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48B1 -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48B1
KR101730848B1 KR1020100118980A KR20100118980A KR101730848B1 KR 101730848 B1 KR101730848 B1 KR 101730848B1 KR 1020100118980 A KR1020100118980 A KR 1020100118980A KR 20100118980 A KR20100118980 A KR 20100118980A KR 101730848 B1 KR101730848 B1 KR 10173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ght
right eye
shutter
ey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306A (ko
Inventor
홍진우
이병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은 좌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좌안 셔터렌즈와, 우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우안 셔터렌즈와,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셔터렌즈는 제1반투명기판과 상기 제1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셔터렌즈는 제2반투명기판과 상기 제2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2광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셔터안경을 통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SHUTTER GLASSES AND 3D IMAGE REA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응답속도를 개선하여 크로스토크 문제를 해결하고 고품질의 삼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마주보는 2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으로 구성되는데, 2개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으로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구동한다. 액정분자는 분극성질과 광학적 이방성(optical anisotropy)을 갖는데, 분극성질은 액정분자가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액정분자내의 전하가 액정분자의 양쪽으로 몰려서 전기장에 따라 분자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말하고, 광학적 이방성은 액정분자의 가늘고 긴 구조와 앞서 말한 분자배열 방향에 기인하여 입사광의 입사방향이나 편광상태에 따라 출사광의 경로나 편광상태를 달리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액정층은 2개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투과율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고 그 차이를 화소별로 달리하여 이차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입체성을 가져 더욱 실감있는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즉, 삼차원 영상 구현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으로써 이에 부응하여 입체 표현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조금 더 상세히 삼차원 영상 구현에 대해 설명하면, 액정표시장치를 바라보는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이차원 영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삼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 같은 현상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이차원의 화면 표시를 갖는 장치에서 삼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로는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 디스플레이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좌/우안에 해당하는 각각의 영상 앞에 세로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하여 영상을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과, 반원통형 렌즈(cylindrical lens)를 스트라이프 배치한 렌티큘러 판(lenticular plate)을 이용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및 파리 눈 모양의 렌즈판을 이용하는 인테그럴 포토그라피(integral photography)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 안경방식과, 패널과 안경의 응답속도를 매칭시켜 좌, 우안 영상을 서로 전환시켜가면서 교대로 제시하는 셔터안경방식 및 좌/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좌, 우안 영상을 서로 전환시켜가면서 교대로 제시하는 셔터안경방식을 이용한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셔터안경방식을 이용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셔터안경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셔터안경의 셔터동작에 따른 응답속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1)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0)와,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나온 빛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입사시킬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10)의 구동과 동조하는 셔터렌즈(50a, 50b)를 구비한 셔터안경(50)으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10)는 제1액정패널(21)과, 제1액정패널(21)의 양쪽 외측면에 각각 부착되며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편광판(25, 30)과, 제1편광판(25)의 외측면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10)는 셔터안경(50)과 동조하기 위한 주파수 동기신호를 셔터안경(50)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액정패널(21)은 어레이 기판에 해당하는 제1기판(15)과, 컬러필터 기판에 해당하는 제2기판(20)과, 이들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제1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기판(15)에는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구비된다.
제2기판(20)에는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경계에 대응하여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되고 있으며,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순차 반복적으로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층과, 컬러필터층을 덮는 공통전극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액정패널(21)은 서로 다른 제1기판(15)과 제2기판(20)에 구비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간에 발생하는 수직전계에 의해 제1액정층 내의 액정분자가 움직임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액정표시장치(10)에서 게이트배선은 순차적으로 스캔되어 게이트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전압이 인가되면, 스캔된 게이트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의 턴온에 동기하여 데이터배선으로 데이터전압이 출력되어 대응되는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또한,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되어 화소전극에 인가된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된 공통전압의 차이에 의해 제1액정층에서 전계가 발생되고, 액정분자의 배열이 변화하게 되어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홀수번째 프레임에서는 좌안 영상을 출력하고, 짝수번째 프레임에서는 우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셔터안경(50)은 좌안 셔터렌즈(50a)와, 우안 셔터렌즈(50b)와, 이와 같은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50a, 50b)가 안착되는 안경테(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안경테(40) 내부에는 액정표시장치(10)의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미도시)와,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및 우안렌즈(50a, 50b)의 개폐를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50a, 50b) 각각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50a, 50b)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제3 및 제4기판(60, 65)과, 이들 두 기판(60, 65) 사이에 개재된 제2액정층(미도시)과, 제2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는 제2액정패널(66)과, 상기 제2액정패널(66) 외측면에 서로 투과축이 직교하는 형태로 부착된 제3 및 제4편광판(70, 75)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3기판(60)의 내측면에는 제1전극(미도시)이, 상기 제4기판(65)의 내측면에는 제2전극(미도시)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전극(미도시)에 가해지는 전압차에 의해 상기 제2액정층(미도시) 내의 액정분자의 상태를 바꿈으로써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나오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셔터안경(50)에서, 수신기는 액정표시장치(10)의 송신기가 송신하는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고, 셔터 구동부는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렌즈(50a)와 우안 셔터렌즈(50b) 각각의 셔터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셔터안경(50)의 좌안 셔터렌즈(50a)와 우안 셔터렌즈(50b) 각각이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가 번갈아 되면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셔터안경(50)의 주파수 동기신호는 대략 12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번째 프레임 동안 좌안 영상이 출력되고, 짝수번째 프레임 동안 우안 영상이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셔터안경(50)의 셔터 구동부는,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홀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렌즈(50a)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하고, 우안 셔터렌즈(50b)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홀수번째 프레임의 좌안 영상은 좌안 셔터렌즈(50a)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좌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셔터안경(50)의 셔터 구동부는, 액정표시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짝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우안 셔터 렌즈(50b)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하고, 좌안 셔터렌즈(50a)가 차단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짝수번째 프레임의 우안 영상은 우안 셔터렌즈(50b)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우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셔터안경(50)에서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렌즈와 우안 셔터렌즈를 교대로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로 하는 온 또는 오프의 셔터 동작을 할 시에 온에 따라 발생하는 라이징 타임(rising time)과 오프에 따라 발생하는 폴링 타임(falling time) 으로 인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 보이는 크로스 토크(cross-talk)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셔터안경(50)이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홀수번째 프레임의 좌안 영상이 좌안 셔터렌즈(50a)를 투과하도록 좌안 셔터렌즈(50a)를 투과상태로 하고, 우안 셔터렌즈(50b)를 차단상태로 할 시에 좌안 셔터렌즈(50a)가 완전히 투과 상태가 되는 라이징 타임은 대략 2ms가 소요되고, 우안 셔터렌즈(50b)가 완전히 차단 상태가 되는 폴링 타임은 대략 1ms가 소요된다.
이러한, 좌안 셔터렌즈(50a)의 라이징 타임과 우안 셔터렌즈(50b)의 폴링 타임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 보이는 크로스 토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는, 전술한 바와 반대로 동작하여 좌안 셔터렌즈(50a)가 차단되고, 우안 셔터렌즈(50b)가 투과되도록 할 경우에도 좌안 셔터렌즈(50a)의 폴링 타임과 우안 셔터렌즈(50b)의 라이징 타임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서로 겹쳐 보이는 크로스 토크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안경의 응답속도를 높여 폴링 타임과 라이징 타임을 줄일 수 있는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은, 좌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좌안 셔터렌즈; 우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우안 셔터렌즈;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셔터렌즈는 제1반투명기판과 상기 제1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셔터렌즈는 제2반투명기판과 상기 제2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은 글라스기판과 상기 글라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좌안 액정렌즈가 안착되는 안경테의 좌측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우안 액정렌즈가 안착되는 상기 안경테의 우측 제2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은 상기 좌안 액정렌즈와 상기 우안 액정렌즈가 안착되는 안경테의 제1코받침 및 제2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3영역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층은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율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의 일면에 각각 부착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광원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에 대면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 각각은 글라스기판과 상기 글라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글라스기판의 타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금속층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에 각각 부착되는 도광판은 부착되는 면 내측에 출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셔터렌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의 상기 LED를 온 시켜 상기 좌안 셔터렌즈와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교대로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출력하는 표시장치; 상기 좌안 영상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좌안 셔터렌즈와, 상기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우안 셔터렌즈와, 상기 표시장치의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셔터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좌안 셔터렌즈는 제1반투명기판과 상기 제1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셔터렌즈는 제2반투명기판과 상기 제2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에 따르면, 셔터안경에 반투명기판을 장착하고 응답속도가 높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LED를 온 또는 오프함에 따라 발생하는 셔터안경의 내부와 외부의 조도차에 의해 셔터안경의 셔터렌즈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응답속도를 높여 크로스 토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투명기판을 제작할 시에 40% 내지 60%의 투과율과 그에 대응하여 60% 내지 40%의 반사율을 가지도록 글라스기판에 금속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셔터안경에 비해 투과율이 좋아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셔터안경방식을 이용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셔터안경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셔터안경의 셔터동작에 따른 응답속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셔터안경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셔터안경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에 포함된 광원의 응답속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100)은 크게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110)와, 액정표시장치(110)로부터 나온 빛을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입사시킬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110)의 구동과 동조하는 셔터렌즈(150a, 150b)를 구비한 셔터안경(150)으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110)는 제1액정패널(121)과, 제1액정패널(121)의 외측면 양쪽에 각각 부착되며 투과축이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편광판(125, 130)과, 제1편광판(125)의 외측면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액정표시장치(110)는 셔터안경(150)과 동조하기 위한 주파수 동기신호를 셔터안경(150)으로 전송하는 송신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액정패널(121)은 어레이 기판(115)과, 컬러필터 기판(120)과, 이들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어레이 기판(115)에는 서로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구비된다.
컬러필터 기판(120)에는 다수의 화소영역 각각의 경계에 대응하여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되고 있으며,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순차 반복적으로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으로 이루어진 컬러필터층과, 컬러필터층을 덮는 공통전극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액정패널(121)은 서로 다른 기판에 구비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간에 발생하는 수직전계에 의해 액정층 내의 액정분자가 움직임으로써 컬러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액정표시장치(110)에서 게이트배선은 순차적으로 스캔되어 게이트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전압이 인가되면, 스캔된 게이트배선에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는 턴온되고,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의 턴온에 동기하여 데이터배선으로 데이터전압이 출력되어 대응되는 화소전극에 인가된다.
또한,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이 인가되어 화소전극에 인가된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에 인가된 공통전압의 차이에 의해 액정층에서 전계가 발생되고, 액정분자의 배열이 변화하게 되어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1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홀수번째 프레임에서는 좌안 영상을 출력하고, 짝수번째 프레임에서는 우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셔터안경(150)은 좌안 셔터렌즈(150a)와, 우안 셔터렌즈(150b)와, 이와 같은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150a, 150b)가 안착되는 안경테(1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안경테(140) 내부에는 액정표시장치(110)의 송신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미도시)와,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좌안 및 우안렌즈(150a, 150b)의 개폐를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셔터안경(150)에서 좌안 셔터렌즈(150a)와 우안 셔터렌즈(150b)가 안착되는 안경테(140)의 양 측부에는, 셔터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광원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동기신호는 대략 120Hz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의 실시 예를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셔터안경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도 5a를 참조하면, 좌안 셔터렌즈(150a)는 제1반투명기판(152-1)과, 제1반투명기판(152-1)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투명기판(152-1)은 제1글라스(glass)기판(152a-1)과,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제1글라스기판(152a-1)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된 제1금속층(152b-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금속층(152b-1)은 금속으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 구리 및 이외의 금속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하고, 반사율에 대응하여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반사율이 45%이고, 투과율이 55%가 되도록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제1LED(156-1)를 사용하고, 제1LED(156-1)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1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LED(156-1)는 제1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셔터안경(도 4의 150)의 좌안 셔터렌즈(150a)가 안착되는 안경테(도 4의 140)의 좌측 제1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내측에 제1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2영역에 위치되어 제1LED(156-1)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제1글라스기판(152a-1)의 내부로 입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LED(156-1)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1글라스기판(152a-1)의 내부를 따라 퍼져 면광원의 형태로, 제1글라스 기판(152a-1)의 외부로 출사되게 되는데, 빛의 일부는 제1금속층(152b-1)이 형성된 면의 외부로 출사되고, 일부는 제1금속층(152b-1)이 형성되지 않은 면의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한편 우안 셔터렌즈(150b)는, 제2반투명기판(152-2)과, 제2반투명기판(152-2)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반투명기판(152-2)은 제2글라스(glass)기판(152a-2)과,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제2글라스기판(152a-2)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된 제2금속층(152b-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금속층(152b-2)은 금속으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 구리 및 이외의 금속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하고, 반사율에 대응하여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어, 반사율이 45%이고, 투과율이 55%가 되도록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제2LED(156-2)를 사용하는데, 제2LED(156-2)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2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LED(156-2)는 제2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셔터안경(도 4의 150)의 우안 셔터렌즈(150b)가 안착되는 안경테(도 4의 140)의 우측 제3영역에 위치되거나, 또는 내측에 제2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4영역에 위치되어 제2LED(156-2)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제2글라스기판(152a-2)의 내부로 입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LED(156-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2글라스기판(152a-2)의 내부를 따라 퍼져 면광원의 형태로, 제2글라스기판(152a-2) 의 외부로 출사되게 되는데, 빛의 일부는 제2금속층(152b-2)이 형성된 면의 외부로 출사되고, 일부는 제2금속층(152b-2)이 형성되지 않은 면의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셔터안경(150)의 좌안 셔터렌즈(150a)와 우안 셔터렌즈(150b)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좌안 셔터렌즈(150a)는,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른 셔터 구동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1LED(156-1)가 온 또는 오프되면서 좌안 셔터렌즈(150a)의 내부와 외부, 즉 제1반투명기판(152-1)의 제1금속층(152b-1) 외부와 제1반투명기판(152-1)의 제1글라스기판(152a-1) 외부의 조도차에 의해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를 교대로 갖게 된다.
또한, 우안 셔터렌즈(150b) 또한, 마찬가지로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른 셔터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제2LED(156-2)가 온 또는 오프되면서 우안 셔터렌즈(150b)의 내부와 외부, 즉 제2반투명기판(152-2)의 제2금속층(152b-2) 외부와 제2반투명기판(152-2)의 제2글라스기판(152a-2) 외부의 조도차에 의해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를 교대로 갖게 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홀수번째 프레임 동안 좌안 영상이 출력되고, 짝수번째 프레임 동안 우안 영상이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홀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좌안 셔터렌즈(150a)의 제1LED(156-1)를 온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150b)의 제2LED(156-2)를 오프 시킨다.
이에 따라, 좌안 셔터렌즈(150a)의 제1글라스기판(152a-1)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조도가 제1금속층(152b-1) 외부의 빛의 조도보다 높아져 좌안 셔터렌즈(150a)는 투과 상태가 되고, 우안 셔터렌즈(150b)의 제2글라스기판(152a-2) 외부 빛의 조도가 제2금속층(152b-2) 외부 빛의 조도보다 낮거나 같아져 우안 셔터렌즈(150b)는 차단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홀수번째 프레임의 좌안 영상은 좌안 셔터렌즈(150a)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좌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짝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좌안 셔터렌즈(150a)의 제1LED(156-1)를 오프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150b)의 제2LED(156-2)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좌안 셔터렌즈(150a)의 제1글라스기판(152a-1) 외부 빛의 조도가 제1금속층(152b-1) 외부 빛의 조도보다 낮거나 같아져 좌안 셔터렌즈(150a)는 차단상태가 되고, 우안 셔터렌즈(150b)의 제2글라스기판(152a-2) 외부 빛의 조도가 제2금속층(152b-2) 외부의 빛의 조도보다 높아져 우안 셔터렌즈(150b)는 투과상태가 되게 된다. 이로 인해, 짝수번째 프레임의 우안 영상은 우안 셔터렌즈(150b)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우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안 셔터렌즈(150a)와 우안 셔터렌즈(150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좌안 셔터렌즈(150a)는 제1글라스기판(152a-1)과, 액정표시장치(110)에 대응되는 제1글라스기판(152a-1)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되어 형성된 제1금속층(152b-1)을 포함하는 제1반투명기판(152-1)과, 제1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포함하는 광원인 제1LED(156-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LED(156-1)는 제1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고정되어 제1글라스기판(152a-1)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우안 셔터렌즈(150b)는 제2글라스기판(152a-2)과, 액정표시장치(110)에 대응되는 제2글라스기판(152a-2)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되어 형성된 제2금속층(152b-2)을 포함하는 제2반투명기판(152-2)과, 제2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포함하는 광원인 제2LED(156-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LED(256-2)는 제2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고정되어 제2글라스기판(152a-2)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안경(150)의 좌안 셔터렌즈(150a)와 우안 셔터렌즈(150b)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셔터안경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5a 및 도 5b의 셔터안경의 구조에 도광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좌안 셔터렌즈(250a)는 제1반투명기판(252-1)과, 제1반투명기판(252-1)에 부착되는 제1도광판(254-1)과, 제1도광판(254-1)의 입광부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반투명기판(252-1)은 제1글라스(glass)기판(252a-1)과,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제1글라스기판(252a-1)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된 제1금속층(252b-1)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금속층(252b-1)은 금속으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 구리 및 이외의 금속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하고, 반사율에 대응하여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형성한다.
제1도광판(254-1)은 제1반투명기판(252-1)의 제1글라스기판(252a-1)에 부착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여러 번의 전반사에 의해 제1도광판(254-1) 내를 진행하면서 제1도광판(254-1)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면광원이 제1도광판(254-1)의 외면으로 출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도광판(254-1)은 균일한 면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제1반투명기판(252-1)과 맞닿는 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제1도광판(254-1) 내부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제1LED(256-1)를 사용하는데, 제1LED(256-1)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1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LED(256-1)는 제1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셔터안경(도 4의 150)의 안경테(도 4의 140)의 좌측 제1영역에 위치되거나, 또는 내측에 제1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2영역에 위치되어 제1LED(256-1)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제1도광판(254-1)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LED(256-1)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1도광판(254-1)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면광원의 형태로 제1도광판(254-1)의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한편, 우안 셔터렌즈(250b)는 제2반투명기판(252-2)과, 제2반투명기판(252-2)에 부착되는 제2도광판(254-2)과, 제2도광판(254-2)의 입광부로 빛을 입사시키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반투명기판(252-2)은 제2글라스(glass)기판(252a-2)과, 사용자의 눈에 대응되는 제2글라스기판(252a-2)의 일면에 금속으로 진공 증착된 제2금속층(252b-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금속층(252b-2)은 금속으로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 구리 및 이외의금속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하고, 반사율에 대응하여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제2금속층(252b-2)을 형성한다.
제2도광판(254-2)은 제2반투명기판(252-2)의 제2글라스기판(252a-2)에 부착되어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여러 번의 전반사에 의해 제2도광판(254-2) 내를 진행하면서 제2도광판(254-2)의 넓은 영역으로 골고루 퍼져 면광원이 제2도광판(254-2)의 외부로 출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도광판(254-2)은 균일한 면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제2반투명기판(252-2)과 맞닿는 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제2도광판(254-2) 내부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적어도 하나의 제2LED(256-2)를 사용하는데, 제2LED(256-2)를 장착 고정하기 위한 제2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LED(256-2)는 제2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접착 등의 방법으로 셔터안경(도 4의 150)의 안경테(도 4의 140)의 우측 제1영역에 위치되거나, 또는 내측에 제2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2영역에 위치되어 제2LED(256-2)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제2도광판(252-2)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LED(256-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제2도광판(254-2)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면광원의 형태로 제2도광판(254-2)의 외부로 출사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셔터안경의 좌안 셔터렌즈(250a)와 우안 셔터렌즈(250a)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좌안 셔터렌즈(250a)는,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른 셔터 구동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1LED(256-1)가 온 또는 오프되면서 좌안 셔터렌즈(250a)의 내부와 외부, 즉 제1반투명경(252-1) 외부와 제1도광판(254-1) 외부의 조도차에 의해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를 교대로 갖게 된다.
또한, 우안 셔터렌즈(250b)도 마찬가지로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른 셔터 구동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제2LED(256-2)가 온 또는 오프되면서 우안 셔터렌즈(250b)의 내부와 외부, 즉 제2반투명경(252-2) 외부와 제2도광판(254-2) 외부의 조도 차에 의해 투과 상태와 차단 상태를 교대로 갖게 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홀수번째 프레임 동안 좌안 영상이 출력되고, 짝수번째 프레임 동안 우안 영상이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홀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좌안 셔터렌즈(250a)의 제1LED(256-1)를 온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의 제2LED(256-2)를 오프 시킨다.
이에 따라, 좌안 셔터렌즈(250a)의 제1도광판(254-1) 외부로 출사되는 빛의 조도가 제1반투명기판(252-1) 외부의 빛의 조도보다 높아져 좌안 셔터렌즈(250a)는 투과 상태가 되고, 우안 셔터렌즈(250b)의 제2도광판(254-2) 외부 빛의 조도가 제2반투명기판(252-2) 외부 빛의 조도보다 낮거나 같아져 우안 셔터렌즈(250b)는 차단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홀수번째 프레임의 좌안 영상은 좌안 셔터렌즈(250a)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좌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짝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좌안 셔터렌즈(250a)의 제1LED(256-1)를 오프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250b)의 제2LED(256-2)를 온 시킨다.
이에 따라, 좌안 셔터렌즈(250a)의 제1도광판(254-1) 외부 빛의 조도가 제1반투명기판(252-1) 외부 빛의 조도보다 낮거나 같아져 좌안 셔터렌즈(250a)는 차단상태가 되고, 우안 셔터렌즈(250b)의 제2도광판(254-2) 외부 빛의 조도가 제2반투명기판(252-2) 외부의 빛의 조도보다 높아져 우안 셔터렌즈(250b)는 투과상태가 되게 된다. 이로 인해, 짝수번째 프레임의 우안 영상은 우안 셔터렌즈(250b)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우안에 입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안 셔터렌즈(250a)와 우안 셔터렌즈(250b)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좌안 셔터렌즈(250a)는 제1글라스기판(252a-1)과 제1글라스기판(252a-1)의 타면에 형성된 제1금속층(252b-1)을 포함하는 제1반투명기판(252-1)과, 제1반투명기판(252-1)에 부착되는 제1도광판(254-1)과, 제1LED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을 포함하는 광원인 제1LED(256-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도광판(254-1)은 제1반투명기판(252-1)에 형성된 제1금속층(252b-1)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1LED(256-1)는 제1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고정되어 제1도광판(254-1)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우안 셔터렌즈(250b)는 제2글라스기판(252a-2)과 제2글라스기판(252a-2)의 타면에 형성된 제2금속층(252b-2)을 포함하는 제2반투명기판(252-2)과, 제2반투명기판(252-2)에 부착되는 제2도광판(254-2)과, 제2LED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2도광판(254-2)은 제2반투명기판(252-2)에 형성된 제2금속층(252b-2)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제2LED(256-2)는 제2LED 인쇄회로기판에 장착 고정되어 제2도광판(254-2)의 입광부와 대면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셔터안경(150)의 좌안 셔터렌즈(250a)와 우안 셔터렌즈(250b)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에 포함된 광원의 응답속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도 4의 150)에 제1 및 제2LED(156-1, 256-1, 156-2, 256-2)와 같이 광원으로 LED를 사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가 온 됨에 따라 발생되는 응답시간, 즉 라이징 타임이 0.3ms이고, LED가 오프 됨에 따라 발생되는 응답시간, 즉 폴링 타임이 0.3ms로 라이징 타임과 폴링 타임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LED의 빠른 응답특성에 의해 셔터안경의 라이징 또는 폴링 타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홀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좌안 셔터렌즈(150a, 250a)의 제1LED(156-1, 256-1)를 온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150b, 250b)의 제2LED(156-2, 256-2)를 오프 시키면, 제1LED(156-1, 256-1)에서 발생되는 라이징 타임은 0.3ms가 되고, 제2LED(156-2, 256-2)에서 발생되는 폴링 타임은 0.3ms가 된다.
마찬가지로, 액정표시장치(110)의 주파수 동기신호에 따라 짝수번째 프레임에 동기하여 셔터 구동부(미도시)가 좌안 셔터렌즈(150a, 250a)의 제1LED(156-1, 256-1)를 오프 시키고, 우안 셔터렌즈(150b, 250b)의 제2LED(156-2, 256-2)를 온 시키면, 제1LED(156-1, 256-1)에서 발생되는 폴링 타임은 0.3ms가 되고, 제2LED(156-2, 256-2)에서 발생되는 라이징 타임은 0.3ms가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래 셔터안경(도 1의 50)의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50a, 50b)의 라이징 타임이 2ms이고, 폴링 타임이 1ms인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의 좌안 및 우안 셔터렌즈의 라이징 타임은 대략 7배 정도 단축되었고, 폴링 타임은 3배 이상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 셔터안경(도 1의 50)의 투과율이 대략 35%정도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도 4의 150)에서 반투명기판의 금속층의 투과율(40% 내지 60%)은 적어도 40% 이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셔터안경은 종래 셔터안경의 투과율보다 더 좋은 투과율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액정표시장치 150: 셔터안경
150a, 250a: 좌안 셔터렌즈 150b, 250b: 우안 셔터렌즈
140: 안경테 152-1, 252-1: 제1반투명기판
152a-1, 252a-1: 제1글라스기판 152b-1, 252b-1: 제1금속층
152-2, 252-2: 제2반투명기판 152a-2, 252a-2: 제2글라스기판
152b-2, 252b-2: 제2금속층 154-1, 254-1: 제1도광판
154-2, 254-2: 제2도광판 156-1, 256-1: 제1LED
156-2, 256-2: 제2LED

Claims (11)

  1. 좌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좌안 셔터렌즈;
    우안 영상 출력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우안 셔터렌즈;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셔터렌즈는 제1반투명기판과 상기 제1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셔터렌즈는 제2반투명기판과 상기 제2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 각각은 글라스기판과 상기 글라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은 상기 좌안 셔터렌즈가 안착되는 안경테의 좌측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안착되는 상기 안경테의 우측 제2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원은 상기 좌안 셔터렌즈와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안착되는 안경테의 제1코받침 및 제2코받침이 위치하는 중앙의 제3영역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투과율이 60% 내지 40%가 되도록 하고, 상기 투과율에 대응하여 반사율이 40% 내지 60%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의 일면에 각각 부착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광원 각각은 상기 도광판의 입광부에 대면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글라스기판의 타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금속층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에 각각 부착되는 도광판은
    부착되는 면 내측에 출광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구동부는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셔터렌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의 상기 LED를 온 시켜 상기 좌안 셔터렌즈와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교대로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안경.
  1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출력하는 표시장치;
    상기 좌안 영상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좌안 셔터렌즈와, 상기 우안 영상에 동기하여 투과 상태가 되는 우안 셔터렌즈와, 상기 표시장치의 주파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주파수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좌안 또는 상기 우안 셔터렌즈가 투과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셔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셔터안경;을 포함하고,
    상기 좌안 셔터렌즈는 제1반투명기판과 상기 제1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1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우안 셔터렌즈는 제2반투명기판과 상기 제2반투명기판의 내부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는 제2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반투명기판 각각은 글라스기판과 상기 글라스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KR1020100118980A 2010-11-26 2010-11-26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KR10173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980A KR101730848B1 (ko) 2010-11-26 2010-11-26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980A KR101730848B1 (ko) 2010-11-26 2010-11-26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306A KR20120057306A (ko) 2012-06-05
KR101730848B1 true KR101730848B1 (ko) 2017-04-27

Family

ID=4660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980A KR101730848B1 (ko) 2010-11-26 2010-11-26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745B1 (ko) * 2013-09-16 2022-02-2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액정 매질, 스위칭가능한 액정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KR102285824B1 (ko) * 2013-09-23 2021-08-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액정 매질, 스위칭가능한 액정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78B1 (ko) * 2010-06-04 2011-09-07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테크 안경을 이용한 입체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478B1 (ko) * 2010-06-04 2011-09-07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테크 안경을 이용한 입체영상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306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204B1 (ko) 2차원 영상과 3차원 영상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77223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US20100238097A1 (en) 2-D and 3-D switchalbe and multi-full size image dispaly system
JP3570104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331900B1 (ko) 광제어필름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60023392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JP2011059638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2185499A (ja) マイクロリターダフィルム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H05284542A (ja) 3次元立体画像/2次元画像共存型表示装置
KR101730848B1 (ko) 셔터안경 및 그를 포함한 삼차원 영상 구현 시스템
KR101782006B1 (ko) 3디 영상 시청용 편광안경 및 이를 구비한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JP3462796B2 (ja) 三次元表示方法及び装置
KR10103383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CN102226858B (zh) 立体显示设备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KR101958288B1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978787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20012196A (ko) 셔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360780B1 (ko) 다시점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62073B1 (ko) 삼차원 영상 표시장치 및 편광안경, 그리고 삼차원 영상 구현시스템
KR101949388B1 (ko) 3d 영상 표시장치
KR20120013520A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101799935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40055532A (ko) 3차원 영상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30052192A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