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103B1 -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 Google Patents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103B1
KR101771103B1 KR1020160035968A KR20160035968A KR101771103B1 KR 101771103 B1 KR101771103 B1 KR 101771103B1 KR 1020160035968 A KR1020160035968 A KR 1020160035968A KR 20160035968 A KR20160035968 A KR 20160035968A KR 101771103 B1 KR101771103 B1 KR 10177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unit
air
spac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to KR102016003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1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1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03C3/365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located after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8Ventilation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air ducts, e.g. arrangements for mounting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F24F2003/1625
    • F24F2003/163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an exit of a tunnel.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exit of the tunnel is a system of sucking air in the tunnel including toxic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PM10), carbon monoxide (CO), nitrogen oxide gas (NOx),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and ozone, which are generated due to operation of a vehicle in the tunnel, in the exit of the tunnel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atmosphere after purifying the air.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the exit of the tunnel includes: a tunnel extension structure fixed to the exit of the tunnel for a vehicle and having an inner installation space with an extension space extending an inner space of the tunnel, wherein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includes an air exhaustion unit connecting the atmosphere and the extension space in the inner installation space; an air suction unit installed on the extension space of the air exhaust unit and enabling the air in the extension space into the air exhaust unit; an electric filter unit installed in the air exhaust unit in the rear of the air suction unit and removing the fine dust; an exhale fan unit generating a suction force of the air suction unit by being installed in the air exhaust unit in the rear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unit to the atmosphere; an active carbon filter unit located in the rear of the exhale fan unit and removing the carbon monoxide (CO), the nitrogen oxide (NOx), an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by comprising a honeycomb board formed as multiple hexagonal through holes are connected on a plane, a ne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neycomb board, and an activated carbon chip located in the hexagonal through hole and fixed by the net;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the exhale fan unit.

Description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a tunnel exit,

본 발명은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의 출구에 설치되어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으로 터널 내에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발생한 미세먼지(PM10), 일산화탄소(CO), NOX(질소산화물)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및 오존과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한 터널 내부의 공기가 터널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정화시켜 배출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installed at an outlet of a tunnel through which a vehicle travels to purify contaminated air inside a tunnel and discharg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course of the air in the tunnel containing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PM10), carbon monoxide (CO), NOx (nitrogen oxides) gas,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system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polluted air by forced suction.

일반적으로 차량용 터널이란 차량의 통행을 목적으로 산악, 지하 또는 수저 등에 구멍을 뚫어 형성한 상당 크기의 내공 단면을 가지는 갱도를 말한다. In general, a car tunnel is a tunnel having an inner diameter section of a considerable size formed by piercing through a mountain, underground, or a spruce for the purpose of passage of a vehicle.

차량용 터널 안의 공기는 차량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로 인해 상당히 오염되어 있으며 특히, 산이 많은 산악지대나 고지대의 도로건설 시에 필연적으로 시공하게 되는 터널의 경우에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매연이나 타이어 분진 등에 의해서 내부공기의 오염도가 상당히 높다.In the case of tunnels, which are inevitably constructed during mountainous mountainous areas or high-altitude road construction, the air in the vehicle tunnels is contaminated by various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The pollution degree of the inside air is considerably high.

차량용 터널 내부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로는 미세먼지(PM10), 일산화탄소(CO), NOX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질소 산화물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 등이 있다. Examples of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vehicle tunnel include fine dust (PM 10 ), carbon monoxide (CO), NO x g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d ozone generated by nitrogen oxides.

상기 미세먼지(PM10)는 주로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평균직경이 0.1 ~ 0.3㎛ 크기의 입자상 물질로서 오랜동안 대기 중에 떠돌아다니며, 호흡에 의해 폐 깊숙이 침착되어 암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fine dust (PM 10 ) is a particulate matter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1 to 0.3 탆 which is mainly discharged from a light truck, and is known to float in the air for a long time and to be deeply deposited by the respiration to induce cancer.

더욱이 이와 같이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입자상물질의 주성분인 탄소입자는 빛의 반사와 흡수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기중의 다른 입자상물질보다 3 ~ 4배 더 큰 빛의 소멸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터널 내부의 가시거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Furthermore, the carbon particle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particulate matter emitted from light vehicl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flection and absorption of light and have extinction coefficients of light three to four times larger than those of other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This will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distance.

한편,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톨루엔, 자일렌, 글리콜 에테르, 원유정제 화합물, 납사 아세톤,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 화합물 등과 같은 환경 유해 규제물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질 역시 인체에 치명적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re substances that are environmentally harmful substances such as toluene, xylene, glycol ether, crude oil refining compound, naphtha acetone, paraffin, and olefin aromatic compounds. Such substances are also fatal to the human body There will be no.

따라서, 이와 같은 유해물질을 터널 내부로부터 제거하여 쾌적한 주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종래에는 제트팬을 이용한 터널 내부 공기의 환기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즉, 상,하행 터널의 천정부에 차량의 통행방향과 동일하게 송풍방향을 갖는 다Therefore, in order to remove such harmful substances from the inside of the tunnel to create a pleasant driving environment, conventionally, a ventilation system of air inside a tunnel using a jet fan has been used. In other words, it has a blowing direction on the ceiling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tunnels,

수개의 제트팬을 설치하고, 상기 제트팬의 송풍작용에 의해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터널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식으로 터널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진다.A number of jet fans are installed, and ventilation of the inside of the tunnel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unn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by blowing action of the jet fan.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환기방식에 의하게 되면, 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가 처리되지 않은 채, 터널 주변 환경으로 방출됨에 따라 주변 환경의 오염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contaminated air inside the tunnel is discharged untrea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unnel, which inevitably involves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따라서, 종래 송풍을 이용한 터널 내부 공기의 환기 방식은 터널 주변의 환경 오염을 초래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고, 특히 터널 주변의 토양오염으로 인한 농작물 폐해는 물론 터널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건강을 크게 해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Therefore, the ventilation method of the air inside the tunnel using the conventional air flow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vicinity of the tunnel, causing many problems. In particular, the pollution caused by the soil pollution around the tunnel is harmful to the residents living in the vicinity of the tunnel. Causing harm.

상기와 같은 종래 터널 내부 공기의 환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10-2005-0074863호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이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ventilation method of the air inside the tunnel,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74863 'Tunnel pollutant complex purification system'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터널 안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으로 오염된 터널 내부 공기를 직접 정화하는 특징을 갖는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a feature of directly purifying air in a contaminated tunnel by a complex purification system of tunnel pollutants for purifying polluted air in tunnels.

상기 터널 오염물질 복합 정화 시스템은 도 1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05-0074863호의 대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바이패스 터널(100)은 차량이 운행하는 메인 터널(10)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 및 공기 배출구(120)가 메인터널(10)과 각각 연통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representative drawing of the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05-0074863, the bypass tunnel 100 for removing pollutants generated in a tunnel is a system for collecting pollutants, And the air inlet 110 and the air outlet 120 of the bypass tunnel 100 communicate with the main tunnel 10 respectively.

따라서, 메인터널(10) 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바이패스 터널(100)의 공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정화된 후 공기 배출구(120)를 통해 다시 메인터널(10)로 보내지게 되며, 이후, 통상의 터널 환기장치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the contaminated air in the main tunnel 10 flows through the air inlet 110 of the bypass tunnel 100, is purified and then sent to the main tunnel 10 through the air outlet 12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a conventional tunnel ventilator.

즉, 종래기술은 메인터널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터널 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화하여 터널 밖으로 배출함으로써 터널 주변의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contaminated air inside the main tunnel is purified in the tunnel itself and discharged outside the tunnel, so that the adverse effect on the environment around the tunnel can be remarkably reduced.

그러나, 이와 같은 자체 정화 방식은 바이패스 터널(100)을 설치해야 함에 따라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설치 공사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self-clean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installation cost of the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is excessively required because the bypass tunnel 100 is installed.

또한, 기 완공된 터널에서는 바이패스 터널을 설치할 방법이 없어 종래의 자체 정화 방식을 적용할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way to install the bypass tunnel in the completed tunnel, and there is no way to apply the conventional self-purification method.

또한, 차량 운행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터널에 설치된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용량을 초과하여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증설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자체 정화 방식은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증설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Further, when the capacity of the tunnel air cleaning system is required to be increased beyond the capacity of the tunnel air cleaning system installed in the tunnel due to an increase in vehicle operation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xpand the tunnel air cleaning syst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10-2014-0129582호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종래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ior art has been disclosed in the title of the invention, 'Application No. 10-2014-0129582'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tunnel exit at a car '.

상기 종래기술은 터널의 외부에 공기 정화 시설을 설치하고 터널 출구에 흡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터널 안에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해 발생한 미세먼지(PM10), NOX(질소산화물) 가스,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및 오존과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한 터널 내부의 공기를 터널의 출구에서 흡입하여 이를 정화한 후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In the conventional art,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is installed outside a tunnel and an intake means is provided at an exit of a tunnel, so that PM10, NOx gas, Volatile Organic Compound , VOC)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ozone are sucked at the exit of the tunnel, purified, and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당한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공기 정화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형성해야만 하는 문제점과 공기 정화 시설과 흡기 수단과의 이격된 거리로 인해 흡기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많이 발생하고 흡기력을 유지하기 위한 상대적으로 높은 성능의 흡기팬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pace for installing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requiring a considerabl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and a distance between the air purification facility and the intake unit causes a lot of energy loss due to intake air There is a problem that a relatively high performance suction fan is required to maintain the suction for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용 터널의 출구에 설치되는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터널 출구에 설치가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공간적 효율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실시가 가능한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an exit of a tunnel for a vehicle, which has a relatively low energy loss, is relatively easy to install at a tunnel exit, And to provide a block-type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at relatively low cost with high spatial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technical features.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은 차량용 터널 출구에 고정 설치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연장시키는 연장공간과 함께 내부 설치공간을 갖고, 상기 내부 설치공간에는 상기 연장공간과 대기를 연결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터널 연장 구조물; 상기 배기부의 연장공간 측에 설치되어 연장공간 내의 공기가 배기부 내로 유입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의 후단 배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필터부; 상기 전기 필터부의 후단 배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의 흡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액셀팬부; 상기 액셀팬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다수의 6각 관통공이 평면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허니컴 보드와 상기 허니컴 보드의 양쪽면에 결합하는 망과 상기 6각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망에 의해 구속되는 활성탄 칩으로 이루어져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를 제거하는 활성탄소 필터부; 및 상기 전기 필터부와 상기 액셀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an exit of a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fixedly installed at an exit of a tunnel for a vehicle and extending an internal space of the tunnel, A tunnel extension structure including an exhaust portion; An inlet port provided on the extended space side of the exhaust section and through which air in the extended space flows into the exhaust section; An electric filter part installed at a rear end exhaust part of the intake port to remov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An accelerator pedal installed at a rear end exhaust part of the electric filter part to generate a suction force of the intake port and to discharg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part into the atmosphere; A honeycomb board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accelerator fan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hexagonal through hol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ane, a n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neycomb board, and an activated carbon chip positioned inside the hexagonal through- consists of carbon monoxide (CO), the active carbon filter unit to remove nitrogen oxides (NO 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the accelerator pedal unit.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의 연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공간 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전기 필터부와 상기 액셀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출력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an exit of the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extension space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and measures a degree of air pollution in the extension space to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the accelerator fan unit To the driving control unit, a contamina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상기 전기 필터부는 고전압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의 양쪽 면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인 것으로 하고,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의 후단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판이 병렬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과 상기 집진전극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판상의 유도전압판을 포함하는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유도 전압 집진부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ic filter unit of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 charge fine particles by corona discharge and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Wherein a plurality of side projections for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on both sides of at least one projection type discharge electrode ar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rallel crossed pin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multi cross pin ionizer is parallel Which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multi-cross fin ionizer between the collecting electrode plate for collecting the charged fine particles and the collecting electrode plate, and which generates a voltage induced by the multi-cross pin ionizer without electrical connection An induction voltage collector made of a dust collecting plate including an induction voltage plate; It i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은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분된 2개의 내부 설치공간을 갖고, 각 내부 설치공간에는 상기 배기부, 상기 흡기구, 상기 전기 필터부, 상기 액셀팬부 및 상기 활성탄소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of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each of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has the exhaust portion, the air inlet, , The accelerator pan part (20),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part (20).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은 연장공간의 도로를 향해 융설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융설액 분사노즐; 상기 융설액 분사노즐로 고압의 융설액을 공급하기 위한 융설액 분사 펌프; 및 융설액이 저장되는 융설액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of the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inject the molten liquid toward the road in the extended space. A molten liquid injection pump for supplying a high-pressure molten liquid to the molten liquid injection nozzle; And a melting-liquor storage tank in which the melt is stored.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은 상기 연장공간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눈, 비 및 햇빛을 가리는 차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of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hade portion installed on the exit side of the extended space to cover the snow, the rain and the sunlight.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energy recovery means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the wind pressure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되는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터널 출구에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n automobile tunnel exit through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ith relatively low energy loss and relatively easy installation at the tunnel ex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공간적 효율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실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ock-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high spatial efficiency and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은 센서부를 통해 터널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에 따라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ock-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latively efficiently oper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unnel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nnel through the sensor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은 풍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 장치를 통해 재생된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ock-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energy efficiency by using energy recovered through an energy recovery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wind press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은 융설액 분사 또는 차양부를 통해 노면 내지 날씨 환경에 의해 차량의 운전에 위험이 되는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ock-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moving elements that may be dangerous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road surface or weather environment through the spraying liquid or the covering part.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05-0074863호의 대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4-0129582호의 대표 도면,
도 3은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터널 연장 구조물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기 집진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활성탄소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 적용된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의 특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의 흡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의 덕트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차량용 터널 출구 설치형 흡기 시스템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representative drawing of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05-0074863,
2 is a representative drawing of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14-0129582,
3 is a view for explaining technical features of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an exit of a tu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tunnel extension structure of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of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of a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ex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characteristics of a tunnelled air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 tunnel exit at a vehicl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high-efficiency energy-saving type vehicle-mounted tunnel outlet type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take structure of a high efficiency energy saving type tunnel outlet type intak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ct portion of a high efficiency energy saving type vehicle intake tunnel type intake air intake system,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high-efficiency energy saving type tunnel outlet-type intak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3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300)은 차량이 통행하는 터널(10)의 출구(12)에 설치되는 블록형 시스템으로 터널(10)의 출구(12)에 설치되는 구조물 내에 공기 정화를 위한 구성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적고,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3,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300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10 to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12, a structure for air purification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stalled at the outlet 12 of the tunnel 10, so that the energy loss is relatively small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2, Relatively easy installation is possibl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300)은 상대적으로 공간적 효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실시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block-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relatively high spatial efficiency and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300)은 도 4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부(320)를 갖는 터널 연장 구조물(310), 흡기구(330), 전기 필터부(340), 액셀팬부(350), 활성탄소 필터부(360) 및 구동제어부(370)를 포함한다.The block 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nnel type air purifying system 300 having an exhaust part 320, And includes a structure 310, an intake port 330, an electric filter 340, an accelerator pan 350, an activated carbon filter 360, and a drive controller 370.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은 터널(10)의 출구(12)에 설치될 수 있는 형태와 구조를 갖는 구조물로 차량용 터널(10)의 내부 공간을 연장시키는 연장공간(311)과 함께 내부 설치공간(312)을 갖는다.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is a structure having a shape and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t the exit 12 of the tunnel 10 and has an extension space 311 for extending an internal space of the tunnel 10 for a vehicle, (312).

상기 내부 설치공간(312)에는 상기 연장공간(311)과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외측 공간인 대기를 연결하는 배기부(320)를 포함한다. The inner installation space 312 includes an exhaust unit 320 connecting the atmosphere to the outside space of the extension space 311 and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이와 같은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분된 2개의 내부 설치공간(312)을 갖고, 각 내부 설치공간(312)에는 상기 배기부(320), 상기 흡기구(330), 상기 전기 필터부(340), 상기 액셀팬부(350) 및 활성탄소 필터부(360)가 각 내부 설치공간(3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has two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312 divided into two longitudinal sides, and each of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312 includes the exhaust unit 320, The intake port 330, the electric filter 340, the accelerator pan 350,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360 may b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312.

이는 충분한 처리 용량을 유지하면서 공간적 효율을 가능한 유지할 수 있도록 양쪽으로 시스템을 구축한다.It builds systems on both sides to maintain spatial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throughput capacity.

또한, 도 5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터널 연장 구조물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은 연장공간의 도로를 향해 융설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융설액 분사노즐(313), 상기 융설액 분사노즐(313)로 고압의 융설액을 공급하기 위한 융설액 분사 펌프(314) 및 융설액이 저장되는 융설액 저장 탱크(315)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310 is installed in a tunnel of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tun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lt fluid injection pump 314 for supplying a high-pressure melt fluid to the melt fluid injection nozzle 313, and a melt fluid reservoir 314 for storing the melt fluid. And a sulphide storage tank (315).

상기 융설액 분사노즐(313)은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연장공간(311)에 설치되어 도로에 융설액을 분사하는 수단이며, 상기 융설액 분사 펌프(314)는 상기 융설액이 저장된 융설액 저장탱크(315)를 고압으로 상기 융설액 분사노즐(313)에 공급하는 수단이며, 상기 융설액 저장탱크(315)를 도로에 분사할 융설액을 보관하는 수단이다.The melted liquor injection nozzle 313 is installed in the extension space 311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and injects the melted liquid to the road. The melted liquor injection pump 314 injects the melted liquor injection pump 314, Is a means for supplying the storage tank 315 to the melt injection nozzle 313 at a high pressure and is a means for storing the melt to be sprayed on the road by the melt storage tank 315.

이와 같은 융설액 분사노즐(313), 융설액 분사 펌프(314) 및 융설액 저장탱크(315)는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수단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melt injection nozzle 313, the melt injection pump 314 and the melt reservoir tank 315 may be various means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and are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means.

또한,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은 상기 연장공간(311)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눈, 비 및 햇빛을 가리는 차양부(316)를 더 포함한다.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further includes a sun shade 316 installed at the exit side of the extension space 311 to cover the snow, the rain, and the sunshine.

상기 차양부(316)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에 결합고정되는 철골 구조물에 강화유리 내지 렉산과 같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 에도 눈, 비 및 햇빛을 가릴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eveled portion 316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empered glass or Lexan,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snow, rain, and sunlight It can be a variety of means.

또한,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이거나 금속 프레임과 다양한 벽체 소재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구조물이 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설치공간(312)은 관리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갖는다.Also,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may be a concrete structure or a prefabricated structure composed of a metal frame and various wall materials, and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312 has an entrance for entrance and exit of a manager.

상기 배기부(320)는 상기 내부 설치공간(312)에 설치되며,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연장공간(311)과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외측 공간인 대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exhaust unit 320 is installed in the internal installation space 312 and connects the atmosphere of the external space 311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이와 같은 배기부(32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구(330)에서 흡입된 오염 공기가 상기 전기 필터부(340), 상기 액셀팬부(350) 및 활성탄소 필터부(360)를 거쳐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통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내부 설치공간(312)에 설치된다.4, the polluted air sucked from the inlet port 330 is supplied to the electric filter unit 340, the accelerator pan unit 350,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360 And is installed in an internal installation space 312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as a means for providing a distribution channel to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tunnel.

상기 흡기구(330)는 상기 배기부(320)의 연장공간(311) 측에 설치되어 연장공간(311) 내의 공기가 배기부(320) 내로 유입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intake port 330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space 311 side of the exhaust unit 320 so that air in the extension space 311 flows into the exhaust unit 320.

즉, 상기 흡기구(330)는 상기 액셀팬부(350)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한 흡입력으로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연장공간(311) 내의 오염된 공기를 빨아들인다.That is, the suction port 330 sucks the contaminated air in the extended space 311 of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310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accelerator pan part 350.

상기 전기 필터부(340)는 배기부(320)에 설치되는 집진 수단으로 상기 흡기구(330)의 후단 배기부(320)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33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한다.The electric filter unit 340 is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in the exhaust unit 320 and installed in a rear end exhaust unit 320 of the suction port 330 so as to collect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30 Remove.

이와 같은 전기 필터부(340)는 도 6 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전기 집진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전기 필터블록(341)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 filter unit 34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ic filter blocks 341 stacked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plain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unit of the block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tunnel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전기 필터블록(341)은 고전압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의 양쪽 면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341)인 것으로 하고,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341)의 후단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판이 병렬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342)과 상기 집진전극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판상의 유도전압판(343)을 포함한다.The electric filter block 341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and has corona discharge electrodes on both sides of one or more projected discharge electrod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hape of a saw to charge fine particles by a corona discharge. Cross pin Ionizer 341 in which a plurality of side projections for generating a discharge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rallel parallel plate grounded at the rear end of the multi cross pin ionizer 341 is installed in parallel, A plate-like induced voltage that causes a voltage induced by the multi-cross fin ionizer to be parallel to the multi-cross fin ionizer between the collecting electrode plate and the collecting electrode plate for collecting the fine particles, And a plate 343.

상기 액셀팬부(35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필터부(340)의 후단 배기부(320)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330)의 흡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전기 필터부(34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4, the accelerator pedal fan unit 350 is installed in a rear exhaust part 320 of the electric filter part 340 to generate a suction force of the intake port 330,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atmosphere.

이와 같은 액셀팬부(350)는 제트팬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여 강제로 배기부(320)의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흡기구(330)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생성한다. The accelerator pan unit 350 includes a fan that rotates at a high speed such as a jet fan, and forcibly pushes air in the exhaust unit 320 into the atmosphere, thereby generating a suction force capable of sucking air in the suction port 330 .

한편, 상기 액셀팬부(350)는 하나의 액셀팬으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액셀팬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내부 설치공간(312)의 내부 용적에 따라 용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The accelerator pedal 350 may be composed of a single accelerator pan or a plurality of accelerator pans. The accelerator pedal 350 may selectively include a capacity according to the internal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312 of the tunnel extending structure 310 have.

상기 활성탄소 필터부(36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셀팬부(360)의 후단에 위치하여 배기부(320)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를 제거한다.4,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36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accelerator pan unit 360 and includes carbon monoxide (CO), nitrogen oxides (NO X )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re removed.

이와 같은 활성탄소 필터부(360)는 도 7본 발명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활성탄소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6각 관통공이 평면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허니컴 보드(361)와 상기 허니컴 보드(361)의 양쪽면에 결합하는 망(362)과 상기 6각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망에 의해 구속되는 활성탄 칩(363)으로 이루어져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를 제거한다.As shown in FIG. 7, the activated carbon filter unit 360 includes a plurality of hexagonal through hol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plan view A net 362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neycomb board 361 and the honeycomb board 361 and an activated carbon chip 363 disposed inside the hexagonal through hole and constrained by the net, Oxides (NO x )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re removed.

상기 구동제어부(37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필터부(340)와 상기 액셀팬부(35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drive control unit 370 controls driving of the electric filter unit 340 and the accelerator pedal unit 350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동제어부(370)는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거나 원격으로 제어되어 상기 전기 필터부(340)와 액셀팬부(3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e control unit 3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filter unit 340 and the accelerator pedal unit 350 by being operated or remotely controlled by the installed program.

또한, 상기 구동제어부(370)는 터널 연장 구조물(310)의 연장공간(311)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공간(311) 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부로 부터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전기 필터부와 상기 액셀팬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unit 370 receives the measurement value from the contamination level measurement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extension space 311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0 and measures the air pollution degree in the extension space 311, And the driving of the accelerator pedal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 터널 출구 설치형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320)를 통해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outlet-type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nergy recovery unit 380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wind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320, as shown in FIG.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380)은 풍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여 회전수단의 회전을 통해 발전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풍력 발전 수단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형태의 풍력 발전 수단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energy recovery means 38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wind power generation means that are provided with rotation means that rotate by wind pressure and generate electricity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on means, and are not limited to any specific type of wind power generation mean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터널
12 : 터널의 출구
300 : 본 발명 블록형 터널 공기 정화 시스템
310 : 터널 연장 구조물
311 : 연장공간
312 : 내부 설치공간
313 : 융설액 분사노즐
314 : 융설액 분사 펌프
315 : 융설액 저장탱크
316 : 차양부
320 : 배기부
330 : 흡기구
340 : 전기 필터부
350 : 액셀팬부
360 : 활성탄소 필터부
370 : 구동제어부
380 : 에너지 회수 수단
10: Tunnel
12: Exit of tunnel
300: Block Type Tunnel Air Cleaning System
310: Tunnel extension structure
311: Extension space
312: Internal installation space
313: Flux liquor injection nozzle
314: Flux injection pump
315: Dredged liquor storage tank
316:
320:
330: Intake port
340: electric filter part
350: Accelerator pan
360: Activated carbon filter section
370:
380: Energy recovery means

Claims (7)

차량용 터널 출구에 고정 설치되며 터널의 내부 공간을 연장시키는 연장공간과 함께 길이 방향 양측으로 구분된 2개의 내부 설치공간을 갖고, 각 내부 설치공간에는 상기 연장공간과 대기를 연결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터널 연장 구조물;
상기 배기부의 연장공간 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공간 내의 공기를 배기부 내로 유입하는 흡기구;
상기 흡기구의 후단 및 배기부 내에 설치되고, 고전압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의 양쪽 면에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인 것으로 하고,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의 후단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판이 병렬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과 상기 집진전극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판상의 유도전압판을 포함하는 집진판으로 이루어진 유도 전압 집진부로 이루어져 상기 흡기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전기 필터부;
상기 전기 필터부의 후단 배기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의 흡입력을 생성하고,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액셀팬부;
상기 액셀팬부의 후단에 위치하고, 다수의 6각 관통공이 평면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허니컴 보드와 상기 허니컴 보드의 양쪽면에 결합하는 망과 상기 6각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망에 의해 구속되는 활성탄 칩으로 이루어져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를 제거하는 활성탄소 필터부;
상기 전기 필터부와 상기 액셀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의 연장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공간 내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여 상기 전기 필터부와 상기 액셀팬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출력하는 오염도 측정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
A tunnel including an exhaust space fixed to an exit of a tunnel of a vehicle and having an extension space for exten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unnel and having two internal installation spaces divided into two longitudinal sides, Extension structures;
An inlet port provided on an extension space side of the exhaust unit to introduce air in the extension space into the exhaust unit;
A plurality of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s provided in a rear end of the intake port and in an exhaust part and connected to a high voltage to form a plurality of protrus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order to charge the fine particles by corona discharge, Cross fin ionizer in which a plurality of side projections for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on the surface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arallel parallel plates grounded at the rear end of the multi-cross fin ionizer are installed in parallel to form charged fine particles A collecting plate including a plate-like induction voltage plate provided between the collecting collecting electrode plate and the collecting collecting electrode plate in parallel with the multi-crossing pinionizer for generating a voltage induced by the multi-crossing pinionizer without electrical connection And an induction voltage collection unit for separating the air taken in through the intake port An electric filter part for removing the contained fine dust;
An accelerator pedal installed at a rear end exhaust part of the electric filter part to generate a suction force of the intake port and to discharge the air purified by the filter part into the atmosphere;
A honeycomb board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accelerator fan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hexagonal through hole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plane, a n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neycomb board, and an activated carbon chip positioned inside the hexagonal through- consists of carbon monoxide (CO), the active carbon filter unit to remove nitrogen oxides (NO 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the accelerator pedal; And
And a pollution degree measurement sensor unit installed in the extension space of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in the extension spac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filter unit and the accelerator fan unit to the drive control unit And the air is supplied to the outlet of the tun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연장 구조물은
연장공간의 도로를 향해 융설액을 분사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는 융설액 분사노즐;
상기 융설액 분사노즐로 고압의 융설액을 공급하기 위한 융설액 분사 펌프; 및
융설액이 저장되는 융설액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
2. Th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nnel extension structure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praying the molten liquid toward the road in the extended space;
A molten liquid injection pump for supplying a high-pressure molten liquid to the molten liquid injection nozzle; And
And a tundish liquid storage tank in which the tundish liquid is stor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풍압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에너지 회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출구에 설치되는 블록형 공기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ergy recovery unit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wind pressure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unit.
KR1020160035968A 2016-03-25 2016-03-25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KR1017711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68A KR101771103B1 (en) 2016-03-25 2016-03-25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968A KR101771103B1 (en) 2016-03-25 2016-03-25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103B1 true KR101771103B1 (en) 2017-08-24

Family

ID=5975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968A KR101771103B1 (en) 2016-03-25 2016-03-25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103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33B1 (en) 2017-08-21 2019-02-13 주식회사 리트코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nti-freezing.
KR101954021B1 (en) * 2018-05-29 2019-06-11 한국시설안전공단 Freezing preventing system for tunnel entrance
KR102028499B1 (en) * 2018-05-23 2019-11-14 주식회사 리트코 Tower type fine particles removal system using natural wind
KR102164869B1 (en) 2020-01-03 2020-10-13 (주)쓰리에이씨 Underground tunnel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electrical particulate filter
KR20210006789A (en) * 2019-07-09 2021-01-19 센텍(주) Harmful gas diffusion prevention device for urban sewer
CN113404527A (en) * 2021-06-16 2021-09-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A dust filtration purification device for in construction tunnel
CN113834157A (en) * 2021-09-13 2021-12-24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Dust-proof ventilation filter device for railway track enginee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61B1 (en) * 2014-09-26 2015-04-08 주식회사 리트코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KR101539893B1 (en) * 2014-08-22 2015-07-2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Jet Fans in the Tu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893B1 (en) * 2014-08-22 2015-07-2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Jet Fans in the Tunnel
KR101508661B1 (en) * 2014-09-26 2015-04-08 주식회사 리트코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433B1 (en) 2017-08-21 2019-02-13 주식회사 리트코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nti-freezing.
KR102028499B1 (en) * 2018-05-23 2019-11-14 주식회사 리트코 Tower type fine particles removal system using natural wind
KR101954021B1 (en) * 2018-05-29 2019-06-11 한국시설안전공단 Freezing preventing system for tunnel entrance
KR20210006789A (en) * 2019-07-09 2021-01-19 센텍(주) Harmful gas diffusion prevention device for urban sewer
KR102276469B1 (en) * 2019-07-09 2021-07-12 센텍(주) Harmful gas diffusion prevention device for urban sewer
KR102164869B1 (en) 2020-01-03 2020-10-13 (주)쓰리에이씨 Underground tunnel 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electrical particulate filter
CN113404527A (en) * 2021-06-16 2021-09-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A dust filtration purification device for in construction tunnel
CN113404527B (en) * 2021-06-16 2023-01-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A dust filtration purification device for in construction tunnel
CN113834157A (en) * 2021-09-13 2021-12-24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Dust-proof ventilation filter device for railway track engineering
CN113834157B (en) * 2021-09-13 2022-12-23 安徽浦进轨道装备有限公司 Dust-proof ventilation filter device for railway track enginee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103B1 (en) Block-type air purification system is installed in the tunnel exit
KR101965067B1 (en)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to control dust concentration.
KR101508661B1 (en) Tunnel air purification system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KR101752180B1 (en) High-efficiency energy-saving intake system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EP1837066A2 (en) Device for suppressing fine particles, particularly for a vehicle
US20210402413A1 (en) Tower-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method thereof
CN105013255B (en) A kind of vehicle mounted road thick fog and haze cleaning equipment
CN103480263A (en) Pre-charge spraying desulfurization and dust removal device
CN106731434A (en) A kind of combined ultra-fine grain coalescence case
KR102415773B1 (en) Air purifier for tunnels and underground roadways
KR100913117B1 (en) Roof type high speed tunnel air cleaning system
JP2010131559A (en) Air pollution cleaning apparatus
CN105268317A (en) Tunnel air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structure and air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method thereof
JP2005314972A (en) Air cleaning device in tunnel and air ventilating method in the tunnel
CN201164785Y (en) Town street air purifier
CN113250731B (en) Shield tunnel harmful gas purification device
CN106731437A (en) The horizontal anchor type ultra-fine grain coalescence case of double jet type
KR101533730B1 (en) Intake structures mounted at the exit of the tunnel
KR102276445B1 (en) Road separator system with fine dust removal and road management function
CN105214839B (en) A kind of wet type demister
KR102208241B1 (en) High-efficiency bagfilter system for reducing fine dust in underground tunnel space
KR101948433B1 (en) Tunnel exit-standing tunnel dus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anti-freezing.
KR20090022066A (en) Particle suction apparatus for trains
KR102366812B1 (en) Road noise barrier installation system with fine dust removal
CN106731433A (en) A kind of novel box type coales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