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100B1 -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100B1
KR101772100B1 KR1020160071169A KR20160071169A KR101772100B1 KR 101772100 B1 KR101772100 B1 KR 101772100B1 KR 1020160071169 A KR1020160071169 A KR 1020160071169A KR 20160071169 A KR20160071169 A KR 20160071169A KR 101772100 B1 KR101772100 B1 KR 10177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d
unit
lid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엘피
Priority to KR102016007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time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는 도중에 물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개폐가 중지되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는, 차량 트렁크 리드를 열기 위한 열림(open)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는 동안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제1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이내이고 상기 제1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TRUNK LID OPEN/CLOS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는 도중에 물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개폐가 중지되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물건을 실을 수 있는 트렁크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렁크는 트렁크 리드에 설치된 소정의 구동스위치를 조작하여 트렁크 리드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차량의 후방에 센서 등을 설치하여 차량에 접근한 사용자를 인식하여 차량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차량 트렁크 리드의 자동개폐는 트렁크 리드와 연결된 액츄에이터나 실린더 등을 동작시켜 개폐신호에 따라 트렁크 리드를 자동으로 열고 닫도록 한다. 예컨대 트렁크 리드의 열림신호 및 폐쇄신호에 따라 실린더가 작동하여 트렁크 리드를 끝까지 열거나 닫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과정에서 트렁크 리드에 물체가 걸리는 경우 트렁크 리드가 완전히 개폐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린더가 계속 작동을 하기 때문에 실린더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트렁크 리드의 무게가 상당한 승합차량의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주의력이 약한 어린이나 중요한 물건이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동안 트렁크 리드에 끼는 경우 트렁크 리드는 실린더의 힘에 의해 계속 닫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승합차의 트렁크 리드는 승용차에 비해 무겁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더 크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에서는 트렁크 리드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570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211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655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35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트렁크 리드가 개폐되는 도중 물체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개폐동작이 중지되면 반대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는, 차량 트렁크 리드를 열기 위한 열림(open)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닫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는 동안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제1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이내이고 상기 제1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닫힘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동작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및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방향검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 여부 및 제1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게 되어 기설정된 완전닫힘위치가 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는, 차량 트렁크 리드를 닫기 위한 닫힘(close)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동안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제2위치가 기설정된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상기 제2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동작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및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방향검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여부 및 제2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은, 입력부에서 트렁크 리드의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 위치검출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또는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상기 트렁크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현재 개폐방향의 역방향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록킹부가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는 경우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가 상기 완전닫힘위치가 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기어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또는 열림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회전수검출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회전방향검출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여부 및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트렁크 리드가 닫히고 열리는 동안에 트렁크 리드가 물체에 걸려 동작하지 못할 때 역방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트렁크 리드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에 무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트렁크 리드가 닫힐 때 어린이나 물건이 사이에 낄 때 트렁크 리드를 다시 역방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개폐제어과정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역방향 동작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구동부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위치검출부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100)는 입력부(110), 구동부(120), 위치검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개폐 제어장치(100)가 록킹부(150) 및/또는 감지부(16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10)의 트렁크 리드(20)의 열림(open)을 위한 열림신호 또는 닫힘(close)을 위한 닫힘신호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차량(10)의 다양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차량(10)의 트렁크 리드(20)의 외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트렁크 리드(20) 근처에서 손으로 터치하거나 누름으로써 트렁크 리드(20)를 개방하기 위한 열림신호 및 폐쇄를 위한 닫힘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운전석의 주변(미도시)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터치 또는 누름을 통해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운전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나 풋센서(foot sensor)가 될 수도 있다. 스마트기는 운전자가 손으로 버튼을 눌러서 열림신호 및 닫힘신호가 입력되고 풋센서는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발을 사용하여 발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열림신호 및 닫힘신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물론 이들 모두 동시에 적용이 가능하며 열림신호와 닫힘신호를 입력할 있는 다양한 형태 및 위치에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트렁크 리드(20)가 닫힌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열림신호가 입력되고 열린 상태에서 입력부(110)를 누르거나 터치하게 되면 닫힘신호가 입력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력부(110)에 의해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구동부(120)는 트렁크 리드(20)의 개폐(open/close)동작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동부(120)는 트렁크 리드(20)의 일부분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트렁크 리드(20)를 밀거나 당겨서 트렁크 리드(20)의 열림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렁크 리드(2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형태로 이러한 구동부(120)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20)는 모터부(121), 기어부(122) 및 액츄에이터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모터부(12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장치로서 입력된 전원에 의해 회전자(미도시)의 회전운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액츄에이터부(123)는 트렁크 리드(20)에 직접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트렁크 리드(20)를 밀거나 당겨서 개폐하도록 한다. 기어부(122)는 모터부(121)의 회전운동을 액츄에이터부(123)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위치검출부(130)는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에 그 트렁크 리드(2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이러한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위치를 통해 현재 어느 위치까지 열렸는지 또는 닫혔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검출부(130)는 모터부(121)의 회전수검출부(131)와 회전방향검출부(132)를 포함한다. 회전수검출부(131)는 모터부(121)가 회전운동할 때 그 회전수를 검출한다. 이러한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수는 액츄에이터부(123)의 직선운동량을 결정하고 직선운동량은 곧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고 닫히는 거리, 즉 개폐량을 결정하기 때문에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방향검출부(132)는 모터부(121)의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이러한 회전방향 검출은 모터부(121)의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다. 즉,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은 액츄에이터부(123)의 직선운동방향을 결정하고 그 직선운동방향은 곧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는지 또는 닫히는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회전방향을 검출함으로써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고 있는 중인지 닫히고 있는 중인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부(121)의 회전수와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현재 트렁크 리드(20)가 어느 정도 열리고 있는지 또는 어느 정도 닫히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20)의 개폐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이러한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로부터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즉,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트렁크 리드(20)를 열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고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트렁크 리드(20)를 닫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안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된 트렁크 리드(20)의 검출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또는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그 트렁크 리드(20)의 검출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 유지되면 트렁크 리드(20)가 현재 개폐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즉, 현재 열리는 과정에서는 역방향인 닫히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하고 반대로 현재 닫히는 과정에서는 역방향인 열리는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트렁크 리드(20)가 닫힌 상태에서 여는 경우를 살펴보면 운전자가 입력부(110)를 터치함에 따라 입력부(110)는 열림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열림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도록 한다.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는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는 과정에서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1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이내이고, 그 제1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는 도중에 어떤 물체에 걸려서 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다시 닫도록 한다. 여기서, 완전열림위치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열린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검출된 제1위치가 완전열림위치 이내라 함은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열리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위치가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된다는 것은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그 제1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는 과정에서 어떠한 물체 등에 걸려 더 이상 열리지 않고 일정한 시간 동안 정지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트렁크 리드(20)를 계속 열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방향으로 다시 닫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위치 및 일정한 시간은 물론 변경이 가능하다.
반대로, 트렁크 리드(20)가 열린 상태에서 닫는 경우 운전자가 입력부(110)를 터치함에 따라 입력부(110)는 닫힘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닫힘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가 닫히도록 한다.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는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한다. 이때, 이러한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된 제2위치가 기설정된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그 제2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트렁크 리드(20)가 닫히는 도중에 어떤 물체 등에 걸려서 닫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다시 열도록 한다. 여기서, 완전닫힘위치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닫힌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검출된 제2위치가 완전닫힘위치 이내라고 하는 것은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닫히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2위치가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된다는 것은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시간동안 그 제29위치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트렁크 리드(20)가 닫히는 과정에서 어떠한 물체 등에 걸려 더 이상 닫히지 않고 일정한 시간동안 정지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트렁크 리드(20)를 계속 닫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방향으로 다시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위치 및 일정한 시간은 역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트렁크 리드(20)를 자동으로 열거나 닫을 때 물체 등에 걸려 더 이상 구동되지 않으면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구동중인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닫히거나 열도록 한다. 이는 예컨대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트렁크 리드(20)가 자동으로 열거나 닫히는 도중에 주의력이 약한 어린이나 파손되기 쉬운 물품이 트렁크 리드(20)와 차량(10) 사이에 끼는 경우 계속 열거나 닫으려고 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동안 트렁크 리드(20)가 구동되지 않으면 다시 역방향(반대방향)으로 열도록 함으로써 사이에 낀 어린이나 물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개폐 제어장치(100)는 트렁크 리드(20)를 록킹하는 록킹부(150) 및/또는 감지부(16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록킹부(150)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트렁크 리드(20)를 록킹(locking)하여 트렁크 리드(2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잠기도록 하고, 트렁크 리드(20)를 열고자 하는 경우 트렁크 리드(20)를 록킹의 해제를 위해 언록킹(unlocking)하여 트렁크 리드(20)가 구동부(120)에 의해 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롱킹부(150)의 언록킹 동작은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제어부(140)는 록킹부(150)가 트렁크 리드(20)를 록킹한 상태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언록킹, 즉 록킹을 해제하도록 록킹부(150)를 제어한다. 이때, 록킹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트렁크 리드(20)가 열린 상태에서 자동으로 닫히는 경우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닫히면 자동으로 록킹부(150)가 트렁크 리드(20)를 록킹하게 된다. 또한, 록킹부(150)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닫힘위치가 되면 트렁크 리드(20)를 자동으로 록킹하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160)는 트렁크 리드(20)의 완전닫힘 또는 완전열림을 각각 감지한다. 즉, 트렁크 리드(20)가 자동으로 완전히 다 열리거나 완전히 다 닫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지부(160)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다 열리는 위치 및 완전히 다 닫히는 위치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들 감지부(160)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열렸음을 감지하여 열림감지신호를 제어부(140)로 전달하고, 또한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닫혔음을 감지하여 닫힘감지신호를 역시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이로써,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고 닫힐 때 완전히 다 열렸는지, 완전히 다 닫혔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가 역방향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경우 감지부(160)에서 트렁크 리드(20)의 완전닫힘 또는 완전열림을 감지할 때까지 트렁크 리드(20)가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도록 한다. 즉, 트렁크 리드(20)를 여는 과정에서 트렁크 리드(20)가 물체 등에 걸려 일정시간 동안 제1위치에 머무르게 되면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다시 닫도록 하고, 이때,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다시 닫는 과정에서 감지부(160)에서 트렁크 리드(20)의 완전닫힘을 감지할 때까지, 즉 감지부(160)로부터 열림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트렁크 리드(20)가 닫히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반대로, 트렁크 리드(20)를 닫는 과정에서 트렁크 리드(20)가 물체 등에 걸려 일정 시간동안 제2위치에 머무르게 되면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다시 열도록 하고, 이때,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 다시 여는 과정에서 감지부(160)에서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을 감지할 때까지, 즉 감지부(160)로부터 열림감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트렁크 리드(20)가 열리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 리드(20)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림과 닫힘이 구현된다. 이때, 감지부(160)는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을 감지한다. 감지부(120)는 두 개로 구비되며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위치와 완전닫힘위치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일례이며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 및 완전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120)는 위치감지센서로 구현되어 차량(10)의 트렁크 리드(20)의 인접하여 설치되고 트렁크 리드(20)의 개폐에 따른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트렁크 리드(2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20)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120)의 구동량을 감지하여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감지부(120)가 위치감지센서로 구현되는 경우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열린 지점, 즉 완전열림위치 및 완전히 닫힌 지점, 즉 완전닫힘위치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감지부(20)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열림 및 완전히 닫힘을 감지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리드의 개폐제어과정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4의 일례에서는 트렁크 리드(20)를 닫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도면에서 (a)와 같이 예컨대 어린이가 트렁크(30) 내에 물건을 빼내고 있는 과정에서 트렁크 리드(20)가 구동부(120)에 의해 닫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트렁크 리드(20)는 (b)와 같이 계속 닫히게 되어 어린이가 트렁크 리드(20)와 차량(10) 사이에 끼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트렁크 리드(20)는 더 이상 닫히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그 현재 위치를 유지한다. 이에, 제어부(140)는 그 현재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c)와 같이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열도록 한다. 이때, 역방향으로 여는 과정에서는 완전열림위치에 설치된 감지부(150a)에서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이 감지될 때까지 트렁크 리드(20)를 열도록 한다. 이는 트렁크 리드(20)와 차량(10)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닫히는 과정에서 역방향으로 열리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동일한 원리로 구동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는 입력부(110)에서 트렁크 리드(20)의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를 입력받으면(S101), 제어부(140)로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를 전송한다(S103). 제어부(140)는 이와 같이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에 의해 트렁크 리드(20)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를 열거나 닫히도록 한다(S105). 이와 같이 트렁크 리드(20)의 개폐시, 즉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면 위치검출부(130)에서는 실시간으로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다(S107).
이후에, 제어부(140)는 상기와 같이 트렁크 리드(20)의 개폐시, 즉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또는 닫히는 과정에서 위치검출부(130)에서 검출한 트렁크 리드(20)의 현재 검출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또는 완전닫힘위치 이내인지를 판단한다(S109). 현재 검출위치가 완전열림위치 또는 완전닫힘위치 이내이면 그 현재 검출위치가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11). 이러한 판단결과 현재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구동부(120)를 제어하여 트렁크 리드(20)를 역방향으로 닫거나 열도록 한다(S113). 이때, S113 단계에서 역방향으로 트렁크 리드(20)를 닫거나 여는 경우에는 트렁크 리드(20)의 완전닫힘위치 또는 완전열림위치에 설치된 감지부(150a,150b)에서 각각 완전닫힘 또는 완전열림을 감지할 때까지 트렁크 리드(20)를 닫도록 한다. 이는 승합차량과 같이 트렁크 리드(20)가 그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무거운 트렁크 리드(20)를 중간에 정지시키게 되면 그 중간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구동부(120)에 큰 부하가 걸려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트렁크 리드(20)를 완전히 닫거나 완전히 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S105 단계에서는 제어부(140)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록킹부(150)가 트렁크 리드(20)를 록킹한 상태에서 록킹을 해제하도록 록킹부(150)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S113 단계에서 역방향으로 트렁크 리드(20)를 닫는 경우에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닫힘위치에 도달하면 록킹부(150)는 트렁크 리드(20)를 록킹하도록 한다. 이는 트렁크 리드(20)가 완전히 닫힌 후 자동으로 록킹함으로써 중간에 트렁크 리드(20)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역방향 구동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는 제어부(140)에서 트렁크 리드(20)가 역방향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단계(S111) 이후에, 트렁크 리드(20)의 개폐되는 과정에서 감지부(160)가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 여부를 감지하였는지를 판단한다(S201). 제어부(140)는 트렁크 리드(20)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이 감지되면, 즉 완전열림위치에 설치된 감지부(150a)로부터 열림감지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완전닫힘위치에 설치된 감지부(150b)로부터 닫힘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트렁크 리드(20)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정지하도록 구동부(120)를 제어한다(S203).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구동부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는 제어부(140)가 입력부(110)로부터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면(S301), 구동부(120)의 모터부(121)를 동작시킨다(S303). 모터부(121)가 동작하면 기어부(122)에서 모터부(121)의 회전운동을 액츄에이터부(123)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S305), 액츄에이터부(123)는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트렁크 리드(20)의 닫힘 또는 열림을 구동하도록 한다(S307). 이로써, 트렁크 리드(20)는 액츄에이터부(123)의 직선운동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에서 위치검출부의 동작과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가 입력부(110)로부터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면(S401), 구동부(120)의 모터부(121)를 동작시킨다(S403). 모터부(121)가 회전동작을 시작하면 회전수검출부(131)에서 이러한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부의 회전수를 검출하고(S405), 회전방향검출부(132)에서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한다(S407).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20)의 닫힘 또는 열림 여부 및 현재 검출위치를 추출하도록 한다(S409).
이와 같이 트렁크 리드(20)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트렁크 리드(20)가 사람이나 물체 등에 의해 걸려 더 이상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역방향으로 다시 트렁크 리드(20)의 위치를 원상복구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사람이나 물체가 트렁크 리드(20)와 차체 사이에 끼인 경우 안전사고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차량 20 : 트렁크 리드
30 : 트렁크 110 : 입력부
120 : 구동부 121 : 모터부
122 : 기어부 123 : 액츄에이터부
130 : 위치검출부 131 : 회전수검출부
132 : 회전방향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록킹부 160 : 감지부

Claims (16)

  1. 차량 트렁크 리드를 열기 위한 열림(open)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닫힘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는 동안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제1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이내이고 상기 제1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닫힘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동작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및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방향검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 여부 및 제1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록킹부가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게 되어 기설정된 완전닫힘위치가 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7. 차량 트렁크 리드를 닫기 위한 닫힘(close)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닫히는 동안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제2위치가 기설정된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상기 제2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을 감지할 때까지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트렁크 리드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을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부를 동작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 및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회전방향검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여부 및 제2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11. 입력부에서 트렁크 리드의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 또는 닫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동작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
    위치검출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폐시 상기 위치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가 기설정된 완전열림위치 또는 완전닫힘위치 이내이고 상기 트렁크의 위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현재 개폐방향의 역방향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감지부에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열림 또는 닫힘을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열림신호가 입력되면 록킹부가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을 해제하도록 상기 록킹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역방향으로 닫히는 경우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가 상기 완전닫힘위치가 되면 상기 트렁크 리드를 록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기어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액츄에이터부의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또는 열림을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회전수검출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단계;
    회전방향검출부에서 상기 회전운동에 따른 회전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의 닫힘 여부 및 위치를 검출하는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방법.
KR1020160071169A 2016-06-08 2016-06-08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7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69A KR101772100B1 (ko) 2016-06-08 2016-06-08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1169A KR101772100B1 (ko) 2016-06-08 2016-06-08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100B1 true KR101772100B1 (ko) 2017-09-05

Family

ID=5992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1169A KR101772100B1 (ko) 2016-06-08 2016-06-08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10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959878B (zh) 车辆前车门电力打开系统
CN108729793B (zh) 车辆电动门系统
CN107780749B (zh) 用于动力车门的防夹控制系统
US9938759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vehicle opening-closing member
US9522590B2 (en)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EP3017984B1 (en) Vehicle door driving device
US20180080270A1 (en) Anti-pinch logic for door opening actuator
EP2905410B1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5030043A1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システム
KR20140045609A (ko)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KR101772099B1 (ko)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CN109281556A (zh) 用于检测封闭件的未闭锁状况的系统及方法
CN110578441B (zh) 一种无把手车门防夹系统及方法
US1055729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losing process of a vehicle wing and corresponding vehicle closing system
KR101679191B1 (ko) 차량용 도어 열림제어방법
US7914065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772100B1 (ko) 차량 트렁크 리드의 개폐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020275A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EP3369880B1 (en) Vehicle door control device
US20240125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tor-driven assistance of the movement of a vehicle door
GB2562273A (en)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bonnet closure-release system
KR20140025235A (ko)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JP2013227795A (ja) 車両用ドア自動開閉装置
GB2562271A (en)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bonnet releas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