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52B1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52B1
KR101771452B1 KR1020100081668A KR20100081668A KR101771452B1 KR 101771452 B1 KR101771452 B1 KR 101771452B1 KR 1020100081668 A KR1020100081668 A KR 1020100081668A KR 20100081668 A KR20100081668 A KR 20100081668A KR 101771452 B1 KR101771452 B1 KR 10177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harging
charger
mobile terminal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680A (ko
Inventor
박종현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52B1/ko
Priority to TW100118883A priority patent/TWI481147B/zh
Priority to US13/181,714 priority patent/US8847557B2/en
Priority to EP11005717.1A priority patent/EP2424073A3/en
Priority to CN201110210504.2A priority patent/CN102377211B/zh
Publication of KR20120018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02J7/0004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in response to measured battery parameters, e.g. voltage, current or temperature prof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전용 충전기가 연결되면 충전전류를 100mA단위로 단계적으로 충전전류를 증가시킨 후 그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보다 일정 시간동안 크면 충전구간을 판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판별하여 충전전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USB ID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지 않고도 USB전용 충전기(TA)의 적정 충전용량을 찾을 수 있으며(USB ID가 필요없어 제조원가 절감 가능), 700mA 및 1A의 TA의 충전용량뿐만 아니라 충전용량이 각각 다른 타사의 TA의 충전용량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1A의 충전기의 경우에는 9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고, 700mA의 TA의 경우에는 7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기 때문에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MOBILE TERMINAL AND USB DEDICATED CHARGER DETERMIN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되는 USB전용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판별하고 그에 따라 적정한 충전전류를 설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에는 다양한 충전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TA(Travel Adaptor)는 USB케이블을 통해 700mA 또는 800mA로 이동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로서 헤더(TA헤더)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스마트폰이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배터리의 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TA를 이용하여 배터리 용량이 증가된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경우에는 늘어난 배터리 용량만큼 충전시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1000mA이하의 배터리가 사용될 경우에는 700mA의 TA가 사용되고(실제로는 600mA로 제한 사용), 1000mA이상의 배터리가 사용될 경우에는 1A의 TA가 사용되고 있다(실제로는 8000 또는 900mA 제한 사용).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충전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제조업체에서는 1A의 TA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기존의 700mA의 TA와 1A의 TA를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700mA의 TA와 1A의 TA를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은 TA를 이동 단말기에 연결하는 USB 케이블의 ID저항값을 체크하는 방법이 유일하다.
상기 방법은 소정 용량의 TA가 USB케이블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에 접속될 때 이동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결합되는 USB 플러그의 내부 저항을 체크하여, 현재 이동 단말기에 어떤 용량의 TA가 접속되어 있는지 판별하는 방법이다.
판별결과 상기 USB 플러그의 내부 저항이 180KΩ인 경우에는 700mA의 TA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상기 내부 저항이 220KΩ인 경우에는 1A(실제로는 800 또는 900)의 TA가 접속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인식된 TA타입에 따라 설정되는 충전전류(700mA 또는 800mA)로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충전기(TA)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경우 해당 충전기(TA)의 용량을 검출할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여러가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가 TA용량이 작은 USB타입의 TA로 이동 단말기를 충전할 때 주로 발생하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TA가 과부하가 걸려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예를들어 1A로 충전하는 스마트폰이 기존의 700mA TA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가 충전전류를 1A로 당기려고 하기 때문에 TA에서 과부하(overload)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TA에서 과전류보호(over current protection)이 걸려 TA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700mA의 TA가 220KΩ의 USB케이블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연결될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현재 1A TA가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충전전류를 800mA로 설정하여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는 충전전류를 800mA로 당기려고 하기 때문에 TA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여 TA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ID핀에 저항이 없는 USB 플러그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될 경우에는 현재 어떤 종류의 충전기(TA)가 연결되어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기의 용량에 맞는 충전전류를 산정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된 충전기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구별하여 충전기의 손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은, 충전기가 연결되면 충전전류를 소정 단위로 증가시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충전전류에 의해 실제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충전전류와 해당 측정전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크고 이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충전구간 및 측정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적정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는 USB전용 충전기는 Travel Adaptor(TA)이다.
상기 초기 충전전류를 400mA이고, 상기 설정된 충전전류는 상기 측정 전류보다 작을 경우에만 100mA단위로 증가된다.
상기 적정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는 현재 충전이 진행되는 충전구간을 판별하여 그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류구간이면 실제 측정된 충전기의 충전용량보다 낮게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압구간이면 실제 측정된 충전기의 충전용량보다 높게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별된 충전구간이 배터리가 저전압을 때 충전하는 트리클 구간이면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설정하지 않고 100mA이하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류구간에서 측정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적정 충전용량을 측정전류보다 100-200mA 낮게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700mA와 1A사이에 포함되면 적정 충전용량을 700mA로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1A보다 크면 적정 충전용량을 900mA로 산정한다.
상기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압구간에서 측정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적정 충전용량을 측정전류보다 100-200mA 높게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700mA와 1A사이에 포함되면 적정 충전용량을 700mA로 산정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은, 설정된 각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큰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아 충전 전류량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각 충전전류에 대하여 해당 충전전류가 측정전류보다 큰 횟수를 체크하여, 가장 큰 횟수를 갖는 충전전류를 적정 충전용량으로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USB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USB전용 충전기와; USB전용 충전기가 접속되면 충전전류를 소정 단위로 증가시켜 각 충전전류에 의해 실제로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설정된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크고 이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충전구간 및 측정전류를 이용하여 충전기에 대한 적정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USB전용 충전기는 Travel Adaptor(TA)이고, 상기 USB케이블은 USB ID단자에 저항이 없는 케이블이다.
상기 제어부는 충전전류를 초기에는 400mA로 설정한 후 각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작을 경우에 해당 충전전류를 100mA단위로 증가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크고 이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 충전구간을 판별한 후 상기 측정전류의 범위에 따라 상기 충전기에 대한 적정 충전용량을 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류구간이고 측정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적정 충전용량을 측정전류보다 100-200mA 낮게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700mA와 1A사이에 포함되면 적정 충전용량을 700mA로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1A보다 크면 적정 충전용량을 900mA로 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판별된 충전구간이 정전압구간이고 측정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적정 충전용량을 측정전류보다 100-200mA 높게 산정하고, 상기 측정 전류가 700mA와 1A사이에 포함되면 적정 충전용량을 700mA로 산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판별된 충전구간이 배터리가 저전압을 때 충전하는 트리클 구간이면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설정하지 않고 100mA이하로 충전한다.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각 충전전류가 측정 전류보다 큰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아 충전전류량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각 충전전류에 대하여 해당 충전전류가 측정전류보다 큰 횟수를 체크한 후 가장 큰 횟수를 갖는 충전전류를 적정 충전용량으로 산정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USB전용 충전기를 연결한 후 100mA단위로 단계적으로 충전전류를 증가시킨 후 그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보다 일정 시간동안 크면 충전구간을 판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판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USB ID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지 않고도 USB전용 충전기(TA)의 적정 충전용량을 찾을 수 있으며(USB ID가 필요없어 제조원가 절감 가능), 700mA 및 1A의 TA의 충전용량뿐만 아니라 충전용량이 각각 다른 타사의 TA의 충전용량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용량의 TA에 대해서도 쉽게 해당 TA의 충전용량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1A의 충전기의 경우에는 9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고, 700mA의 TA의 경우에는 7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일반적인 USB전용 충전기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구간에 따라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판별하는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전류규간 및 정전압구간에서 배터리 전압)과 충전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전기 용량 이상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했을 때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도 9에서 증가된 각 충전전류에 대한 카운트 횟수중에서 최대 횟수의 충전전류를 근거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선정하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이동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상기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 (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 (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배터리로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TA(Travel Adaptor)는 TA헤더와 USB케이블의 두가지 엑세서리(accessory)를 포함하며 700mA로 이동 단말를 충전시킨다. 상기 TA는 케이블이 없는 무선형이기 때문에 상기 TA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USB케이블이 사용되어야 한다.
도 3은 일반적인 TA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시 이동 단말기(100)는 USB케이블(50)을 통하여 중전기인 TA(5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TA(51)의 종류를 판별하여 적정한 충전전류를 설정한다.
도 4은 도 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충전구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의 리셉터클(Receptacle) A는 Vbus, D-, D+, ID 및 접지(Ground) 핀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양쪽에 각각 플러그 A, B가 부착된 USB케이블(50)을 통해 TA(51)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USB케이블(50)의 플러그 A는 이동 단말기의 리셉터클 A에 연결되고, 플러그 B는 TA(51)의 리셉터클 B(상세 구성 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A는 상기 리셉터클 A에 대응되는 Vbus, D-, D+, ID 및 접지(Ground) 핀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B와 리셉터클 B에는 각각 Vbus, D-, D+ 및 접지핀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이동 단말기의 리셉터클 A의 핀(ID)는 제어부(180)의 핀(또는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A의 핀(ID)에는 180kΩ 또는 220kΩ의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TA(51)의 리셉터클 B의 데이타 핀(D+, D-)은 쇼트(short)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플러그 A의 핀(ID)에 어떤 저항(180kΩ 또는 220kΩ)이 연결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충전기의 종류(1A 또는 700mA)를 판별한 후 판별된 충전기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충전전류(600mA 또는 800mA)로 이동 단말기를 충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USB전용 충전기인 TA(51)가 USB(50)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 접속되면, 제어부(180)는 충전전류를 100mA단위로 증가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TA(51)는 1A 또는 700mA가 주로 사용되고 기타 타사의 충전기 역시 유사한 용량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00mA에서부터 충전전류를 100mA단위로 설정하여 증가시킨다(S11).
최초 4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후(0.5초후에 이동 단말기에 흐르는 충전전류(I)를 측정한 다음(S12)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이하 측정전류로 약칭함)와 상기 400mA의 충전전류를 비교한다(S13). 상기 측정전류(I)는 상기 충전전류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 흐르는 전류이다.
만약 측정전류(I)가 증가된 충전전류(400mA)보다 크면 카운트를 리셋한 후(S14) 다시 충전전류를 400mA에서 500mA로 증가시키고 상기 단계(S12~S14)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전류(I)보다 커지면 해당 횟수를 7회(약3.5초)까지 즉, 충전전류가 측정전류(I)보다 큰 상태가 일정 시간유지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는 단계(S15,S16)에 의해 수행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전류(I)보다 큰 상태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면, 제어부(180)는 현재 충전구간을 판별한 후 그 판별된 충전구간에 따라 충전기에 맞는 적정 충전용량(충전기의 종류에 따른 충전전류)를 설정한다(S17),S18).
도 6은 충전구간에 따라 충전기의 충전용량를 판별하는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 및 8은 정전류규간(CC) 및 정전압(CV)구간에서 배터리 전압(VBAT)과 충전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I)보다 일정 시간동안 크면 제어부(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재의 충전구간을 판별한다(S20).
상기 충전구간은 트리클(Trickle)구간, 정전류(Constant Current:CC)구간 및 정전압(Constant Voltage:CV)구간으로 구분하여 판별한다. 상기 트리클(Trickle)구간은 도 7에서 배터리전압(VBAT)이 3.2V이하인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트리클(Trickle)구간에서 제어부(180)는 충전기 용량으로 별도의 충전전류를 설정하지 않고 100mA이하로 충전한다.
상기 정전류(CC)규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터리전압(VBAT)이 정전압(CV)보다 작고 3.2V보다 크거나 같은 구간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충전전류를 강하게 당기기 때문에 측정된 충전전류(I)는 충전용량보다 10~20%정도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정전류(CC)규간에서는 측정된 전류(I)에서 100mA~200mA정도 작은 값으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이 판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충전구간이 정전류(CC)구간인 경우 제어부(180)는 아래 식(1)에 따라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를 충전기의 충전용량(700mA 및 1A)과 비교하여 현재 접속된 충전기에 적정한 충전용량을 산정한다(S22).
충전용량 = I-100mA, if I<700mA
= 700mA, if 700mA≤I<1A)
= 900mA, if I > 1A --------------------식(1)
예를들어, 상기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가 700mA보다 작으면, 충전기의 종류 즉, 충전용량을 측정된 전류(I)-100mA(or 200mA)로 산정하고(타사 35mA 충전기),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가 700mA와 1A사이(700≤I<1000)에 해당할 경우에는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700mA로 선정한다(현재 700mA의 TA가 연결됨)(S21). 또한,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가 1A보다 틀 경우에는 상기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900mA로 산장한다(현재 1A의 TA가 연결됨).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전압(CV)구간은 배터리전압(VBAT)이 정전압(CV)보다 크거나 같은 구간으로, 전류량이 작고(충전전류를 당기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VBET)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측정된 전류(I)보다 100mA~200mA이상 높은 값으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전압규간(CV)에서 제어부(180)는 아래 식(2)에 따라 상기 측정된 충전전류(I)를 충전기의 충전용량(700mA 및 1A)과 비교하여 현재 접속된 충전기에 대한 충전용량을 산정(설정)한다(S23).
충전용량 = I + 200mA, if I<700mA
= 700mA, if 700mA≤I<1A) --------------------식(2)
즉, 제어부(180)는 측정된 전류(I)가 700mA보다 작으면 충전용량을 측정된 전류(I)+200mA)로 산정하고, 상기 측정전류(I)가 700mA와 1A사이(700≤I<1000)에 해당할 경우에는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700mA로 산정한다(현재 700mA의 TA가 연결됨)(S23).
또한, 단계(S20)에서 현재 충전구간이 정전류(CC)구간 및 정전압(CV)구간에 해당되지 않는 트리클 구간인 경우 제어부(180)는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고 100mA이하로 충전한다.
도 9는 충전기 용량 이상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했을 때 안정적으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일반적으로 충전기 용량 이상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했을 때, 예를들면 1A로 충전하는 스마트폰에 700mA의 충전기(TA)를 사용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충전전류를 1A로 공급하기 때문에 충전기에 과부하(overload)가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측정된 충전 전류량이 순간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이 발생하여 충전 전류량이 뷸규칙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충전전류를 400mA에서 1A까지 100mA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I)보다 큰 횟수를 카운트하여 각 충전전류에 대한 카운트 횟수를 계산한다. 이후 상기 각 충전전류에 대한 총 카운트 수가 30회가되면 상기 계산된 각 충전전류에 대한 카운트 횟수중에서 최대 횟수의 충전전류를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결정한다. 상기 동작은 단계(S30-S37)를 통하여 수행된다.
즉, 먼저, 400mA의 충전전류에 대하여 측정전류(I)가 상기 400mA의 충전전류보다 큰 회수를 카운트하고(S31,S32,S33,S35-37), 이후 상기 측정전류(I)가 상기 400mA의 충전전류보다 커지면 카운트를 리셋한 후(S34) 500mA의 충전전류에 대하여 측정전류(I)가 상기 500mA의 충전전류보다 큰 회수를 카운트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600mA~1A까지 측정전류(I)가 해당 충전전류보다 큰 회수를 카운트하여, 총 카운트가 30회가 되면 또는 1A이전에 30회가 되면, 계산된 각 충전전류에 대한 카운트 횟수중에서 최대 횟수의 충전전류를 충전기의 충전용량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단계(S36)에서 만약 증가된 특정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I)보다 큰 횟수가 일정 시간동안(카운트 7회동안) 유지되면 도 6의 단계(S20-S23)에 해당하는 단계(S39-S41)를 수행한다.
도 10은 도 9에서 설정된 각 충전전류에 대한 카운트 횟수중에서 최대 횟수의 충전전류를 근거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 9에 도시된 단계(S31,S32,S33,S35-37)를 수행하여 측정전류(I)가 해당 충전전류보다 큰 회수를 카운트하여, 누적된 총 카운트가 30회가 되는지 체크한다(S50). 체크결과 누적된 총 카운트가 30회가 되면 제어부(180)는 계산된 각 충전전류(400mA~1A)에 대한 카운트 횟수중에서 총5회의 카운트를 갖는 900mA를 충전기의 충전용량으로 결정한다.
이때, 만약 최대 카운트값을 갖는 증가된 충전전류(Imax_count_current)에서 100mA를 뺀 충전전류의 카운트값이 7보다 크면, 즉, 800mA가 7회이상(3.5초 이상) 측정전류(I)보다 큰 상태가 유지되면, 측정전류(I)를 다음 식(3)에 의해 결정한다(S51).
측정전류(I)= Imax_count_current -100mA--------식(3)
일단 정확한 측정 전류가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다음 식(4)에 따라 최정적으로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한다.
충전용량 = I-100mA, if I<700mA
= 700mA, if 700mA≤I<1A)
= 900mA, if I > 1A --------------------식(4)
이와같이 본 발명은 충전기 용량 이상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충전 전류량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일정 시간(카운트 30=약 15초동안)범위내에서 설정되어 공급된(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전류(I)보다 큰 상태를 가장 길게 유지하는 공급전류를 충전기의 충전용량으로 판별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충전기를 연결한 후 100mA단위로 단계적으로 충전전류를 증가시킨 후 그 증가된 충전전류가 측정한 충전전류보다 일정 시간동안 크면 현재의 충전구간을 판별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판별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USB ID단자의 저항을 측정하지 않고도 USB전용 충전기(TA)의 적정 충전용량을 찾을 수 있으며(USB ID가 필요없어 제조원가 절감 가능), 700mA 및 1A의 TA의 충전용량뿐만 아니라 충전용량이 각각 다른 타사의 TA의 충전용량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즉, TA를 사용하는 전체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USB ID단자에 저항이 없는 USB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는 충전기의 충전용량을 산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충전기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1A의 충전기(TA)의 경우에는 700mA와의 호환을 고려하여 충전전류를 800mA로 설정하고, 700mA의 TA의 경우에는 500mA이하의 충전기와의 호환을 고려하여 충전전류를 600mA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용량의 TA에 대해서도 쉽게 해당 TA의 충전용량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1A의 충전기의 경우에는 9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고, 700mA의 TA의 경우에는 700mA로 충전전류를 설정하여 운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8)

  1.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소정 단위로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가 소정 단위로 증가될 때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되어 이동 단말기에 인가되는 실제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와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제1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상기 실제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구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충전 구간과 상기 실제 전류를 근거로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제1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실제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각 충전전류가 실제 전류보다 큰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시간이 제2시간이 될 때 가장 큰 누적시간을 야기한 충전 전류를 충전기의 충전용량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USB(Universal Serial Bus) travel adaptor(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400mA의 초기값으로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증가 단계는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100mA의 소정 단위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 단계는
    상기 비교 단계에서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작다고 결정되었을 때 소정 단위로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충전 구간이 정전류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낮거나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충전 구간이 정전압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높거나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충전 구간이 트리클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설정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클 구간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정 문턱값보다 작은 전압을 갖을 때만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100mA이하의 충전 전류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구간에서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상기 설정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100~200mA 낮게 충전 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1A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설정 단계는 700mA로 충전 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1A보다 크면 900mA로 충전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구간에서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상기 설정 단계는 충전 용량을 실제 전류보다 100~200mA 높게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1A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설정 단계는 충전 용량을 700m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9. 삭제
  10.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엔터티(entity)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충전기가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연결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a)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b)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소정 단위로 증가시키면서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인가되는 실제 전류를 측정하고,
    (c)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와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를 비교하여,
    (d)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제1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실제 전류보다 크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구간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충전 구간과 실제 전류를 근거로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설정하고,
    (e)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제1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실제 전류보다 크지 않으면 각 충전전류가 실제 전류보다 큰 시간을 누적하여, 상기 누적시간이 제2시간이 될 때 가장 큰 누적시간을 야기한 충전 전류를 충전기의 충전 용량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USB(Universal Serial Bus) travel adaptor(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류를 400mA의 초기값으로 설정한 다음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를 100mA의 소정 전류 단위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가된 충전 전류가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작다고 결정되었을 때 소정 전류 단위로 충전 전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구간이 정전류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낮거나 동일하게 설정하고,
    상기 충전 구간이 정전압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높거나 동일하게 설정하며,
    상기 충전 구간이 트리클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용량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클 구간에서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정 문턱값보다 작은 전압을 갖을 때만 충전 동작을 수행하며, 100mA이하의 충전 전류로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류 구간에서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보다 100~200mA 낮게 충전 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1A범위에 포함되면 700mA로 충전 용량을 설정하며,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1A보다 크면 900mA로 충전 용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전압구간에서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이하이면, 상기 설정 단계는 충전 용량을 실제 전류보다 100~200mA 높게 설정하고,
    상기 측정된 실제 전류가 700mA~1A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설정 단계는 충전 용량을 700mA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삭제
KR1020100081668A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KR10177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68A KR101771452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TW100118883A TWI481147B (zh) 2010-08-23 2011-05-30 行動終端機及其usb專用充電器判定方法
US13/181,714 US8847557B2 (en) 2010-08-23 2011-07-13 Mobile terminal and USB dedicated charger determining method thereof
EP11005717.1A EP2424073A3 (en) 2010-08-23 2011-07-13 Mobile terminal and USB dedicated charger determining method thereof
CN201110210504.2A CN102377211B (zh) 2010-08-23 2011-07-26 移动终端及其usb专用充电器确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68A KR101771452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80A KR20120018680A (ko) 2012-03-05
KR101771452B1 true KR101771452B1 (ko) 2017-08-25

Family

ID=4503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68A KR101771452B1 (ko) 2010-08-23 2010-08-23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47557B2 (ko)
EP (1) EP2424073A3 (ko)
KR (1) KR101771452B1 (ko)
CN (1) CN102377211B (ko)
TW (1) TWI481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07B1 (ko) * 2009-10-22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usb전용 충전기 판별방법
CN101882701B (zh) * 2010-06-25 2013-09-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的方法及系统
KR101835007B1 (ko) * 2011-10-25 201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충전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2435073U (zh) * 2011-12-26 2012-09-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电池及使用该充电电池的电源系统
CN102709970B (zh) 2012-05-23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充电电路及其控制方法与装置
KR101920236B1 (ko) * 2012-06-19 2018-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2738871B (zh) * 2012-07-20 2014-09-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对移动设备进行充电处理的方法及系统
US9632969B2 (en) * 2012-08-07 2017-04-25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 computing device and a peripheral module
TWI452302B (zh) * 2012-11-30 2014-09-11 Hon Hai Prec Ind Co Ltd 可擕式移動終端及測量外接裝置之電流的方法
EP3866301A1 (en) * 2014-01-28 2021-08-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ower adapter and terminal
US9917518B2 (en) * 2014-04-24 2018-03-13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and circuit of detec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between a portable device and a power converter
US20160204623A1 (en) * 2015-01-08 2016-07-14 Hand Held Products, Inc. Charge limit selection for variable power supply configuration
JP6490833B2 (ja) * 2015-05-19 2019-03-27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充電方法、充電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8318741B (zh) * 2018-03-14 2020-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阻抗检测电路及检测方法
CN109066885B (zh) * 2018-09-04 2021-05-14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充电器、及该充电器的充电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37B1 (ko) 2005-12-29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배터리 충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0031A (en) * 1988-09-30 1992-09-22 Motorola, Inc. Battery charging system
US5402055A (en) * 1992-09-30 1995-03-2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C adapter including differential comparator for tracking battery voltage during trickle charge
US5498950A (en) * 1994-04-29 1996-03-12 Delco Electronics Corp. Battery monitoring, charging and balancing apparatus
TW530429B (en) * 2001-12-24 2003-05-01 Avid Electronics Corp Intelligent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GB2401259B (en) * 2003-04-30 2005-12-21 Research In Motion Ltd Charging status indic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581119B2 (en) * 2004-07-18 2009-08-25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covering a power source on a peripheral bus
US7541776B2 (en) * 2004-12-10 2009-06-02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power-limited manner
US7853818B2 (en) * 2005-02-25 2010-12-14 Intel Corporation Modifying power adapter output
KR20070008048A (ko) 2005-07-12 200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의 충전제어장치 및 방법
US20070229024A1 (en) * 2006-03-30 2007-10-04 Li Peter T Balancing power supply and demand
JP2007288982A (ja) * 2006-04-20 2007-11-01 Nec Saitama Ltd 充電回路およびその充電方法
US7649342B2 (en) * 2006-12-08 2010-01-19 Chevron U.S.A. Inc.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battery in a power management unit
US8063606B2 (en) * 2007-05-11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harger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and an external battery
JP4479768B2 (ja) * 2007-09-10 2010-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および自動車の充電方法
EP2495845B1 (en) * 2008-04-29 2014-05-14 Dialog Semiconductor GmbH Load current dependent reduction of charge battery current
US9166429B2 (en) * 2008-06-03 2015-10-20 Intersil Americas LLC USB charger using current limit
US8519671B2 (en) * 2008-09-15 2013-08-27 Blackberry Limited Power supply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output voltage to charge a battery
US20100070659A1 (en) 2008-09-17 2010-03-18 Kenneth Ma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d/or charging a battery powered usb device based on a usb port ty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37B1 (ko) 2005-12-29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배터리 충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3927A1 (en) 2012-02-23
US8847557B2 (en) 2014-09-30
CN102377211A (zh) 2012-03-14
EP2424073A2 (en) 2012-02-29
CN102377211B (zh) 2014-07-02
EP2424073A3 (en) 2017-07-19
TW201210171A (en) 2012-03-01
KR20120018680A (ko) 2012-03-05
TWI481147B (zh) 201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4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KR1016677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usb전용 충전기 판별방법
KR101437975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101474421B1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1020589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gps엔진 제어방법
KR101432590B1 (ko) 무선 충전용 메뉴 제공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충전방법
US10291771B2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quantity of battery,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090128086A1 (en) Solar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303393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EP3813221B1 (en) Battery charging method,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5071449A (zh) 终端电池充放电曲线参数调整方法和装置
CN106654424A (zh) 充电的方法及终端
US10348882B2 (en) Interface display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6488542A (zh) 一种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597298A (zh) 一种电池电芯的漏电判断装置和方法
CN105244959A (zh) 充电控制装置及方法
CN105978103A (zh) 一种充电控制装置和方法
CN211557494U (zh) 一种通信信号检测系统
CN108964188B (zh) 一种移动终端充电控制电路、充电电路及电子设备
CN105807882A (zh) 基于指纹的自适应充电方法及智能终端设备
CN106162769A (zh) 一种基站切换方法及终端
KR20090055408A (ko) 이동 단말기의 무접점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197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2011001253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473802B1 (ko) 동적 반송파 집성 상태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