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668B1 -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668B1
KR101772668B1 KR1020170061228A KR20170061228A KR101772668B1 KR 101772668 B1 KR101772668 B1 KR 101772668B1 KR 1020170061228 A KR1020170061228 A KR 1020170061228A KR 20170061228 A KR20170061228 A KR 20170061228A KR 101772668 B1 KR101772668 B1 KR 10177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ainer
connection
stop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유재원
김정욱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1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0031
    • A61M1/0003
    • A61M1/003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저진공압력으로 환자의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은,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공간부와 연결된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일부분을 눌러 변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용기 출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의 통공과 연통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기부의 진공 정도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튜브가 관통하는 관통로가 구비된 조절부 본체; 상기 조절부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튜브의 직경이 눌려 변화되도록 전후진하는 압박부재; 및 상기 압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제1튜브를 압박하거나 후진하여 해제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전후진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Medical Suction Unit System}
본 발명은 저진공압력으로 환자의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흡인기는 환자의 수술하는 부위 또는 중환자의 기도 등에 차는 분비물을 저진공압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흡인 배출토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의료용 흡인기는 흡인력을 제공하고, 흡인되는 체액을 저장하는 흡인 용기 및 인체 내에 삽입되어 체액의 흡인을 유도하는 배액관(drainage tube), 상기 흡인 용기와 배액관을 연결하는 연결튜브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액을 흡인하는 방식으로는 보통 수동 진공형성 방식, 프리 진공(pre-vacuumed) 방식을 이용한다.
이중, 수동 진공형성 방식을 이용하는 의료용 흡인기는 손으로 가압하여 용기 내의 공기를 제거하면 탄성부재의 복귀성질에 의해 흡인 용기 내에 진공을 형성하여 체액을 흡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 진공형성 방식의 의료용 흡인기는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인 압력이 결정되고, 체액 흡인에 따라 흡인압력이 급격이 감소하며, 급격한 압력 감소로 인하여 규정된 흡인 용기의 양을 채우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프리 진공 방식을 이용하는 의료용 흡인기는 제조 과정에서 내압 설계된 흡인 용기를 미리 진공으로 만들어 생산되기 때문에 사용 전까지 용기의 흡인 압력을 유지할 수 있고, 흡인된 체액의 양을 정확하게 표시가 가능하고, 규정된 흡인 용기의 용량을 채우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 전 외부에서 육안으로 흡인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사용 도중에도 흡인 용기 내부의 진공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흡인기 시스템은 흡인기로 흡인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얇은 튜브를 대상으로 개발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두꺼운 튜브를 사용하는 흡인기에 적용하게 되면 조절이 힘들고 튜브의 탄력에 밀려 제대로 조절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튜브의 연결은 연성의 튜브를 연결구 등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우고 사용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연결이 해제되어 풀리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4855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인기로부터 환자까지의 연결, 사용, 그리고 유지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공간부와 연결된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일부분을 눌러 변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용기 출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통공과 연통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기부의 진공압의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공간부와 연결된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일부분을 눌러 변형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튜브가 관통하는 관통로가 구비된 조절부 본체; 상기 조절부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튜브가 눌려 변형되도록 전후진하는 압박부재; 및 상기 압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제1튜브를 압박하거나 후진하여 해제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전후진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부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고, 측면에 상기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의 출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용기의 상단에 연결되는 마개 연결관; 및 상기 마개 연결관의 유입구를 차폐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 연결관의 측면에는 상기 통공의 주변으로 상기 마개 연결관과 수직하는 보조관이 일체로 형성된 T-자형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보조관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관의 단부에는 상기 신축수단을 감싸도록 중공의 커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는 상기 신축수단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신축수단이 팽창하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개는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기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수단은 일측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자바라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축수단은 개구의 내측에 보강을 위해 중공의 부시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부 본체에는 상기 압박부재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로에 수직으로 연통하는 실린더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과,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의 내면에 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이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전후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은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노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박부재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양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박부재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 본체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부재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튜브를 제2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제2튜브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구비한 연결관 본체; 및 상기 제2튜브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 중 하나의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2튜브의 삽입된 부분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 본체는 1개의 제1연결관과 2개의 제2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하나가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나머지 제2연결관은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T자형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 본체는 상기 연결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용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원판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상기 연결관 본체와 나사 결합하여 조여지면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용 원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양면이 경사면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 본체와 상기 조임부재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각각 설치된 도난방지용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부재 외면에는 상기 도난방지용 와이어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조립용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부재의 외면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튜브가 연결되지 않은 연결관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삽입되는 일단이 밀폐된 밀폐용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 본체에는 수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재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는 타원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흡입된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진공 정도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수단을 용기부의 외부에 구비하여, 외부로 노출된 신축수단의 신축 정도에 따라 용기부의 진공 여부는 물론 진공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신속하게 체액을 배액할 수 있어 조직 층간의 사이를 좁혀주며, 항생제 사용을 줄여줌으로써 치유기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3) 본 발명은 배액되는 체액의 양을 조절부를 통하여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압력으로 체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4) 본 발명은 튜브를 연결관 본체에 연결한 다음 조임부재로 조이게 되기 때문에 연결 상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튜브를 연결관 본체에 연결하고 나사 방식의 조임부재로 끝까지 조이게 되면 연결관 본체의 돌출부가 조임부재의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역회전이 방지되어 튜브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인 튜브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튜브 연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튜브 연결부의 사용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인 용기부의 인디케이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이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의 일부 구성요소인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조절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부분 단면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조절부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용기부(100), 조절부(200),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은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이다.
상기 용기부(1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는 용기(110)와, 마개부(120)와, 신축수단(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100)는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써, 흡입된 체액이 수용되는 용기(110)의 진공 정도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수단(122a)을 용기(110)의 외부에 구비하여, 외부로 노출된 신축수단(122a)의 신축 정도에 따라 용기(110)의 진공 여부 및 진공 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용기(110)는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출입구(1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구(113)를 통해 체액이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공간부가 진공상태 또는 저압상태이기 때문에 압력 차이로 인해 체내의 체액이 비교적 저압 상태인 공간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례로, 용기(110)는 병(bottle)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10)는 수집된 체액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입구(113)는 용기(110)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출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10)는 외측면에 거치 및 고정을 위해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110)는 외측면에 그립(grip)이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파지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복수의 마찰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110)는 공간부에 저장되는 체액의 용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용량을 표시하는 눈금을 형성할 수 있다.
마개부(120)는 상기 용기부(100)의 출입구(113)를 밀폐시키도록 용기부(10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출입구(120)와 연통하는 통공(113a)이 형성된다.
일례로, 마개부(120)는 내측에 상기 용기부(100)의 출입구(113)와 연통하는 중공을 형성하고, 이 중공은 상기 통공(113a)과 연통된다.
따라서, 통공(113a)은 중공을 통해 용기부(100)의 출입구(113) 및 공간부와 연통하게 되고, 용기부(100)의 공간부와 마개부(120)의 중공에는 내부의 압력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부(100)의 공간부가 진공 상태라면, 마개부(120)의 중공 역시 진공상태이고, 용기부(100)의 공간부가 진공 상태가 아니라면, 마개부(120)의 중공 역시 진공상태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에 제1튜브(12)가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마개부(120)는 인체 내에 삽입되어 체액의 흡인을 유도하는 배액관(drainage tube)과 제1튜브(12)를 통해 연결된다.
일례로, 상기 제1튜브(12)의 일측 단부는 마개부(120)를 관통하여 마개부(120)의 중공에 위치되고, 타측 단부는 배액관인 제2튜브(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튜브(11)를 통해 체외로 배출된 체액이 제1튜브(12)를 통해 용기부(100)로 수집될 수 있다.
신축수단(122a)은 상기 마개부(120)의 통공(113a)과 연통하도록 상기 마개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기부(100)의 진공 정도에 따라 신축한다.
신축수단(122a)은 용기부(100)가 진공상태일 경우 수축하고, 용기부(100)에 기체 등이 유입하면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높아진 압력에 대응하여 팽창하면서 외부로 용기부(100)의 진공 여부를 알리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신축수단(122a)은 탄성재질로 제작되거나, 재질과 상관없이 주름진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용기부(100)의 진공정도에 따라 신축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신축수단(122a)은, 일측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용기의 형상을 취하되, 측면에는 자바라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바라 주름이 접혔다 펴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신축수단(122a이 용기부(100)의 진공 정도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축수단(122a)은 개구의 내측에 보강을 위해 중공의 부시(12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시(122)는 소정의 강도를 구비하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신축수단(122a)의 개구가 형성된 일측 단부가 통공과 연통하도록 마개부(120)에 연결되면서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개구가 막힐 수 있고, 신축수단(122a)이 마개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수단(122a)과 마개부(120)의 결합력을 유지하고, 그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가 형성된 일측 단부에 부시(123)를 끼운다.
상기 용기부(100)가 진공상태일 경우, 상기 신축수단(122a) 또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상기 신축수단(122a)이 팽창된 이유는, 용기부(100)에 기체 등이 유입하면서 내부 압력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축수단(122a)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용기부(100)가 진공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신축수단(122a)이 팽창되었다면, 외부로부터 기체가 유입되어 용기부(100)의 내부 압력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수단(122a)의 팽창 정도에 따라 용기부(100)의 내부 압력 증가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개부(120)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고, 측면에 상기 통공(113a)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110)의 출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용기(110)의 상단에 연결되는 마개 연결관(113)과, 상기 마개 연결관(113))의 유입구를 차폐하는 마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마개 연결관(113)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은 통공(113a)은 물론, 유입구와 배출구와도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제1튜브(12)가 마개 연결관(1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튜브(12)는 유입구를 차폐하고 있는 마개(114)를 관통하여 마개 연결관(113)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유입구에서 마개(114)를 분리시킨 후 개방된 유입구를 통해 마개 연결관(113)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튜브(12)의 일측 단부는 마개 연결관(113)을 경유해서 용기(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튜브(12)가 용기부(100)의 공간부까지 삽입되면, 제1튜브(12)로 이송된 체액이 마개 연결관(113)이 아닌 용기부(100)로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연결관(113)의 측면에는 상기 통공(113a)의 주변으로 상기 마개 연결관(113)과 수직하는 보조관(113b)이 일체로 형성된 T-자형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수단(122a)은 상기 보조관(113b)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개 연결관(113)이 T-자형으로 형성되면, 신축수단(122a)은 마개 연결관(113)과 수직하게 형성된 보조관(113b)에 연결된다. 따라서, 마개 연결관(113)의 내부에 제2튜브(12)가 끼워지더라도 신축수단(122a)과 제1튜브(1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신축수단(122a)은 제1튜브(12) 또는 제1튜브(12)에서 배출된 체액에 방해 받지 않고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용기부(100)의 진공여부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관(113b)은 연결관(113)의 중공 및 용기부(100)의 공간부와 연통된 상태이며, 보조관(113b)과 연결관(113)은 공간부와 동일한 압력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부(100)의 공간부가 진공 상태라면, 연결관(113)과 보조관(113b) 역시 진공상태이며, 용기부(100)의 공간부가 진공 상태가 아니라면, 연결관(113)과 보조관(113b) 역시 진공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보조관(113b)에 연결된 신축수단(122a)은 용기부(100)의 진공 여부에 따라 신축할 수 있다.
상기 통공(113a)의 직경은 상기 보조관(113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공(113a)의 직경이 작게 형성될 경우, 연결관(113)에 삽입된 제1튜브(12)에서 배출된 체액이 통공(113a)을 통해 보조관(113b)으로 침범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관(113b)의 단부에는 상기 신축수단(122a)을 감싸도록 중공의 커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신축수단(122a)의 외경은 커버부재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외부에서 상기 신축수단(122a)의 신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는 상기 신축수단(122a)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신축수단(122a)이 팽창하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의 길이가 신축수단(122a)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신축수단(122a)이 팽창하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면, 커버부재를 기준 삼아 신축수단(122a)이 커버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경우 신축수단(122a)이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 것이기 때문에 용기부(100)가 진공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신축수단(122a)이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경우 신축수단(122a)이 팽창한 것이기 때문에 용기부(100)의 진공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를 기준으로 신축수단(122a)이 커버부재의 내부로 수용된 정도 및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기준으로 용기부(100)의 진공상태가 얼마만큼 유지되고 얼마만큼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관(113b)은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보조관(113b)이 끼워지는 일측 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체결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는 보조관(113b)의 단부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손쉽게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신축수단(122a)은 외주면에 상기 걸림부와 상기 보조관(113b)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3)을 용기부(100)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캡(111)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캡(111)은 중공을 형성하고,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또한,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10)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출입부가 형성되고, 출입구는 상기 출입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출입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오링(112)을 가압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개(114)는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기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114)가 탄성재질로 구비되면, 마개(114)의 탄성에 의해 마개(114)가 유입구에 압입되면서 유입구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마개(114)에 기저부)가 형성될 경우, 기저부에 주사 바늘(140) 등을 꽂는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기저부는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기저부를 관통해서 제1튜브(12) 연결관(113) 내부로 끼울 수 있다.
여기서는, 주사 바늘(140)이 마개(114)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주사 바늘(140)은 홀더(141)에 끼워지며, 홀더(141)는 제1튜브(12) 끝단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또한 홀더(141) 외면에는 캡(130)이 마개 연결관(113)과 나사 결합되어 홀더(141)를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조절부(200)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조절부 본체(210)와 압박부재(2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 본체(210)는, 상기 제1튜브(12)가 관통하는 관통로(21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 본체(210)에는 상기 압박부재(230)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로(211)에 수직으로 연통하는 실린더부재(212)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재(212)의 외면과,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220)의 내면에, 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220)이 상기 실린더부재(212)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전후진하게 된다.
상기 압박부재(230)는, 상기 조절부 본체(2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튜브(12)의 직경이 눌려 변화되도록 전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박부재(230)는 끝단(230a)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양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튜브(12)는 끝단(230a)에 의해 눌리게 된다.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220)은 상기 압박부재(230)가 전진하여 상기 제1튜브(12)를 압박하거나 후진하여 해제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튜브(12)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220)은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노브(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230)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 본체(210)에는 레일(212a)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부재(230)에는 상기 레일(212a)이 삽입되는 레일 홈(230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212a)과 레일 홈(230b)에 의해 상기 압박부재(230)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진만 하게 된다.
결국, 상기 회전노브(2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압박부재(230)가 전후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튜브(12)를 제2튜브(11)와 연결하게 되고, 연결관 본체(310)와 조임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 본체(31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튜브(10 : 11, 1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연결관(311,312,313)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 본체(310)는 1개의 제1연결관(311)과 2개의 제2연결관(312,313)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311)과 상기 제2연결관(312) 중 하나가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나머지 제2연결관(313)은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관(311)은 대직경의 튜브(12)가 상기 흡인기 용기부(100)와 연결하고, 제2연결관(312)은 소직경의 튜브(11)가 환자에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 본체(310)는 상기 제2연결관(312,313)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용 원판(31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원판(314)은 상기 제2연결관(312,313)들에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조임부재(320)가 소직경 튜브(11)를 조인 다음 물리적으로 멈추도록 스톱퍼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즉 조립 시 그 이상 조입부재(320)는 상기 고정용 원판(314)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원판(314)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된 돌출부(314a)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재(320)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부(314a)가 삽입되는 삽입홉부(320c)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재(320)가 상기 연결관 본체(310)와 나사 결합하여 조여지면 상기 삽입홈부(320c)에 상기 돌출부(314a)가 삽입되어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314a)는 90도 각도마다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부(320c)는 45도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14a)는 상기 고정용 원판(314)으로부터 돌출되는 양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돌출부(314)의 양면이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더욱 타이트하게 조일 수 있게 되고, 더욱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동작부분에서 후술한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소직경 튜브(11)가 연결되지 않은 제2연결관(313)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제2연결관(313)의 외면에 삽입되는 일단이 밀폐된 밀폐용 튜브(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는 제2연결관(313)은 폐쇄하여 압력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연결관 본체(310)에는 수나사인 평판 나사부(315)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재(320)에는 암나사(321)가 구비되어 나사 결합되되, 상기 제2연결관(312)의 외면에 형성된 평판 나사부(315)는 타원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부재(320)의 내측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임나사(321)를 구비토록 하고, 상기 연결관 본체(310)에는 구조의 간결함을 위하여 하나의 산으로 이루어진 수나사인 평판 나사부(315)를 평판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평판 나사부(315)는 상기 제2연결관(312)의 외면으로부터 180도 마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상기 평판 나사부(315)는 180도마다 돌출되되, 나머지 부분인 측면은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 조임부재(32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튜브(11)가 중앙 관통구(320a)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관(312)의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제2연결관(312)의 외면에 형성된 평판 나사부(315)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322)가 평판 나사부(315) 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튜브(11)의 삽입된 부분을 외측 방향에서 압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320)의 외면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323)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손잡이부(323)는 180도 각도마다 돌출된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상기 손잡이부(323)에 각각 걸고 상기 조임부재(32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 본체(310)와 상기 조임부재(320)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각각 설치된 도난방지용 와이어(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320) 외면에는 상기 도난방지용 와이어(330)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조립용 홈부(320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도난방지용 와이어(330)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관(311)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관(311)의 조립용 홈부(320b)에 역시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부재(320)가 연결관 본체(310)에 항시 연결되어 도난이 방지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조임부재(320)는 내부에 튜브(1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면에는 상기 손잡이부(323)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임부재(320)의 내측 암나사(321)의 끝단에는 조임부(322)가 형성되어 있는데, 물론 그 내경은 상기 암나사(321)보다 작고 상기 튜브(11)의 외경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도 5의 확대도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부재(320)가 조립되어 상기 조임부(322)가 상기 제2연결관(312)에 이르게 되면 전진하면서 상기 제2연결관(312) 외면에 삽입되어 벌어진 상태의 튜브(11)의 외면을 압박하게 된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조임부재(322)에는 전단부에 상기 삽입홈부(320c)가 45도 각도마다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320c)는 그 단면이 직각의 사각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삽입홈부(320c)는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314a)는 그 단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튜브 연결장치(3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용기부(100)에 연결캡(130)을 이용하여 대직경 튜브(12)를 연결하고 조절부(200)에 대직경 튜브(12)를 삽입하여 흡입기의 용기부(100)와 대직경 튜브(12)의 연결을 완성한다.
그 다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대직경 튜브(12) 끝단을 상기 제1연결관(311)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한다.
그 다음,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소직경 튜브(11)를 상기 조임부재(320)의 중앙 관통구(320a)를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제2연결관(312)의 외면에 삽입한다. 상기 소직경 튜브(12)가 제2연결관(312)에 연결 고정되면 상기 조임부재(320)를 전진시켜 상기 조임부재(320)의 내측 암나사(321)가 상기 평판 나사부(315)와 나사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와 검지를 상기 손잡이부(323)에 걸고 상기 조임부재(320)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나사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임부재(320)를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조임부재(320)의 끝단은 상기 조립용 원판(314) 근처에 이르게 되고, 이때부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조임부(322)가 상기 튜브(11)와 제2연결관(312)이 겹쳐진 부분을 압박하게 된다. 이때가 도 6의 왼쪽 그림과 같이 상기 돌기부(314a)가 상기 삽입홈부(320c)에 삽입되기 바로 직전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3)를 이용하여 더 회전시키면, 도 6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상기 돌기부(314a)의 일부가 상기 삽입홈부(320c)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제2연결관(312)과 조임부재(320)가 나사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320)를 더 돌리면, 상기 삽입홈부(320c)가 상기 돌기부(314a)의 경사면을 타고 넘으면서 한 피치 정도, 여기서는 약 45도 정도, 더 회전하게 되고, 결국에는 상기 조임부재(320)의 끝단이 상기 조립용 원판(314) 면에 거의 접촉할 정도로 가까워져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상기 조임부재(320)와 상기 제2연결관(312)이 조립되기 때문에 반대로 회전시켜 분리하는 것은 아주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웬만해서는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연결이 해제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렇게 튼튼한 연결을 유지하는 것은 상기 돌출부(314a)의 단면이 양쪽에 경사면을 가진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만약 상기 돌출부(314a)와 상기 삽입홈부(320c)가 모두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지면 이러한 조립을 구현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연결관(312,313) 중에 직각으로 분기된 제2연결관(313)은 밀폐 튜브(13)로 밀폐하여 조립 및 연결을 완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튜브
11 : 제2튜브 12 : 제2튜브
100 : 용기부 110 : 용기
120 : 마개부 130 : 캡
200 : 조절부 210 : 조절부 본체
220 : 회전노브 230 : 압박부재
300 : 의료용 튜브 연결장치 310 : 연결관 본체
311 : 제1연결관 312, 313 : 제2연결관
314 : 고정용 원판 314a : 돌기부
315 : 평판 나사부 320 : 조임부재
320c : 삽입홈부 322 : 조임부
323 : 손잡이부

Claims (22)

  1. 인체 내부의 체액을 인체 외부로 배출시켜 수집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 진공상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공간부와 연결된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되도록 상기 제1튜브의 일부분을 눌러 변형시키는 조절부;
    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의 용기 출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용기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출입구와 연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마개부;
    상기 마개부의 통공과 연통하도록 상기 마개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기부의 진공압의 변화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수단;
    상기 마개부는:
    양단에 각각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고, 측면에 상기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가 상기 용기의 출입구와 연통되게 상기 용기의 상단에 연결되는 마개 연결관;
    상기 마개 연결관의 유입구를 차폐하는 마개;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 연결관의 측면에는 상기 통공의 주변으로 상기 마개 연결관과 수직하는 보조관이 일체로 형성된 T-자형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보조관과 연결되고,
    상기 보조관의 단부에는 상기 신축수단을 감싸도록 중공의 커버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는 상기 신축수단이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신축수단이 팽창하면 상기 커버부재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형성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튜브가 관통하는 관통로가 구비된 조절부 본체;
    상기 조절부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튜브가 눌려 변형되도록 전후진하는 압박부재; 및
    상기 압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제1튜브를 압박하거나 후진하여 해제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튜브를 통과하는 체액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전후진 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탄성재질로 구비되고, 외부로 노출된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기저부가 형성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일측에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자바라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개구의 내측에 보강을 위해 중공의 부시가 삽입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 본체에는 상기 압박부재가 전후진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로에 수직으로 연통하는 실린더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과,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의 내면에 나사가 구비되어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이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면에 나사 결합되면서 전후진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 이송수단은 손잡이를 구비한 회전노브인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양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부 본체에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압박부재에는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이 구비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를 제2튜브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제2튜브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하는 복수개의 연결관을 구비한 연결관 본체; 및
    상기 제2튜브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 중 하나의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조임부가 전진하면서 상기 제2튜브의 삽입된 부분을 압박하여 고정하게 되는 조임부재;
    를 포함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본체는 1개의 제1연결관과 2개의 제2연결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하나가 일직선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나머지 제2연결관은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T자형을 이루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본체는 상기 연결관에 수직으로 고정된 고정용 원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용 원판에는 방사형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임부재가 상기 연결관 본체와 나사 결합하여 조여지면 상기 삽입홈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역회전을 방지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용 원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양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본체와 상기 조임부재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각각 설치된 도난방지용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 외면에는 상기 도난방지용 와이어가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조립용 홈이 구비된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의 외면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튜브가 연결되지 않은 연결관을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삽입되는 일단이 밀폐된 밀폐용 튜브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본체에는 수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조임부재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나사 결합되되, 상기 연결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는 타원형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KR1020170061228A 2017-05-17 2017-05-17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KR10177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28A KR101772668B1 (ko) 2017-05-17 2017-05-17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228A KR101772668B1 (ko) 2017-05-17 2017-05-17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668B1 true KR101772668B1 (ko) 2017-08-29

Family

ID=5976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228A KR101772668B1 (ko) 2017-05-17 2017-05-17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6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1259A (zh) * 2018-11-23 2019-02-15 上海市第人民医院 一种术中可伸缩的多功能吸引器
KR20210001562A (ko) 2019-06-28 2021-01-06 엄관용 의료용 흡인기
CN116407693A (zh) * 2023-03-14 2023-07-11 江苏求恒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减压式宫腔组织吸引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87B1 (ko) * 2015-02-05 2015-10-01 (주)상아프론테크 배액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087B1 (ko) * 2015-02-05 2015-10-01 (주)상아프론테크 배액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1259A (zh) * 2018-11-23 2019-02-15 上海市第人民医院 一种术中可伸缩的多功能吸引器
CN109331259B (zh) * 2018-11-23 2023-11-21 上海市第一人民医院 一种术中可伸缩的多功能吸引器
KR20210001562A (ko) 2019-06-28 2021-01-06 엄관용 의료용 흡인기
CN116407693A (zh) * 2023-03-14 2023-07-11 江苏求恒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减压式宫腔组织吸引管
CN116407693B (zh) * 2023-03-14 2023-11-17 江苏求恒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减压式宫腔组织吸引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68B1 (ko) 의료용 흡인기 시스템
US5826621A (en) Valve apparatus
US4114626A (en) Intubation set
US4065093A (en) Flow control device
US5167636A (en) Cannula sealing mechanism
JP4691528B2 (ja) 流体流を制御するための調節可能の二方弁構造および限界圧力差を調節する方法
US4857062A (en) Catheter introducer valve
EP0805930B1 (en) Medical coupling site valve body
CA2323924C (en) Peristaltic pump and cassette
US4064882A (en) Tracheostomy tube with pressure relief valve
US7470262B2 (en) Medical valve
JPH08500983A (ja) 医療用カップリング器具
JP5681644B2 (ja) 可撓性チューブを閉塞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110306940A1 (en) Male Connector and Transfusion Line Connection Apparatus Equipped With Male Connector
US3832999A (en) Sterile drainage assemblies
KR102039558B1 (ko) 휴대형 의료용 진공 흡입기구
US20220152345A1 (en) Collapsible Thin-Walled Valve for Drainage Control
JPS5820635B2 (ja) カテ−テルヨウアダプタ
US3977409A (en) Tube valve
US3779236A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a sphygmomanometer
BR102016005101B1 (pt) Dispositivo para transferir um fluido, cassete para inserção em um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fluido e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fluido
EP0607343B1 (en) Rotatable medical valve closure
KR102619403B1 (ko) 압축, 맞댐 이음, 탈착, 잔류 약액을 흡입하는 기능을 구비한 밀폐형 커넥터
US11259954B2 (en) Condom cathet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9199829A1 (en) Anchoring devices for implanted tube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