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43B1 -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43B1
KR101771443B1 KR1020127031059A KR20127031059A KR101771443B1 KR 101771443 B1 KR101771443 B1 KR 101771443B1 KR 1020127031059 A KR1020127031059 A KR 1020127031059A KR 20127031059 A KR20127031059 A KR 20127031059A KR 101771443 B1 KR101771443 B1 KR 10177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ide
lighting equipment
light unit
aerodrom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162A (ko
Inventor
피터 데 보에크
스티진 오피 데 비크
피에르 트레모우록스
Original Assignee
아데베 베파우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데베 베파우베아 filed Critical 아데베 베파우베아
Publication of KR2013009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B64F1/20Arrangement of optical beac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6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 F21V29/76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parallel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comb-like cross-section the planes containing the fins or blades having the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82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n auxiliary rotor or fluid-jet device for counter-balancing lifting rotor torque or changing direction of rotorcraft
    • B64C2027/8236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n auxiliary rotor or fluid-jet device for counter-balancing lifting rotor torque or changing direction of rotorcraft including pushe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3/00Aircraft or airfield light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6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aircraft runway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지면(15)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본체(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14)에 고정 가능한 상기 본체와, 적어도 하나의 LED(17)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유닛(12, 13)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1)는, 전력을 인가하여 LED를 구동시키는 전자 회로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회로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제1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유닛은 LED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제2 히트 싱크(120, 130)를 포함하는, 고설형(elevated) 비행장 조명 장치(10). 상기 조명 장치(10)는 상기 라이트 유닛(12, 13)이, 상기 본체(11)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고, LED로부터 발광된 광을 전도하는 전면부(12, 132)와,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제공되는 후면을 포함하는 이면부를 포함한다. 라이트 유닛은 상기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부착 시 상기 후면(120, 130)이 상기 전면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개재되고, 주변 공기가 통과하여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자연 대류에 의해 열을 주변 공기로 소산시킬 수 있는 유체 통로가 상기 본체(11)와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사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ELEVATED AIRFIELD 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LED 광원을 기반으로 하는, 비행장용 고설형 항공등(elevated light beacon)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edge light), 말단등(end light), 시단등(threshold light) 및 진입등(approach light)과 같은 고광도 비행장 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비행장 라이트에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백열등이나 할로겐 광원에 비한 LED의 이점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LED의 고 에너지 효율에도 불구하고, LED와 그의 전원 및 제어 시스템 양자에서 상당량의 열이 생성된다는 점도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LED 광원의 장수명을 보장함에 있어서는, LED의 발광 접합부(light emitting junction)의 온도가 임계치 미만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임계치는 백열등에 대한 임계치보다 훨씬 낮다(400°K 대 3000°K). 따라서, 생성된 열은 효과적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US 2008/002410에는, LED를 사용하고, 제1 히트 싱크(heat sink)로서 작용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지지부 상에 서로 동심으로 적층되어 배열되는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방향 항공등이 개시되어 있다. 히트 파이프로 불리는 열 전도성 요소가 LED 어레이를 항공등의 상단에 배열된 제2 히트 싱크에 결합시킨다. 제2 히트 싱크는 자연 대류에 의해 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복수의 냉각 판형부(fin)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항공등의 불리한 점은 최하측 LED 어레이에 의해 생성된 열이 제2 히트 싱크에 의해 소산되기 전에, 라이트의 높이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최상측 LED 어레이는 최하측 LED 어레이 및 이들의 전원으로부터 생성된 열에 노출된다.
WO 2009/103246호에는, 일 실시 형태로서,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는데 전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 싱크와,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는데 전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열 소산 경로가 분리되어 있는 LED 장애등이 개시되어 있다. 전원은, 전원의 히트 싱크로서 작용하고 라이트를 베이스 고정부에 접속시키기 위해 커넥터 링 상에 놓이는 금속 하우징에 제공된다. 전원의 상단에는, 오목하게 만곡된 반사면과 하방을 향하는 LED가 제공되어, 광이 측면으로 발광된다. 전원과 반사면 사이에 열 절연재가 제공된다. LED에 의해 발생된 열은 LED의 상단에 제공되는 히트 싱크에 의해 소산된다.
동일한 문헌에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히트 싱크가 하부에 제공되고, 상방을 향하는 LED가 개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히트 싱크는 전원이 보관되는 바닥재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개구를 갖는다. 바닥재는 히트 싱크의 개구 내부에 제공되는 수직 홈(vertical groove)과 맞물리는 수직 마루부(vertical ridge)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자의 실시 형태에서, LED 및 전원은 장애등의 중심부에 제공되는 동일한 히트 싱크를 공유한다.
전술한 문헌들과 관련하여, 장애등에 대해서는 제트 블라스트 저항(jet blast resistance)은 일반적으로 문제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US 2008/002410호의 라이트 및 WO 2009/103246호의 전술한 첫 번째 실시 형태의 라이트는 제2 히트 싱크가 돌풍에 노출되는 면적을 확대시킨다고 하는 불리한 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설계로는 라이트가 제트 블라스트에 취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 및 진입등에 적용할 수 없다. WO 2009/103246호의 전술된 두 번째 실시 형태에서는, 비록 전원과 LED의 열 소산의 혼합의 대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LED 수명이 감소될 수도 있지만, 전방 면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고 있다.
문헌 WO 02/066889호에는, 모듈에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고, 절첩식 관(telescopic tube) 주위에 배열되며, 베이스에 고정되는 LED 항공 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모듈은 투명 램프 커버에 의해 덮여있다. 각각의 모듈은 대류 판형부를 포함하는 내측 히트 싱크 브라킷에 장착되는 LED 조립체를 포함한다. 베이스 및 외측 커버 양자는 램프 내에서 기류를 허용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LED 구동 및 제어 회로는 기존의 램프 사이트에 새로 장착하기 위해 기존의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전기 하우징에 보관된다.
전술한 특정 문헌은, 비록 전기 하우징이 기존의 컨트롤러 인클로저에 설치되는 박스로서 구성되는 특징으로부터 연역될 수 있지만, 전기 하우징이 어디에 장착되는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항상 가능할 것 같아 보이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가 상승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은 돌풍에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일조한다.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 및 진입등의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는, ICAO, FAA 또는 IEC와 같은 규제 기구에 의해; 기후, 제트 블라스트 및 전자 차폐를 포함하는 환경적 요구에 대해 추가적인 작동 표준을 지정할 수 있는 라이트의 최종 사용자에 의해; 그리고 라이트 및 광원의 제조 업체에 의해 지정되는 상이한 표준을 겸비하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당량의 열을 발생시키는 고설형 고 광도 비행장 라이트의 경우에, 조명 장치가 ICAO 취성 표준(483 km/h의 제트 블라스트에 노출됨)을 견딜 수 있도록, 한편으로는 충분히 큰 열 소산을 위한 표면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분히 작은 제트 블라스트 노출 면적을 제공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 문제는 에어버스 A380과 같은 대형 항공기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훨씬 더 절박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행 기술의 결점을 극복한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제트 블라스트의 힘에 노출되는 단면적에 대한 열 소산용 외측면의 비를 최대화하는, LED 기술에 기반한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용이한 장착 및 조정에 대비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는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본체는 상기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에 고정 가능하다. 라이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한다.
본체는 전력을 인가하여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를 둘러싼다. 본체는 전자 회로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제1 히트 싱크를 포함한다. 라이트 유닛은 LED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제2 히트 싱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이트 유닛은 본체와는 별도(별개)의 부재로서 형성된다.
라이트 유닛은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라이트 유닛 및 본체는, 라이트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때, 제2 히트 싱크가 본체와 라이트 유닛 사이에 개재되고, 주변 공기가 본체와 라이트 유닛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제2 히트 싱크가 자연 대류에 의해 열을 주변 공기로 소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라이트 유닛은 전면부 및 이면부를 포함한다. 전면부는 LED로부터의 광을 전도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전면부는 LED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광로를 가로질러 배열된다. 이면부는 후면을 포함하고, 제2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면에 제공된다. 라이트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경우에, 후면 및 이에 따라 제2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와 라이트 유닛의 전면부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주변 공기를 위한 (부분적으로 개방된) 유체 통로가 본체와 라이트 유닛 사이에 제공/생성되며, 이로써 제2 히트 싱크에 의해 소산된 열은 자연 대류에 의해 유체 통로를 통과하는 주변 공기로 흘러나갈 수 있다.
구동 전자 회로와는 별도로 라이트 유닛을 제공하고, 각각이 자체의 히트 싱크를 구비함으로써, LED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라이트 유닛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본체와 라이트 유닛의 전면부 사이에 개재되는 라이트 유닛의 이면부에 히트 싱크를 제공함으로써, 열전달을 위한 표면이 최대화됨과 동시에, 보다 컴팩트한 설계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제트 블라스트에 노출되는 단면적과 열전달 표면의 비가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 및/또는 비행장 활주로 진입등으로서 사용되도록 배열된다. 이들 조명 장치는 또한, 비행장 활주로 말단등 또는 시단등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라이트는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구조가 특히 적합한 고 광도를 요구한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트 유닛은 본체의 외측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 시 본체 및 라이트 유닛의 후면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다시 말해, 본체의 외측면 및 후면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외측 커버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는 외측면에 배열된다. 외측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상단면과 적어도 하나의 정면을 포함한다. 라이트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트 유닛 및 본체는, 상기 라이트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때, 제2 히트 싱크가 조명 장치의 제트 블라스트 노출 면적에 기여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히트 싱크는 사용 시, 서로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히트 싱크는, 라이트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때, 제1 히트 싱크로부터 열적으로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LED와 그 구동 회로 사이에 전체적인 열적 탈동조화(thermally decoupling)가 이루어져, 구동 전자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LED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없게 되고, LED의 열적 하우스홀드가 보다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양 하위 부품, 즉 라이트 유닛 및 전원 양자는 그들의 작동 온도에 대해 양자 모두 최적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히트 싱크는 후면에 배열되는 판형부 및/또는 핀형부(pin)를 포함한다. 판형부 및/또는 핀형부는 열 소산을 위한 표면을 극대화한다. 이들을 후면에 제공함으로써, 이들은 제트 블라스트에 노출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 않으며, 또한 조명 장치에 의해 방출되는 광 신호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히트 싱크는 후면에, 실질적으로 직립 배향된 마루부(ridge) 및 골부(valley)를 갖는 판형부를 포함한다. 판형부는 공기가 판형부를 우회할 수 있도록 요홈부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는 요홈부를 통해 측면으로 이동하여 골부로 유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외부면은 제1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커버)에 의해 형성된다. 광원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본체의 반투명 하우징에 대한 필요성은 없으며, 이제 본체는 주변 공기에 대한 최적 열 전달을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회로는 열 전도성 포팅 재료(thermally conductive potting material)에 매립된다. 포팅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하우징과 같은 제1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포팅 재료는 전자 회로로부터 제1 히트 싱크로의 열 전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사용 시, 전자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도록 배열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조로 인해 본체의 하우징이 패러데이 케이지로서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행 기술에 비해 전자기 차폐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LED가 전자 구동 회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LED 기반 라이트에 있어서 중요한 점이다. 따라서, LED 동력 장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시스템적 배출이 존재한다. 항공기에 제공되는 전자 시스템 또는 지상 안내 장비로부터 발송되는 전자기 안내 신호를 교란시키지 않기 위해, IEC/EN 61000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항공 표준을 이행하기 위한 우수한 전자기 차폐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조명 장치는 레이더 안테나에 의해 방출되는 것과 같은 심한 교란 전자파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전자기 방출 레벨은 제어된 전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차폐의 레벨은 유도로 에지등 또는 장애등과 같은 저 광도 LED 라이트에 비해,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 또는 진입등과 같은 고 광도 LED 라이트에 있어 더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상이한 길이의 장축 및 단축(수평면 상에 투영 시)을 갖도록 형상화된 베이스를 갖는다. 예들은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이거나 타원형인 베이스이다. 결과적으로, 본체는 기다랗게, 바람직하게는 제트 블라스트의 방향으로 기다랗게 제조되어, 열 소산 및 시각적 외관 양자를 위한 표면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AA AC 원형 150/5345-46, 단락 3.10에 따른 것과 같이 노란색을 띠는 본체를 제공함으로써, 조명 장치는 라이트가 켜져 있지 않을 때, 조종사에게 가시적 표지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이트 유닛은 미리 정해진 광도 분포를 얻을 수 있게 하는, LED의 광로에 배열되는 광빔 형상화 요소를 포함한다. 빔 형상화 요소는 굴절 및/또는 반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요망되는 광도 분포는 라이트의 종류(에지등 또는 진입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고, 지역 표준에 의해 규정될 수 있기 때문에, 광빔 형상화 요소만 대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생산 및 비축 및 유지보수 계획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광빔 형상화 요소는 소형화될 수 있고, 적합하고 특화된 광빔 형상화 요소를 각각의 LED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크고 복잡한 렌즈에 대한 필요성을 없애준다. 광학 요소는 라이트 유닛의 전면 커버에 통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광빔 형상화 요소를 교체하는 것 -예를 들어, 라이트 유닛의 전면 커버를 교체하는 것- 만으로, 상이한 종류의 라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는 본체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방위각은 조정 가능하다. 응용에 따라서는, ICAO 또는 FAA에 의해 공표되는 것과 같은 국제 및 지역 표준은 광빔에 대한 특정 광도 분포를 요구한다. 유사한 광도 분포가 앙각 또는 방위각[토-인(toe-in)] 방향에 의해서만 구별되는 몇몇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라이트 유닛을 본체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방향은 비행장의 라이트 위치 및 응용의 함수로서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앙각/방위각의 조정은 현장 외에서 미리 설정(pre-set off-field)될 수 있으며, 이는 설치 및 교체를 보다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귀중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은 라이트 유닛을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 및 라이트 유닛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라이트 유닛이 본체에 부착되는 방위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부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조명 장치를 외측 기준점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공구가 조정될 때, 상기 본체가 동일량만큼 조정되도록, 정렬 공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기준 마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준 마크는 정렬 공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recess) 및/또는 돌출부의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와 지지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커넥터 플러그 및 소켓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본체를 지지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결합해제 가능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라이트 장치를 지지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결과적으로, 하자가 발생한 경우에, 전체 조명 장치는 매우 신속하게, 그리고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 양자에 대해,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현장 조정의 필요 없이 교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명 장치는 본체의 양측에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앞선 단락 중 어느 단락에 설명된 바와 같은 라이트 유닛으로서, LED에 대한 전력 및 제어를 기계적 및 전기적인 형태 양자 모두로 수용하기 위해,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설형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라이트 유닛의 전면 커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체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2개의 상이한 방위 배향(도 3의 (a) 및 도 3의 (b))을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측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요홈부에 의해 단절된 판형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트 유닛의 이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외측 기준점에 대해 본체를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공구 및 기준 마크가 제공되는 본체의 커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체(11) 및 라이트 유닛(12 및 13)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예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10)를 나타낸다. 도 1의 조명 장치(10)는 고설형 활주로 에지등(elevated runway edge light)으로서 도시된다.
본체(11)는 신속-이탈 커플링(16)을 통해 지지부(1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체(11)는 임의의 공구의 필요 없이, 지지부(14)에 대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 및 제거될 수 있다. 지지부(14)는 지면 레벨로부터 돌출되는 스탠드일 수 있고, 지면(15)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4)는 지면 레벨 위로 상승된 위치에 조명 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지지부(14)는 바람직하게는, 고설형 비행장 라이트에 대한 취성 요구사항에 따른 취약 지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본체(11)는 전력을 인가하여 하나 이상의 LED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를 둘러싼다. 조명에 대한 과전압 보호부와 같이, 국제 또는 지역 항공 표준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추가 회로를 둘러쌀 수 있다.
본체(11)는 원형 베이스(111)를 가질 수 있지만, 2D 투영 시, 하나의 장축과 하나의 단축을 갖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베이스가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 형상은 제트 블라스트 저항에 관한 단면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본체의 외부면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열 소산을 증가시키고, 단거리에서도 조종사에 대한 조명 장치(10)의 가시적 출현을 개선시킨다.
본체는 본체의 베이스(111)에 놓이는 외측 커버(110)를 포함한다. 커버는 베이스(111)에 대해 상승된 위치에 배열되는 상단면(112)에 의해, 그리고 베이스(111)와 상단면(112)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정면(113, 114)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정면(113, 114)은 실질적으로 직립할 수 있다. 커버(110)는 돔 형상일 수 있다.
본체(11)에 둘러싸인 LED 동력 및 드라이버 전자 회로는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열은, 온도 증가를 제한하고 전자 구성요소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로부터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11)에는 바람직하게는 수동형인 제1 히트 싱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1)의 하우징(커버)(110)이 제1 히트 싱크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커버(11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과 같은 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커버(110)는 금속성 분말이 첨가될 수 있는, (열 전도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회로를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열은 대류 및/또는 복사에 의해 주변으로 소산될 수 있다.
가장 효율적인 열 소산을 위해, 본체[커버(110)]의 단면적에 대한 커버(110)의 표면의 비는 가능한 크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에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베이스(111)를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수직 단면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는 유리하게는 사다리꼴(절두원추) 형상을 갖는다.
전자 회로는 추가적으로, 커버(110)의 내부를 충전할 수 있는 에폭시와 같은 열 전도성 포팅 재료(thermally conductive potting material)에 매립될 수 있다. 포팅 재료는 히트 싱크[커버(110)]로의 열적 전도/확산을 개선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본체의 베이스(111)가 히트 싱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1)에 둘러싸인 LED 동력 및 드라이버 전자 회로는 또한, ILS, MLS, 레이더...와 같은 온-보드 또는 지면-기반의 전자 비 시각적 감시 또는 안내 장비,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전자기장(복사)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11)는 추가적으로, 전자 회로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본체(11)를 페러데이 케이지로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기 차폐는 바람직하게는, IEC 표준 EN 61000, 및 가능한 다른 운항 표준에서 규정된 레벨에 부합한다. 커버(110)의 재료는 알루미늄과 같이 역시 전기 전도성을 띠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의 메시 또는 그리드-형 구조체가 커버(110) 아래 제공될 수 있다.
신속-이탈 커플링(16)에 추가하여, 본체(11)와 지지부(14) 사이의 신속-이탈 전기 접속부도, 예를 들어, 플러그 및 소켓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계적인 접속부(16)를 결합해제함으로써, 본체는 또한, 전력 메인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설치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조종사에게 우수한 시정을 보장하는 적어도 100 mm의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항공기 엔진 포드와 간섭하지 않도록, 350 mm 미만으로 높이를 제한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LED는 본체(11)의 일부가 아니라, 본체(11)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 유닛(12, 13)의 일부이다. 라이트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본체(11)의 외측면에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라이트 유닛에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대한 신속-이탈 또는 다른 표준 전기 접속부가 제공된다.
각각의 라이트 유닛(12)은 하나 이상의 LED(17)를 둘러싼다. LED(17)는 그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라이트 유닛(12)의 전면 커버(12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LED(17)에 대해, 광빔 형상화 요소(21 내지 27)가 전면 커버(121)에 통합될 수 있다. 모든 LED(17)는 본체(11)에 둘러싸인 전자 회로에 의해 전력이 인가되어 구동된다. 따라서, 라이트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요망되지 않는 (간섭) 비 시각적 전자기 복사선을 방출할 수 있는 전자 회로를 둘러싸지 않는다.
전면 커버(121)는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라이트 유닛의 전면(122, 132)을 형성한다. 즉, 전면은 LED에 의해 발광되는 광의 광로를 가로질러 배열된다. 광은, 다발로 그리고, 유리하게는 전면(122, 1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방사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광도 분포 패턴에 따라 발광된다.
LED(17)는, 유리하게는 전면(122, 13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18)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전면(122, 132)에 직교하는 방향을 고려하면, LED(17)는 전면(122, 132)을 향해 방출하도록 PCB(18)와 전면(122, 132)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색상과 유사한 색상의 상단면을 갖는 PCB가 일광 시정 증가를 위해 사용된다.
라이트 유닛(12, 13)은 그 이면부에, 전면(122, 132)에 대해 라이트 유닛의 반대편에 배열되는 후면(120, 130)을 더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PCB(18)는 전면(122, 132)과 후면(120, 130) 사이에서 둘러싸여 있다.
라이트 유닛(12, 13)은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유닛(12, 13)에는 그 이면부에, 커버(110)의 정면(113, 114)에 제공될 수 있는 본체(11)의 대응하는 안착부(115) 상에 고정되는 접촉 표면(125, 135)이 제공된다. 라이트 유닛은 그 이면측으로부터 본체에 부착 가능하기 때문에, 부착 시, 라이트 유닛(12, 13)의 후면(120, 130) 및 커버(110)(본체)의 정면(113, 114)은 서로 마주본다.
전자 처리 및 발광을 분리하는 것의 이점은 본체(11)에 대해서만 전자기 차폐가 문제가 될 뿐, 라이트 유닛(12, 13)에 대해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한, 본체(11)에는 광이 통과할 개구가 제공될 필요가 없으며, 이로써 전자기 차폐가 최적화될 수 있다.
LED(17) 각각에 의한 발광은 반드시 열 생성과 관련되며, 이러한 열은 LED 접합부 내의 온도를 임계치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LED의 수명은 현저히 단축된다. 따라서, 도 3 의 (a) 및 도 3의 (b)의 평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라이트 유닛(32)에는 바람직하게는 수동 히트 싱크인 제2 히트 싱크(322)가 제공된다. 단일 라이트 유닛(12, 13, 32) 내의 모든 LED(17)는 바람직하게는, 제2 히트 싱크에 열적으로 결합된다. LED는 예를 들어, 라이트 유닛(32)의 열 소산 외측면(322)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금속 코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LED(17)에 의해 발생되는 광빔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히트 싱크는 바람직하게는 라이트 유닛(12, 13)의 후면(120, 130)에 제공된다. 부수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히트 싱크는 라이트 유닛(12, 13) 주위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히트 싱크가 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라이트 유닛(12, 13)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2 히트 싱크의 기능성 면적을 위해, 본체(11)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는 제2 히트 싱크를 따라, 그리고 본체(제1 히트 싱크)와 제2 히트 싱크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도 1의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대류에 의해 열이 소산될 수 있다.
가장 효율적인 열 소산을 위해, 제2 히트 싱크의 열전달에 유효한 면적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판형부 및/또는 핀형부가 라이트 유닛(12)의 이면부 및/또는 측면에 제공된다. 이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의 조명 장치(30)의 평면도에 도시된다. 라이트 유닛(32)은 이면부(320)에 핀형부(323)가 제공되는 제2 히트 싱크(322)를 포함한다. 라이트 유닛(32)에는 전면부에 커버(321)가 제공된다. 라이트 유닛(32)의 이면부(320)에서의 접촉 표면(325)은 본체(31)의 대응하는 안착부(315)에 놓인다.
도 4는 제2 히트 싱크(422)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라이트 유닛(42)의 일 예의 실시 형태의 이면도를 도시한다. 히트 싱크(422)는 판형부(423)의 마루부(424)와, 판형부 사이의 골부(425)가 상단(40)에서 바닥(41)으로의 방향(직립)으로 이어지도록, 실질적으로 수직(직립)으로 배향되는 판형부(423)를 포함한다.
하나의 이점으로서, 판형부(423)는 측 바람의 경우에서와 같이, 공기가 옆으로 골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요홈부(426)에 의해 단절된다. 따라서, 공기는 도 4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안내될 수 있다. 요홈부(426)는 냉각 성능을 증가시킨다.
핀형부가 사용될 때에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핀형부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처리와 발광을 분리하는 추가적인 이점은 이 둘 사이에서 열적 분리를 얻을 수 있어, 전열 제품이 별도로 최적화되고 보다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조명 장치의 특정 구성에 따라, 제1 및 제2 히트 싱크가 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내 동력 및 드라이버 전자 부품이 매우 에너지 효율적인 경우, 특히 다수의 LED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제1 히트 싱크가 LED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소수의 LED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2 히트 싱크(322)가 동력 및 드라이버 전자 부품으로부터 열을 소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히트 싱크가 열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조립체가 별도로 설계될 수 있으며, 최적의 작동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태양에 따른 조명 장치의 추가적인 이점은, 열 소산을 위한 "은닉된" 넓은 표면적, 즉 제트 블라스트 노출 면적에 해당하지 않는 표면적을 허용하면서, 제트 블라스트 저항에 대해 보다 컴팩트한 설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각각의 LED가 점광원으로 고려될 수 있기 때문에, 광학적 구성요소의 설계는 소형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LED에는 자체의 특정 광학적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전적인 광원에 비교하여 하나의 이점으로서, 이는 모든 광도 분포의 통합이 요망되는 광빔(신호)을 형성하도록, 각각의 LED에 대한 광도 분포를 별도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LED는 제1 광도 분포를 발하는 제1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될 수 있다. 제2 LED는 제2 광도 분포를 발하는 제2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관련될 수 있다. 나머지 LED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모두 특정 광도 분포를 발한다. 이들 모든 광도 분포의 통합은 요망되는 광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적 구성요소는 전형적으로 렌즈 및 콜리메이터와 같은 굴절성 구성요소이다. 이들은 LED 하우징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적 구성요소(21 내지 27)는 부품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 라이트 유닛의 외측 커버(121)에 통합될 수 있다. 상이한 표준, 라이트 종류 등에 부합하기 위해, 상이한 커버(121)를 설계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광학적 구성요소는 LED(17)와 전면 커버(1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본체(11)는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이트 유닛(12, 13)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본체(11)의 양측에 배열되는 2개의 라이트 유닛(12, 13)과 같이, 대칭적으로 라이트 유닛을 지지한다.
조명 장치(10)는 단일-방향, 양-방향 또는 전(全)-방향 라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1)와는 별도의 라이트 유닛(12)을 갖는 추가적인 이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에 대한 라이트 유닛(32)의 배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36, 37)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3의 (c) 및 도 3의 (d)는 나사(36)에 의해 본체(31)에 부착되는 라이트 유닛(32)을 도시한다. 나사(36)는 토-인(toe-in)으로도 언급되는 라이트 유닛(광빔)의 방위(α)를 조정하도록 배열되는, 라이트 유닛 내의 슬리브(37)에 체결된다. 라이트 유닛(32)은 도 3에서 2개의 상이한 토-인 위치로 도시된다(도 3의 (a) 및 도 3의 (c) 대 도 3의 (b) 및 도 3의 (d) 참조).
본체에는 유리하게는, 토-인 설정 시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방위각을 나타내는 스케일(scale)이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한 조정 수단이 본체에 대한 라이트 유닛의 경사 배향(elevational orientation)(즉, 방위에 직교함)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향의 조정은 많은 비용이 드는 추가적인 광학적 구성요소를 제공하지 않고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조정은 설치 전에, 또는 유지보수 및/또는 교체 동안, 현장 외에서 행해질 수 있다. 양쪽의 경우 모두, 필요한 시간은 기존의 비행장 조명 장치에 비해 감소된다.
비행장 라이트의 유지보수는, 기술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활주로 및 유도로가 폐쇄될 필요가 있는 만큼, 항공 관제와 관련하여 중요한 작업이다. 따라서, 각각의 본체(11, 31) 및 각각의 라이트 유닛(12와 13 및 32)을 갖춘 조명 장치(10, 30)는 단일 교체 키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사전에 광학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매우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LED(17)용 구동/제어 프로그램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행할 수 있도록, 외부 컴퓨터와의 제거 가능한 접속을 위해, 커넥터가 본체에 제공된다. 본체만이 개폐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개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신속-이탈 커플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조명 장치의 재정렬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커넥터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용이한 접속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본체는 본체를 지지부(14)에 체결하기 전에, 외측 기준점에 대해 본체(11)를 정렬하기 위한 기준 마크를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기준 마크는 정렬 공구(52)가 본체(의 미리 정해진 기준)와 정렬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리세스 또는 구멍(513), 핀형부(514)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준 마크(513, 514)는 정렬 공구(52)가 외측 기준점과 정렬되도록 조정될 때, 특히 방위 방향으로의 정렬 시, 본체가 동일량만큼 조정되도록, 조정 공구(52)와 결합된다.
기준 마크는 유사하게는, 본체의 커버(51)의 상단면(512) 상에 제공된다. 도 5에서, 기준점(515)은 라이트 유닛용 안착부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의 추가적인 이점은, 본체 및 라이트 유닛이 별도로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본체는 특히 라이트가 꺼져 있을 때, 조정사의 시정을 증가시키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체의 표면 마감(surface finish)은 국립/지역 표준에 따라 노란 색상이 바람직하다.
약어 :
LED : 발광 다이오드
ICAO : 국제 민간 항공 기구
IEC : 국제 전기 표준 회의
FAA : 미 연방 항공국
ILS : 계기 착륙 장치
MLS : 극초단파 착륙 유도 장치

Claims (23)

  1. 고설형(elevated) 비행장 조명 장치(10, 30)로서,
    지면(15)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본체(11, 3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14)에 고정 가능한 상기 본체(11, 31)와, 하나 이상의 LED(17)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라이트 유닛(12, 13, 32)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1)는, 전력을 인가하여 LED를 구동시키는 전자 회로를 둘러싸고, 상기 전자 회로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제1 히트 싱크(heat sink)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은 LED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기 위한 제2 히트 싱크(322, 422)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은, 상기 본체(11, 31)와는 별도의 몸체(body)로서 형성되고, 상기 LED(17)로부터의 광을 전도하도록 배열되는 전면부(122, 132)와,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제공되는 후면(120, 130)을 포함하는 이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은 상기 본체(11, 31)에 부착 가능하고, 부착 시, 상기 후면(120, 130)이 상기 전면부(122, 132)와 상기 본체(11, 31)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히트 싱크(322, 422)가 자연 대류에 의해 열을 주변 공기로 소산시키도록 주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통로가 상기 본체(11, 31)와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부착 시, 상기 라이트 유닛의 후면(120, 130)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은 서로 마주보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 31)는 외측 커버(11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커버(110)는 상단면(112) 및 하나 이상의 정면(113, 114)을 포함하며, 상기 라이트 유닛(12, 13)은 상기 정면(113, 114)에 부착 가능한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트 싱크(322, 422)는 상기 제2 히트 싱크가 제트 블라스트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열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트 싱크(322, 422)는 상기 라이트 유닛(12, 13, 32)이 상기 본체(11, 31)에 부착된 때, 상기 제1 히트 싱크로부터 열적으로 분리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트 싱크(322, 422)는 상기 후면(120, 130)에 배열되는 열전달용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한 핀(pin) 및 핀(fin)(323, 42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120, 130)에, 직립 배향되는 마루부(ridge)(424) 및 골부(valley)(425)를 갖는 핀(fin)(423)을 포함하고, 상기 핀(423)은 요홈부(indentation)(426)에 의해 단절되어, 공기가 상기 핀(423)을 우회하여 측면에서(sideways) 골부(425)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 31)는 상기 제1 히트 싱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110)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면을 갖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는 열 전도성 포팅 재료(thermally conductive potting material)에 매립되고, 상기 열 전도성 포팅 재료는 상기 본체의 커버(110)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 31)는, 사용 시 상기 전자 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해 배열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110)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면을 갖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이한 길이의 장축 및 단축을 갖도록 형상화되는 베이스를 갖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유닛은 미리 정해진 광도 분포를 얻을 수 있게 하는 LED의 광로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광빔 형상화 요소를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방위각이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1)에 대한 상기 라이트 유닛(32)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36, 37)을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1)에 대한 상기 라이트 유닛(32)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라이트 유닛(32)을 상기 본체(31)에 부착하기 위한 나사(36), 및 상기 라이트 유닛(32)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36)에 대한 상기 라이트 유닛(32)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 슬리브(37)를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라이트 유닛(32)이 상기 본체(31)에 부착되는 방위 방향으로 만곡되는 외부면(315)을 갖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7.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명 장치를 외측 기준점에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 공구(52)가 조정될 때, 상기 본체가 동일량만큼 조정되도록, 상기 정렬 공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기준 마크(513, 514)를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마크(513, 514)는 상기 정렬 공구(5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리세스(recess)(513) 및 돌출부(514)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제공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은 커넥터 플러그 및 소켓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부에 기계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결합해제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대향 측들에 배열되는 2개 이상의 라이트 유닛(12, 13)을 포함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행장 활주로 에지등(edge light), 비행장 활주로 진입등(approach light), 비행장 활주로 말단등(end light), 비행장 활주로 시단등(threshold light) 및 활주로 입구등(entrance light) 중 하나 이상으로서 사용되도록 배열되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라이트 유닛보다 큰 치수를 갖고, 상기 라이트 유닛의 외관과 상관 없이 가시적인 마커를 구성하도록 노란색 외관을 갖는,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
  23. 제1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의 라이트 유닛(12, 13, 32)으로서,
    LED에 대한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기적으로 수용하도록, 그리고 기계적으로, 고설형 비행장 조명 장치(10, 30)의 본체(11, 31)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라이트 유닛.
KR1020127031059A 2010-04-28 2011-04-27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KR101771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61360 2010-04-28
EP10161360.2 2010-04-28
PCT/EP2011/056631 WO2011134984A1 (en) 2010-04-28 2011-04-27 Elevated airfield led ligh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62A KR20130096162A (ko) 2013-08-29
KR101771443B1 true KR101771443B1 (ko) 2017-08-25

Family

ID=4273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059A KR101771443B1 (ko) 2010-04-28 2011-04-27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094192A1 (ko)
EP (1) EP2563668B1 (ko)
JP (1) JP2013525985A (ko)
KR (1) KR101771443B1 (ko)
CN (1) CN102939245B (ko)
AU (1) AU2011247664B2 (ko)
BR (1) BR112012027396B1 (ko)
RU (1) RU2519588C1 (ko)
WO (1) WO2011134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9824B2 (ja) * 2011-11-09 2014-07-23 岩崎電気株式会社 ランプ
EP2808261B1 (en) * 2013-05-27 2018-08-29 Induperm A/S Airfield lighting system
JP6302640B2 (ja) * 2013-10-09 2018-03-28 コイト電工株式会社 灯器
CN104676474B (zh) * 2013-11-29 2019-09-17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跑道灯
US9206961B1 (en) * 2013-12-03 2015-12-08 D M E Corporation LED elevated light fixture and method
US9472108B2 (en) 2014-03-17 2016-10-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pdating an airfield lighting system with an LED light source
US10422454B2 (en) * 2014-06-30 2019-09-2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upling with integral fluid penetration barrier
US9829191B2 (en) * 2015-03-16 2017-11-2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levated runway/taxiway fixture and globe/glass heater
CN104930418A (zh) * 2015-06-24 2015-09-23 深圳市锐步科技有限公司 立式跑道灯
JP6636731B2 (ja) * 2015-06-30 2020-01-29 コイト電工株式会社 航空灯
KR200480764Y1 (ko) * 2016-02-04 2016-07-04 권득윤 항공등용 베이스 플레이트
AU2017392797B2 (en) * 2017-01-13 2020-05-21 HotaluX, Ltd. Lamp
US11112100B2 (en) 2017-02-02 2021-09-07 HotaluX, Ltd. Attachment device for aircraft landing guidance flashing light and aircraft landing guidance flashing device
MX2018005820A (es) * 2017-05-09 2018-11-09 Eaton Intelligent Power Ltd Luz de aerodromo.
EP3668793B1 (en) * 2017-08-15 2021-06-0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Airfield light
US11603217B2 (en) 2018-02-13 2023-03-14 Laser Guidance, Inc. Compact portable/fixed airfield light
HU231486B1 (hu) 2019-04-18 2024-02-28 Surface Igniter, LLC Repülőtéri kifutópálya lámpa
CN113884220B (zh) * 2021-10-28 2024-05-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针对飞机尾流的机场道面温度测试设备及测试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667A1 (en) 2004-11-24 2006-05-25 Flaherty Richard A Lighted bollard
WO2009103246A1 (en) 2008-02-22 2009-08-27 Tri-Concept Technology Limited Led obstruction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179A (en) * 1971-04-19 1979-02-27 Lowndes Roy B W Safety warning lamps for adverse or hazardous atmospheres
EP1040296A4 (en) * 1997-12-17 2003-08-20 James C O'meara LASER LIGHTING SYSTEM.
US6872883B2 (en) * 1998-10-19 2005-03-29 Thomas A. Ginsburg Mast lighting system
US6527407B2 (en) * 2000-08-15 2003-03-04 Lyle E. Gluck Protective system for airport runway and taxiway light fixtures
US20020122309A1 (en) * 2001-02-16 2002-09-05 Abdelhafez Mohamed M. Led beacon lamp
US6533446B2 (en) * 2001-02-16 2003-03-18 Dialight Corporation Omnidirectional light with protected in-ground light source
US7083315B2 (en) * 2001-03-26 2006-08-01 Siemens Airfield Solutions Elevated airfield runway and taxiway edge-lights utilizing light emitting diodes
DE10329496A1 (de) * 2003-06-30 2005-02-17 Siemens Ag Unidirektionale Leuchtvorrichtung zum Beleuchten von Objekten und/oder Markieren von Fahrbahnen, vorzugsweise im Flughafenbereich
US7192155B2 (en) * 2004-08-31 2007-03-20 Siemens Airfield Solutions Airfield edge-light utilizing a side-emitting light source
US7651240B2 (en) * 2006-01-10 2010-01-26 Bayco Products. Ltd. Combination task lamp and flash light
RU2300486C1 (ru) * 2006-05-15 2007-06-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Лет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М.М. Громова"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осадки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7604380B2 (en) 2006-06-30 2009-10-20 Dialight Corporation Apparatus for using heat pipes in controlling temperature of an LED light unit
DE102007033651A1 (de) * 2007-07-17 2009-01-22 Evonik Degussa Gmbh Feuchtigkeitshärtender Schmelzklebstoff mit guter Haftung
CN101424394B (zh) * 2007-11-02 2010-09-08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装置及其应用的发光二极管灯具
US7972036B1 (en) * 2008-04-30 2011-07-05 Genlyte Thomas Group Llc Modular bollard luminaire louver
US7857486B2 (en) * 2008-06-05 2010-12-28 Fu Zhun Precision Industry (Shen Zhen) Co., Ltd. LED lamp assembly having heat pipes and finned heat sinks
US7934851B1 (en) * 2008-08-19 2011-05-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tical luminaire
US20100091507A1 (en) * 2008-10-03 2010-04-15 Opto Technology, Inc. Directed LED Light With Refl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667A1 (en) 2004-11-24 2006-05-25 Flaherty Richard A Lighted bollard
WO2009103246A1 (en) 2008-02-22 2009-08-27 Tri-Concept Technology Limited Led obstruction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3668B1 (en) 2014-04-09
CN102939245B (zh) 2015-04-08
EP2563668A1 (en) 2013-03-06
JP2013525985A (ja) 2013-06-20
AU2011247664A1 (en) 2012-11-01
KR20130096162A (ko) 2013-08-29
US20130094192A1 (en) 2013-04-18
WO2011134984A1 (en) 2011-11-03
AU2011247664B2 (en) 2014-06-19
BR112012027396A2 (pt) 2016-08-09
RU2519588C1 (ru) 2014-06-20
CN102939245A (zh) 2013-02-20
BR112012027396B1 (pt)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443B1 (ko) 고설형 비행장 led 조명 장치
US9702525B1 (en) Obstruction lighting system
US7192155B2 (en) Airfield edge-light utilizing a side-emitting light source
RU2530737C2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освещения летного поля
JP2009524133A (ja) 高輝度発光ダイオードを利用した視覚航法援助システム
US20120229292A1 (en) Lighting apparatus for a beacon system
KR102014426B1 (ko) 항공장애표시등
US20120008327A1 (en) Tailored side-emitter perimeter beacon
CA2896869C (en) Warning lighting system using led beacon arrays with a single master power supply
CA2832597A1 (en) High intensity warning light with reflector and light-emitting diodes
US96448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ield repairable light fixture with a housing that dissipates heat
KR20140138572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US11512843B2 (en) Flash lamp
KR20170012527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KR20140138573A (ko) 공항 활주로 유도등
KR101190832B1 (ko) 항공 장애 표시 장치
Lužica et al. The APAPI optical system assembly with LED light sources and its visibility in inhomogeneous atmosph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