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186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186A
KR20060047186A KR1020050031969A KR20050031969A KR20060047186A KR 20060047186 A KR20060047186 A KR 20060047186A KR 1020050031969 A KR1020050031969 A KR 1020050031969A KR 20050031969 A KR20050031969 A KR 20050031969A KR 20060047186 A KR20060047186 A KR 20060047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scillation
control
band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브리드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6004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안테나 간의 분리도가 부족하여 미세발진이 일어나는 장소에서도 안정된 신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링크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순방향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발진제어하여 커버리지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RF 신호의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를 분기/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필터 수단;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진 신호를 억제하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초단RF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 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궤환되는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발진을 제거 하기 위한 미세발진 제거 수단;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수단; 상기 전력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필터 수단; 신호를 분기/검출하고,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 상기 후처리 수단의 출력 신호 를 상기 제어 수단이 발진 유무와 그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변환검출 수단; 및 상기 변환검출 수단이 검출한 값을 이용하여, 발진검출시 상기 초단RF 수단과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실제 입력되는 RF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이동통신 중계장치 등에 이용됨.
무선통신, 기지국, 중계기, 단말기, 발진, S/W제어, 순방향, 역방향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Oscillation-Controlled Repea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RF 중계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중계기로 궤환되는 신호를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한 개략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신호가 발진으로 이행된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RF 중계기의 신호 궤환에 의한 발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대역필터부1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기지국 120 : 중계기
130 : 단말기 501 : 링크 안테나(기지국 방향)
502 : 전처리부 503 : 대역필터부1
504 : 순방향 초단RF부(F-RFM) 505 : 순방향 발진제거부(F-ICM)
506, 513 : 전력증폭부(HPA) 507: 대역필터부2
508 : 후처리부 509 : 커버리지 안테나
510 : 저잡음 증폭부(LNA) 511 : 역방향 초단RF부(R-RFM)
512 : 역방향 발진제거부(R-ICM) 514 : 역방향 신호변환 검출부(R-OSC)
515 : 제어부 516 : 순방향 신호변환 검출부(F-OSC)
517 : 모뎀부 518 :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antenna) 간의 분리도(isolation)가 부족하여 미세한 발진이 일어나는 장소에서도 안정된 전송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를 중계하는데 있어서 가장 간편한 방법은, 무선 신호를 받아서 이를 증폭하여 바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런 형태의 중계기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함) 중계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RF 중계기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RF 인터페이스 기반의 중계기는, 기지국(110)에서 송신된 무선 신호를 중계기(120)를 통하여 증폭한 후, 음영지역에 있는 단말기(130)로 방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중계기(120)에서 송신 안테나(TX)를 통하여 신호를 방사하면, 이 신호는 기지국(110)이나 단말기(130)로 전달되기도 하지만, 중계기(120) 자신의 수신 안테나(RX)로 궤환(feedback)되어 들어올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중계기로 궤환되는 신호를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환 신호는, 안테나 간에 직접(Direct) 들어오는 신호뿐만 아니라, 주위의 여러 건물과 물체 등에 부딪쳐서, 다양한 경로를 거쳐 들어오는 멀티패스 신호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2는 신호 채널의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각각의 멀티패스 신호는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패스 신호는, 주파수 성분은 동일하지만 위상과 신호의 크기가 변화하여 수신되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이 되면 상기 중계기(120)에 의해 증폭된 신호가 계속 궤환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커져서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신호가 발진으로 이행된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상기와 같은 발진은, 이득(gain)이 1이상이고, 동위상인 점에서 발생한다.
RF 중계기의 궤환형 발진은, 링크 안테나(Link Antenna)와 커버리지 안테나(Coverage Antenna) 간의 분리도(isolation)와 시스템 이득(system gain)의 상관 관계로 나타나며, 그 값의 차이가 어느 값 이하일 때 발생한다. 이를 도 4를 참조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의 RF 중계기의 신호 궤환에 의한 발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 'Pin'은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입력되는 RF 전력(power)이고, 'Pout'은 상기 중계기(120)로부터 상기 단말기(130)로 출력되는 RF 전력(power)이며, 'g'는 상기 중계기(120)의 증폭 팩터(amplification factor)이고, 'f'는 궤환 상수(feedback coefficient)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분리도가 시스템 이득보다 큰 경우(ANT ISO > SYS Gain)에는, Pout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5020063774-PAT00001
이때, Pen은 환경 잡음(environmental noise)이다. 한편, 분리도가 시스템 이득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ANT ISO ?? SYS Gain)에는, 커버리지 안테나의 출력신호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증가되어, 발진이 발생하게 된다.
Figure 112005020063774-PAT00002
한편, 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증가하는 가입자의 수요를 해소하기 위해서, 기 지국 증설 및 여러 종류의 중계장치들을 설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광 중계 장치 및 변파 중계 장치들은 그 가격이 고가이며, 특히, 광 선로 점용료가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F 발진제어 중계 장치가 제시되었다. RF 중계 장치란, 기지국 안테나에서 발사된 신호를 중계기 링크 안테나로 수신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다시 커버리지 안테나로 방사하는 직접중계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RF 중계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수신간에 신호분리도(isolation) 문제로 인해서, 링크 안테나와(link ant.) 커버리지 안테나(coverage ant.) 간에 거리를 어느 정도 이상 이격(중계기 이득 + 1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 시킨 후 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장비 설치시의 어려움이 크고, 또한, 중계장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장비가 설치된 장소까지 이동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안테나 간의 분리도가 부족하여 미세발진이 일어나는 장소에서도 안정된 신호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크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순방향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발진제어하여 커버리지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RF 신호의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를 분기/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필터 수단;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진 신호를 억제하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조절하기 위한 초단RF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 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궤환되는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발진을 제거 하기 위한 미세발진 제거 수단;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수단; 상기 전력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필터 수단; 신호를 분기/검출하고,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 상기 후처리 수단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이 발진 유무와 그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변환검출 수단; 및 상기 변환검출 수단이 검출한 값을 이용하여, 발진검출시 상기 초단RF 수단과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실제 입력되는 RF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리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역방향 RF 신호를 발진제어하여 링크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RF 신호의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를 분기/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필터 수단; 잡음 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 수단;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진 신호를 억제하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조절하기 위한 초단RF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 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궤환되는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발진을 제거 하기 위한 미세발진 제거 수단;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수단; 상기 전력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필터 수단; 신호를 분기/검출하고,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 상기 후처리 수단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이 발진 유무와 그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변환검출 수단; 및 상기 변환검출 수단이 검출한 값을 이용하여, 발진검출시 상기 초단RF 수단과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실제 입력되는 RF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계 장치는, 링크 안테나(501), 전처 리부(502), 대역필터부1(503), 순방향 초단RF부(forward-radio frequency module; 이하, 간단히 'F-RFM'이라 함)(504), 순방향 미세발진제거부(forward-interference cancellation module; 이하, 간단히 'F-ICM'이라 함)(505), 전력증폭부(high power amplifier; 이하, 간단히 'HPA'라 함)(506, 513), 대역필터부2(507), 후처리부(508), 커버리지 안테나(509), 저잡음 증폭부(low noise amplifier; 이하, 간단히 'LNA'라 함)(510), 역방향 초단RF부(reverse-radio frequency module; 이하, 간단히 'R-RFM'이라 함)(511), 역방향 미세발진제거부(reverse-interference cancellation module; 이하, 간단히 'R-ICM'이라함)(512), 역방향 신호변환 검출부(reverse-oscillation module; 이하, 간단히 'R-OSC'라 함)(514), 제어부(515), 순방향 신호변환 검출부(forward-oscillation module; 이하, 간단히 'F-OSC'라 함)(516), 모뎀부(517) 및 전원공급부(5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110)으로부터 상기 링크 안테나(50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는, 상기 전처리부(502)로 입력된다. 상기 전처리부(502)는 과전압에 의한 장비를 보호(arrestor)하고, 신호를 분기(coupler) 검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대역필터부1(503)은 원하는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도 6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대역필터부1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대역필터부1(503)은, 듀플렉서(601), 순방향 대역통과필터(forward-band pass filter; 이하, 간단히 'F-BPF'라 함)(602) 및 역방향 대역통과필터(reverse-band pass filter; 이하, 간단히 'R- BPF'라 함)(6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601)는 순방향 신호와 역방향 신호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F-BPF(602)는 순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R-BPF(603)는 역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듀플렉서(601)와 별도로 추가된 BPF를 적용하는 것은,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방식의 중계 장치에서처럼 대역여파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상기 대역필터부1(503)을 통과한 순방향 RF 신호는 상기 순방향 초단RF부(F-RFM)(504)로 입력되며, 상기 F-RFM(504)는 상기 제어부(515)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이득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어부(515)는, 상기 F-RFM(504)의 이득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F-RFM(504)의 신호 입력레벨, 출력레벨, 시스템 내부온도, 내부온도에 따른 이득 조절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네트웨어 관리 시스템(NetWare Management System; NMS)일 수 있다.
상기 F-ICM(506)은 상기 제어부(515)의 컨트롤 신호에 의해서, 발진 파형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상기 F-ICM(506)은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의 조건인 동위상의 조건을 방지하고, 또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통화신호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는 필드에서, 변화하는 전파환경에 따라 운용자가 각각의 필드 환경에 맞 추어 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중계장치는, 안테나 간의 분리도(isolation)가 부족하여 미세한 발진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도 안정된 신호품질(EVM-Modulation Accuracy)을 유지하게 하여 줌으로써, 기존의 RF중계장치보다 안테나 간의 분리도를 5~10dB 정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HPA(506)는 상기 F-ICM(505)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대역필터부2(507)는 상기 HPA(506)에 의해 증폭된 RF 신호를 타사 서비스대역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파를 방사하도록 필터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 구성은 상기 대역필터부1(503)과 동일하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후처리부(508)는 신호를 분기(coupling) 검출하고, 과전압으로부터 장비를 보호(arrestor)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같이 후처리부를 통과한 RF 신호는 상기 커버리지 안테나(509)를 통하여 방사된다.
상기의 신호변환 검출부인 F-OSC(514)는 RF신호를 상기 제어부(515)가 인식가능한 값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F-OSC(514)는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중간주파수(IF) 대역으로 낮추고, 해당 기저대역으로 낮춘 신호에 대하여 할당된 전대역을 스윕(sweep)하여 그 값을 전달해 줌으로 인해서, 상기 제어부(515)가 발진의 유무와 입력 신호의 세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15)는 발진검출시 상기 F-RFM(504)를 제어하여, F-RFM(504)이 신호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발진을 억제하도록 하며, 또한 미세발진시 에는 상기 F-ICM(505)을 제어하여, F-ICM(505)이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미세발진 을 제거함으로서, 최상의 신호 품질(EVM)을 유지해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15)는 신호 스펙트럼 기능을 제공하여 실제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순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역방향도 순방향과 동일한 개념으로 운영될 수 있다. 다만, 역방향의 경우에, 상기 전처리부(502)는 '후처리부'라고 칭하게 되며, 상기 후처리부(508)는 '전처리부'라고 칭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LNA(510)는 상기 제2대역 필터부를 통과한 역방향 신호의 잡음 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기의 모뎀부(517)는 본 발명의 중계 장치의 상태를 운용자가 원격에서 무선 모뎀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게 하고, 원격 제어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18)는 본 발명의 중계 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자체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515)에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RF 중계 장치에 있어서 안테나의 분리 도가 부족하여 발진이 일어나는 장소에서도 안정된 신호품질을 유지하게 해 줌으로써, 실제 기존 RF 중계 장치보다, 안테나 간의 분리도를 5~10 dB 정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진 억제 및 신호의 위상 조절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미세발진시에도 안정된 신호품질(EVM)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중계 장치의 설치/운용/관리를 매우 편리하고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RF 중계 장치 및 안테나 설치시에 야기되던, 안테나 설치장소 선정의 어려움을 해소해주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중계장치의 저출력으로도 안정되고 균일한 통화 품질을 제공하도록 하여, 설치 운영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크다.
나아가, 본 발명은 지금까지 도시외곽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사용하던 RF중계 장치의 설치가능 지역을, 도심지 근교까지 확대하여 설치사용 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통상 광중계기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링크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순방향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발진제어하여 커버리지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RF 신호의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를 분기/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필터 수단;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진 신호를 억제하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조절하기 위한 초단RF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 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궤환되는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발진을 제거 하기 위한 미세발진 제거 수단;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수단;
    상기 전력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필터 수단;
    신호를 분기/검출하고,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
    상기 후처리 수단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이 발진 유무와 그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캐리어 주파수를 기저(IF) 대역으로 낮추고, 해당 기저 대역으로 낮춘 신호에 대하여 할당된 전대역을 스윕(sweep)하여 그 값을 전달해 줌-하기 위한 변환검출 수단; 및
    상기 변환검출 수단이 검출한 값을 이용하여, 발진검출시 상기 초단RF 수단과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실제 입력되는 RF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2. 커버리지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역방향 RF 신호를 발진제어하여 링크 안테나를 통해 방사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RF 신호의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를 분기/검출하기 위한 전처리 수단;
    원하는 주파수대역을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필터 수단;
    잡음 지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 수단;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발진 신호를 억제하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조절하기 위한 초단RF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발진 포인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궤환되는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일어나는 발진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발진 제거 수단;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 수단;
    상기 전력증폭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필터 수 단;
    신호를 분기/검출하고, 과전압에 의한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후처리 수단;
    상기 후처리 수단의 출력 신호를 상기 제어 수단이 발진 유무와 그 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캐리어 주파수를 중간주파수(IF) 대역으로 낮추고, 해당 기저 대역으로 낮춘 신호에 대하여 할당된 전대역을 스윕(sweep)하여 그 값을 전달해 줌-하기 위한 변환검출 수단; 및
    상기 변환검출 수단이 검출한 값을 이용하여, 발진검출시 상기 초단RF 수단과 상기 미세발진 제거 수단을 제어하고, 실제 입력되는 RF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여, 운용자에게 발진의 유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운용자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모뎀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대역필터 수단은, 순방향 신호를 분리/결합하기 위한 듀플렉서; 순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1대역통과필터; 및 역방향 신호에서 원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여파하기 위한 제 2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KR1020050031969A 2004-10-05 2005-04-18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KR20060047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025A KR20050004708A (ko) 2004-10-05 2004-10-0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
KR1020040079025 2004-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86A true KR20060047186A (ko) 2006-05-18

Family

ID=371497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025A KR20050004708A (ko) 2004-10-05 2004-10-0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
KR1020050031969A KR20060047186A (ko) 2004-10-05 2005-04-18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025A KR20050004708A (ko) 2004-10-05 2004-10-0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 제어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0047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785B1 (ko) * 2005-08-31 2012-03-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 및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의 이득자동 설정 방법
KR101106892B1 (ko) * 2005-09-02 2012-01-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간섭신호 제거 시스템 관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방법
KR101136134B1 (ko) * 2005-12-07 2012-04-17 주식회사 리노스 간섭잡음 제거 기능을 가지는 휴대인터넷 중계 장치 및 그방법
US8123389B2 (en) 2010-02-12 2012-02-28 Lumenetix, Inc. LED lamp assembly with thermal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708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8711B1 (en) On frequency repeater with agc stability determination
EP1617572A1 (en) Single-frequency relay for removing multi-path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EP2037599A2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KR101557720B1 (ko) 타워 장착 부스터
KR101097406B1 (ko) 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KR101736244B1 (ko) 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KR10038561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중계장치
KR200600471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진제어 중계 장치
KR20060094550A (ko)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8889A (ko) 긴급재난재해 이동통신 시스템
KR200346327Y1 (ko) 양방향 안테나 내장형 구조를 갖는 무선 중계기
KR100765896B1 (ko) 주기성 불요파 및 다중경로 간섭신호 제거기능을 갖춘무선중계장치
KR100365514B1 (ko) 직교 호출 잡음 시뮬레이터
KR100302944B1 (ko) 주파수 변환 중계장치
KR100399485B1 (ko) 단일주파수를 이용한 양방향 중계 장치
KR20050001302A (ko) 선박용 이동 통신 중계 방법 및 장치
US20230216535A1 (en) Filter selection technique for isolating receiver from transmi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070071567A (ko) 간섭신호 제거 기능을 갖는 무선 중계 시스템
KR100741569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기
KR200369360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이동통신 중계기
KR20060032934A (ko) 타임디비젼 듀플렉싱 무선통신시스템용 광중계기
KR100782922B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KR20060019486A (ko) 중계기의 발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710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KR200430832Y1 (ko) 중계기 신호보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215

Effective date: 200808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2

Effective date: 20090918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