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91B1 -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91B1
KR101770591B1 KR1020110004252A KR20110004252A KR101770591B1 KR 101770591 B1 KR101770591 B1 KR 101770591B1 KR 1020110004252 A KR1020110004252 A KR 1020110004252A KR 20110004252 A KR20110004252 A KR 20110004252A KR 101770591 B1 KR101770591 B1 KR 10177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layer
cholesteric liquid
right eye
wavelengt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765A (ko
Inventor
손현호
안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5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프레임에서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출력하고,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제1파장 영역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3D image realization system and glasse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리커를 개선할 수 있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깊이감과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으로는 두 눈 사이 간격에 의한 양안시차 외에도 심리적, 기억적 요인이 있으며, 이에 따라 3차원 입체영상 표시기술 역시 관찰자에게 어느 정도의 3차원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통상 부피표현방식(volumetric type), 3차원표현방식(holographic type), 입체감표현방식(stereoscopic type)으로 구분된다.
부피표현방식은 심리적인 요인과 흡입효과에 의해 깊이 방향에 대한 원근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투시도법, 중첩, 음영과 명암, 움직임 등을 계산에 의해 표시하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 또는 관찰자에게 시야각이 넓은 대화면을 제공하여 그 공간 내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은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는 이른바 아이맥스 영화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리고, 3차원표현방식은 가장 완전한 입체영상 표시기술로서, 레이저광 재생 홀로그래피 내지 백색광 재생 홀로그래피로 대표될 수 있다.
또한, 입체감표현방식은 양안의 생리적 요인을 이용하는 입체감을 느끼는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약 65㎜정도 떨어져 있는 좌우안에 시차정보가 포함된 평면의 연관영상을 제공하면, 뇌가 이들을 융합하는 과정에서 표시면 전후의 공간정보를 생성해 입체감을 느끼는 능력, 즉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입체감표현방식은 다안상 표시방식이라 불리며, 실질적인 입체감 생성위치에 따라 관찰자가 특수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 또는 표시면 측의 패럴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나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인테그럴(integral) 등의 렌즈어레이(lens array)를 이용하는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안경방식은 무안경 방식에 비해 시야각이 넓고 감상 시 어지러움증 유발이 적으며, 비교적 저렴한 원가, 특히 홀로그램에 비해서는 매우 저렴한 원가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3차원 입체영상 감상 시에는 안경을 착용하고 2차원 평면영상 감상 시에는 안경을 착용치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한 개의 영상 표시장치를 2차원 평면영상 및 3차원 입체영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안경방식은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과, 셔터안경 방식(shutter glasses) 및 편광분할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애너그리프 방식은 색상필터를 이용하여 빛의 파장 분할을 통해 좌우 영상을 분리하는 초기의 스펙트럼 분할 방식이다. 즉, 보색 관계에 있는 적과 청의 필터가 각각 좌안 및 우안 또는 우안 및 좌안에 대응하는 안경을 이용하여, 각 필터는 해당되는 색상의 보색만 통과시킴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애너그리프 방식의 경우, 입체 영상이 단색이며, 색차가 크거나 높은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화면에서는 불안정한 느낌을 준다. 또한, 장시간 시청시 색순응 차이로 인해 피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다.
편광분할 방식은, 하나의 화면의 화소를 열, 행 또는 화소단위로 2분할하여 좌우안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표시하고, 편광안경의 좌측 안경과 우측 안경이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도록 하여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그런데, 편광분할 방식은 한 화면으로 동시에 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행, 열, 또는 화소를 2분할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편광분할 방식은 표시패널 전면에 편광을 분할할 수 있는 패터닝된 편광분할 광학매체, 예를 들어,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나 마이크로 편광자(micro polarizer) 등을 장착해야 한다.
한편, 셔터안경 방식은, 하나의 화면으로 좌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고 셔터안경의 좌측 셔터와 우측 셔터의 순차적 개폐 타이밍(timing)을 좌우안 영상의 시교차 시간과 일치시켜서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셔터안경 방식은 하나의 화면에 좌안 또는 우안 영상만이 표시되므로, 해상도의 저감이 없이 고해상도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셔터안경 방식은 감상 시 피로감을 줄이고 입체감을 높이기 위해 단위 시간 당 시교차의 횟수를 높일 필요가 있는데, 이 방식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와 스캔(scan) 방식의 화면 어드레싱 타이밍(addressing timing)이 시교차 타이밍에 완전히 일치하지 못함에 따라 기인한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셔터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3차원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의 표시패널로는 액정표시패널이 사용된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에서는, 제1프레임(F1)에서 좌안 영상이 표시되고 제2프레임(F2)에서 우안 영상이 표시되어, 프레임 별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번갈아 표시된다. 이때, 셔터안경은, 제1프레임(F1)에서는 좌측 셔터 렌즈가 열리고 우측 셔터 렌즈는 닫히며, 제2프레임(F2)에서는 우측 셔터 렌즈가 열리고 좌측 셔터 렌즈는 닫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프레임(F1)의 제1시간(t0)에서부터 제2시간(t11)까지, 액정표시패널에는 좌안 영상이 화면의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주사되고, 제2시간(t11)에서 제3시간(t12)까지 좌안 영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이어, 제2프레임(SF2)이 시작되는 제3시간(t12)에서 제4시간(t21)까지, 액정표시패널에는 우안 영상이 화면의 위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주사되고, 제4시간(t21)에서 제5시간(t22)까지 우안 영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이 겹치는 구간, 즉, 화면 상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공존하는 구간인 제1프레임(F1)의 제1시간(t0)에서 제2시간(t11)까지, 그리고 제2프레임(F2)의 제3시간(t12)에서 제4시간(t22)까지는 백라이트를 오프 상태로 하여, 이 구간 동안 출력되는 영상은 블랙이 된다. 반면, 화면 상에 좌안 영상만 표시되는 제1프레임(F1)의 제2시간(t11)에서 제3시간(t12)까지, 그리고 화면 상에 우안 영상만 표시되는 제2프레임(F2)의 제4시간(t21)에서 제5시간(t22)까지는 백라이트가 온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 구간 동안에는 각각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별로 좌안 및 우안 셔터 렌즈의 개폐를 조절하면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번갈아 출력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셔터안경 방식은 표시패널 및 셔터안경의 시교차 타이밍이 완전히 일치하지 못하여 플리커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플리커의 인지 정도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진다.
도 2는 주파수(frequency)에 대한 한계 변조 비(threshold modulation ratio)와 증폭(amplicfication)을 망막 조도(retinal illuminance) 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망막 조도의 단위는 Td(troland)로 표시되며, 각각 0.06 Td, 0.65 Td, 7.1 Td, 77 Td, 850 Td 그리고 9300 Td일 때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상 60 Hz 내지 75 Hz 이상의 주파수의 광은 플리커로 느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셔터안경은 대략 60Hz의 주파수로 작동하며, 이는 사용자가 느끼는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여 강한 조도의 빛을 주기적으로 느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리커를 강하게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플리커를 개선할 수 있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프레임에서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출력하고,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제1파장 영역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며,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각각은,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 제3 및 제4전극, 상기 제3 및 제4전극 사이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과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진다.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은 적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청록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진다.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각각은 제5 및 제6전극과 상기 제5 및 제6전극 사이의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은 상기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과 다른 피치를 가진다.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은 적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녹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고, 상기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은 청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진다.
상기 좌안 및 우안 렌즈는 120Hz의 주파수로 스위칭된다.
한편, 본 발명은,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각각 투과시키는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각각은, 제1 및 제2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 제3 및 제4전극, 상기 제3 및 제4전극 사이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과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에서는, 안경의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가 영상의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각각 투과시키며 프레임마다 투과시키는 파장 영역을 서로 스위칭 함으로써, 양안 색차 발생 없이 풀컬러(full color)의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120Hz 이상의 주파수로 입력되므로, 플리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셔터안경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주파수에 대한 한계 변조 비와 증폭을 망막 조도 별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의 렌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에 있어서 전기장의 인가에 따른 렌즈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에 있어서 물성 값에 따른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의 선택 반사 파장 및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와, 도 10a 내지 도 10c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에서의 영상 구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와, 도 13a 내지 도 13c,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프레임에서의 영상 구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의 렌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에 있어서, 물성 값에 따른 제1 내지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의 선택 반사 파장 및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100)은, 표시장치(200)와 셔터안경(300)을 포함한다. 표시장치(200)에는 적외선 발생장치(Infrared emitter, 250)가 연결되며, 셔터안경(300)에는 적외선 수신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적외선 발생장치(250)의 신호에 따라 셔터안경(300)이 동작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는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소자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장치(200)로서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액정표시장치(200)는 서로 마주보는 두 기판(210, 220)과, 두 기판(210, 2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기판(210, 220)은 각각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200)는,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기판(210, 220)의 바깥쪽 면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편광판(230, 240)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편광판(230) 배면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200)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이 어레이기판(210) 배면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타입(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거나, 광원이 액정표시장치(200)의 측부에 위치하는 에지 타입(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어레이기판(210)에는, 서로 교차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게이트배선(216) 및 데이터배선(218)이 형성된다.
화소영역(P)에는 스위칭소자로서 게이트배선(216) 및 데이터배선(218)과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r)는, 게이트배선(216)과 연결된 게이트전극과, 반도체층과, 데이터배선(218)과 연결된 소스전극과, 소스전극과 이격된 드레인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화소영역(P)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전극과 연결된 화소전극(2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판(220)에는 화소영역(P)의 경계에 대응하여 블랙매트릭스(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랙매트릭스(221)는, 화소영역(P)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220)에는, 블랙매트릭스(221)의 개구부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222)이 형성된다. 컬러필터층(222)은, 적(R) 컬러필터패턴, 녹(G) 컬러필터패턴, 청(B) 컬러필터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R) 컬러필터패턴, 녹(G) 컬러필터패턴, 청(B) 컬러필터패턴 각각은, 대응되는 화소영역(P)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기판(220)에는, 컬러필터층(222)을 덮는 공통전극(도시하지 않음)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200)에 있어, 게이트배선(216)은 순차적으로 스캔되어 게이트전압이 인가된다. 게이트전압이 인가되면, 스캔된 게이트배선(216)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Tr)는 턴온 된다. 박막트랜지스터(Tr)의 턴온에 동기하여, 데이터배선(218)에는 데이터전압이 출력되어 대응되는 화소전극(219)에 인가된다. 한편,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화소전극(219)에 인가된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된 공통전압의 차이에 의해, 액정층에는 전계가 발생되어 액정분자의 배열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액정층의 구동에 의해,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200)는, 프레임 단위로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출력하는데, 일 프레임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파장 영역은 다음 프레임에서 반전된다. 즉, 제1프레임에서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이 출력되고, 제2프레임에서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이 출력된다. 프레임 단위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구분 없이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전술한 바에서는, 두 기판(210, 220) 사이에 수직으로 발생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기판(210, 220) 사이에서 발생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200)로서, 예를 들면 TN 방식(twisted nematic mode) 액정표시장치, VA 방식 (vertical alignment mode) 액정표시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210, 220)에 평행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20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수평 전계에 의해 액정층을 구동하는 액정표시장치(200)로서, 예를 들면 횡전계 방식(IPS mode: in-plane switching mode)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동일한 기판 즉 어레이기판(210)에 형성되어 횡전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은 화소영역(P) 내에서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 이외의 다양한 방식의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300)은, 좌안 렌즈(302)와 우안렌즈(304), 그리고 이러한 좌안 렌즈(302) 및 우안 렌즈(304)가 장착되는 안경테(3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안 렌즈(302) 및 우안 렌즈(304)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빛을 각각 투과시킬 수 있으며, 투과시키는 빛을 서로 스위치 할 수 있다. 일례로, 좌안 렌즈(302)에서 적색(red)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경우, 우안 렌즈(304)는 청록색(cyan)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고, 좌안 렌즈(302)에서 청록색 파장의 빛을 투과시킬 경우, 우안 렌즈(304)는 적색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200)에 프레임 단위로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이 표시될 경우, 일 프레임에서 좌안 렌즈(302)를 통해 제1파장 영역, 일례로,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우안 렌즈(304)를 통해 제2파장 영역, 일례로,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킨다. 이어, 다음 프레임에서 좌안 렌즈(302)를 통해 제2파장 영역, 즉,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투과시키고 우안 렌즈(304)를 통해 제1파장 영역, 즉,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투과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마다 반전시켜 표시하고, 각 프레임에서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안 및 우안 렌즈를 통해 각각 투과시키며, 프레임마다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를 통해 투과되는 파장 영역을 스위칭 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의 렌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는,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을 사이에 두고 마주대하는 제1 및 제2기판(310, 320)과, 제2기판(320) 상부에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을 사이에 두고 마주대하는 제3 및 제4기판(340, 350)을 포함한다.
제1기판(310)과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 사이에는 제1전극(312)과 제1배향막(3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2기판(320)과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 사이에는 제2전극(322)과 제2배향막(3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기판(320)과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 사이에는 제3전극(342)과 제3배향막(34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4기판(350)과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 사이에는 제4전극(352)과 제4배향막(35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기판(310, 320, 340, 350)은 투명한 재질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및 제3기판(320, 34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때, 제2전극(322)과 제2배향막(324)은 제2 및 제3기판(320, 340) 중 나머지 하나의 제1면, 즉, 하면에 형성되고, 제3전극(342)과 제3배향막(344)은 제2 및 제3기판(320, 340) 중 나머지 하나의 제2면, 즉, 상면에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전극(312, 322, 342, 352)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며, 일례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30, 360)은,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즉, 제1 및 제2전극(312, 322)과 제3 및 제4전극(342, 35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특정 카이럴 피치(chiral pitch)를 가지며, 카이럴 피치와 동일한 파장을 갖는 빛을 반사하고 나머지는 투과시킨다. 반면, 전기장이 인가될 경우, 즉, 제1 및 제2전극(312, 322)과 제3 및 제4전극(342, 352)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30, 360)은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배열되어 액정의 꼬임이 사라지게 되므로, 모든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여기서,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30, 360)은 서로 다른 카이럴 피치를 가진다. 일례로,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은 적색(red) 파장에 대응하는 카이럴 피치를 가지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은 청록색(cyan) 파장에 대응하는 카이럴 피치를 가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에 있어서 전기장의 인가에 따른 렌즈의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312)과 제2전극(322)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3전극(342)과 제4전극(352)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때,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은 꼬임 특성을 잃게 되므로, 적색 파장의 빛을 반사하지 않게 되고, 제1기판(310)을 통해 입사된 빛은 모두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을 통과한다. 이어, 제2 및 제3기판(320, 340)을 통해 입사된 빛은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을 통과하는데, 이때 청록색 파장의 빛(C)은 반사되므로, 적색 계열 파장의 빛(R)만 제4기판(350)을 통해 출력된다.
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전극(312)과 제2전극(322)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제3전극(342)과 제4전극(352)에는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은 꼬임 특성을 잃게 되므로, 청록색 파장의 빛(C)을 반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기판(310)을 통해 입사된 빛은 모두 제1콜레스테릭액정층(330)을 지나는데, 이때 적색 파장의 빛(R)은 반사되고 나머지 청록색 계열 파장의 빛(C)만 통과한다. 이어, 제2 및 제3기판(320, 340)을 통해 입사된 청록색 계열 파장의 빛(C)은 제2콜레스테릭액정층(360)을 통과하여 제4기판(350)을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는 도 6a와 6b의 과정을 통해 동작하는데,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동작은 서로 반대가 된다. 즉, 좌안 렌즈가 도 6a와 같이 적색 파장의 빛(R)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때, 우안 렌즈는 도 6b와 같이 청록색 파장의 빛(C)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반면, 좌안 렌즈가 도 6b와 같이 청록색 파장의 빛(C)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때, 우안 렌즈는 도 6a와 같이 적색 파장의 빛(R)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입력되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 360)을 통해 각각 투과시킨다. 이때, 안경의 좌안 및 우안 렌즈는 120Hz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고 스위칭하도록 하며, 120Hz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이 매 프레임마다 입력된다. 따라서, 플리커가 개선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 360)의 선택 반사 파장(λ) 및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Δλ)은 다음의 수학식(1)과 (2)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1003440063-pat00001
Figure 112011003440063-pat00002
여기서, α는 콜레스테릭액정층으로 입사하는 빛의 입사각이고, p는 콜레스테릭액정층의 피치이며, λ0는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bandwidth)의 중심 파장이다. 또한, 콜레스테릭액정층은, 빛의 편광방향이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 no와, 수평한 방향의 굴절률 ne를 가지며, 수학식(1)과 (2)에서 n은 콜레스테릭 액정층의 평균 굴절률로 (ne + no)/2로 표시되며, Δn은 콜레스테릭액정층의 복굴절로 ne-no로 표시된다.
수학식(1)과 수학식(2)에 필요한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 360)의 물성 값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해보면,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 Δn p(nm) λ0 Δλ
제1콜레스테릭액정층 1.55 0.2 420 630 81
제2콜레스테릭액정층 1.55 0.32 335 503 104
도 7은 이러한 물성 값에 따른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 360)의 선택 반사 파장 및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8a는 제1프레임에서 안경의 구동 및 입력 영상을 나타내고, 도 8b는 제2프레임에서 안경의 구동 및 입력 영상을 나타내며, 도 8c는 제1 및 제2프레임에서 입력 영상에 의한 입체영상을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에서, 표시장치(도 4의 200)는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c)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r)을 표시하며, 좌안 렌즈는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c)은 투과시키고,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r)은 반사하여 차단하도록 하며, 우안 렌즈는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c)을 반사하여 차단하고,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r)을 투과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파장 영역은 청록색 파장 영역에 해당하고, 제2파장 영역은 적색 파장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프레임에서, 좌안에는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c)이 입사되고, 우안에는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r)이 입사된다.
다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에서, 표시장치(도 4의 200)는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c)과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r)을 표시하며, 좌안 렌즈는 제1파장 영역, 즉,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c)을 반사하여 차단시키고, 제2파장 영역, 즉,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r)은 투과시키며, 우안 렌즈는 제1파장 영역, 즉,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c)을 투과시키고, 제2파장 영역, 즉,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r)을 반사하여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2프레임에서, 우안에는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IRc)이 입사되고, 좌안에는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ILr)이 입사된다.
이에 따라,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IL)과 우안 영상(IR) 모두 풀 컬러(full color)를 나타낼 수 있으며,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영상의 파장을 기준으로, 도 9a 내지 도 9c와, 도 10a 내지 도 10c, 도 11, 도 12a 내지 도 12c, 도 13a 내지 도 13c,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와, 도 10a 내지 도 10c 그리고 도 11은 제1프레임에서의 영상 구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a 내지 도 12c와, 도 13a 내지 도 13c, 그리고 도 14는 제2프레임에서의 영상 구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1과 도 14는 각각 제1 및 제2프레임에서 좌안 및 우안 렌즈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양안에 입력되는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와 도 12a 내지 도 12c는 우안 렌즈를 통과하는 영상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0a 내지 도 10c와 도 13a 내지 도 13c는 좌안 렌즈를 통과하는 영상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1프레임(F1)에서, 표시장치(도 4의 200)는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파장 영역은 청록색 영역에 대응하고, 제2파장 영역은 적색 영역에 대응한다. 이때,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 전기장을 인가하고 우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는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은 모두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한다. 이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그대로 통과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우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을 통과하는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 의해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반사되고,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투과된다. 따라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 만이 우안에 입사된다.
반면, 제1프레임(F1)에서,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는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좌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는 전기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하는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 의해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반사되고,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투과된다. 이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한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좌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을 그대로 통과한다. 따라서,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 만이 좌안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프레임(F1)에서는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 중, 청록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좌안에 입사되고, 적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우안에 입사된다.
한편, 제2프레임(F2)에서, 표시장치(도 4의 200)는 제1파장, 즉,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제2파장, 즉,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표시하며,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는 제1프레임(F1)과 반대로 구동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2프레임(F2)에서는,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우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는 전기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하는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 의해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반사되고,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투과된다. 이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한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우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을 그대로 통과한다. 따라서,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 만이 우안에 입사된다.
반면, 제2프레임(F2)에서,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에는 전기장을 인가하고, 좌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는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은 모두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통과한다. 이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렌즈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을 그대로 통과한 좌안 및 우안 영상은 좌안 렌즈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을 통과하는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60)에 의해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반사되고,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투과된다. 따라서,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 만이 좌안에 입사된다.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프레임(F2)에서는 표시장치(도 4의 200)로부터의 좌안 및 우안 영상 중, 청록색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우안에 입사되고, 적색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좌안에 입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분리된 파장 영역의 좌안 및 우안 영상을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사하고, 다음 프레임에서는 파장 영역을 서로 바꾸어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사하므로, 입체감을 표시할 있다. 이때, 안경을 60Hz로 구동하더라도, 좌안 및 우안 렌즈는 120Hz의 주파수로 스위칭되어, 120Hz의 분리된 파장 영역, 예를 들어, 청록색 및 적색 파장 영역의 영상이 모든 프레임에서 입력되므로, 플리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 각각이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 각각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는 제1 내지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의 렌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는, 제1 내지 제4기판(410, 420, 440, 460)과, 제1 및 제2기판(410, 420) 사이의 제1콜레스테릭액정층(430), 제2 및 제3기판(420, 440) 사이의 제2콜레스테릭액정층(450), 그리고 제3 및 제4기판(440, 460) 사이의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70)을 포함한다.
제1기판(410)과 제1콜레스테릭액정층(430) 사이에는 제1전극(412)과 제1배향막(41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2기판(420)과 제1콜레스테릭액정층(430) 사이에는 제2전극(422)과 제2배향막(4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기판(420)과 제2콜레스테릭액정층(450) 사이에는 제3전극(426)과 제3배향막(42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3기판(440)과 제2콜레스테릭액정층(450) 사이에는 제4전극(442)과 제4배향막(44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3기판(440)과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70) 사이에는 제5전극(446)과 제5배향막(448)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4기판(460)과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70) 사이에는 제6전극(462)과 제6배향막(464)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기판(410, 420, 440, 460)은 투명한 재질로 유리나 플라스틱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6전극(412, 422, 426, 442, 446, 462)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나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30, 450, 470)은 서로 다른 카이럴 피치를 가진다. 일례로, 제1콜레스테릭액정층(430)은 적색(red) 파장에 대응하는 카이럴 피치를 갖고, 제2콜레스테릭액정층(450)은 녹색(green) 파장에 대응하는 카이럴 피치를 가지며,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70)은 청색(blue) 파장에 대응하는 카이럴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용 안경의 렌즈에 사용되는 제1 내지 제3콜레스테릭액정층(430, 450, 470)의 물성 값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해보면,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 Δn p(nm) λ0 Δλ
제1콜레스테릭액정층 1.55 0.15 420 630 61
제2콜레스테릭액정층 1.55 0.2 360 540 70
제3콜레스테릭액정층 1.55 0.2 310 465 60
한편, 도 16은 이러한 물성 값에 따른 제1 내지 제3콜레스테릭액정층(도 5의 330, 360)의 선택 반사 파장 및 선택 반사 파장의 대역폭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310: 제1기판 312: 제1전극
314: 제1배향막 320: 제2기판
322: 제2전극 324: 제2배향막
330: 제1콜레스테릭액정층 340: 제3기판
342: 제3전극 344: 제3배향막
350: 제4기판 352: 제4전극
354: 제4배향막 360: 제2콜레스테릭액정층

Claims (12)

  1. 제1프레임에서 제1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제2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고, 제2프레임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제1파장 영역과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를 포함하는 안경
    을 포함하며,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 각각은, 제 1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 제 3 및 제 4 전극, 상기 제 3 및 제 4 전극 사이의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과 상기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은 서로 다른 피치를 가지며,
    제 1 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로는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과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이 동시에 공급되며,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 만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반사시키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투과시키며,
    제 2 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로는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과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이 동시에 공급되며,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 만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반사시키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 1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2 파장 영역의 좌안 영상은 반사시키고, 상기 제 2 콜레스테릭액정층에서 상기 제 1 파장 영역의 우안 영상은 투과시키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상기 제2프레임에서, 상기 좌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우안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에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3 및 제4전극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기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은 적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청록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안 렌즈와 상기 우안 렌즈의 각각은 제5 및 제6전극과 상기 제5 및 제6전극 사이의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은 상기 제1 및 제2콜레스테릭액정층과 다른 피치를 가지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콜레스테릭액정층은 적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며, 상기 제2콜레스테릭액정층은 녹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고, 상기 제3콜레스테릭액정층은 청색 파장에 대응하는 피치를 가지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안 및 우안 렌즈는 120Hz의 주파수로 스위칭되는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04252A 2011-01-14 2011-01-14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KR10177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52A KR101770591B1 (ko) 2011-01-14 2011-01-14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252A KR101770591B1 (ko) 2011-01-14 2011-01-14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65A KR20120082765A (ko) 2012-07-24
KR101770591B1 true KR101770591B1 (ko) 2017-08-23

Family

ID=4671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252A KR101770591B1 (ko) 2011-01-14 2011-01-14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064A (ja) * 2006-12-26 2008-08-07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サングラ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1064A (ja) * 2006-12-26 2008-08-07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サング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65A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0977B2 (ja) 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
JP4531644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US7986283B2 (en) Multi-dimensional image selectable display device
US20100238097A1 (en) 2-D and 3-D switchalbe and multi-full size image dispaly system
JP594461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9772500B2 (en) Double-layered liquid crystal lens and 3D display apparatus
KR20040103724A (ko)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337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10199049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20172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1201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448733B (zh) 可顯示二維與三維影像之畫面之立體顯示裝置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GB2403863A (en) Colour pixel configuration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195828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03383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770591B1 (ko) 입체영상 구현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안경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2073B1 (ko)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편광안경, 그리고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KR101730848B1 (ko)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40050897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TWI420150B (zh) 顯示三維影像的顯示裝置
KR101886304B1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27539A (ko) 전환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66726B1 (ko)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