쉽게 청소가 가능하고,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된 분리형 창틀이 요구되었다.
등록 실용신안 제0347417호 등록 실용신안 제0347418호 공개 특허 제200300081914호 공개 실용신안 제1999-003485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되는 창틀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3개로 분리될 수 있고, 탈착시 먼지 분산을 최소화하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의 중앙부까지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한 분리형 창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면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부재와,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는 하단창틀; 상기 하단창틀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 각각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상기 탈부착부재와 탈착되는 제1탈부착수단을 갖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창문 가이드레일을 갖는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 사이, 상기 하단창틀 상부면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슬라이드 부재가 형성된 제2분리형 창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창틀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창착시,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상기 제2분리형 창틀부재가 접촉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가이드레일 간의 접촉면은 만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창착시,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상기 제2분리형 창틀부재가 접촉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끝단면은 돌출부와 삽입부가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만곡면에는 다수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창문 가이드 레일의 양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람막이 부착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되는 창틀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3개로 분리될 수 있고, 탈착시 먼지 분산을 최소화하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의 중앙부까지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창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분리형 창틀 중앙부의 부분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분해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의 분해 부분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결합상태는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창틀의 부분 사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상태의 분리형 창틀의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서 일측 제1분리형 창틀부재를 탈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1c는 도 11b에서 제2분리형 창틀부재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분해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의 분해 부분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결합상태는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창틀(10)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은 전체적으로, 하단창틀(10),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20),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는 하단창틀(10)에 탈착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창틀(1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다수의 탈부착부재가 장착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부재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탈부착수단이 탈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탈부착부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단창틀(10)의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어지는 한 쌍의 가이드부(12)가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가이드부(12)는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창틀(10)의 상부 일측단에 탈부착되는 일측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하단창틀(10)의 상부 타측단에 탈부착되는 타측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로 한 쌍의 구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하부판(21)의 하단면에는 앞서 언급한 하단창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 탈부착되어질 수 있는 탈부착수단에 해당하는 돌출단(22)을 갖게 된다. 또한, 열손실을 최초화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판의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와 접촉하게 되는 일측 끝단면은 돌출부(23)와 삽입부(24)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형상은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와 형상맞춤되게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하부판(21)의 상부로는 한 쌍의 창문 가이드레일(25)이 형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25)은 창문(3)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되며, 하부판(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와 접촉되게 되는 끝단면은 만곡면(27)으로 형성되게 되며, 이러한 만곡면(27)에는 다수의 돌출돌기가 구비되게 되며,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창문 가이드레일(35)과 형상맞춤되게 된다.
이러한 창문 가이드레일(25)의 끝단면을 만곡면(27)으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창문 가이드레일(25) 각각의 양측면 각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가 탈부착되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바람막이 부착용 홈(26)이 형성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는 장착시, 앞서 언급한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 각각이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끝단면과 형상맞춤되어지도록 구성되게 된다.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는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기본적인 구성을 공유하나, 하부판(31)의 하단에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지 않고, 하단창틀(10)의 가이드부(12)에 의해 용이하게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부재(34)가 구비되게 된다.
또한, 장착시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형상맞춤되어질 수 있도록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하부판(31)의 양 끝단 모두에 돌출부(32)와 삽입부(33)를 갖고, 제2분리형 창틀부재(30)의 한 쌍의 가이드레일(35)의 양 끝단면 각각은 만곡면(37)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만곡면(37)에는 다수의 돌출돌기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창문 가이드레일(35) 각각의 양측면 각각에는, 바람막이가 탈부착되어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바람막이 부착용 홈(36)이 형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의 탈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결합된 상태의 분리형 창틀(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도 11a에서 일측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를 탈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c는 도 11b에서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창틀을 청소하기 위하여,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탈착하는 방법은 먼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3)을 모두 하부창틀의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창틀의 일측에 장착된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를 탈착시키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의 하부판(21) 하단에는 탈부착수단인 돌출단(22)이 구비되며, 이러한 돌출단(22)이 하단창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사용자는 돌출단(22)을 삽입홈(11)에서 탈착시켜,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를 하부창틀에서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일측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20)를 탈착시킨 후,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은 제1분리형 창틀부재(20)과,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분리시킬 수 있어, 제1분리형 창틀부재(20)와, 제2분리형 창틀부재(30)를 모두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10)의 일측, 타측 뿐 아니라, 중앙부 역시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창틀(100)에 따르면, 분리되는 창틀부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면서 3개로 분리될 수 있고, 탈착시 먼지 분산을 최소화하며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집중응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창틀(10)의 중앙부까지 효율적으로 청소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종래 분리형 창틀
2:종래 분리형 창틀부재
3:창문
4:종래 하단창틀
10:하단창틀
11:삽입홈
12:가이드부
20:제1분리형 창틀부재
21: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
22: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돌출단
23: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돌출부
24: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삽입부
25: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가이드레일
26: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바람막이부착용 홈
27:제1분리형 창틀부재의 만곡면
30:제2분리형 창틀부재
31: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
32: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돌출부
33: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삽입부
34: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하부판의 슬라이드 부재
35: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가이드레일
36: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바람막이부착용 홈
37:제2분리형 창틀부재의 만곡면
100:분리형 창틀

Claims (4)

  1. 상부면의 일측과 타측 각각에 구비되는 탈부착부재와,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는 하단창틀;
    상기 하단창틀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 각각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상기 탈부착부재와 탈착되는 제1탈부착수단을 갖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창문 가이드레일을 갖는 한 쌍의 제1분리형 창틀부재; 및
    한 쌍의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 사이, 상기 하단창틀 상부면에 탈부착되며, 하단면에 슬라이드 부재가 형성된 제2분리형 창틀부재를 포함하고,
    장착시,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상기 제2분리형 창틀부재가 접촉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가이드레일 간의 접촉면은 만곡면으로 구성되며,
    장착시, 상기 제1분리형 창틀부재와 상기 제2분리형 창틀부재가 접촉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끝단면은 돌출부와 삽입부가 교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창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면에는 다수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창문 가이드 레일의 양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람막이 부착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창틀.
KR1020160041909A 2016-04-05 2016-04-05 분리형 창틀 KR10177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09A KR101773293B1 (ko) 2016-04-05 2016-04-05 분리형 창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09A KR101773293B1 (ko) 2016-04-05 2016-04-05 분리형 창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293B1 true KR101773293B1 (ko) 2017-09-13

Family

ID=5996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09A KR101773293B1 (ko) 2016-04-05 2016-04-05 분리형 창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2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2657A1 (zh) * 2019-07-23 2021-01-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2282540A (zh) * 2019-07-23 2021-0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冰箱
CN112282541A (zh) * 2019-07-23 2021-0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异形板的冰箱
CN112302450A (zh) * 2019-07-23 2021-02-0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异形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2360267A (zh) * 2019-07-23 2021-02-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955A (ja) 2000-12-25 2002-07-10 Tateyama Alum Ind Co Ltd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掃除構造)
KR200367886Y1 (ko) * 2004-07-28 2004-11-17 조웅희 조립식 창틀
KR100530240B1 (ko) 2005-09-02 2005-11-22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회동식 창틀 구조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JP2008308986A (ja) * 2003-02-17 2008-12-25 Shin Nikkei Co Ltd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レール部着脱自在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955A (ja) 2000-12-25 2002-07-10 Tateyama Alum Ind Co Ltd 屋外用バリアフリーサッシの高水密装置(掃除構造)
JP2008308986A (ja) * 2003-02-17 2008-12-25 Shin Nikkei Co Ltd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レール部着脱自在構造
KR200367886Y1 (ko) * 2004-07-28 2004-11-17 조웅희 조립식 창틀
KR100530240B1 (ko) 2005-09-02 2005-11-22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회동식 창틀 구조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2657A1 (zh) * 2019-07-23 2021-01-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2282540A (zh) * 2019-07-23 2021-0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冰箱
CN112282541A (zh) * 2019-07-23 2021-0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异形板的冰箱
CN112302450A (zh) * 2019-07-23 2021-02-0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异形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2360267A (zh) * 2019-07-23 2021-02-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2282540B (zh) * 2019-07-23 2022-06-24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活动板的冰箱
CN112302450B (zh) * 2019-07-23 2022-07-1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带有异形板的铰链组件及具有其的冰箱
AU2020319114B2 (en) * 2019-07-23 2023-05-25 Haier Smart Home Co., Ltd. Hinge assembly having movable plate, and refrigerator having hing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293B1 (ko) 분리형 창틀
RU2346834C1 (ru) Узел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JP4975748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とのロック装置
JP2007253924A (ja) フレームレスワイパーとフックタイプワイパーアーム専用の接続装置
KR200460788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CN205476234U (zh) 一种装饰板的连接结构
KR200408112Y1 (ko) 방충창용 상부 모서리연결구
WO2008136579A1 (en) Automobile wiper-blade
CN211278016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成型磨床护罩
CN210526481U (zh) 一种可更换胶条的通用无骨雨刷
CN211493986U (zh) 一种具有双刮刀结构的雨刷胶条及无骨雨刮器
KR101475804B1 (ko) 단열재의 탈착이 가능한 창호
CN209870337U (zh) 后窗无骨雨刷及其接头
JP3893594B2 (ja) 建具
KR200448665Y1 (ko) 차량용 와이퍼
KR200447523Y1 (ko) 정수기 전판의 설치구조
KR10166411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200216496Y1 (ko) 창틀용 샤시 구조
US2916760A (en) Connector for a windshield wiper arm unit
JP7493264B2 (ja) ワイパー
KR200492159Y1 (ko) 창문틀 일체형 프레임을 구비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CN218736566U (zh) 一种连接吸尘器的宠物刮毛器
CN214492820U (zh) 雨刷
CN211130754U (zh) 多士炉
CN209719522U (zh) 一种雨刮片胶条固定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