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854B1 -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854B1
KR101803854B1 KR1020160059501A KR20160059501A KR101803854B1 KR 101803854 B1 KR101803854 B1 KR 101803854B1 KR 1020160059501 A KR1020160059501 A KR 1020160059501A KR 20160059501 A KR20160059501 A KR 20160059501A KR 101803854 B1 KR101803854 B1 KR 101803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light source
vibration
deterioration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885A (ko
Inventor
우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전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전설
Priority to KR102016005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8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절연파괴 또는 파열에 따른 진동을 미세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화감지 장치는, 배전반 애자의 절연파괴로 인한 열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자의 외주면 상으로 바인더를 통해 체결된 후, 상기 애자로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원의 광량을 토대로 상기 애자의 절연파괴로 인한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통지하는 열화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애자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를 구성하고, 상기 광원에 대한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홈이 마련되며, 탄성수단에 의한 관성력을 유도하여 상기 애자의 진동 발생 시 상기 반사광원의 수신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외부로 통지하는 제어장치가 포함된 설치바디; 상기 설치바디가 상부로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회전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수광홈과의 교차점을 가변시켜 상기 반사광원을 수신하는 슬릿조절커버로 이루어져, 배전반의 열화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TEMPERATURE DETECTING SYSTEM FOR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AN INSULATOR}
본 발명은 배전반의 열화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 열화로 인한 애자의 균열충격 또는 절연파괴로 인한 애자의 내부 파열 여부를 검출하여 이를 실시간 통지할 수 있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아파트, 빌딩, 공장, 변전소, 제철소 등의 전력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고전압의 전력을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 설비에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전반은 고전압의 전기를 공장 또는 사용자가 필요한 전압으로 낮추어 공급하거나 정전사고 등으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도록 에폭시 몰드형 계기용변류기, 계기용 변압기, 전력량계량기, 부싱, 지지애자, 부하개폐기, 진공차단기 등 다양한 내부설치기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설치기기들에는 고전압상황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부분방전, 섬락 등의 방전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절연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절연물에는 공극 또는 박리 등과 같은 갭(gap)이 제조공정 중의 어떤 이유나 동작 중의 냉각 및 가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갭은 높은 전계가 인가될 때마다 부분 전기방전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부분 방전이 반복되면 절연물이 서서히 침식되고 절연내력(dielectric strength)을 감소시킴으로써 결국 심각한 절연 파괴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배전반에 적용하는 폐쇄형 배전반에 있어서 접속부 및 지지부에 사용하는 절연체는 사용연수와 설치 환경 및 운전조건에 따라서 열화 또는 기계적 손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절연체의 손상이 진행되면 고압방전현상에 의하여 손상의 정도가 단기간에 심화되고 계속 방치할 경우 아크가 발생하면서 절연파괴 및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여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배전반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전되는 상태(활선상태)에서 안전하게 절연불량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장치로서 경제성과 신뢰성이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방법은 배전반에서 부분 방전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만을 검출할 수 있었을 뿐, 각각의 설치 기기의 절연 열화의 정도를 개별적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절연 파괴를 사전에 예측하기도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부분방전 측정법은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펄스 또는 초음파 센서 또는 안테나와 같은 고가의 건(gun) 타입의 테스트 기기로 검출한 후, 이를 데이터의 형식으로 컴퓨터 쪽으로 옮겨와서 분석하여 부분방전 상태를 판정하는 시험이나, 시험 관리자의 수작업에 의해 정기 검진 시기에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설치 기기의 절연 파괴를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문제 해결로서, 근래에는 전력설비 내부에서 어느 한 부위와 같은 국부적인 활선 상태를 열 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열 화상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력설비를 정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진단하는 열 화상 진단 시스템도 개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 화상 진단 시스템은 복수 개의 절연 기기별로 활선 상황을 촬영한 대용량 열 화상 데이터를 취급함에 따라서, 활선 상황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에 대형 컴퓨팅 시스템을 요구하거나, 고가의 열 화상 카메라를 복수 개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실시간으로 절연 열화를 감시 및 예측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에서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에 대응한 전자파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으나,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단순히 진단하려고만 할 뿐, 개개의 설치 기기의 열화를 감시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었고 절연 파괴를 예측할 정도의 정밀한 감시를 위한 구체적인 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진동 측정법은 변압기가 운전할 때 떨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변압기의 철심에 진동센서를 달아 놓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즉, 이 방법은 변압기가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의 진동신호와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한 때의 진동신호를 구별하여 변압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나, 변압기에 걸리는 부하사용에 따른 노이즈에 대한 영향이 심하여 정밀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구체적으로 열화 발생 부위를 찾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열화 부위를 추정하여야 하므로 절차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게재된 발명과 같이, 초고주파 진동센서를 이용한 열화 감지장치가 있다. 이 발명에서는 열화가 시작되어 부분 방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초고주파 진동을 초고주파 진동센서로 감지하지만 아주 작은 스파크나 불빛만 발생되고 진동이 미미한 경우에는 알 수 없으며, 방전 발생시 방전 부위에 검은색의 자국이나 흔적이 없는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게재된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배전반 설비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될 때에는 관리자 및 소방서에 화재 발생위치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관리자가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영상신호와 화재 발생경보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관리자가 확인하지 않으면 화재가 아닌 경우에도 소방서로 화재 신고가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고, 소방서에서 화재신고를 받고 화재 진화를 위해 출동한 때에는 이미 화재가 진행되어 큰 피해가 발생한 이후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게재된 발명은, 배전반 및 시설물에 화재감시제어기(WB-FR2)를 설치함으로써 배전반 또는 시설물에서의 화재발생시 상황별로 무인 자동 정밀분석을 통하여 경보 및 자동소화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을 통해 원격복구, 정전감시 및 자기고장 진단통보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배전반마다 고가의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KR 10-1077441 B1 2011. 10. 20. 특허문헌 2 : KR 10-2001-0106646 A 2001. 12. 07. 특허문헌 3 : KR 10-0816984 B1 2008. 03. 19.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을 구성하는 내부설치 기구의 절연파괴 또는 파열에 따른 진동을 미세하게 감지하여 관리자로 통지함으로써, 실시간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소자 및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미세 진동을 즉각적으로 감지함으로써, 진동의 감응도 향상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애자 등과 같은 내부설치 기구에 근접하도록 고정 설치 또는 부착함으로써,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고 감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의 반사광원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미세 진동의 발생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격감시키고, 설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는, 배전반 애자의 절연파괴로 인한 열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자의 외주면 상으로 바인더를 통해 체결된 후, 상기 애자로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원의 광량을 토대로 상기 애자의 절연파괴로 인한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통지하는 열화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화감지장치는, 상기 애자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를 구성하고, 상기 광원에 대한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홈이 마련되며, 탄성수단에 의한 관성력을 유도하여 상기 애자의 진동 발생 시 상기 반사광원의 수신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외부로 통지하는 제어장치가 포함된 설치바디; 상기 설치바디가 상부로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회전슬릿을 형성하여 상기 수광홈과의 교차점을 가변시켜 상기 반사광원을 수신하는 슬릿조절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바디의 설치 공간부에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리플렉터가 내설되며, 상기 수광홈은 상기 설치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리플렉터와 대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수광홈을 거쳐 리플렉터로 수신된 광원을 검출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센서의 하단에는 미세 진동에 감응하는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는, 상기 수광센서의 출력신호를 설정 레벨로 증폭처리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진동량을 산출한 후, 진동량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산출결과를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애자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배전반의 일측으로 설치된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는, 배전반을 구성하는 내부설치 기구의 절연파괴 또는 파열에 따른 진동을 미세하게 감지하여 관리자로 통지함으로써, 실시간 관리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자 등과 같은 내부설치 기구에 근접하도록 고정 설치 또는 부착함으로써,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고 감도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레이저의 반사광원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미세 진동의 발생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격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 부분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애자(150)의 외주면으로 바인더(103)를 통해 열화감지장치(101)가 설치되며, 열화감지장치(101)는 애자(150)의 절연파괴 상태를 미세하게 감지한다. 즉,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감지결과는 관리자의 단말기로 무선 또는 유선 통지된다.
상기 열화감지장치(101)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 광원을 애자(150)의 외주면 상으로 조사한 후, 반사된 광원을 수신하는 것으로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을 인지한다. 상기 절연파괴는 애자(150)의 내부에서 미세 파손이 발생하는데, 파손 과정에서 애자(150)의 진동이 발생하며, 진동에 의한 반사 광원의 반사각도가 가변됨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화감지장치(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자(150)에 설치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배전반을 구성하는 내부설치 기구 즉, 절연파괴 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소자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열화감지장치(101)는 도 2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설치바디(123)가 상부로 회전결합되는 슬릿조절커버(121)가 마련되며, 설치바디(123)의 일단으로 상기 애자(150)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125)를 형성한다. 상기 발광부(125)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 광원을 발광하기 위한 소자이며, 지속적인 광원을 조사하거나 일정 주기 예컨대 수 십msec 단위의 펄스를 갖는 광원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슬릿조절커버(121)는 발광부(125)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광하기 위한 것으로, 슬릿조절커버(1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회전슬릿(127)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슬릿(127)은 발광부(125)에서 조사된 광원을 수광하기 위한 위치 설정용으로, 광원의 반사각도에 따라 슬릿의 상하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회전슬릿(127)은 슬릿조절커버(121)의 회전각도에 따라 광원의 수신위치를 설정하며, 따라서 상기 슬릿조절커버(121)는 설치바디(123)와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발광부(125)에서 조사된 광원은 애자(15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사되며, 반사된 광원은 슬릿조절커버(121)로 회귀된다. 이때, 발광부(125)의 조사광원은 애자(150)의 표면 굴곡 또는 형상에 따라 반사각도가 다를 수 있으며, 회귀된 반사광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슬릿(127)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슬릿조절커버(121)는 회전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됨에 따라, 슬릿조절커버(121)의 회전 각도에 의한 회전슬릿(127)의 위치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슬릿(127)으로 수신되는 반사광원은 설치바디(123)로 내설되는 리플렉터에 의해 집광된다. 이는 도 3의 분해사시도와 같이 상기 열화감지장치(101)를 구성하는 설치바디(123)의 설치 공간부(130)에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리플렉터(135)가 내설되며, 상기 설치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리플렉터(135)와 대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된 수광홈(131)과, 상기 수광홈(131)을 거쳐 리플렉터(135)로 수신된 광원을 검출하는 수광센서(137)와, 상기 수광센서(137)에서 검출된 광원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관리자 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출하는 제어장치(133)로 구성되며, 상기 수광센서(137)는 상기 리플렉터(135)의 하단에 위치하며, 수광센서(137)와 제어장치(133)의 피씨비(PCB) 사이로 미세 진동에 감응하는 탄성수단(139)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수단(139)는 탄성체의 스프링 또는 와이어이며, 상기 애자(150)에 대응하여 열화감지장치(101)의 진동이 발생하면, 관성에 의해 수광센서(137)가 발생 진동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즉,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광홈(131)을 통해 유입되는 광원은 리플렉터(135)를 거쳐 수광센서(137)로 입광되어 제어장치(133)를 통해 정상상태임을 감지한다. 반면,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애자(150)의 진동은 바인더(103)로 체결된 열화감지장치(101)로 전달되며, 열화감지장치(101) 및 이에 수용되는 제어장치(133)는 애자(150)의 진동과 동조하여 진동되고, 상기 탄성수단(139)은 관성에 의해 진동방향과 상이하게 진동한다. 따라서, 상기 수광센서(137)는 수광홈(131)을 통해 유입된 광원을 간헐적으로 수신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릿조절커버(121)는 설치바디(123)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체결나사(141)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슬릿조절커버(121)의 외주면은 나선형의 회전슬릿(127)이 마련된다.
상기 회전슬릿(127)은 수광홈(131)과 거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며, 슬릿조절커버(121)의 회전량에 따라 회전슬릿(127)과 수광홈(131) 간의 교차지점이 상하로 가변된다. 이는 상기 발광부(125)에서 발광된 광원 예컨대, 적외선 또는 레이저 광원이 수신되기 위한 위치로서, 열화감지장치(101)의 설치 환경에 따라 애자(150)로부터 반사된 광원의 수신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수신 각도에 대응하도록 슬릿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슬릿의 위치를 정밀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체결나사(141)의 피치를 낮추거나, 회전슬릿(127)의 피치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수신된 광원을 미세하게 검출하기 위해서는 수광홈(131) 및 회전슬릿(127)의 간극을 좁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수광홈(131) 및 회전슬릿(127)의 간극은 1mm 이내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리플렉터(135)는 입사 광원을 수직방향으로 회절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리플렉터(135)의 하단에 상기 수광센서(137)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리플렉터(135)는 투명재질의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유리재질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플렉터(135)는 설치공간부(130)의 내경에 근접 또는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광센서(137)가 장착된 제어장치(133)의 피씨비(PCB) 일단이 상기 리플렉터(135)의 하단으로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어장치(133)의 피씨비(PCB)는 열화감지장치(101)와 견고하게 결합되며, 설치공간부(130)의 일단으로 배선(143)된다.
상기 배선(143)은 제어장치(133)로 정격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장치(133)에서 검출된 측정결과를 유선으로 송출하기 위함이다. 이에 무선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장치(133)는 배터리가 장착되고, 배터리의 전력을 통해 관리자로의 통지가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감지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바디(123)의 상부에는 슬릿조절커버(121)가 나사 결합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고, 슬릿조절커버(121)는 나선형의 회전슬릿(127)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바디(123)의 일단에는 발광부(125)가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125)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수광홈(1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125)로부터 조사된 광원은 애자(150)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회전슬릿(127) 및 수광홈(131)을 통해 리플렉터(135)로 입광된다.
상기 리플렉터(135)는 반사광을 하부로 회전시키며, 리플렉터(135)의 하단에는 수광센서(137)가 마련됨에 따라, 반사광은 수광센서(137)로 입광된다. 상기 수광센서(137)는 탄성수단(139)에 의해 상기 제어장치(133)와 연동되며, 탄성수단(139)의 탄성력은 매우 낮도록 설계함으로써, 수광센서(137)는 진동에 대응하는 관성을 갖는다. 즉,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광센서(137)는 진동 발생 시 관성에 의해 위치변동이 미약한 반면 열화감지장치(101)는 진동을 직접적으로 수용함에 따라, 상기 반사광이 수광센서(137)로 입광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수광센서(137)에 의해 애자(150)의 진동 여부를 감지하는 원리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광센서(137)의 출력신호를 설정 레벨로 증폭처리하는 증폭부(503)와, 상기 발광부(125)의 점등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부(503)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진동량을 산출한 후, 진동량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501)와, 상기 제어부(501)의 산출결과를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50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동량이라 함은 열화감지장치(101)의 진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진동에 의해 수광센서(137)로 입광된 광량에 반비례한다.
즉,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수광센서(137)로 수신되는 평균 광량은 다소 낮아지는 반면, 진동량이 높은 경우 상기 수광센서(137)로 수신되는 평균 광량은 매우 낮아지게 된다. 이는 수광센서(137)의 진동에 의해 수신 광량이 간헐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501)는 설정 레벨로 증폭 처리된 광량을 AD 컨버팅을 수행한 후, 전체 수신 광량 또는 평균 광량의 변화를 산출하며, 광량의 변화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발생함으로 상정한다. 상기 제어부(501)에서 판단한 결과, 기준치 초과의 진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부(505)로 위험상황을 통지하며, 상기 통신부(505)는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505)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배전반의 일측으로 경광등을 설치한 후, 위험상황 시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열화감지장치 103 : 바인더
150 : 애자 121 : 슬릿조절커버
123 : 설치바디 125 : 발광부
127 : 회전슬릿 130 : 설치공간부
131 : 수광홈 133 : 제어장치
135 : 리플렉터 137 : 탄성수단
139 : 수광센서 141 : 체결나사
143 : 배선 501 : 제어부
503 : 증폭부 505 : 통신부

Claims (5)

  1. 배전반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열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애자(150)의 외주면 상으로 바인더(103)를 통해 체결된 후, 상기 애자(150)로 광원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원의 광량을 토대로 상기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미세한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외부로 통지하는 열화감지장치(101)를 포함하되,
    상기 열화감지장치(101)는,
    상기 애자(150)로 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부(125)를 구성하고, 상기 광원에 대한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수광홈(131)이 마련되며, 탄성수단(139)에 의한 관성력을 유도하여 상기 애자(150)의 진동 발생 시 상기 반사광원의 수신상태를 판단한 후, 판단 결과를 외부로 통지하는 제어장치(133)가 포함된 설치바디(123);
    상기 설치바디(123)가 상부로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회전슬릿(127)을 형성하여 상기 수광홈(131)과의 교차점을 가변시켜 상기 반사광원을 수신하는 슬릿조절커버(1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설치바디(123)의 설치 공간부(130)에 반사광원을 수신하기 위한 리플렉터(135)가 내설되며, 상기 수광홈(131)은 상기 설치바디(123)의 일단에서 상기 리플렉터(135)와 대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절개되고;
    상기 제어장치(133)는 상기 수광홈(131)을 거쳐 리플렉터(135)로 수신된 광원을 검출하는 수광센서(137)를 포함하며, 상기 수광센서(137)의 하단에는 미세 진동에 감응하는 탄성수단(13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33)는,
    상기 수광센서(137)의 출력신호를 설정 레벨로 증폭처리하는 증폭부(503)와, 상기 증폭부(503)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반으로 진동량을 산출한 후, 진동량의 기준치 초과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501)와, 상기 제어부(501)의 산출결과를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50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1)는 상기 애자(150)의 절연파괴로 인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배전반의 일측으로 설치된 경광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KR1020160059501A 2016-05-16 2016-05-16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KR101803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01A KR101803854B1 (ko) 2016-05-16 2016-05-16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501A KR101803854B1 (ko) 2016-05-16 2016-05-16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85A KR20170128885A (ko) 2017-11-24
KR101803854B1 true KR101803854B1 (ko) 2017-12-04

Family

ID=6081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501A KR101803854B1 (ko) 2016-05-16 2016-05-16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59A (ko) 2018-07-11 2020-01-21 한국전력공사 절연기자재의 열화 측정온도를 이용한 절연저항 환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절연기자재의 절연성능 상태판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62B1 (ko) 1998-07-28 2003-03-04 히다치 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결함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04172174A (ja) * 2002-11-18 2004-06-17 Hitachi Ltd 柱上変圧器絶縁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016282A (ja) 2012-07-10 2014-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ポリマー碍管の劣化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762B1 (ko) 1998-07-28 2003-03-04 히다치 덴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결함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04172174A (ja) * 2002-11-18 2004-06-17 Hitachi Ltd 柱上変圧器絶縁診断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016282A (ja) 2012-07-10 2014-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ポリマー碍管の劣化診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859A (ko) 2018-07-11 2020-01-21 한국전력공사 절연기자재의 열화 측정온도를 이용한 절연저항 환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절연기자재의 절연성능 상태판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85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34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101095598B1 (ko)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접속부 열화진단시스템
US6774639B1 (en)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ystem for transformers
KR101529818B1 (ko) 배전반 상태 감시를 위한 진단 시스템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CN106996745B (zh) 一种断路器本体故障性位移的激光监测系统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KR20170047979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열화 진단 시스템
KR101594333B1 (ko) 활선 상태의 충전부 접근 시 감전예방을 위한 근접경보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KR101034644B1 (ko) 비접촉식 안전용 검전기
KR101803854B1 (ko) 배전반 애자의 열화감지 장치
KR102489584B1 (ko) 송전선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송전선 감시 시스템 및 감시장치
KR102359853B1 (ko) 분리형 적외선센서 모듈을 이용한 이상 통합 감시 및 불량예측 기능을 구비한 인공지능 원격제어반
KR102380883B1 (ko) 온도센서와 uhf센서를 이용하여 과열 및 절연이상 상태 감시가 가능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GB2542813A (en) System
KR101114551B1 (ko) 비접촉 온도 감시 장치
KR101510676B1 (ko) 수배전반용 지능형 방전감시 영상시스템
JP3906155B2 (ja) 課電部の温度監視装置
KR102119039B1 (ko) 아크검출 기반 복합 화재 감지장치
KR101260352B1 (ko) 배전반의 열화 및 화재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KR102468546B1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KR101839429B1 (ko) Uhf 절연열화와 진동 및 온습도 감시진단 기능을 구비한 ess용 파워컨디셔닝시스템
KR101582828B1 (ko) Single-Loop 방식 광통신을 이용하는 전원부 온도 측정에 의한 근접형 활선 및 음성 경보 장치
CN209342857U (zh) 一种高压电绝缘子爬电检测装置
KR20180114989A (ko) 송전탑용 누전 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