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226B1 -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226B1
KR101770226B1 KR1020160146669A KR20160146669A KR101770226B1 KR 101770226 B1 KR101770226 B1 KR 101770226B1 KR 1020160146669 A KR1020160146669 A KR 1020160146669A KR 20160146669 A KR20160146669 A KR 20160146669A KR 101770226 B1 KR101770226 B1 KR 10177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rail
chamber
coating liquid
b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성
Original Assignee
박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성 filed Critical 박중성
Priority to KR102016014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8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a layer of grip improv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부가 구비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장치로, 염수가 구비된 염수배스; 상기 염수배스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냉각팬이 구비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제1 아웃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를 구비시키는 코팅액배스; 상기 장갑에 코팅액을 고착시키는 코팅부고착부;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갑으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수세부; 수세된 장갑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복수개의 온도범위로 구획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장갑이 장착된 복수개의 몰드를 이동시키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Manufacture device for functional gloves}
본 발명은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갑의 기능성을 구비한 코팅부의 균일성 및 고착성이 향상되어 수명 및 물체에 대한 그립감이 향상된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장갑은 면사로 직조되어 각종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된다. 이러한 면장갑은 작업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어 맨손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보다 안전성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통상의 면장갑은 방수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 습한 물건을 잡을 경우 장갑으로 수분이 유입되어 장갑과 손을 적시게 되므로 착용감이 좋지 않다. 또한, 자동차 정비업체 등과 같이 오일이 묻은 기계나 부품을 다루는 현장에서는 면장갑 내부로 오일이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에는 면장갑의 손바닥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수분이나 오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코팅 면장갑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코팅 면장갑은 수분이나 오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기밀성은 있으나, 작업시 손가락을 자유롭게 움직이기가 어렵고, 통기가 잘 되지 않아 손에 땀이 나는 경우 땀이 잘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팅 면장갑의 경우 면장갑 자체에 소수성이 있어 코팅물질을 코팅할 때 코팅물질을 밀어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코팅물질이 면장갑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장갑을 착용한 경우 물건에 대한 그립감을 저하시켜 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며, 심한경우에는 물건을 놓치거나 혹은 장갑에 구멍 등이 발생해 산재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선행기술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07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코팅부를 구비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효율이 향상되고 및 생산성이 증가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갑에 형성된 코팅부의 고착성 및 균일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향상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할 수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코팅부가 구비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 염수가 구비된 염수배스; 상기 염수배스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냉각팬이 구비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제1 아웃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를 구비시키는 코팅액배스; 상기 장갑에 코팅액을 고착시키는 코팅부고착부; 상기 레일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갑으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수세부; 수세된 장갑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복수개의 온도범위로 구획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장갑이 장착된 복수개의 몰드를 이동시키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레일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1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진행되되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 레일부와,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되 제2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3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속도는 2.0m/min 내지 3.0m/min이고, 상기 몰드는 상기 레일에 15cm 내지 25c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에는 염수의 염도를 센싱하는 염도센서와, 상기 염수를 보충하는 염수용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의 일 모서리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염수를 수납하는 염수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의 바닥면에는 염수를 배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되는 염수용튜브 및 상기 염수용튜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염수보조부의 측면에는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염수용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염수배수와 염수보조부 사이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염수용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염수보조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보조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수직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3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도센서는 센싱한 염수의 염도를 염수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염수제어부는 상기 염수제어부의 입력된 염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염수용튜브와 제1 개구부측의 염수용튜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몰드는 제1 챔버에서 배출되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40 내지 50도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장갑을 이동시키는 레일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냉각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챔버 내부에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하는 제1 챔버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인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인렛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에서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유출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챔버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레일부측으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에는 코팅액센서와 코팅액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센서는 코팅액의 점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코팅액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코팅액제어부는 상기 코팅액제어부의 입력된 코팅액의 점도 및 온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코팅액공급부의 온/오프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의 일 모서리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코팅액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장갑으로 코팅액을 고착시키도록 구비되는 코팅액고착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고착레일부는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잔류코팅액제거부와 하나 이상의 가변위상변화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공중에서 바닥면을 항하도록 장갑을 이동시켜 코팅부 중 잔류코팅액을 상기 장갑에서 탈락시키고, 잔류코팅액제거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갑에서 탈락된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잔류코팅액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에 대해서 상기 장갑의 손바닥면과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위상변화부는 장갑을 코팅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되도록 장갑의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장착되되 상기 레일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다리꼴의 프레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세부는 제1 레일의 내측에서 말단까지와 상기 제2 레일의 일단에서 내측까지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레일부의 외측에는 커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2 인렛과, 상기 제2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2 아웃렛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인렛에서 상기 제2 아웃렛까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1 온도범위인 제1 구간, 제2 온도범위인 제2 구간, 및 제3 온도범위인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간은 제2 인렛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간은 제2 아웃렛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2 챔버내에 구비되는 제2 챔버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의 상부에서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균일한 코팅부를 구비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효율이 향상되고 및 생산성이 증가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갑에 형성된 코팅부의 고착성 및 균일성이 향상되어 사용수명이 향상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할 수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 및 장갑이 구비되는 몰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배스와 염수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염수배스와 염수보조부 사이 염수의 이동 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염수배수 및 염수보조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의 내부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A에 따른 제1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액배스와 코팅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액고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챔버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부 (11)가 구비된 기능성 장갑 (10)을 제조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00)는 염수 (20)가 구비된 염수배스 (110); 상기 염수배스 (110)의 전단에 구비되고, 상기 장갑 (10)이 유입되는 제1 인렛 (121)과 상기 제1 인렛 (121)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 (10)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 (122)을 구비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냉각팬 (123)이 구비된 제1 챔버 (120); 상기 제1 챔버 (120)의 제1 아웃렛 (122)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를 구비시키는 코팅액배스 (130); 상기 장갑 (10)에 코팅액을 고착시키는 코팅부고착부 (140); 상기 레일 (180)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갑으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수세부 (150); 수세된 장갑 (10)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부 (160);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복수개의 온도범위로 구획되는 제2 챔버 (170); 및 상기 장갑 (10)이 장착된 복수개의 몰드 (190)를 이동시키는 레일 (180);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180)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레일부를 포함한다.
통상, 코팅부를 구비한 장갑 등과 같은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설비는 레일을 이용하여 연속하는 복수개의 단위공정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복수개의 단위공정이 연달아 구비되어야 하므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문제가 된다. 또한, 각각의 단위공정 사이에는 장갑에 수행된 공정이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시간은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단위공정 사이에는 공정이 없이 단순히 진행만하는 레일이 필요하고, 이에 의해서 증가되는 레일은 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공정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00)는 레일 (180)을 이용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이나, 소정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단위공정은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공정을 세개의 그룹으로써 관리하고, 각각의 그룹들은 서로 다른 층으로 구분하여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그룹은 첫번째층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그룹은 첫번째층의 상부에 구비되며, 마지막 그룹은 세번째층에 구비시킴으로써 각각의 개별적인 그룹 내부는 평면상의 연속성을 부여하고, 서로 다른 그룹 사이에는 상하부 공간상에 구비시켜 공정효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180)은 연속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1 방향 (x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1 레일부 (181)와, 상기 제1 방향 (x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x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진행되되 상기 제1 레일부 (181)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 (181)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 레일부 (182)와,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 방향 (x 방향)으로 진행하되 제2 레일부 (182)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레일부 (182)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 레일부 (1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부 (181, 182, 183)은 일정한 공간 내부에서 각각 하부층, 중간층, 및 상부층으로 층별로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으나,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연결레일부 (184)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레일부 (181)의 타단은 상기 제2 레일부 (182)의 일단과 연결레일부 (184)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부 (182)의 타단은 상기 제3 레일부 (183)의 일단과 연결레일부 (184)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180)은 염수배스 (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 (120)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코팅액배스 (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 레일부 (181)에서 제1 방향으로 진행한 후, 제2 레일부 (182)에서 제2 방향으로 진행하고, 이어서 제3 레일부 (18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챔버 (170)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되어 제3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레일 (180)에는 장갑 (10)이 구비된 몰드 (190)가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각각의 단위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레일 (180)의 속도는 2.0m/min 내지 3.0m/min이고, 상기 몰드 (190)는 상기 레일에 15cm 내지 25cm의 간격 (ℓ)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180)의 속도가 3.0m/min 초과이면, 상기 장갑 (10)이 각각의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데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짧아 공정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레일 (180)의 속도가 2.0m/min이면 각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2.0m/min 미만이면 불필요한 공정 시간을 소요하므로 공정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190)는 상기 레일 (18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각각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몰드 (190)에 구비되는 장갑 (10)이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공정의 재현성이 저하되어 품질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은 15cm 내지 25cm일 수 있다. 상기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이 15cm 미만으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장갑에 코팅하는 과정에서는 염수, 코팅액 등이 비산되어 이웃하는 장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25cm면 공정상 이웃하는 장갑에 서로 영향을 미칠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음에도 이를 초과하는 경우 단위시간당 공정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레일 (180)의 속도와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은 단위공정이 수행되는 시간에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레일 (180)의 속도는 2.5m/min이고, 몰드 (190) 사이의 간격 (ℓ)은 20cm이다.
하기,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단위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과 함께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 및 장갑이 구비되는 몰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190)는 장갑 (10)을 구비하여 레일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몰드 (190)는 장갑 (10)의 대략적인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장갑 (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장갑장착부 (191)와 상기 레일에 장착되도록 상기 레일과 체결하는 체결부 (19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 (192)는 장갑장착부 (191)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판상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판상형으로 구비되는 체결부 (192)의 양측에는 체결홀 (192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갑장착부 (191)의 말단면은 상기 체결부 (192)의 평평한 면의 중심부에서 전체적으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192)는 상기 장갑장착부 (191)와 접촉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체결홀 (192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홀 (192a)은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레일과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강잡장착부 (191) 및 체결부 (192)를 구비한 몰드 (190)는 구비된 장갑 (10)의 손바닥면의 위치가 대략 평평하도록 중심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장갑 (10)의 손바닥면에 코팅부 등과 같은 공정이 균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190)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몰드 (190)는 일정온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정온도에서 발생하는 일정한 열을 상기 장갑 (10)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고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몰드 (190)는 염수배스 중의 염수가 함침되는 과정에서 온도가 70도 내지 90도일 수 있다. 상기 몰드 (190)는 몰드 (190)에 구비된 장갑 (1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몰드 (190)의 온도가 70도 미만이면 장갑 (10)으로 염수가 함수되는 과정에서 염수 중의 염의 일부가 장갑 (10)에 국부적으로 모여있거나 혹은 미함침되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고, 이는 후속하는 코팅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코팅부의 물성의 불균질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몰드 (190)의 온도가 90도를 초과하는 경우, 염수 중의 용제를 증발시킬 수 있어 염수 농도의 제어가 어렵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수배스와 염수보조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염수배스와 염수보조부 사이 염수의 이동 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염수배수 및 염수보조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배스 (110)는 내부에 염수 (20)가 구비되도록 일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일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 (110)에는 염수 (2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염수 (20)는 알코올 용매에 염화칼슘 (CaCl)을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수 (20)는 10% 내지 15%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염수 (20)는 상기 장갑 (10)의 섬유사이에 흡수되어 후술하는 코팅액이 장갑 내부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장갑의 표면에 코팅부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수 (20)의 농도가 10% 미만이면, 코팅액이 장갑의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 초과이면 코팅부의 표면이 불균일할 수 있고, 코팅부의 일부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 (110)의 일 모서리 (110a)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 (113)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 (113)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 (113)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염수 (20)를 수납하는 염수보조부 (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염수 (20)는 소정의 염도를 가지므로 주변에 비산되는 경우 주변 장치의 부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염수배스 (110)는 대략 최초의 공정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장갑이 함침되는 과정에서 염수 (10) 중으로 불순물의 유입이 거의 없어 별도의 불순물 제거 공정을 생략하고 염수 (10)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염수배스 (110)는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 (113) 및 염수보조부 (115)에 의하여 장갑에서 낙차 (drop)되는 염수 (20)를 용이하게 포집하고 재사용할 수 있어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 (110)의 바닥면에는 염수 (20)를 배출시키는 제1 개구부 (116)와, 상기 제1 개구부 (116)와 연결되는 염수용튜브 (118) 및 상기 염수용튜브 (118)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 (118a)가 구비되고,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측면에는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2 개구부 (117a)가 구비되되 상기 염수용튜브 (118)와 연결되어 상기 염수배수 (110)와 염수보조부 (115) 사이를 연통시키되, 상기 염수용튜브 (118)의 적어도 일부 (m)는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보조부 (115)는 제1 경사플레이트 (113) 및 장갑에서 낙차되는 염수 (20)를 포집함과 동시에 상기 염수배스 (110) 중의 염수 (20)의 염도를 제어하거나 불순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보조부 (115)는 염수배스 (110)와 염수용튜브 (118)에 의하여 염수 (20)가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수용튜브 (118)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염수배스 (1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 개구부 (116)와 상기 염수배스 (110)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염수보조부 (115)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2 개구부 (117a)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수용튜브 (118)는 상기 제1 개구부 (116)에서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바닥면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 후 U자형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2 개구부 (117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염수용튜브 (118)에서 U자형으로 굴곡되는 부분은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부분 (m)일 수 있다.
상기 염수용튜브 (118)에서 U자형으로 굴곡되는 부분에는 상기 염수배스 (110) 및 염수보조부 (115) 사이를 이동하는 염수 (20)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고형의 불순물이 포집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상기 염수 (20)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고형의 불순물이 염수배스 (110) 및 염수보조부 (115)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형의 불순물은 염수용튜브 (118)을 분리함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개구부 (117a)와 수직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염수 (20)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3 개구부 (117b)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수배스 (110) 중의 염수 (20)는 상기 제1 개구부 (116) 및 염수용배스 (118)를 통하여 상기 염수보조부 (115)에 전달되고, 또한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113)과 장갑에서 낙찰되는 염수 (20)도 상기 염수보조부 (115)로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염수보조부 (115) 중의 염수 (20)의 양은 상기 제3 개구부 (117a)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부 (117a)에는 별도의 튜브 (119)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튜브 (119)에는 밸브 (119a)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 (1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 (110)는 내부에 구비된 염수 (20)의 염도를 센싱하는 염도센서 (111)와, 상기 염수 (20)를 보충하는 염수공급부 (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도센서 (111)는 센싱한 염수 (10)의 염도를 염수제어부 (30)로 전달하고, 상기 염수제어부 (30)는 상기 염수제어부 (30)의 입력된 염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염수공급부 (112)와 제1 개구부 (116)측의 염수용튜브 (118)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수제어부 (30)는 상기 염수공급부 (112)를 통하여 염수배스 (110) 증으로 염수를 보중하거나, 또는 염수용튜브 (118)의 밸브 (118a)를 개방하여 염수용튜브 (118)를 통하여 상기 염수보조부 (115)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염수배스 (110) 중의 염도 및 염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제3 개구부 (117b)에는 튜브 (11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염수보조부 (115) 중의 염수 (20)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염수제어부 (30)는 상기 튜브 (119) 중에 구비되는 밸브 (119a)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염수제어부 (30)에는 염수배스 (110) 및 염수보조부 (115) 중에 구비되는 염수 (20)의 염도 및 양이 미리 입력된 범위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된 범위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염수용튜브 (118) 및 튜브 (119)에 각각 구비되는 밸브 (118a, 119a)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염수배스 (110) 및 염수보조부 (115) 중의 염수 (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 (110)는 제1 지지부 (11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는데, 제1 지지부 (114)의 상부에는 염수배스 (11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 (114)에는 상기 염수배스 (110)의 하부에 상기 제1 지지부 (114)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리브 (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114)는 리브 (114a)에서 상기 제1 지지부 (114)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염수보조부 (115)가 구비되는 보조수납부 (114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114)에서 상기 염수배스 (110)가 안착되는 부분은 상기 염수배스 (110)의 하부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제1 홀 (114c)을 포함하는 판상형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 (114c)은 상기 염수배스 (110)의 제1 개구부 (116)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개구부 (116)와 상기 염수용튜브 (118)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부 (114b)는 상기 염수보조부 (115)와 대응하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염수보조부 (115)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수납부 (114b)의 측면 및 바닥면에는 각각 상기 염수보조부 (115)의 제2 및 제3 개구부 (117a, 117b)에 대응하도록 제2 및 제3 홀 (114d, 114e)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및 제3 개구부 (117a, 117b)와 염수용튜브 (118) 및 튜브 (119)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조수납부 (114b)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형태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114)는 상기 염수배스 (110) 및 상기 염수보조부 (115)를 일체로 고정하고 구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염수배스 (110) 및 염수보조부 (115)의 이동 및 관리 등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챔버의 내부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A-A에 따른 제1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챔버 (120)는 염수배스의 전단에 구비되어 염수가 함침된 강갑 중의 용매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장갑 및 몰드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120)는 상기 장갑을 이동시키는 레일이 유입되는 제1 인렛 (121)과 상기 제1 인렛 (121)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 (12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 (120)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냉각팬 (123)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염수배스를 통과한 몰드는 제1 챔버 (120)에서 배출되면서 상기 냉각팬 (123)에 의하여 40 내지 50도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120)는 상기 냉각팬 (123)에 의해서 염수가 함침된 장갑을 세미건조 (semi-dry) 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120)에서 배출되는 장갑은 코팅액에 함침되어 코팅부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1 챔버 (120)의 냉각팬 (123)에 의한 냉각 및 건조는 상기 코팅부가 장갑 중에 잘 고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코팅부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각팬 (123)은 상기 몰드의 온도를 40도 내지 50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몰드의 온도가 40도 미만인 경우, 장갑 중에 잔류하는 용매의 양이 많아서 코팅액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고 코팅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코팅부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시켜 불균일한 표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의 온도가 50도 초과인 경우, 상기 장갑에 구비되는 코팅부에서 부분적으로 코팅액이 많이 고착될 수 있어 상기 코팅부가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은 상기 제1 챔버 (120)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1 챔버레일부 (18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상기 제1 챔버 (120) 내부에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상기 제1 챔버 (120)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 (x 방향)으로 연장 (185a)된 후 상기 제1 방향 (x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 (-x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 (185b)되고, 상기 제1 인렛 (121)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아웃렛 (122)에 인접한 부분까지 제1 방향 (x 방향)으로 연장 (185c)되며, 상기 제1 아웃렛 (122)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챔버 (120)의 중심부측까지 제2 방향 (-x 방향)으로 연장 (185d)된 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방향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연장 (185f)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제1 챔버 (120)의 내부에서 굴곡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 (120)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장갑이 상기 제1 챔버 (120) 내에 잔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상기 제1 인렛 (121)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챔버 (120)의 중심부측까지 연장되는 부분 (185a)과 상기 제1 챔버 (120)의 중심부측에서 상기 제1 아웃렛 (1220)으로 유출되는 부분 (185f)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상기 제1 챔버 (120)의 상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팬 (123)은 상기 제1 챔버 (12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측으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각팬 (120)은 상기 제1 챔버 (120)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 챔버 (120)의 상부면의 공간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웃하는 냉각팬 (123) 사이의 공간은 냉각팬 (123)에서 생성되는 냉풍의 강도와 상기 제1 챔버 (120)의 공간 및 몰드의 온도와 서로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레일부 (185)는 상기 냉각팬 (123)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냉각팬 (123)에서 생성되는 냉풍과 효율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120)에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124)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 (124)는 측정된 온도를 상기 제1 챔버 (125)의 외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125)로 전달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125)에 의하여 상기 제1 챔버 (120)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액배스와 코팅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챔버에서 배출되는 장갑은 코팅액배스 (13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 (130)는 내부에 코팅액 (40)을 구비하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챔버의 제1 아웃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를 구비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액 (40)은 40도 내지 50도의 온도범위에서, 400cPs 내지 600cPs의 점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 (40)의 온도가 40도 미만이면 상기 코팅액 (40)이 장갑의 표면에 충분히 함침되지 못하고, 상기 온도가 50도 초과인 경우 코팅액 (40) 중의 용매가 증발되어 코팅액 (40) 물성이 변질될 수 있으며 또한 장갑에 구비된 코팅부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 (40)의 점도는 코팅액의 흐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장갑에 구비되는 코팅부의 균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상기 점도가 400cPs 미만이면 코팅액 사이의 점성이 너무 높아 코팅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점도가 600cPs 초과인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서 코팅부에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의 균일성은 상기 코팅부가 고착되는 과정에서 주변 습도 및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대략 코팅액의 점도를 600cPs로 유지하고, 온도 및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겨울에는 400cPs 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코팅액 (40)은 폴리우레탄, 디메틸폼아마이드 (Dimthyl Formamide, DMF), 계면활성제, 안료를 일정비료 혼합한 후, 혼합한 혼합물을 완전히 밀봉하여 1시간 이상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액배스 (130)의 일 모서리 (130a)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 (1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133)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133)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코팅액보조부 (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 (130)는 상기 코팅액보조부 (135)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코팅액배스 (130)는 제2 지지부 (13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 (134)의 일 모서리에는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133)가 구비되는 위치의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경사플레이트 (13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갑에 코팅액 (40)을 함침시키는 과정에서 장갑에서 떨어지는 코팅액 (40)은 점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133) 및 제3 경사플레이트 (134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패스 (path)에 의하여 상기 코팅액보조부 (135)에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보조부 (135)에 의하여 잔류코팅액을 포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코팅액 (40)에 의한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 (130)에는 코팅액센서 (131)와 코팅액공급부 (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센서 (131)는 코팅액 (40)의 점도를 측정하여 코팅액제어부 (50)로 전달하고, 상기 코팅액제어부 (50)는 상기 코팅액제어부 (50)의 입력된 코팅액 (40)의 점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코팅액공급부 (132)의 온/오프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팅액센서 (131)는 상기 코팅액 (40)의 점도,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코팅액배스 (130)의 측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131a)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131a)를 통하여 코팅액 (40)을 실시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센서 (131)를 통하여 전달된 코팅액 (40)의 점도 및 온도에 따라 상기 코팅액제어부 (50)는 상기 코팅액공급부 (132)에 구비된 밸브 (132a)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코팅액배스 (130) 중의 코팅액 (40)의 물성은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액고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는 코팅액고착부 (140)를 통하여 상기 장갑 (10)에 구비된 코팅부가 보다 견고하게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갑 (10)이 코팅액 (40) 중에 함침되어 상기 장갑 (10)의 적어도 일부, 예컨대 손바닥면에는 코팅부 (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고착부 (140)는 상기 코팅액고착부 (140)를 통과하는 레일 (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180)은 상기 장갑 (10)으로 코팅액 (40)을 고착시키도록 구비되는 코팅액고착레일부 (186, 187)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고착레일부 (186, 187)는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잔류코팅액제거부 (186)와 하나 이상의 가변위상변화부 (18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 (186)는 상기 장갑 (10)의 말단 (11)이 공중에서 바닥면을 항하도록 장갑 (10)을 이동시켜 코팅부 (12) 중 잔류코팅액 (40)을 상기 장갑 (10)에서 탈락시키고, 잔류코팅액제거부 (186)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갑 (10)에서 탈락된 잔류코팅액 (40)을 수납하는 잔류코팅액수납부 (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는 상기 장갑 (10)의 말단 (11)이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에 대해서 상기 장갑 (10)의 손바닥면과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는 상기 장갑 (10)의 손바닥면보다 넓은 면으로 이루어지는 판상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면에 수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의 하부측에는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와 상기 장갑 (10)에서 떨어지는 잔류코팅액 (40)을 포집하는 잔류코팅액보조부 (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드 (190)에 구비된 장갑 (10)은 코팅액 (40)이 함침된 상태로 아직 장갑 (10) 중에 코팅액 (40)이 고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 (186)에서는 상기 장갑 (10)을 공중에서 하부측으로 빠르게 내리치는 경우 상기 장갑 (10) 중에 코팅액 (40)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표면이 평평한 코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 (10)은 상기 장갑 (10)의 손바닥면이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에 나란하게 대면하도록 하부측으로 내리치고, 비산되는 코팅액 (40)은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 (141) 및 잔류코팅액보조부 (142)에 의하여 포집될 수 있어, 상기 코팅액 (40)의 비산에 의하여 주변 설비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 (186)에 의하여 유동성이 있는 코팅액 (40)을 장갑 (10)에서 제거한 후 이어서 장갑 (10)에 존재하는 코팅액 (40)을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 (12)가 보다 균일한 표면을 갖도록 하고 균질한 물성을 갖도록 상기 장갑 (10)은 가변위상변화부 (187)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변위상변화부 (187)는 장갑 (10)을 코팅부 (13)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되도록 장갑 (10)의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변위상변화부 (187)은 상기 레일 (180)에 장착되되 상기 레일 (180)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다리꼴의 프레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드 (190)에 구비된 장갑 (10)은 상기 레일 (180)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진행되되 상기 레일 (180)에 장착된 가변위상변화부 (187)에 의하여 상기 장갑 (10)의 위상이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갑 (10)은 상기 가변위상변화부 (187)에 의하여 상기 장갑 (10)의 위상이 점점 상부측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상기 장갑 (10)의 말단 (11)이 바닥면에서 공중 (중심부), 및 상부면을 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 (12)가 대면하는 위치도 후면에서 바닥면, 이어서 전면으로 대략 180도 내외로 반시계반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코팅부 (12)는 전면에 이어서 바닥면 및 후면으로 이어지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갑 (10)과 함께 상기 장갑 (10)에 구비된 코팅부 (12)의 위상변화는 상기 코팅부 (12)가 상기 장갑 (10)에 고착되는 과정에서 에이징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상기 장갑 (10) 중에 견고하게 고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부 (150)는 레일 (180)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151)와, 상기 파이프 (151)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하는 수세보조부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 (190)에 구비된 장갑 (10)은 레일 (180)에 장착되어 상기 장갑 (10)의 말단 (11)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세부 (15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는 코팅부 (12)가 구비된 장갑 (10) 중 잔존하는 염수 등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는 상기 레일 (180)의 진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레일 (180) 중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세부 (150)는 제1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되는 제1 레일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의 내측에서 타단까지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되는 제2 레일부에서,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에서 내측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세부 (150)는 제1 레일부의 내측에서 타단까지와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에서 내측까지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부의 적어도 일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파이프 (15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레일부의 외측에는 커버부 (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는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대면하는 제2 레일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레일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버부 (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에서 상기 장갑 (10)은 물에 수세되면서 상기 장갑 (10)에는 물이 스며들어 있고, 상기 연결레일부를 통하여 상기 장갑 (10)은 상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장갑 (10)의 말단 (11)의 위치가 반시계반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장갑 (10)에 존재하는 물이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 (153)는 상기 연결레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 (10)에서 비산되는 물을 가두게 되어 상기 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설비 등의 녹 발생, 마모,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151)에는 물이 분사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홀 (151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홀 (151a)은 복수개가 나란하도록 구비되되 동일한 간격 (b)으로 이격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분사홀 (151a)은 바닥면과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말단 (11)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레일 (180)을 통하여 진행하는 장갑 (10)을 수세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홀 (151a)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 (12)와 나란하고, 상기 물은 상기 코팅부 (12)의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는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 (12)를 따라 수세되되 분사되는 분사홀 (151a)을 구비한 파이프 (151)에 의하여 물에 의한 별도의 외력을 받지 않고 온화하게 수세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는 상기 장갑 (10)의 코팅부 (12)의 표면에 상기 코팅부 (12)를 따라 흐르는 물을 제공하므로 염수를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코팅부 (12)의 표면을 냉각시켜 상기 코팅부 (12)가 보다 견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세부 (150)를 거친 장갑 (10)은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부 (160, 도 1 참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상온건조부는 상기 수세부 (150)의 제2 레일부에서 파이프가 단절된 부분에서 시작될 수 있고, 상기 제2 레일부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온건조부는 상기 장갑을 레일을 통하여 진행하면서 상온에서 상기 장갑이 자연건조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온건조부가 수행되는 제2 레일부의 하부에는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물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온건조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갑에 구비된 코팅부는 에이징되어 안정화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챔버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챔버 (170)는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2 인렛 (171)과, 상기 제2 인렛 (171)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2 아웃렛 (172)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인렛 (171)에서 상기 제2 아웃렛 (172)까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챔버 (170)는 제1 온도범위인 제1 구간 (173), 제2 온도범위인 제2 구간 (174), 및 제3 온도범위인 제3 구간 (17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간 (173)은 제2 인렛 (171)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간 (175)은 제2 아웃렛 (17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는 수세된 장갑을 건조하기 위해서 1차적으로 상온에서 자연건조를 유도한 후, 이어서 제2 챔버 (170)를 이용하여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다. 코팅부가 구비된 장갑을 고온으로 바로 건조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는 수세된 장갑을 순차적으로 상온건조부 및 제2 챔버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코팅부를 구비시킨 후 수세된 장갑은 상기 상온건조부를 통하여 상온에서 자연건조되고 동시에 상기 코팅부를 구성하는 레진 등의 물질의 구조가 안정화되도록 에이징될 수 있다. 또한. 이어서 수행되는 제2 챔버 (170)에 의한 열풍건조로 상기 코팅부는 보다 견고하게 장갑에 고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 (170) 내로 레일이 통과할 수 있는데, 상기 레일은 상기 제2 챔버 (170)내에 구비되는 제2 챔버레일부 (1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드에 구비된 장갑은 상기 레일, 예컨대 제2 챔버레일부 (188)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챔버 (170) 내부를 통과하면서 열풍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레일부 (188)는 상기 제2 챔버 (170)의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의 상부에서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 (170) 내는 온도가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는 온도가 단계적으로 상승되도록 각각 제1 내지 제3 온도범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챔버 (170)에는 상기 각각의 구간별로 다른 온도의 열풍을 전달하는 열풍기와, 각각의 구간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176)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176)는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의 대략 중심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 (176)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는 상기 제2 챔버 (170)의 외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177)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77)는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177)에 의하여 실시간 제2 챔버 (170)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상온건조부를 통하여 상온에서 자연건조된 후 제2 챔버 (170)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제2 챔버 (170) 내의 열풍은 상기 장갑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점차 단계별로 온도가 상승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갑에 가해지는 온도변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되므로, 상기 장갑의 코팅부측으로 열에 의한 쇼크 등을 방지하여 코팅부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온도범위는 75 내지 85도이고, 상기 제2 온도범위는 95도 내지 105도 이며, 상기 제3 온도범위는 115도 내지 12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에 의해서 장갑의 코팅부는 어닐링되어 보다 견고하게 장갑에 고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온도범위가 75도 미만인 경우, 상온건조부를 통과한 장갑에 가해지는 온도가 너무 낮아서 코팅부의 물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기 제1 온도범위의 온도가 85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온건조부와의 온도차가 심해서 상기 코팅부의 구조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해 장갑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코팅부가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온도범위는 115도 내지 125도일 수 있는데, 상기 제3 온도범위는 상기 장갑에 가해지는 마지막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 온도범위가 115도 미만인 경우 상기 장갑의 코팅부 내부까지 충분히 어닐링되지 못하여 코팅부의 깊이방향의 물성차이를 유도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3 온도범위가 125도를 초과하는 경우, 125도면 어닐링에 충분함에도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고 보다 높은 경우 코팅부가 녹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갑은 상기 제1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의 단계별 상승하는 온도구간 내에 소정시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챔버 (170)를 통과하는 제2 챔버레일부 (188)는 상기 제2 챔버 (170) 내를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챔버레일부 (188)는 상기 제2 챔버 (170)의 제1 내지 제3 구간 (173, 174, 175)의 각각의 구간 내에서 V자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레일부 (188)의 형태를 지그재그형태로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2 챔버 (170)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한된 열풍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온도범위는 80도이고, 상기 제2 온도범위는 100도이며, 상기 제3 온도범위는 120도이며, 각각의 온도범위에서 각각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다른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코팅부가 구비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몰드에 장갑을 장착시키는 준비단계 (S100); 상기 장갑을 염수가 구비된 염수배스 중에 함침시키는 염수함침단계 (S200); 상기 염수가 함침된 장갑을 복수개의 냉각팬이 구비된 제1 챔버를 통과시키는 팬건조단계 (S300); 상기 장갑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액배스 중에 구비된 코팅액으로 도포시켜 상기 장갑의 손바닥면에 코팅부를 구비시키는 코팅단계 (S400); 상기 코팅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되도록 장갑의 위상을 변화시키면서 코팅부를 장갑에 고착시키는 코팅액고착단계 (S500); 파이프를 통해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장갑을 수세시키는 수세단계 (S600); 수세된 장갑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단계 (S700); 및 상온으로 건조된 장갑을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복수개의 온도범위로 구획되는 제2 챔버를 통과시키는 열풍건조단계 (S800);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레일 상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레일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레일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단위공정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동일한 첫번째층 (평면)에서 수행하고, 다른 단위공정들은 다른 그룹으로 하여 첫번째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 보다 높은 두번째층에서 수행하며, 그 밖의 단위공정들은 또 다른 그룹으로 하여 상기 두번째층에 대응되되 그보다 높은 위치의 세번째층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은 일 직선 상의 동일한 층의 공간뿐 아니라 그 위에 상부층으로 하여 단계별로 이용할 수 있어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은 첫번째층, 두번째층 및 세번째층으로 구분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제1 내지 제3 레일부로 이루어지는 레일에 의하여 구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일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1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진행되되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 레일부와,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되 제2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3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은 상기 레일에 의하여 공간효율이 증대될 수 있고, 동시에 관련된 일련의 단위공정들이 제어된 시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공정효율 및 기능성 장갑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몰드에 장갑을 장착시키는 준비단계 (S100)에서 상기 레일의 속도는 2.0m/min 내지 3.0m/min이고, 상기 몰드는 상기 레일에 15cm 내지 25c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속도는 각각의 장갑이 각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상기 레일의 속도가 3.0m/min 초과이면, 장갑이 각각의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데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이 너무 짧아, 예컨대 염수 또는 코팅액이 충분히 함침되지 않는 등의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레일의 속도가 2.0m/min이면 각 단위공정을 수행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정효율을 고려할 때 레일의 속도가 2.0m/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는 레일에 15cm 내지 25cm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15cm 미만으로 이격되는 경우에는 장갑에 코팅하는 과정에서는 염수, 코팅액 등이 비산되어 이웃하는 장갑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25cm면 공정상 각각의 장갑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를 초과하는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어 문제가 된다. 또한, 상기 이웃하는 몰드 사이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는데, 각 몰드 사이의 간격이 다를 경우 각 장갑이 수행되는 단위공정의 시간이 일정하지 않아 품질의 재현성이 저하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레일의 속도는 2.5m/min이고, 상기 몰드 사이의 간격은 20cm일 수 있다.
상기 몰드의 온도는 70도 내지 90도일 수 있다. 70도 내지 90도이 고온의 몰드는 상기 몰드에 장착된 장갑 중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가열된 장갑은 상기 몰드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몰드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범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후속하는 염수함침단계 (S200)에서 상기 장갑으로 염수가 균일하게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염수함침단계 (S200)는 상기 장갑의 적어도 일부는 염수 중에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염수는 장갑의 섬유사이에 흡수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 형성이 균일하게 구비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코팅부를 형성하는 코팅액은 통상 소정의 점도를 갖는 물질로, 상기 코팅액은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장갑 중에 균일하게 흡수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반면, 상기 염수가 침투된 장갑은 상기 염수에 의하여 코팅액이 장갑으로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장갑의 치밀한 섬유조직 사이에 균일하게 구비될 수 있게 하여 코팅부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염수는 알코올 용매에 염화칼슘 (CaCl)을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염수는 10% 내지 15%의 염도일 수 있는데, 10% 미만이면 염도가 너무 낮아 장갑의 섬유조직 중 코팅액의 흡수가 불균일 할 수 있고, 15% 초과이면 코팅부의 표면이 불균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함침단계 (S200)에서 장갑은 염수배스 중에 구비된 염수 중에 적어도 일부가 잠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은 장갑의 손바닥면이 상기 염수배수 중에 구비된 염수의 일면과 나란하도록 상기 염수 중에 함침될 수 있다. 상기 염수는 장갑에서 코팅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코팅부보다 공차를 가지고 좀 더 넓은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수배스는 일 모서리에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염수를 수납하는 염수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함침단계 (S200)에서 상기 장갑은 염수배스 중에 구비되는 염수 중에 함침될 수 있는데, 염수배출에서 배출되는 장갑에서는 염수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염수는 주변 설비의 녹 발생을 유발하여 설비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르는 염수함침단계 (S200)는 제1 경사플레이트와 염수보조부가 구비되는 염수배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염수는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스 (path)를 통하여 염수보조부로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에는 염수의 염도를 센싱하는 염도센서와, 상기 염수를 보충하는 염수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수배스의 바닥면에는 염수를 배출시키는 제1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염수보조부의 측면에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되며 제1 및 제2 개구부는 밸브가 구비된 염수용튜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보조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수직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3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염도센서는 센싱한 염수의 염도를 염도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염도제어부는 상기 염도제어부의 입력된 염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염수공급부 또는 염수용튜브와 제1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염수의 양 및 염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염수는 염수보조부로 전달된 후 상기 제3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준비단계 (S100) 및 염수함침단계 (S200)의 사이에는 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장갑을 염수 중에 함침시키기 전에 상기 장갑의 섬유조직내에 상기 염수가 잘 침투하도록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100도의 온도인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장갑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스팀을 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염수함침단계 (S200) 전에 수행되어 상기 장갑의 조직이 염수를 보다 적극적으로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스팀은 1차로 상기 장갑의 전체적으로 분사되고, 2차로는 상기 장갑의 손바닥면, 예컨데 염수가 함침되는 부분에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회로 구분하여 스팀을 분사시킴으로써 염수의 침투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후속하는 팬건조단계에서 장갑의 건조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2차로 스팀을 분사한 후, 상기 장갑을 상온에서 30분동안 유지하는 상온에이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온에이징은 대략 100도의 온도인 스팀에 의하여 상승된 장갑의 온도가 상기 염수의 온도와 동일하도록 냉각시킬 수 있으며, 분사된 스팀이 상기 장갑의 섬유조직 중에 충분히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염수함침단계 (S200)에서 염수가 함침된 장갑은 팬건조단계 (S30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팬건조단계 (S300)는 팬이 구비된 제1 챔버를 이용하여 상기 장갑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팬건조단계 (S300)에서 상기 장갑이 구비된 몰드의 온도는 40 내지 50도의 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팬건조단계 (S300)에서는 염수함침단계에서 수행되어 장갑에 구비된 염수를 세미건조 (semi-dry) 시킬 수 있다. 상기 염수가 함침된 장갑은 이어서 코팅액에 함침되어 코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온의 몰드인 상태로 상기 코팅액에 함침되는 경우, 상기 코팅액의 물성, 예컨대 점도 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장갑에 구비된 코팅부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장갑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표면 균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 중의 용매에 의하여 상기 코팅액이 상기 장갑의 섬유조직 중에 함침되는 경우 코팅액의 농도를 부분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갑에 코팅부를 구비시키기 전에 상기 장갑 중의 용매를 제거하고 상기 몰드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 예컨대 40 내지 50도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건조단계 (S300)는 제1 챔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장갑을 이동시키는 레일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냉각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 중에 구비되는 레일은 제1 챔버레일부일 수 있는데,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인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인렛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에서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유출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챔버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레일부측으로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챔버 내에 구비되는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챔버 내에 구비되는 냉각팬의 냉풍이 상기 장갑 중으로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챔버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서로 정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에 의한 냉풍은 상기 제1 챔버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장갑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팬건조단계 (S300)를 통하여 냉각 및 건조된 장갑은 코팅단계 (S400)를 통하여 코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부는 상기 장갑의 적어도 일부를 코팅액배스 중에 구비된 코팅액으로 함침시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은 40도 내지 50도의 온도범위에서, 400cPs 내지 600cPs 의 점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팬건조단계 (S300)에서 냉각된 몰드의 온도와 상기 코팅액의 온도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장갑에 구비되는 코팅부의 물성이 변화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의 점도는 코팅부의 표면에 균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의 균일성은 상기 코팅부가 고착되는 과정에서 주변 습도 및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여름에는 대략 코팅액의 점도를 600cPs로 유지하고, 온도 및 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겨울에는 400cPs 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단계 (S400)는 코팅액배스의 일 모서리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코팅액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손바닥면이 상기 코팅액의 일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코팅액과 접촉하여 코팅부를 형성하고, 상기 코팅부가 형성된 장갑은 상기 코팅액배스의 외측에서 장갑의 말단이 바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팅배스에서 배출되는 장갑에서는 잔류코팅액이 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잔류코팅액은 제2 경사플레이트와 상기 제3 경사플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코팅액보조부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배스에는 코팅액공급부와 코팅액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액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코팅액의 물성을 상기 코팅액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제어부는 전달받은 코팅액의 물성과 미리 입력된 코팅액의 물성의 범위구간을 비교하여, 상기 코팅액공급부로의 온/오프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액배스에는 상기 코팅액센서로 전달받은 코팅액의 물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코팅액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코팅액의 물성을 실시간 점검할 수 있다.
코팅부가 구비된 장갑은 코팅액고착단계 (S400)을 통하여 상기 장갑 중의 코팅부가 장갑의 섬유조직 사이에 균일하게 고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고착단계 (S400)는 상기 코팅액이 구비된 장갑의 말단이 바닥을 향하도록 내리치는 잔류코팅액제거와,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부에서 천정부를 향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장갑을 아래측에서 위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장갑의 말단이 천정부에서 바닥부를 향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장갑을 위측에서 아래측으로 이동시키는 장갑의 가변위상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잔류코팅액제거 및 가변위상변화는 적어도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는 1회 수행되고, 가변위상변화는 2회 수행되어, 상기 장갑에 구비된 코팅액이 잘 고착되도록 하여 균일한 코팅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코팅액고착단계가 수행되는 코팅액고착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고착레일부는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잔류코팅액제거부와 하나 이상의 가변위상변화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공중에서 바닥면을 항하도록 장갑을 이동시켜 코팅부 중 잔류코팅액을 상기 장갑에서 탈락시키고, 잔류코팅액제거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갑에서 탈락된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잔류코팅액수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에 대해서 상기 장갑의 손바닥면과 상기 장갑의 말단과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코팅액고착레일부를 잔류코팅액제거부를 통하여 잔류코팅액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는 상기 장갑이 구비된 몰드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부측으로 강하게 내려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장갑의 코팅부의 잔류코팅액이 장갑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는 대략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갑에서 배출되어 비산되는 잔류코팅액을 포집할 수 있고, 하부측으로 낙하는 잔류코팅액인 잔류코팅액보조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를 통하여 대략 잉여의 코팅액이 제거된 코팅부는 2회의 가변위상변화부를 통하여 위상이 가변적으로 변화되면서 보다 평평하고 균일한 표면으로 고착될 수 있다. 상기 가변위상변화부는 장갑을 코팅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되도록 장갑의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일의 중심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다리꼴의 프레임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갑은 높은 위치에너지를 갖도록 상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팅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장갑이 낮은 위치에너지를 갖도록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팅부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액고착단계 (S400)을 통하여 상기 장갑의 코팅부는 균일한 표면을 구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코팅부가 장갑에 견고하게 고착되도록 할 수 있다.
수세단계 (S500)에서 상기 장갑은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레일과 나란하도록 상기 장갑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에 나란하도록 물이 분사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복수개의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서 분사되는 물은 상기 장갑의 코팅부의 외면을 따라 배출되면서 상기 장갑을 수세할 수 있다. 상기 수세단계 (S500)에서는 코팅부를 형성한 후 장갑에 잔존하는 염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을 향하는 분사되는 물이 상기 장갑의 코팅부와 수직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코팅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세단계 (S500)는 제1 레일부의 내측에서 타단까지와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에서 내측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에는 물은 분사하는 파이프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1 레일부와 상기 제2 레일부는 수직하게 연결하는 연결레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세단계 (S500)에서 제1 레일부에서 물에 의해서 수세된 장갑은 연결레일부를 통하여 소정의 버퍼시간을 가진 후에 이어서 다시 제2 레일부를 통하여 물에 의하여 수세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일부의 외측에는 커버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상부측으로 진행되는 장갑에서 비산되는 물을 가로막아 주변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수세단계 (S500)가 수행된 장갑은 순차적으로 상온건조단계 (S600) 및 열풍건조단계 (S700)에 의하여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건조단계 (S700)는 단계별로 온도가 상승하여 구비되는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갑은 상온건조단계 (S600)를 통하여 상온에서 자연건조 및 에이징될 수 있고, 이어서 단계별로 온도가 증가하는 열풍건조단계 (S700)를 통하여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장갑측으로 갑작스럽게 열이 가해지는 것이 아닌, 단계별로 온도를 증가시키므로 상기 장갑의 코팅부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상온건조단계 (S600)는 상기 제2 레일부에서 수세단계 (S500)가 끝나는 상기 제2 레일부의 내측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2 레일부의 타단까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레일부의 타단은 연결레일부를 통하여 상기 제2 레일부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제3 레일부의 일단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레일부는 열풍건조단계 (S700)가 수행되는 제2 챔버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풍건조단계 (S700)는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제1 내지 제3 온도범위를 포함하는 제2 챔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2 인렛과, 상기 제2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2 아웃렛을 포함하는 제2 챔버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1 온도범위인 제1 구간, 제2 온도범위인 제2 구간, 및 제3 온도범위인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간은 제2 인렛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간은 제2 아웃렛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범위는 75 내지 85도이고, 상기 제2 온도범위는 95도 내지 105도 이며, 상기 제3 온도범위는 115도 내지 125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온도범위는 80도이고, 상기 제2 온도범위는 100도이며, 상기 제3 온도범위는 120도이며, 각각의 온도범위에서 각각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2 인렛에서 상기 제2 아웃렛까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챔버내에 구비되는 레일부는 제2 챔버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의 상부에서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장갑 100 :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10 : 염수배스 120 : 제1 챔버
130 : 코팅액배스 140 : 코팅액고착부
150 : 수세부 160 : 상온건조부
170 : 제2 챔버 180 : 레일
190 : 몰드

Claims (20)

  1. 코팅부가 구비된 기능성 장갑을 제조하는 장치로,
    염수가 구비된 염수배스;
    상기 염수배스에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며, 내부에 복수개의 냉각팬이 구비된 제1 챔버;
    상기 제1 챔버의 제1 아웃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코팅부를 구비시키는 코팅액배스;
    상기 장갑에 코팅액을 고착시키는 코팅부고착부;
    레일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갑으로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수세부;
    수세된 장갑을 상온에서 건조시키는 상온건조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는 복수개의 온도범위로 구획되는 제2 챔버; 및
    상기 장갑이 장착된 복수개의 몰드를 이동시키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수배스의 일 모서리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1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염수를 수납하는 염수보조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일단에서 타단까지 제1 방향으로 진행되는 제1 레일부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진행되되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2 레일부와,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 방향으로 진행하되 제2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레일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제3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레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3 레일부의 일단과 연결레일부에 의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속도는 2.0m/min 내지 3.0m/min이고, 상기 몰드는 상기 레일에 15cm 내지 25cm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장착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배스의 바닥면에는 염수를 배출시키는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결되는 염수용튜브 및 상기 염수용튜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염수보조부의 측면에는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되되 상기 염수용튜브와 연결되어 상기 염수배스와 염수보조부 사이를 연통시키며,
    상기 염수용튜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염수보조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보조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 개구부와 수직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염수의 통로로 작용하는 제3 개구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배스에는 염수의 염도를 센싱하는 염도센서와, 상기 염수배스 중의 염수를 보충하는 염수공급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센서는 센싱한 염수의 염도를 염수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염수제어부는 상기 염수제어부의 입력된 염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염수용튜브와 제1 개구부측의 염수용튜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는 제1 챔버에서 배출되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40도내지 50도의 온도로 냉각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는 상기 장갑을 이동시키는 레일이 유입되는 제1 인렛과 상기 제1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레일이 유출되는 제1 아웃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챔버의 내부에 냉풍을 공급하는 복수개의 냉각팬을 구비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챔버 내부에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를 통과하는 제1 챔버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인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까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아웃렛에 인접한 부분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후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연장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인렛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까지 연장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챔버의 중심부측에서 상기 제1 아웃렛으로 유출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챔버의 상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 챔버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챔버레일부측으로 냉풍을 공급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배스에는 코팅액센서와 코팅액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코팅액센서는 코팅액의 점도 및 온도를 측정하여 코팅액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코팅액제어부는 상기 코팅액제어부의 입력된 코팅액의 점도 및 온도의 범위구간에 따라 상기 코팅액공급부의 온/오프 (on/off)를 제어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배스의 일 모서리에는 하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제2 경사플레이트 및 상기 장갑에서 떨어지는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코팅액보조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장갑으로 코팅액을 고착시키도록 구비되는 코팅액고착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고착레일부는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잔류코팅액제거부와 하나 이상의 가변위상변화부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코팅액제거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공중에서 바닥면을 항하도록 장갑을 이동시켜 코팅부 중 잔류코팅액을 상기 장갑에서 탈락시키고, 잔류코팅액제거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갑에서 탈락된 잔류코팅액을 수납하는 잔류코팅액수납부가 구비되며,
    상기 잔류코팅액수납부는 상기 장갑의 말단이 바닥면을 향하는 위치에 대해서 상기 장갑의 손바닥면과 대면하도록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위상변화부는 장갑을 코팅부가 향하는 방향이 변화되도록 장갑의 위상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장착되되 상기 레일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사다리꼴의 프레임형태로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부는 제1 레일의 내측에서 말단까지와 상기 제2 레일의 일단에서 내측까지 상기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의 타단과 상기 제2 레일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레일부의 외측에는 커버부가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장갑이 유입되는 제2 인렛과, 상기 제2 인렛에 대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장갑이 유출되는 제2 아웃렛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인렛에서 상기 제2 아웃렛까지 온도가 단계별로 상승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챔버는 제1 온도범위인 제1 구간, 제2 온도범위인 제2 구간, 및 제3 온도범위인 제3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구간은 제2 인렛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간은 제2 아웃렛에 연결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2 챔버내에 구비되는 제2 챔버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챔버레일부는 상기 제1 구간 내지 제3 구간의 상부에서 지그재그형태로 구비되는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KR1020160146669A 2016-11-04 2016-11-04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KR10177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69A KR101770226B1 (ko) 2016-11-04 2016-11-04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69A KR101770226B1 (ko) 2016-11-04 2016-11-04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226B1 true KR101770226B1 (ko) 2017-09-05

Family

ID=59924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69A KR101770226B1 (ko) 2016-11-04 2016-11-04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2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06B1 (ko) * 2017-12-04 2018-12-18 최승호 장갑 제조장치
KR200488099Y1 (ko) 2017-11-20 2019-02-26 김영근 NBR폼 코팅 장갑에서 응고되지 않은 NBR폼(Foam) 코팅액과 잔류 응고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68B1 (ko) 2001-11-10 2004-08-30 (주)한성크린소재 습식 물속가공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92291B1 (ko) * 2008-08-07 2009-04-08 김지왕 장갑코팅장치
KR100990501B1 (ko) 2009-12-31 2010-10-29 권태규 장갑용 합성수지 코팅 설비의 유기용제 추출 전처리 장치
KR101010728B1 (ko) 2010-11-24 2011-01-24 유미향 코팅장갑 제조장치
KR101211488B1 (ko) 2010-09-27 2012-12-12 코티드 글로브스 피브이티 엘티디 수성 폴리우레탄이 도포된 코팅 장갑의 제조방법
KR101349820B1 (ko) 2012-05-24 2014-01-09 현대글러브 주식회사 손바닥 부분과 손가락 부분을 코팅면으로 포함하는 코팅 장갑 제조방법
WO2015077820A1 (en) 2013-11-26 2015-06-04 Ansell Limited Nitrile/polyurethane polymer blends
KR101527462B1 (ko) 2014-12-30 2015-06-11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1542332B1 (ko) 2014-12-17 2015-08-05 윤용덕 장갑 코팅 장치 및 장갑 코팅 방법
US20150272245A1 (en) 2014-03-25 2015-10-01 Ansell Limited Polymeric glove having varied thickness
WO2016077809A1 (en) 2014-11-13 2016-05-19 Allegiance Corporation Integrated elastomeric article manufacturing system and proces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168B1 (ko) 2001-11-10 2004-08-30 (주)한성크린소재 습식 물속가공 장갑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92291B1 (ko) * 2008-08-07 2009-04-08 김지왕 장갑코팅장치
KR100990501B1 (ko) 2009-12-31 2010-10-29 권태규 장갑용 합성수지 코팅 설비의 유기용제 추출 전처리 장치
KR101211488B1 (ko) 2010-09-27 2012-12-12 코티드 글로브스 피브이티 엘티디 수성 폴리우레탄이 도포된 코팅 장갑의 제조방법
KR101010728B1 (ko) 2010-11-24 2011-01-24 유미향 코팅장갑 제조장치
KR101349820B1 (ko) 2012-05-24 2014-01-09 현대글러브 주식회사 손바닥 부분과 손가락 부분을 코팅면으로 포함하는 코팅 장갑 제조방법
WO2015077820A1 (en) 2013-11-26 2015-06-04 Ansell Limited Nitrile/polyurethane polymer blends
US20150272245A1 (en) 2014-03-25 2015-10-01 Ansell Limited Polymeric glove having varied thickness
WO2016077809A1 (en) 2014-11-13 2016-05-19 Allegiance Corporation Integrated elastomeric article manufacturing system and process
KR101542332B1 (ko) 2014-12-17 2015-08-05 윤용덕 장갑 코팅 장치 및 장갑 코팅 방법
KR101527462B1 (ko) 2014-12-30 2015-06-11 (주)신성메이저글러브 작업용 장갑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99Y1 (ko) 2017-11-20 2019-02-26 김영근 NBR폼 코팅 장갑에서 응고되지 않은 NBR폼(Foam) 코팅액과 잔류 응고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수조
KR101930306B1 (ko) * 2017-12-04 2018-12-18 최승호 장갑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226B1 (ko) 기능성 장갑의 제조장치
CN204023223U (zh) 衣物处理设备
KR101770222B1 (ko) 기능성 장갑의 제조방법
CN110470591A (zh) 一种多功能复合环境试验装置
US8021137B2 (en) Wire cooling water trough
ES2638688T3 (es) Sistema de recubrimiento con polvo para elementos de longitud considerable a recubrir
DE102008035789A1 (de) Dampferzeuger
JP4792374B2 (ja) 洗浄装置
CN102937565A (zh) 一种模拟海洋飞溅区的腐蚀试验装置及试验方法
CN103097602A (zh) 具有集成的热交换器清洁装置的冷凝式干燥机及其运行方法
CN108291357A (zh) 具有绒毛筛件和绒毛收集器的洗涤物干燥器具的运行
KR102148599B1 (ko) 필터 지지체 코팅 장치
KR101420692B1 (ko) 섬유 원료용 전처리 장치
CN109470843B (zh) 一种用于加速水泥基材料泛碱试验的全自动装置
CN102365401A (zh) 包括芳香物供给模块的衣物处理设备的操作方法
EP2257667B1 (en) Washer dryer
US8807149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quenching medium
CN109435032A (zh) 一种箱梁自动控温喷淋养护装置
CN105463813A (zh) 防止温度冲击的洗涤干燥机运行方法以及适用于此的洗涤干燥机
CN107747170A (zh) 一种无纺制品的上液装置
JP5198829B2 (ja) 浴室
US11692280B2 (en) Electrodeposition coating method and electrodeposition coating apparatus
KR20100105339A (ko) 세탁방법
CN106637755B (zh) 一种喷淋式散纤维处理装置
CN110374660A (zh) 一种地下矿山回风降温除雾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