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526B1 -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526B1
KR101770526B1 KR1020160172552A KR20160172552A KR101770526B1 KR 101770526 B1 KR101770526 B1 KR 101770526B1 KR 1020160172552 A KR1020160172552 A KR 1020160172552A KR 20160172552 A KR20160172552 A KR 20160172552A KR 101770526 B1 KR101770526 B1 KR 10177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frame
bar
colum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인호
Original Assignee
한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인호 filed Critical 한인호
Priority to KR102016017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08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4Stacks, ricks or the like
    • A01F25/10Shelters ; Open sheds or similar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6Arrangements in forage silos
    • A01F25/22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박스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각 모서리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100);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기둥(100)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바닥프레임(200); 인접하는 기둥(100) 사이를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프레임(300); 상기 벽체프레임(300) 및 바닥프레임(200)을 덮도록 연결되어 내부의 농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400); 상기 기둥(100) 중 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두 기둥(100b)의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빔(500);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양 측단부 하부에 바닥과 맞닿도록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조적바(600);상기 빔(500)의 양단부와 상기 기둥(100)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a)의 상단을 각각 전방에서 후방 로 길게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적바(600)와 부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조적바(700); 및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통기통로를 형성하는 통기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기부와 메쉬 형태의 외벽으로 냉기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농산물의 부패와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전방벽체플레이트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형성하여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낼 필요없이 도어를 통해 간단히 농산물을 하역하면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품가치의 하락 및 시간, 작업공수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상부조적바와 하부조적바를 구비하여 양자가 대응되도록 조적됨으로써 조적이 쉬우면서도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전방측보다 후방측의 폭을 좁게하여 하나의 농산물 보관장치 안에 다른 농산물 보관장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AN AGRICULTURAL STORAGE DEVICE EQUIPPED WITH MASONRY AND VENTIL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박스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대응되는 요철을 형성하여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며, 저장된 농산물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농가에서는 농산물을 수확한 후 이를 보관창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한번에 출하하거나 필요에 따라 필요량만큼만 출하하는 식으로 농산물을 관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이 쉬운 곡물류(벼, 보리, 콩등)은 자연 상태에서 상당히 건조되어 수확이 되며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다시 자연 상태에서 추가 건조를 시켜 저장을 해 왔다. 종래에는 상기 작업들을 인력으로 진행해 왔으나 현재 기계로 수확하고 기계로 건조하고 공조설비가 갖추어진 창고에 보관하여 비용은 줄이고 효율은 높이는 방식으로 저장 시스템이 바뀌고 있다. 그리고 장기저장도 가능하면서 상대적으로 기계화가 쉽지 않은 과수(사고,배, 단감등)은 플라스틱 상자에 수확하여 창고에 운반하고 상자로 저장하면서 기계화도 일부 진전되고 플라스틱 상자에 통풍이 되도록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창고 내에서 통기성도 어느 정도 해결이 되어 저장성도 향상되었다.
그러나 위의 품목보다 저장력도 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값이 싼 작물(감자, 양파 등)은 작업과정의 기계화도 발전이 되지 않고 저장 방법도 그물망에 담아 파레트에 인력으로 차곡차곡 쌓아서 저장을 하고 냉기의 교류는 대류방식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력을 이용하는 경우, 보관 중인 온도 및 습도 조절이 가능하여 장시간 동안 농산물의 저장 능력을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농산물이 썩는 등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농산물을 동력을 이용하여 저장 및 이송하는 컨테이너의 일례로서, 공개특허공보 1999-0064810(1999.08.05)에는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농산물 저온저장 및 수송용 컨테이너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공개특허공보 2012-0138192(2012,12.24)에는 수확한 농산물을 장기간 창고에 보관할 수 있고, 운반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농산물 저장용 컨테이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기술에 의한 농산물 보관장치(컨테이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냉기의 교류도 대류방식에 의하는 경우, 냉기가 저장물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시일이 지남에 따라 농산물이 많이 부패하게 되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동력을 이용하는 컨테이너는 농산물 보관 저장 및 이송을 위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 농가에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생산지(밭 등)에 직접진입하여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감자 수확의 경우 생산지에서 수확한 감자를 철재 보관장치(컨테이너)에 적재 저장 후 출하시 선별하게 되는데, 출하시 적재된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 낸 후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감자에 상처가 생기는 등 상품가치의 하락을 초래하고, 선별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공수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넷째, 농산물 보관은 냉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그 적재장소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방향으로 조적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농산물 보관장치는 조적에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조적의 안정성을 기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보관에 있어서도 기존의 경우 사각박스형태이어서 농산물이 적재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재될 수 있을 뿐이어서 공간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9-0064810(1999.08.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2-0138192(2012,12.24).
본 발명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냉기가 저장물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시일이 지남에 따라 농산물이 많이 부패하게 문제점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동력을 이용하는 컨테이너의 경우에 소요되는 보관 저장 및 이송상 비용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감자 수확의 경우 출하시 적재된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 낸 후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상품가치의 하락, 선별작업시간의 장시간 소요, 작업공수가 많이 든다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농산물 보관장치의 상방향 조적상 어려운 문제점과 조적시 안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공간활용성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사각박스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각 모서리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기둥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바닥프레임; 인접하는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프레임; 상기 벽체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을 덮도록 연결되어 내부의 농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 상기 기둥 중 후방에 배치되는 두 기둥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후방측의 상기 두 기둥의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빔; 상기 바닥프레임의 양 측단부 하부에 바닥과 맞닿도록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조적바; 상기 빔의 양단부와 상기 기둥중 전방에 배치되는 두 기둥의 상단을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적바와 부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조적바;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통기통로를 형성하는 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기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양 단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통기관; 상기 통기관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을 중앙부에 형성하여 상기 통기관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기관의 상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외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상기 벽체프레임의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바닥프레임 및 상기 벽체프레임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 중 후방측 두 기둥은 상기 하부조적바의 내측에 연결되고, 전방측 기둥은 상기 하부조적바의 외측에 연결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벽체프레임이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벽체프레임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되며, 상기 벽체프레임 중 전방벽체프레임과 측방에 형성되는 측방벽체프레임은 상기 기둥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방벽체프레임은 ┗ 및 ┛형상의 평면 형상을 하며, ┗ 및 ┛형상의 하부 단부와 후방측 기둥이 연결되며, ┗ 및 ┛형상의 상부 단부는 전방측 기둥과 연결되고, ┗ 및 ┛형상의 하부가 후방 벽체의 일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벽체프레임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부에 개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방측 기둥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벽체프레임의 하부에 절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공간을 폐쇄하되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기부와 메쉬 형태의 외벽으로 냉기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농산물의 부패와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전방벽체플레이트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형성하여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낼 필요없이 도어를 통해 간단히 농산물을 하역하면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품가치의 하락 및 시간, 작업공수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넷째, 상부조적바와 하부조적바를 구비하여 양자가 대응되도록 조적됨으로써 조적이 쉬우면서도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전방측보다 후방측의 폭을 좁게하여 하나의 농산물 보관장치 안에 다른 농산물 보관장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의 프레임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서 메쉬와 결합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도어개방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조적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적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의 프레임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서 메쉬와 결합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도어개방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조적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적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로 함께 설명한다.
배경기술에 의한 농산물 보관장치(컨테이너)는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냉기의 교류도 대류방식에 의하는 경우, 냉기가 저장물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시일이 지남에 따라 농산물이 많이 부패하게 되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동력을 이용하는 컨테이너는 농산물 보관 저장 및 이송을 위한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반 농가에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생산지(밭 등)에 직접진입하여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감자 수확의 경우 생산지에서 수확한 감자를 철재 보관장치(컨테이너)에 적재 저장 후 출하시 선별하게 되는데, 출하시 적재된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 낸 후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감자에 상처가 생기는 등 상품가치의 하락을 초래하고, 선별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공수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농산물 보관은 냉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경우 그 적재장소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방향으로 조적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기존 농산물 보관장치는 조적에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조적의 안정성을 기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보관에 있어서도 기존의 경우 사각박스형태이어서 농산물이 적재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재될 수 있을 뿐이어서 공간활용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기부 및 상,하부조적바 등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별로 자세히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사각박스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각 모서리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100);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기둥(100)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바닥프레임(200); 인접하는 기둥(100) 사이를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프레임(300); 상기 벽체프레임(300) 및 바닥프레임(200)을 덮도록 연결되어 내부의 농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400); 상기 기둥(100) 중 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빔(500);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양 측단부 하부에 바닥과 맞닿도록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조적바(600); 상기 빔(500)의 양단부와 상기 기둥(100)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a)의 상단을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적바(600)와 부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조적바(700); 및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통기통로를 형성하는 통기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의 형상인 사각박스 형상의 네 귀퉁이 뼈대를 이루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각박스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각 모서리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용어 그대로 기둥(100)의 역할을 한다. 상기 기둥(100)은 4개로 이루어 지며, 전방의 2개는 전방벽체프레임(310)과 연결되고, 후방의 2개는 후방벽체프레임(330)과 연결되며, 같은 면에 있는 전방측 과 후방측의 기둥(100) 각각은 측방벽체프레임(320)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후방측 기둥(100b)간의 간격은 전방측 기둥(100a)간의 간격보다 좁다. 이러한 이유는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본 발명을 조적하는 경우 내부로 포개어 조적하여 한정된 공간안에 많은 수의 본 발명인 통기 및 조적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를 조적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로 포개기 위하여 전방측과 후방측의 기둥(100)간 간격을 달리하여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의 후방측이 다른 하나의 본 발명의 전방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면은 개방되어야 하므로, 전방벽체프레임(310)은 전방측 기둥(100a)과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본 발명(이하 'A'라 한다)의 바닥프레임(200) 위에 다른 하나의 본 발명(이하 'B'라 한다)의 기둥(100)의 하단부가 접촉되어 조적되므로 A의 상부 위치(기둥(100)의 단부 또는 빔(500)의 위치)보다 B의 상부 위치가 더 높이 있게 되므로(즉 바닥과 바닥프레임(200)의 상부까지의 거리만큼 내부에 조적되는 B의 상부는 상방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상부도 개방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즉 상기 기둥(100) 중 후방측 두 기둥(100b)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내측에 연결되고, 전방측 기둥(100a)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외측에 연결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벽체프레임(330)이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벽체프레임(310)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되며, 상기 벽체프레임(300) 중 전방벽체프레임(310)과 측방에 형성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은 상기 기둥(100)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본 발명의 조적방법과 구성은 아래에서 별도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바닥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의 바닥면의 역할을 수행하며, 적재장소의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기둥(100)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적재장소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이유는 농산물을 적재한 후 차례로 본 발명 A와 B를 상방으로 조적하는 경우 상기 A의 상부와 상기 B의 하부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통기가 쉽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벽체프레임(3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의 벽체의 역할을 수행하며, 인접하는 기둥(100) 사이를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벽체프레임(300)은 전방에 형성되어 전면벽을 형성하는 전방벽체프레임(310), 측방에 형성되어 측면을 형성하는 측방벽체프레임(320), 및 후방에 형성되어 후면을 형성하는 후방벽체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벽체프레임(300)은 상기 기둥(100)간을 연결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기하고, 내부에 농산물을 수용하기 위한 지지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둥(100) 중 후방측 두 기둥(100b)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내측에 연결되고, 전방측 기둥(100a)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외측에 연결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벽체프레임(330)이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벽체프레임(310)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되며, 상기 벽체프레임(300) 중 전방벽체프레임(310)과 측방에 형성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은 상기 기둥(100)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방벽체프레임(320)은 ┗ 및 ┛형상의 평면 형상을 하며, ┗ 및 ┛형상의 하부 단부와 후방측 기둥(100b)이 연결되며, ┗ 및 ┛형상의 상부 단부는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 및 ┛형상의 하부가 후방 벽체의 일부가 되고,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부에 개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에 절첩수단(312)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312)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공간을 폐쇄하되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도어(314)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본 발명을 내부로 조적하 위해 후방벽체프레임(330)을 제외한 측방벽체프레임(320)과 전방벽체프레임(310)은 탈착이 가능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벽체프레임(330)은 후방측 기둥(100b)과 바닥프레임(200) 및 빔(500)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벽체프레임(300) 중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전방벽체프레임(310)과 후방벽체프레임(330)은 ㅣ 자 평면형상(평면도 상에서 ㅣ 자 형상)을 하는 데 비해 측방벽체프레임(320)은 ┗ 및 ┛형상의 평면 형상을 한다. 즉 상기 측방벽체프레임(320)은 ┗ 및 ┛형상의 평면 형상을 하며, ┗ 및 ┛형상의 하부 단부와 후방측 기둥(100b)이 연결되며, ┗ 및 ┛형상의 상부 단부는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 및 ┛형상의 하부가 후방 벽체의 일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본 발명을 내부로 차례차례 조적하기 위해 후방측 기둥(100b)간의 간격이 전방측 기둥(100a)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ㅣ 자 평면형상의 하부 즉 후방측에 수직으로 내측 방향으로 후방벽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ㅡ 자 평면형상이 더 붙게 된다. 즉 ┗ 및 ┛형상의 하부의 ㅡ 자 평면형상은 후방벽체의 일부가 되게 된다.
또한 ┗ 및 ┛형상의 두 가지 형상을 하는 이유는, 좌측면을 형성하는 측방벽체프레임(320)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의 형상을 보인 것이다. 즉 좌측면을 형성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은 ┗ 형상을 하고, 우측면을 형성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은 ┛형상을 하게 된다. 이는 후방측 기둥(100b) 두 개는 바닥프레임(200) 외곽에서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프레임(200)의 외곽을 따라 측방벽체프레임(320)이 형성되게 되므로, 상기 후방측 기둥(100b) 두 개가 각각 바닥프레임(200) 외곽에서 이격된 거리만큼 측방벽체프레임(320)은 ㅣ 자 평면형상의 하부에서 직각으로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부에 개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에 절첩수단(312)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312)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공간을 폐쇄하되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도어(314)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농산물을 내부에 적재한 상태에서 선별작업 등을 행하기 위해 기존에는 농산물 보관장치(컨테이너)를 기울이는 등으로 농산물을 선별작업장에 쏟아낸 후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농산물에 상처가 생기는 등의 상품가치 하락, 장시간 소요, 작업 공수가 많이 드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방벽체프레임(310) 하부에 도어(314)를 설치하여 쏟아 붓지 않고도 도어(314)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농산물을 차례로 본 발명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는 일정거리 바닥과 이격하여 개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공간에 도어(314)가 설치되며, 도어(314)의 상부는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와 절첩수단(312)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어(314)의 하부에는 잠금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외곽에 형성되는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도어(314)의 개폐시 잠그고 해제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첩수단(312)은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 양측에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의 절첩바디를 측방향으로 연결하고, 상기 도어(314)와 연결된 절첩뭉치가 각각 상기 절첩바디의 빈 속에 삽입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도어(314)가 상방향으로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14)의 하부에는 잠금수단이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314)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속이 빈 파이프형상으로서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내외부가 개방된 이동홈이 길게 형성되되, 이동홈의 양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잠금홈을 형성하는 잠금바디와, 상기 잠금바디의 빈 속으로 삽입되는 긴 막대 형상의 중앙부에서 짧은 막대형상의 손잡이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잠금뭉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314)가 상기 바닥프레임(200)과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외곽 측면에 연결되면서 상기 잠금뭉치의 긴 막대 형상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400)는 본 발명의 내부에 적재된 농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벽체프레임(300) 및 바닥프레임(200)을 덮도록 연결될 수 있다. 메쉬(400)의 구멍은 농산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감자나 양파를 적재하는 경우 양파나 감자의 통상적인 크기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빔(500)은, 후방측 두 기둥(100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빔(500)으로서, 보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빔(500)은 상부에 상부조적바(700)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이자 기둥(100)의 안정성을 더하기 위한 구조이다. 후방측 기둥(100b)간의 폭은 전방측 기둥(100a)간의 폭보다 좁아 전방측 기둥(100a)과 후방측 기둥(100b) 사이에 어떤 부재를 본 발명의 외곽선(예컨대 바닥프레임(200)의 외곽선 등)과 수평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후방측 기둥(100b)위에 상기 빔(500)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는 등으로 그 폭을 늘여주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빔(500)은 후방측 두 기둥(100b)의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하부조적바(600)는, 상기 상부조적바(700)와 함께 농산물을 적재한 본 발명을 상하로 적재하는 경우 적재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조적바(700)와 하부조적바(600)는 오목하고 볼록하도록 형성하여 적재시 오목한 부분에 볼록한 부분이 끼워지도록 하여 흔들림없이 안정되도록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부조적바(600)는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양 측단부 하부에 바닥과 맞닿도록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조적바(700)는, 상기 하부조적바(600)와 함께 농산물을 적재한 본 발명을 상하로 적재할 경우 적재의 안정을 기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빔(500)의 양단부와 상기 전방측 두 기둥(100a)의 상단을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적바(600)와 부합되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빔(500)이 후방측 두 기둥(100b)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 상부에서 전방측 두 기둥(100a)의 상부와 각각 수평(길이방향의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수평(길이방향의 수평)이 되지 않는 경우 전방측 두 기둥(100a)의 상단부에 기둥(100)과 수직으로 상기 빔(500)과 평행되도록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여 그 연장형성된 부분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수평(길이방향의 수평)을 맞출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하부조적바(600)도 길이방향의 수평이 되도록 바닥프레임(200)에 연결되므로, 본 발명을 상하방향으로 조적시 상부에 조적되는 본 발명의 하부조적바(600)와 끼움맞춤하도록 하여 조적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기부(800)는, 공기나 냉기가 잘 통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통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통기부(800)는,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양측단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통기관(810); 상기 통기관(8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을 중앙부에 형성하여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820); 및 상기 지지판(820) 외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상기 벽체프레임(300)의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바(83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800)는, 상기 바닥프레임(200) 및 상기 벽체프레임(300)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한 이유는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채 본 발명을 조적하는 경우 공간을 적게 차지 하도록 포개어 적재할 수 있는데, 중앙부에 상기 통기부(800)가 고정?어 있는 경우 포개어 적재할 수 없거나 불편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기관(810)은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관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양 단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속이 빈 파이프 측면에 구멍이 다수있고, 위 아래가 뚫려 있도록 하여 통기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를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중앙부의 통기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관(810)은 때에따라 다수의 통기관(810)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판(820)은,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가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판(820)은 상기 통기관(8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을 중앙부에 형성하여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관(810)이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라고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830)는, 상기 지지판(820)을 본 발명의 벽체프레임(300)이나 기둥(100), 빔(500) 등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연결바(830)는, 상기 지지판(820) 외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상기 벽체프레임(300)의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농산물을 적재한 경우 본 발명의 상하방향으로 조적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산물 즉 감자나 양파 등을 적재한 후 첫 번째 본 발명(A)을 제일 하단에 배치하고, 두 번째 본 발명(B)을 A 의 상부에 쌓게 된다. 이때 A의 상부조적바(700)와 B의 하부조적바(600)가 끼워지도록 조적하고 다음으로 세 번째의 본 발명을 B의 상부에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조적하여 조적의 안정성을 더할 수 있게 된다.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을 조적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경우, 전방벽체프레임(310)과 측방벽체프레임(320)을 기둥(100)에서 분리 해체하고, 첫 번째 본 발명(A)을 제일 하단에 배치하고, 두 번째 본 발명(B)의 후방측을 A 의 전방으로 밀어넣으면서 쌓게 된다. 후방측이 전방측보다 기둥(100)간의 폭이 좁기 때문에 A의 전방측 기둥(100a) 사이를 B의 후방측 기둥(100b) 두 개가 통과하여 A의 후방측에까지 B의 후방측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본 발명은 동일한 방식으로 B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적함으로써 농산물을 적재하지 않은 본 발명의 조적공간을 줄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통기부와 메쉬 형태의 외벽으로 냉기의 균일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농산물의 부패와 상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전방벽체플레이트 하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형성하여 컨테이너에서 농산물을 쏟아낼 필요없이 도어를 통해 간단히 농산물을 하역하면서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품가치의 하락 및 시간, 작업공수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부조적바와 하부조적바를 구비하여 양자가 대응되도록 조적됨으로써 조적이 쉬우면서도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방측보다 후방측의 폭을 좁게하여 하나의 농산물 보관장치 안에 다른 농산물 보관장치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농산물이 적재되지 않은 농산물 보관장치의 공간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둥 100a: 전방측 기둥
100b: 후방측 기둥 200: 바닥프레임
300: 벽체프레임 310: 전방벽체프레임
312: 절첩수단 314: 도어
320: 측방벽체프레임 330: 후방벽체프레임
400: 메쉬 500: 빔
600: 하부조적바 700: 상부조적바
800: 통기부 810: 통기관
820: 지지판 830: 연결바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사각박스를 형성하도록 사각형 각 모서리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기둥(100);
    바닥과 일정높이 이격되어 상기 기둥(100)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는 바닥프레임(200);
    인접하는 기둥(100) 사이를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프레임(300);
    상기 벽체프레임(300) 및 바닥프레임(200)을 덮도록 연결되어 내부의 농산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쉬(400);
    상기 기둥(100) 중에서 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상기 두 기둥(100b)의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빔(500);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양 측단부 하부에 바닥과 맞닿도록 연결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홈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부조적바(600);
    상기 빔(500)의 양단부와 상기 기둥(100) 중에서 전방측에 배치되는 두 기둥(100a)의 상단을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연결하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조적바(600)와 부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조적바(700); 및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어 통기통로를 형성하는 통기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800)는,
    상기 바닥프레임(200)의 중앙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결되며, 양 단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측면에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통기관(810);
    상기 통기관(8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구멍을 중앙부에 형성하여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통기관(810)의 상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지지판(820); 및
    상기 지지판(820) 외측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갈고리 형상으로 상기 벽체프레임(300)의 상부에 갈고리 형상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바(830);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800)는, 상기 바닥프레임(200) 및 상기 벽체프레임(300)과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것이고,
    상기 기둥(100) 중 후방측 두 기둥(100b)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내측에 연결되고, 전방측 기둥(100a)은 상기 하부조적바(600)의 외측에 연결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벽체프레임(330)이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벽체프레임(310)보다 폭이 좁도록 형성되며,
    상기 벽체프레임(300) 중 전방벽체프레임(310)과 측방에 형성되는 측방벽체프레임(320)은 상기 기둥(100)과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벽체프레임(320)은 ┗ 및 ┛형상의 평면 형상을 하며, ┗ 및 ┛형상의 하부 단부와 후방측 기둥(100b)이 연결되며, ┗ 및 ┛형상의 상부 단부는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 및 ┛형상의 하부가 후방 벽체의 일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은 바닥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하부에 개방 공간을 형성하면서 전방측 기둥(100a)과 연결되고, 상기 전방벽체프레임(310)의 하부에 절첩수단(312)을 구비하고, 상기 절첩수단(312)과 연결되어 상기 개방공간을 폐쇄하되 상방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도어(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KR1020160172552A 2016-12-16 2016-12-16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KR10177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52A KR101770526B1 (ko) 2016-12-16 2016-12-16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52A KR101770526B1 (ko) 2016-12-16 2016-12-16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526B1 true KR101770526B1 (ko) 2017-08-23

Family

ID=5975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552A KR101770526B1 (ko) 2016-12-16 2016-12-16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5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08A (ko) * 2019-10-29 2021-05-11 김재동 자주식 대파 수확기
CN113634301A (zh) * 2021-09-02 2021-11-12 叶满 一种有机大米加工工艺
WO2021260561A1 (en) * 2020-06-24 2021-12-30 Pravin Chandrakant Phutane A storage facility for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KR20230000839U (ko) * 2021-10-21 2023-04-28 중 기 유 농작물 적재용 팔레트
KR102672217B1 (ko) * 2023-07-14 2024-06-04 최정훈 농산물 파렛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750A (ja) * 2008-11-27 2010-06-10 Tanaka Sangyo Kk 穀類収納袋における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4750A (ja) * 2008-11-27 2010-06-10 Tanaka Sangyo Kk 穀類収納袋における換気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608A (ko) * 2019-10-29 2021-05-11 김재동 자주식 대파 수확기
KR102334939B1 (ko) * 2019-10-29 2021-12-06 김재동 자주식 대파 수확기
WO2021260561A1 (en) * 2020-06-24 2021-12-30 Pravin Chandrakant Phutane A storage facility for sto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CN113634301A (zh) * 2021-09-02 2021-11-12 叶满 一种有机大米加工工艺
KR20230000839U (ko) * 2021-10-21 2023-04-28 중 기 유 농작물 적재용 팔레트
KR200497842Y1 (ko) * 2021-10-21 2024-03-14 유중기 농작물 적재용 팔레트
KR102672217B1 (ko) * 2023-07-14 2024-06-04 최정훈 농산물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526B1 (ko) 통기 및 조적 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JPS5815296Y2 (ja) 剛性物品運搬容器
US3985258A (en) Knock-down plastic container for produce and the like
US3981410A (en) Rigid, collapsible and nestable container
EP1118546B1 (en) Demountable wire mesh container for bottles
USRE39444E1 (en) Collapsible container
CA2625636C (en) Integrated system for transporting live poultry
US20080110897A1 (en) Pouch Assembly for Use In A Container
JP2011525457A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および折り畳まれたコンテナを輸送する方法
US20090044732A1 (en) Pallet with collapsible frame and bag
US11712020B2 (en) Collapsible pet's crate
US6076690A (en) Fastener free container
KR100960702B1 (ko) 일관작업용 상자형 파렛트
KR101236147B1 (ko) 농작물 저장상자
US3383003A (en) Collapsible container
CN205272343U (zh) 搅拌站
CN207524349U (zh) 一种搅拌站粉料罐及搅拌站
KR20130077864A (ko) 크레이트
US4329813A (en) Substratus crate for plant cultivation and transportation
AU2012101343A4 (en) Relocatable Stables
KR101040679B1 (ko) 농산물 저장용 다목적 상자
KR102275973B1 (ko) 조립식 파레트
CN212971634U (zh) 一种可折叠多用途烟框
EP2141080B1 (en) Transport pallet for fences
JPH0651135U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