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86B1 -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86B1
KR101772086B1 KR1020150165778A KR20150165778A KR101772086B1 KR 101772086 B1 KR101772086 B1 KR 101772086B1 KR 1020150165778 A KR1020150165778 A KR 1020150165778A KR 20150165778 A KR20150165778 A KR 20150165778A KR 101772086 B1 KR101772086 B1 KR 101772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mobile
portable termi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968A (ko
Inventor
박재돈
김태현
박찬이
김수일
조영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6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05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th built-in auxiliary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RF(RADIO FREQUENCY)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 유닛,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안테나 유닛과 연결되는 RF 유닛 및 상기 RF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증폭된 상향 링크 신호를 이동 통신용 기지국로 송신하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및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를 포함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이동 통신용 기지국과 원거리에서도 원활한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Description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MOBILE SIGNAL AMPLIFIER SYSTEM}
본원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동 통신 신호 통달 거리 확장을 위한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용 기지국은 주로 도심지와 같이 인구가 밀집해 있거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주변 반경 1 내지 2 Km 내에 있는 휴대 단말기의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한다.
그러나, 시외 지역, 산악 지형 및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근해(近海) 등에는,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 설치된 수가 크게 부족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원활한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앞서 살펴본, 시외 지역, 산악 지형 및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근해 등과 같이,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 많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그 거리가 먼 곳의 경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을 향해 송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약하여, 결국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송신 신호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한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더 구체적으로,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의 이동 통신을 하는 경우, 이론상으로는 이동 통신용 기지국까지 10 Km 내외의 거리에 있는 경우라면 통신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10 km 정도의 원거리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 송신한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 수신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의 출력의 세기가 약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송신한 신호는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에 수신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국,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한 원활한 통화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출력 세기를 키워서 통달 거리를 늘리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발열 또한 많아지게 된다. 이는 곧 배터리의 소모를 촉진시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현저하게 줄어들게 하기도 한다.
또한, 원거리 통신을 위하여 신호를 단순히 증폭하는 경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NOISE)도 함께 증폭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신호 전체의 세기와 함께 증가되는 노이즈로 인하여 원활한 통화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방해를 받게 된다.
본원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이동 통신 이동 통신용 기지국과 원거리(최대 10 Km 정도)에서도 원활한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신호 증폭 과정을 거치더라도 노이즈의 증가는 최소화함으로써 원거리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RF(RADIO FREQUENCY)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 유닛,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안테나 유닛과 연결되는 RF 유닛 및 상기 RF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증폭된 상향 링크 신호를 이동 통신용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및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를 포함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RF 유닛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으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유닛은, 상기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시키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폭된 하향 링크 신호를 상기 RF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 링크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RF 유닛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어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GPS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RF 유닛은, 신호 증폭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는,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2차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 공급 과정에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은,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부재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수단은 상기 여러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동 통신 이동 통신용 기지국과 원거리(최대 10 Km 정도)에서도 원활한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원거리 통신을 위한 신호 증폭 단계에서 노이즈가 함께 증가하면서 발생되던 통신 품질의 저하 및 통신 두절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산악, 해상 및 해안 지역과 같이 인적이 드물고 이동 통신용 기지국이 부족한 지형에서도 상기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을 이동 수단(차량)에 탑재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세로 보기 상태로 거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휴대 단말기를 가로 보기 상태로 거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장치" 및 "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에는 본원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원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을 이동 수단(차량)에 탑재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은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200),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제어 유닛(110), RF 유닛(130), 안테나 유닛(150), 전원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세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 유닛(110)은 휴대 단말기(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휴대 단말기(M)로부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상기 RF 유닛(130)으로 전달한다.
상기 RF 유닛(130)은 상기 제어 유닛(110) 및 상기 안테나 유닛(1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RF 유닛(130)은 상기 제어 유닛(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유닛(130)은 증폭된 상향 링크 신호를 상기 안테나 유닛(1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유닛(150)은 상기 RF 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유닛(150)은 상기 RF 유닛(130)으로부터 증폭된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이동 통신용 기지국(B)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이를 휴대하고 보도로 이동하면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통상 차량 기타 이동 수단에 장착하여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일 것이다.
이를 위해,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차량 기타 이동 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200)의 평면도이다.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200)는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된다.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200)는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를 감싸고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착 거치대(200)는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와 맞닿는 부분에 충격 완화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제어 유닛(110)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의 상기 RF 유닛(130)으로의 전달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도움이 없이도 상기 휴대 단말기(M) 스스로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증폭 기능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소요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제어 유닛(110)은 상기 RF 유닛(130)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RF 유닛(130)은 원활한 통신에 필요한 정도로만 증폭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과도한 증폭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RF 유닛(130)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RF 유닛(130)은 원활한 통신에 필요한 정도로만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에 필요하지 않은 노이즈의 증폭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 유닛(110)에는 mWiMAX 모듈, GPS 수신부, 제어부, UART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RF 유닛(110)에는 고출력 증폭부, 저잡음 증폭부, TDD 스위치부, RF 제어부, 캐비티 필터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상기 안테나 유닛(150)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B)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 유닛(130)은 상기 안테나 유닛(15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안테나 유닛(150)으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RF 유닛(13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증폭된 하향 링크 신호를 상기 RF 유닛(130)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M)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하향 링크 신호가 미약한 세기로 수신된 경우에도 이를 원활한 통신에 적합한 정도로 증폭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M)가 원활한 통화 및 데이터 수신을 가능토록 도와줄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 링크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원발명의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도움이 없이도 상기 휴대 단말기(M) 스스로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증폭 기능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소요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RF 유닛(130)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RF 유닛(130)은 원활한 통신에 필요한 정도로만 증폭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과도한 증폭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RF 유닛(130)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RF 유닛(130)은 원활한 통신에 필요한 정도로만 증폭을 수행함으로써 통신에 필요하지 않은 노이즈의 증폭도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 안테나 모듈(160)은 상기 제어 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110)은 상기 GPS 안테나 모듈(160)로부터 상기 GPS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M)가 활용할 수 있도록 신호 처리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 안테나 모듈(160)를 별도로 사용하여 GPS 신호를 이용하는 앱(app)들의 원활한 사용을 도울 수 있으며, 인적이 없는 산악 및 해안 지역에서의 재난 발생시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재난 센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해질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상기 RF 유닛(130)은 신호 증폭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RF 유닛(130)이 밴드 패스 필터(BPF)를 더 구비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함께 증폭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는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유닛(170)은 2차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으로는 이동 수단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원 유닛(170)에는 입력 전원 변환부, 전원 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원 유닛(170)은 전원 공급 과정에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도록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EMI 필터는 입력 전원 측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등과 같은 전자기 간섭을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EMI 필터로는 밴드 패스 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가 휴대 단말기(M)를 세로 보기 상태로 거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가 휴대 단말기(M)를 가로 보기 상태로 거치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의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10)은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M)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휴대 단말기(M)를 감싸고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는 일반적으로 이동 수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에 위치하게 될 것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M)를 거치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M)에 공급되는 전원, USB 및 UART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와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의 사이에는 전원, USB 및 UART 신호롤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에 상기 휴대 단말기(M)를 거치하게 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M)가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와 USB 신호로 연결되며 동시에 휴대 단말기(M)의 2차 전지 충전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는 상기 휴대 단말기(M)의 가로 보기 및 세로 보기가 가능하도록 회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통신 신호의 변복조(modulation and demodulation), 자동 출력 조절, 이동 통신용 기지국(B)과의 통달 거리 확장을 위한 고출력 증폭 등의 기능을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100)가 담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M)는 단순히 화면 및 음성/영상 데이터만을 처리하면 되므로, 종래에 신호의 증폭 단계에서 잡음이 함께 증가하여 발생하였던 통신 품질의 저하 및 통신 두절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M)가 차량 기타 이동 수단 내에 거치되면서 발생하는 GPS 신호의 감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기타 이동 수단의 외부에 별도의 GPS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M : 휴대 단말기 150 : 안테나 유닛
B : 이동 통신용 기지국 160 : GPS 안테나 모듈
10 :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170 : 전원 유닛
100 :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171 : EMI 필터
110 : 제어 유닛 200 :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
130 : RF 유닛 300 : 휴대 단말기 거치대

Claims (10)

  1.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향 링크 신호를 커넥터를 통해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로 전달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거치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RF(RADIO FREQUENCY) 유닛으로 전달하는 제어 유닛,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안테나 유닛과 연결되는 RF 유닛 및 상기 RF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증폭된 상향 링크 신호를 이동 통신용 기지국로 송신하는 안테나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및
    이동 수단의 적어도 일부에 장착되고,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를 거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중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완화 부재를 구비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신호(USB), UART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신호(USB), 상기 UART 신호, 및 RS232 신호를 상기 이동 신호 증폭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RF 유닛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유닛은,
    상기 이동 통신용 기지국로부터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RF 유닛은,
    상기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상기 하향 링크 신호를 전달받아 증폭시키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증폭된 하향 링크 신호를 상기 RF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 링크 신호의 전달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RF 유닛의 증폭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어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GPS 신호를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 유닛은,
    신호 증폭시 노이즈를 감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밴드 패스 필터(Band Pass Filte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는,
    전원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유닛은,
    2차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용 신호 증폭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 공급 과정에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65778A 2015-11-25 2015-11-25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KR101772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778A KR101772086B1 (ko) 2015-11-25 2015-11-25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778A KR101772086B1 (ko) 2015-11-25 2015-11-25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68A KR20170060968A (ko) 2017-06-02
KR101772086B1 true KR101772086B1 (ko) 2017-09-12

Family

ID=5922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778A KR101772086B1 (ko) 2015-11-25 2015-11-25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835B1 (ko) * 2004-08-11 2006-04-11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의자의 충격완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835B1 (ko) * 2004-08-11 2006-04-11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의자의 충격완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68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162B1 (ko) 무선단말들을 위한 위성/핸즈프리 연동시스템 및/또는동반기기들 그리고 관련 방법들
US20040192193A1 (en) Mobile signal relay for cellular transmission in remote areas
EP2375571A2 (en)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signals via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chips to which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are appli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thereof
US10512120B2 (en) Signal booster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s
EP3750754A2 (en) Repeater with low power mode for mobile operations
KR100807820B1 (ko) 1 주파 2 라인 안테나 방식을 이용한 무전기 통신시스템
EP2089976A4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FERENCE SUPPRESSION IN A HYBRID END UNIT FOR BROADCASTING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HYBRID END UNIT THEREFOR
KR101772086B1 (ko) 이동용 신호 증폭 시스템
JP3742372B2 (ja) 逆方向リンクの干渉を抑制する建物内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078889A (ko) 긴급재난재해 이동통신 시스템
EP21744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adio coverage of a vehicle, usable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railway transport or the like
CN101742631A (zh) 一种解决移动体覆盖的直放站及其控制方法
KR20150133367A (ko) 선박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KR200600471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EP0991198B1 (en)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with an antenna for use of both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KR100676227B1 (ko) 선박용 이동 통신 중계 방법 및 장치
KR101217885B1 (ko) 간섭 제거 시스템에서 fa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
CN220156670U (zh) 一种船舱内WiFi信号覆盖的无线中继装置
CN220173423U (zh) 一种船舱内5G和WiFi信号覆盖的无线中继装置
WO2012091195A1 (ko) 간섭제거기능을 갖는 무선중계장치
CN102520416A (zh) 一种基于bd通讯的野外移动定位装置
KR100281627B1 (ko) 무선통신 중계기의 노이즈 감소 회로
KR2001003831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신호 전용 중계 장치
EP1487125B1 (en) Transmitter/receiver apparatus with an antenna for use of both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3537613A1 (en) Compensato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