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995B1 -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995B1
KR101771995B1 KR1020150178862A KR20150178862A KR101771995B1 KR 101771995 B1 KR101771995 B1 KR 101771995B1 KR 1020150178862 A KR1020150178862 A KR 1020150178862A KR 20150178862 A KR20150178862 A KR 20150178862A KR 101771995 B1 KR101771995 B1 KR 101771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holder
probe
pair
holde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024A (ko
Inventor
신기보
박상열
이영우
하태구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9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는 일단측에 다수의 프로브 센서가 설치되는 프로브 홀더부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검사 대상물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EDDY CURRENT PROBE APPARATUS FOR TESTING BLADE}
본 발명은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위치 및 일정한 리프트 오프(Lift-off)값을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검사결과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터빈 압축기는 흡기 필터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며, 대기 중의 미세한 부식 성분인 수분과 함께 압축기내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스터빈 블레이드 표면에 부착되는 부식 피트가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와전류탐상탐상검를 이용함으로 압축기 블레이드 검사시 균열의 발생여부와 진전, 균열의 정량적평가를 함으로써 검사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상기 와전류탐상검사는 전기가 비교적 잘통하는 물체(전도체)를 교번자계내에 두면 그 물체에 전류가 흐르는데, 만약 물체 내에 홈이나 결함이 있으면 임피던스는 피검사체의 투과율 및 전도율에 의하여 변화하게 되고, 그 변화하는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물체내의 결함의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상기 와전류탐상검사(ECT)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핸들 펜슬 프로브(Handheld Pencil Probe)를 이용하여 스케닝(Scanning)을 실시한다.
이러한 경우, 일정한 위치 및 리프트오프(Lift-off)의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손상부 결함의 검출능력저하와 수집데이타의 신뢰성저하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 리프트 오프(Lift-off)는 피검사체와 표면 프로브와의 간격이며, 프로브의 전후좌우의 떨림과 블레이드의 형상변화에 의해 리프트 오프(Lift-off)의 변화기 발생된다.
종래의 와전류탐상검사(ECT)검사에서는 숙련된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리프트오프(Lift-off)값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리프트오프(Lift-off)에 의한 결함신호차이에 의해 결함검출여부 및 물론 결함의 크기, 위치에 대해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특허출원 제10-2012-015526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위치 및 일정한 리프트 오프(Lift-off)값을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검사결과 값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는 일단측에 다수의 프로브 센서가 설치되는 프로브 홀더부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검사 대상물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는 탄성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스프링 홀더의 상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부의 내측 상단에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이 끼워지는 끼움홈 부를 갖는 상단 몸체와, 상기 상단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단차지어 연장되는 하단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몸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판상을 이루는 누름 플레이트와,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과,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가이드 롤러는 서로 동일 제 1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 일단측 양단부에서 한 쌍을 이루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가이드 롤러가 상기 제 1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지지되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에 상기 제 1회전축선과 직교를 이루어 상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가이드 롤러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위치 및 일정한 리프트 오프(Lift-off)값을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검사결과 값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블레이드 검사시 검사부위에 따른 프로브 홀더 가이드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한 개의 집개 타입으로 구성하여 검사가 가능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여 발생되는 피검사체와 직각이 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기하학적인 형상변화와 두께변화에 의한 리프트오프(Lift-off)값의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초보자가 스캐닝하더라도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데이터 취득을 가능하게 하여,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는 크게, 프로브 홀더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와, 하부 몸체부(300) 및,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브 홀더부(100)를 설명한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101)이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타단측 또는 후단측에는 3개의 프로브 센서(10, Coil)가 설치된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타단에는 3개의 설치홀(102)이 형성된다.
상기 3개의 프로브 센서(10) 각각은,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타단에서 수용 공간(101)에 일부가 위치되도록 상기 설치홀들(102)에 끼움 결합된다.
물론, 상기 프로브 센서(10)의 개수는 3개에 국한되지 않고,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부 몸체부(200)를 설명한다.
상기 상부 몸체부(200)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200)는 프로브 홀더부(100)의 상단에 배치되고, 다수의 결합 볼트(210)를 통해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01)은 상기 상부 몸체부(200)가 결합됨으로 인해 커버된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와 상기 상부 몸체부(200)의 사이에는 탄성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110)는 스프링 홀더(111)와, 상기 스프링 홀더(111)의 상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112)은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프링 홀더(111)는 상단 몸체(111a)와, 상기 상단 몸체(111a)의 하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단 몸체(111a)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이루도록 단차지어 연장 형성되는 하단 몸체(111b)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 몸체(111a)에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112)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 부(111c)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 홈부(111c)는 각 스프링(112)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각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몸체(111b)는 상술한 프로브 홀더부(111)에서 상하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단 및 하단 몸체(111a, 111b)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부분은 상기 관통홀의 주변 영역에 걸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 홀더(1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스프링(112) 상단은, 상부 몸체부(200)의 내측 상단면에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스프링 홀더(111)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112)의 탄성에 의해 상하 탄성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부 몸체부(300)를 설명한다.
상기 하부 몸체부(300)는 프로브 홀더부(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일단측 하단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10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몸체부(300)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판상을 이루는 누름 플레이트(310)와, 상기 누름 플레이트(3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일단측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320)과,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일단측 하단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3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330)은 토션 스프링을 사용하고,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프로브 홀더부(100)의 하단 및 누름 플레이트(310)를 탄성 지지하여 일단측에서 서로 모여지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집게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르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400)를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400)는 상기 상부 몸체부(200)와 상기 하부 몸체부(300)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200)와 상기 하부 몸체부(30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검사 대상물(1, 도 4참조)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400)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와, 제 2가이드 롤러(42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는 프로브 홀더부(1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 롤러(420)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310)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와, 상기 제 2가이드 롤러(420)는 서로 동일 제 1회전축선(①)을 형성하도록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 각각은 제 1회전축(411)을 통해 제 1회전축선(①)을 이루고, 상기 제 1회전축(411)은 프로브 홀더부(100)에 형성되는 회전홀(H)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판 상의 검사 대상물(1) 에지 부분을 그립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즉, 프로브 홀더부(100)와 하단 몸체부(300)의 사이에 검사 대상물(1)의 에지가 그립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2가이드 롤러(410,420)에 의해 프로브 홀더부(100), 상부 및 하부 몸체부(200, 300)는 상기 검사 대상물(1)의 표면을 따라 구름 이동될 수 있다.
더하여,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연장부(340)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 일단측 양단부에서 한 쌍을 이루어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340)의 사이에는, 상기 제 2가이드 롤러(420)가 상기 제 1회전축선(①)을 형성하도록 지지되는 지지 부재(430)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430)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340)에 상기 제 1회전축선(①)과 직교를 이루어 상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회전축선(②)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430)는 제 2가이드 롤러(420)를 회전 지지하는 상태에서 제 2가이드 롤러(420)를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가이드 롤러(420)는 제 2회전축(421)에 의해 제 2회전축선(②)을 형성한다. 상기 제 2회전축(421)은 연장부(340)의 일단에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지지 부재(430)의 양단에는 한 쌍의 보조 회전축(431)이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회전축(431)은 연장부(340)의 양단에 회전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430)는 보조 회전축(43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전 기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는 두께 및 형상이 기하학적으로 변화되는 일정 이하두께의 모든 가스터빈 블레이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프로부 몸체부(100)와, 하부 몸체부(300)에 위치되는 탄성 부재(330)과 스프링 홀더(112)에 삽입된 한 쌍의 스프링(111)에 의해 검사 대상물(1)의 검사부위와 프로브 센서들(10)(Coil)은 직각을 이루며 일정한 리프트오프(Lift-off)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물(1)의 검사 부위와 프로브 홀더부(100)가 접촉되는 경우 프로브 홀더부(100)의 하부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홀더(111)의 하단에 의해, 즉 이는 스토퍼의 역할로 인해, 검사위치가 항상 일정하도록 보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접촉면 양쪽에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 및 제 2가이드 롤러(420)가 구름 접촉되도록 하여 표면 상태에 의한 슬라이딩 방해와 접촉면의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결함 발생이 빈번하고 가능성이 높은 블레이드 에지부를 와전류탐상검사시 본 발명의 집게형인 프로브 장치를 사용하여 Leading Edge, Trailing Edge, Tip부의 표면과 프로브(Coil)가 수직을 이루게 함과 아울러, 프로브 홀더부에 삽입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표면에 일정한 힘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프로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에 위치되는 탄성 스프링과 스프링홀더에 삽입된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검사 대상물의 검사부위와 프로브 센서들(Coil)은 직각을 이루며 일정한 리프트오프(Lift-off)값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검사 대상물에 접촉을 한 이후에, 일정한 속도로 접촉면을 스캐닝 하게 되는 경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 및 제 2가이드 롤러(420)는 감사 대상물(10)의 표면을 따라 구름 이동 함으로써,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 계수를 줄임과 아울러, 정확하고 일정한 신호을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410) 및 제 2가이드 롤러(420)를 탄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로브 홀더부
100a : 곡면부
101 : 수용 공간
102 : 설치홀
110 : 탄성부
111 : 스프링 홀더
111a : 상단 몸체
111b : 하단 몸체
112 : 스프링
200 : 상부 몸체부
210 : 결합 볼트
300 : 하부 몸체부
310 : 누름 플레이트
320 : 힌지단
330 : 탄성 스프링
340 : 연장부
400 :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
410 : 제 1가이드 롤러
420 : 제 2가이드 롤러
430 : 지지 부재
① : 제 1회전축선
② : 제 2회전축선

Claims (10)

  1. 타단측에 다수의 프로브 센서가 설치되는 프로브 홀더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검사 대상물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홀더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는 탄성부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 홀더와, 상기 스프링 홀더의 상단부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의 하단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상단은 상기 상부 몸체부의 내측 상단에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홀더부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스프링이 끼워지는 끼움홈 부를 갖는 상단 몸체와, 상기 상단 몸체의 하단으로부터 단차지어 연장되는 하단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하단 몸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에는,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5. 타단측에 다수의 프로브 센서가 설치되는 프로브 홀더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하부 몸체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검사 대상물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판상을 이루는 누름 플레이트와,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단과,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측 하단과 상기 누름 플레이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는,
    상기 프로브 홀더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이동 안내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의 일단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2가이드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가이드 롤러는 서로 동일 제 1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상하를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누름 플레이트 일단측 양단부에서 한 쌍을 이루어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2가이드 롤러가 상기 제 1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지지되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을 이루는 연장부에 상기 제 1회전축선과 직교를 이루어 상하 회전을 안내하는 제 2회전축선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 2가이드 롤러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KR1020150178862A 2015-12-15 2015-12-15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KR101771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62A KR101771995B1 (ko) 2015-12-15 2015-12-15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862A KR101771995B1 (ko) 2015-12-15 2015-12-15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24A KR20170071024A (ko) 2017-06-23
KR101771995B1 true KR101771995B1 (ko) 2017-08-28

Family

ID=5928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862A KR101771995B1 (ko) 2015-12-15 2015-12-15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89B1 (ko) * 2021-04-27 2021-06-24 성연우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자부품 검사용 프로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753A (ja) 2007-01-22 2008-07-31 Ngk Insulators Ltd 黒鉛含有セラミック容器の検査方法
JP2009162746A (ja) 2007-12-14 2009-07-23 Ntn Corp 荷重検出装置および荷重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5753A (ja) 2007-01-22 2008-07-31 Ngk Insulators Ltd 黒鉛含有セラミック容器の検査方法
JP2009162746A (ja) 2007-12-14 2009-07-23 Ntn Corp 荷重検出装置および荷重検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689B1 (ko) * 2021-04-27 2021-06-24 성연우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자부품 검사용 프로브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24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016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component
US20060236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component
US94357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components
JP5294773B2 (ja) ロータディスクの接面凹部の検査装置
JPH0660889B2 (ja) ヘツダ−の管孔を検査するための走査装置および方法
US6426622B1 (en) Fixture for eddy current inspection probes
JP2009236808A (ja) レール探傷方法及び装置
JP5451980B2 (ja) 自動較正を備えた非破壊検査用の渦電流を用いた方法および装置
KR101771995B1 (ko) 블레이드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장치
KR102624517B1 (ko) 터빈 블레이드 비파괴 검사장치
JP2008292470A (ja) 渦電流を有する直線状キャビティ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
KR102187106B1 (ko) 티타늄 터빈블레이드 와전류 검사장치
KR101937563B1 (ko) Ect 센서 어레이 고정기 및 이를 이용한 검사대상물의 표면 결함 검사장치
RU24627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токами фуко отверстия, выполненного в токопроводящей детали
KR101289921B1 (ko) 와전류 프로브
US8395378B2 (en) Nondestructive robotic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1174211B1 (ko) 블레이드 에지부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가이드 고정장치
KR101237225B1 (ko) 블레이드의 에어포일 검사용 와전류 프로브 고정장치
KR20190037480A (ko) 와전류 프로브 장치
US20140035568A1 (en) Assembly with a universal manipulator for inspecting dovetail of different sizes
CN213337450U (zh) 一种用于孔型内壁缺陷定位、定量涡流检测工装
Aldrin et al. Progress and challenges of inverse methods for sizing cracks in multilayer bolt-holt eddy current inspections
CN111972703A (zh) 一种模块化烟支外观检测装置
Aldrin et al. Model-based inversion of eddy current data for classification and sizing of planar and volumetric discontinuities
CN114813929A (zh) 发电机护环阵列涡流检测用吸附式扫查装置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