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411B1 -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411B1
KR101771411B1 KR1020160098255A KR20160098255A KR101771411B1 KR 101771411 B1 KR101771411 B1 KR 101771411B1 KR 1020160098255 A KR1020160098255 A KR 1020160098255A KR 20160098255 A KR20160098255 A KR 20160098255A KR 101771411 B1 KR101771411 B1 KR 10177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reliability
leakage curren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세강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강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9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변위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도록 상기 측정 대상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영역을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변위 정도에 따라 다수로 나누어서 다수의 반사패턴을 마련하며, 상기 반사패턴 각각이 상이한 반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수광량으로부터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변위 정도를 판단하는 신뢰성판단부;를 포함하도록 한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의 지진 및 기타 충격 등으로 인한 기계적 충격과, 대전력 가압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수배전반이나 수배전반 내부 기기에서의 뒤틀림, 구조적 변형 및 누설전류 발생 상태를 상시 진단할 수 있고,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스마트폰이나 PC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서 근무자나 관제센터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수배전반의 고장예방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수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고 및 전기화재 등과 같은 전기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measur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reliability}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요소와 전기적 요소를 고려한 신뢰성 측정을 통해 고 신뢰성 수배전반을 구현시키도록 하는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빌딩 및 산업용 수용가와 같이 전력 사용량이 큰 수용가에서는, 110V 또는 220V의 상용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이들 수용가에서는 대개 전력계통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야 하는데, 특히 대규모 산업용 수용가에서는 22.9kV의 특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이를 수배전반이 수행하게 된다.
수배전반은 분전반, MCC반(Motor Control Center Panel), 저압반, 고압반, 변압기반 및 특고압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력계통으로부터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계기류, 주회로 개폐장치 및 보호 계전기 등을 구비한 기기로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상시 안정적인 운전이 필수적인 기기이다. 또한, 수배전반은 최근 소형화, 경량화로 인해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고장 및 소손은 감전 및 화재로 인한 전기재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해당 기기에 대한 높은 안전성 및 운전 신뢰도의 보장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수배전반의 운전 안전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수배전반 내부 기기에 대한 제품 신뢰도 향상뿐만 아니라, 외부 지진 및 기타 충격 등이 인가되는 열악한 사용 환경에서도 높은 운전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나아가 수배전반 및 내부 기기에 대한 이상상태 발생을 사전에 인지 및 예방하고, 적절한 유지 및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관리기술 부분 또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수배전반의 외함 고정을 위하여, 건물 내부 또는 실외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앵커 볼트를 박고, 이에 바닥 앵글을 조립한 다음 바닥 앵글에 기둥 앵글을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된 구조물에 수배전반의 외함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배전반의 외함 설치 구조는 별도의 내진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 수배전반에서는 바닥의 진동이나 대전력 가압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한 기계적 진동 또는 지진에 대한 판넬 자체에 진동 상황이 그대로 전달되어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기기가 지진 등에 의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수배전반 및 내부 기기에 대한 뒤틀림 및 구조변형 및 손상에 의하여 각종 기기의 유동 원인이 되고, 이로 인한 누설 전류 발생으로 인한 전기화재, 감전 및 정전사고의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39475호의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한국등록특허 제10-1100147호의 "수배전반용 방진구", 한국등록특허 제10-1625389호의 "우레탄 완충기 및 내진 스프링 결합형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379224호의 "오리피스 피스톤 구조를 이용한 실린더형 내진장치"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내진 기능형 배전반 및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내진에 대한 충격을 줄이기 위한 완충방안에 한정된 기술로서, 외부 충격 인가에 대한 수배전반의 능동적 상태 감시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들은 수배전반이 외부 충격인가에 대한 현재 상태에 대해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신속한 유지보수가 불가능하므로 수배전반에 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에서의 지진 및 기타 충격 등으로 인한 기계적 충격과, 대전력 가압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수배전반이나 수배전반 내부 기기에서의 뒤틀림, 구조적 변형 및 누설전류 발생 상태를 상시 진단할 수 있고,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스마트폰이나 PC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서 근무자나 관제센터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변위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도록 상기 측정 대상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영역을 상기 발광부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에 따라 다수로 나누어서 다수의 반사패턴을 마련하며, 상기 반사패턴 각각이 상이한 반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및 상기 수광부의 수광량으로부터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를 판단하는 신뢰성판단부;를 포함하는,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이 제공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다수의 반사패턴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 각각은, 각각 상이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가공되거나, 각각 반사도를 달리하는 물질의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배전반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가 상면에 설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다수로 마련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대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지지대로 흐르는 누설 전류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설전류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판단부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로부터 상기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에 대한 전기적인 신뢰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감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위치하고,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어; 상기 코어에 다수로 권선되고, 유도전류가 흐르며, 상기 신뢰성판단부에 연결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수배전반의 외함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외부의 단말기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가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에 의하면, 외부에서의 지진 및 기타 충격 등으로 인한 기계적 충격과, 대전력 가압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수배전반이나 수배전반 내부 기기에서의 뒤틀림, 구조적 변형 및 누설전류 발생 상태를 상시 진단할 수 있고,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스마트폰이나 PC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서 근무자나 관제센터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수배전반의 고장예방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수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고 및 전기화재 등과 같은 전기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기계적 신뢰성 측정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기계적 신뢰성 측정을 위한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전기적 신뢰성 측정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의 전기적 신뢰성 측정을 위한 누설전류감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100)은 발광부(130), 반사부(140), 수광부(150) 및 신뢰성판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발광부(130)는 수배전반(100)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변위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121,122)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하고,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는 물론, 기사광선, 자외선 또는 적외선 등의 다양한 특정 파장대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측정 대상 기기(121,122)는 수배전반(100)의 내부 기기로서, 분전반, MCC반(Motor Control Center Panel), 저압반, 고압반, 변압기반 및 특고압반은 물론, 전력계통으로부터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계기류, 주회로 개폐장치 및 보호 계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40)는 발광부(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도록 측정 대상 기기(121,122)에 설치되고, 발광부(130)의 광을 반사시키는 영역을 발광부(130)에 대한 측정 대상 기기(121,122)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에 따라 다수로 나누어서 다수의 반사패턴(141,142,143)을 마련하며, 반사패턴(141,142,143) 각각이 상이한 반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반사부(14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의 반사패턴(141,142,143)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반사패턴이 1차원적으로 다수로 배열되거나 2차원적으로 다수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동심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배전반(100) 내에서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정상적인 위치 범위에 머물게 됨으로써 안전한 상태에서 발광부(130)의 광을 반사하는 제 1 패턴(141)과,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비교적 정상적인 위치 범위를 벗어난 범위에 머물게 됨으로써 경고를 알려줄 필요에 해당하는 상태에서 발광부(130)의 광을 반사하는 제 2 패턴(142)과,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위험할 정도로 벗어난 위치 범위에 머물게 됨으로써 위험을 알려줄 필요에 해당하는 발광부(130)의 광을 반사하는 제 3 패턴(1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측정 대상 기기(121,122)의 변위는 수배전반(100)의 외함 변위와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일례로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수배전반(100) 내에서 위치가 틀어짐으로써 측정 대상 기기(121,122) 내지 반사부(140)의 위치가 변동된 경우와, 다른 예로서 수배전반(100)의 외함이 틀어지게 됨으로써 발광부(130)의 위치가 변동된 경우 모두를 포함하며, 본 실시례에서는 전자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반사패턴(141,142,143) 각각은, 일례로 각각 상이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가공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각각 반사도를 달리하는 물질의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패턴(141,142,143)은 거칠기가 높을수록 광의 반사량이 적어지게 되거나, 반사도가 낮은 물질의 코팅일수록 광의 반사량이 적어지게 된다.
수광부(150)는 반사부(1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신뢰성판단부(160)에 전달하게 되는데, 예컨대 포토다이오드를 비롯하여 다양한 수광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신뢰성판단부(160)는 수광부(150)의 수광량으로부터, 발광부(130)에 대한 측정 대상 기기(121,122)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를 판단한다. 즉 신뢰성판단부(160)는 반사패턴(141,142,143)의 반사광에 대한 수광부(150)의 수광량을 미리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반사패턴(141,142,143) 각각의 반사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발광부(130)의 광이 반사패턴(141,142,143) 중 어느 반사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현재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지진을 비롯한 외부 충격이나 전기 충격 등에 의해 수배전반(100) 내에서 얼마큼 틀어지거나 위치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를 제어부(240)로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나 저장 또는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측정 대상 기기(121,122)의 틀어짐이 심하여 이의 변위가 과도함으로써, 발광부(130)의 광이 수광부(150)에 거의 제대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신뢰성판단부(160)는 위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광부(150)의 수광량 변화는 수배전반(100) 내에서 측정 대상 기기(121,122)의 변위에 의한 반사부(140)의 위치 변동에 기인하게 됨은 물론, 수배전반(100) 외함의 틀어짐으로 인한 발광부(130)의 위치 변동에 기인하게 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100)은 베이스(170), 지지부(181,182) 및 누설전류감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70)는 수배전반(100)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121,122)가 상면에 설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121,122)는 본 실시례에서 변위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와 동일하도록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서로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181,182)는 베이스(170)의 하면에 다수로 마련됨으로써 베이스(170)를 설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합성수지, 세라믹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대(181)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금속이나 금속합금 등과 같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지지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지지대(181)는 다수, 예컨대 3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지지대(182)는 단일로 이루어져서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지대(182)는 누설전류감지부(190)와의 사이에 유격을 가지게 된다.
누설전류감지부(190)는 제 2 지지대(182)의 주위에 설치되고,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121,122)로부터 베이스(170)를 통해 제 2 지지대(182)로 흐르는 누설 전류에 의한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누설전류감지부(190)는 예컨대 제 2 지지대(182)의 주위에 위치하고,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어(191)와, 코어(191)에 다수로 권선되고, 유도전류가 흐르며, 신뢰성판단부(160)에 연결되는 유도코일(192)과, 코어(191)가 제 2 지지대(182)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어(191)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코일(192)과의 사이에 절연물질 내지 절연부재가 개재됨으로서 코일(192)과의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신뢰성판단부(160)는 누설전류감지부(190)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로부터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121,122)에 대한 전기적인 신뢰성을 판단하게 된다. 즉, 신뢰성판단부(160)는 누설전류감지부(190)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량을 미리 정해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도전류량의 크기에 따른 측정 대상 기기(121,122)에 대한 누설전류량을 예상하고, 이를 통해서 안전이나 경고 또는 위험 상태를 정해진 기준에 따라 판단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한 디스플레이, 메모리부(220)에 저장 또는 통신부(230)를 통해서 외부의 단말기(300)로 송신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100)은 디스플레이부(210), 메모리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입력부(250) 및 전원공급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신뢰성판단부(160)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수배전반(100)의 외함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LED나 OLED를 비롯하여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부(220)는 신뢰성판단부(160)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수배전반(10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신뢰성판단부(160)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외부의 단말기(300)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도록 수배전반(100)에 마련된다. 통신부(230)는 무선 통신인 경우, Wi-Fi나 3G 또는 4G를 비롯하여 단말기(3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각종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300)는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PC, 노트북, 태블릿 PC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결과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디스플레이부(210), 메모리부(220) 및 통신부(230)가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40)는 신뢰성판단부(160)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이러한 결과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함으로써 입력부(250)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로부터 결과 데이터 요청시, 이를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신뢰성판단부(160)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외부의 단말기(3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할 수 있고, 그 밖에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정해진 단말기(300)에 상기의 결과를 송신하도록 단말기(300)의 등록이나 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이를 만족시 해당 단말기(300)로 상기의 결과를 송신하도록 통신부(230)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수배전반(100)의 외함에 설치된 버튼이나 스위치 또는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작의 온(on)/오프(off)를 비롯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부(240)가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해당 구성들에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2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에 따르면, 외부에서의 지진 및 기타 충격 등으로 인한 기계적 충격과, 대전력 가압에 따른 전자기력에 의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수배전반이나 수배전반 내부 기기에서의 뒤틀림, 구조적 변형 및 누설전류 발생 상태를 상시 진단할 수 있고,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스마트폰이나 PC 등과 같은 단말기를 통해서 근무자나 관제센터에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수배전반의 고장예방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수배전반의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고 및 전기화재 등과 같은 전기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케이싱 121,122 : 측정 대상 기기
130 : 발광부 140 : 반사부
141 : 제 1 반사패턴 142 : 제 2 반사패턴
143 : 제 3 반사패턴 150 : 수광부
160 : 신뢰성판단부 170 : 베이스
181,182 : 지지부 190 : 누설전류감지부
191 : 코어 192 : 유도코일
193 : 고정대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메모리부 230 : 통신부
240 : 제어부 250 : 입력부
260 : 전원공급부 300 : 단말기

Claims (6)

  1.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변위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도록 상기 측정 대상 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의 광을 반사시키는 영역을 상기 발광부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에 따라 다수로 나누어서 다수의 반사패턴을 마련하며, 상기 반사패턴 각각이 상이한 반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의 수광량으로부터 상기 측정 대상 기기의 상대적인 변위 정도를 판단하는 신뢰성판단부;
    상기 수배전반에 설치된 기기 중에서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가 상면에 설치되고, 도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다수로 마련되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지지대와 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지지대로 흐르는 누설 전류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누설전류감지부;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수배전반의 외함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신뢰성판단부로부터 판단된 결과를 데이터로 외부의 단말기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통신부가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판단부는,
    상기 누설전류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유도전류로부터 상기 누설 전류 측정을 요하는 측정 대상 기기에 대한 전기적인 신뢰성을 판단하고,
    상기 누설전류감지부는,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위치하고, 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코어;
    상기 코어에 다수로 권선되고, 유도전류가 흐르며, 상기 신뢰성판단부에 연결되는 유도코일; 및
    상기 코어가 상기 제 2 지지대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대;
    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다수의 반사패턴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 각각은,
    각각 상이한 거칠기를 가지도록 가공되거나, 각각 반사도를 달리하는 물질의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8255A 2016-08-02 2016-08-02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KR10177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55A KR101771411B1 (ko) 2016-08-02 2016-08-02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55A KR101771411B1 (ko) 2016-08-02 2016-08-02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411B1 true KR101771411B1 (ko) 2017-08-28

Family

ID=5975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255A KR101771411B1 (ko) 2016-08-02 2016-08-02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848B1 (ko) * 2019-09-05 2020-08-06 (주)세강엔지니어링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75B1 (ko) * 2006-03-07 2007-06-21 주식회사 한랩 비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를 이용한 구조물 진동레벨감지장치
KR101093171B1 (ko) * 2010-09-13 2011-12-13 한국전력공사 누설 전류 측정 장치 및 누설 전류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75B1 (ko) * 2006-03-07 2007-06-21 주식회사 한랩 비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를 이용한 구조물 진동레벨감지장치
KR101093171B1 (ko) * 2010-09-13 2011-12-13 한국전력공사 누설 전류 측정 장치 및 누설 전류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848B1 (ko) * 2019-09-05 2020-08-06 (주)세강엔지니어링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4123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ации системы защиты и динамического маркирования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033525B1 (ko) 재난 방지용 수배전반
KR102032406B1 (ko) 재난 경보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0263B1 (ko) 화재 감지 지능형 배전반
KR101919074B1 (ko) 스마트 전기 화재 예방 시스템
KR101033673B1 (ko) 다기능 수배전반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KR101458115B1 (ko) 배전반 안전 감지 장치
US9714974B2 (en) Device for detecting open phase of connection line of standby transformer in nuclear power plant by using Rogowski coil
KR102114225B1 (ko) Ees 및 전기 송배전 시스템 접촉부의 안전 관리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1411B1 (ko) 기계 및 전기적 신뢰성 측정이 가능한 수배전반
US201701871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breakers within enclosures
US20140265635A1 (en) Electrical arc detection i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KR101685101B1 (ko) 내진 기능을 구비한 전력 제어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97840B1 (ko) 저항성누설전류검출 및 표시장치, 저항성누설전류검출, 표시 및 누전경보기능을 갖는 배선회로 일체형 조명등기구와, 조명등기구를 적용한 저항성누설전류관리시스템
KR102151709B1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102459887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37244B1 (ko) 포괄적 유지보수 전용 시스템
KR10132078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화재 예측 시스템
KR101582828B1 (ko) Single-Loop 방식 광통신을 이용하는 전원부 온도 측정에 의한 근접형 활선 및 음성 경보 장치
KR102207181B1 (ko)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지상개폐기 고장진단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지상개폐기 고장진단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80809B1 (ko) 결상사고 감지장치 및 IoT 기반의 결상사고 원격 알람 시스템
KR101803854B1 (ko)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KR102130848B1 (ko) 내진 건전성 판단장치를 가지는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