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27B1 -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027B1
KR101770027B1 KR1020150116127A KR20150116127A KR101770027B1 KR 101770027 B1 KR101770027 B1 KR 101770027B1 KR 1020150116127 A KR1020150116127 A KR 1020150116127A KR 20150116127 A KR20150116127 A KR 20150116127A KR 101770027 B1 KR101770027 B1 KR 10177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astic
grip
unit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570A (ko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0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8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winding
    • H01B13/0858Details of winding apparatus; Auxiliary devices
    • H01B13/0866Brakes or tension regu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excessive tension or irregular operation of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각각의 빈에 공급하는 트리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부와, 트리퍼부에 장착되고 트리퍼부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부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부와, 케이블부에 결합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케이블부에 과도하게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SENSING DEVICE FOR TRIPPER}
본 발명은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리퍼의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감지하여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후, 트리퍼(tripper)에 의해 셀이나 빈과 같은 저장고에 적치된다. 즉, 트리퍼는 레일을 따라 반복적으로 정해진 구간을 주행하면서, 연료나 원료와 같은 광물을 다수의 저장고에 배분한다. 이때, 트리퍼용 벨트 컨베이어는 트리퍼카에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어 연료나 원료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76237호(2010.07.06 공개, 발명의 명칭 : 트리퍼 이송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감지하여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각각의 빈에 공급하는 트리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부; 상기 트리퍼부에 장착되고, 상기 트리퍼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부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부;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파지고정부; 상기 파지고정부를 관통하는 파지와이어부;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를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하는 파지결합부;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에 탄성 지지되는 파지탄성부; 및 상기 파지탄성부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부에 감지되는 파지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고정부는: 상기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와이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결합부는: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와 상기 케이블부를 가결합하는 가결합부; 및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를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결합부는: 상기 파지와이어부가 외측에 부착된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한 쌍의 본결합클램프부; 및 한 쌍의 상기 본결합클램프부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파지와이어부를 고정시키는 본결합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탄성부는: 상기 파지측정부가 장착되는 탄성장착부; 상기 탄성장착부에 형성되는 탄성가이드부; 상기 탄성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탄성걸림부; 상기 파지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가이드부를 관통하는 탄성삽입부; 및 상기 파지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장착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부의 위험을 알려주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트리퍼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부에 과도하게 장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파지부가 케이블부를 파지하고, 케이블부의 장력 발생시 케이블부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파지와이어부가 케이블부에 가결합된 후 본결합부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파지탄성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블부를 지지함으로써, 케이블부에 가해지는 장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케이블부에 대한 장력 발생시 트리퍼부의 구동이 중지되어, 케이블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는 케이블부에 대한 장력 발생시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작업자가 케이블부의 장력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가 설치되는 트리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파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파지부가 케이블부를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케이블부의 장력에 의해 파지부가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 트리퍼부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위험을 알려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가 설치되는 트리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리퍼부(100)는 본체(101)와, 컨베이어 벨트(102)와, 슈트(103)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고, 본체(101)에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102)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운반한다. 슈트(103)는 컨베이어 벨트(102)에 의해 운반된 이송물을 빈(104)으로 낙하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케이블부(10)와, 권취부(20)와, 파지부(30)와, 감지부(40)를 포함한다.
케이블부(10)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각각의 빈에 공급하는 트리퍼부(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예로, 케이블부(10)의 일단부는 전원공급부(11)에 연결되고, 케이블부(10)의 타단부는 본체(101)에 연결되어 본체(10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권취부(20)는 트리퍼부(100)에 장착되고, 트리퍼부(100)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부(10)를 감거나 풀어준다. 일 예로, 권취부(20)는 본체(101)에 결합되고, 권취부(20)에는 케이블부(10)가 감긴다. 상기한 상태에서, 본체(101)가 전원공급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권취부(20)는 케이블부(10)를 풀어주어 케이블부(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1)가 전원공급부(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권취부(20)는 케이블부(10)를 감아 케이블부(10)의 꼬임 또는 시설물과의 접촉에 의한 케이블부(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30)는 케이블부(10)에 결합되고, 감지부(40)는 파지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일 예로, 전원공급부(11)에 근접한 케이블부(10)의 일부인 보상부(15)는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력을 보상하며, 파지부(30)는 보상부(15)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권취부(20)의 오류 또는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해 케이블부(10)에 장력이 형성되면, 곡선부(15)가 곡선에서 직선으로 변형되고, 파지부(30)는 케이블부(1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40)는 케이블부(10)에 의해 이동된 파지부(30)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파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파지부가 케이블부를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에서 케이블부의 장력에 의해 파지부가 감지부에서 멀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30)는 파지고정부(31)와, 파지와이어부(32)와, 파지결합부(33)와, 파지탄성부(34)와, 파지측정부(35)를 포함한다.
파지고정부(31)는 고정물(200)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고정물(200)은 지면 또는 이동이 제한된 부속설비가 될 수 있다. 파지와이어부(32)는 파지고정부(31)를 관통한다. 파지고정부(31)를 관통하는 파지와이어부(32)의 일단부는 케이블부(10)에 결합된다. 파지와이어부(32)의 타단부는 파지탄성부(34)에 결합된다. 이때 파지탄성부(34)는 파지고정부(31)에 탄성 지지된다. 파지탄성부(34)에 장착되는 파지측정부(35)는 감지부(40)에 위치가 감지된다. 즉, 보상부(15)에 파지와이어부(32)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파지고정부(31)에 탄성 지지되는 파지탄성부(34)에 파지와이어부(32)의 타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케이블부(10)에 장력이 형성되면 보상부(15)가 곡선에서 직선으로 변형되고, 보상부(15)의 형상이 변형됨에 따라 파지탄성부(34)가 수축되면서 보상부(15)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가 파지탄성부(34)에 장착된 파지측정부(35)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케이블부(10)의 장력 생성 유무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고정부(31)는 고정베이스부(311)와 고정판부(312)를 포함한다. 고정베이스부(311)는 고정물(200)에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고정베이스부(311)는 고정물(200)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고정물(2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판부(312)는 고정베이스부(311)에 형성된다. 일 예로, 고정베이스부(311)와 고정판부(312)는 일체로 성형되고, 고정판부(312)는 고정베이스부(3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판부(312)에는 파지와이어부(32)가 관통되는 관통홀부(313)가 형성된다. 일 예로, 한 상의 파지와이어부(32)가 관통되도록, 고정판부(312)에는 한 쌍의 관통홀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결합부(33)는 가결합부(331)와 본결합부(332)를 포함한다. 가결합부(331)는 파지와이어부(32)의 일단부와 케이블부(10)를 가결합한다. 일 예로, 가결합부(331)로는 보상부(15)에 감기면서 보상부(15)에 파지와이어부(32)를 가결합하는 끈이 될 수 있다. 그 외, 가결합부(331)로는 보상부(15)의 외측에 접착되면서 파지와이어부(32)를 보상부(15)에 가결합하는 테이프가 될 수 있다. 본결합부(332)는 가결합부(331)에 의해 케이블부(10)에 가결합된 파지와이어부(32)를 케이블부(10)에 완전히 결합시킨다. 일 예로, 본결합부(332)는 하나 이상이 보상부(15)에 결합되면서 파지와이어부(32)와 보상부(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결합부(332)는 본결합클램프부(333)와 본결합체결부(334)를 포함한다. 본결합클램프부(333)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파지와이어부(32)가 외측에 부착된 케이블부(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본결합클램프부(333)의 중앙부는 보상부(15)를 감싸도록 굴곡진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결합클램프부(333)의 양단부는 또 다른 본결합클램프부(333)의 양단부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본결합체결부(334)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본결합체결부(334)로는 나사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결합체결부(334)에 의해 본결합클램프부(333)의 결합강도가 증가하면, 보상부(15) 외측면의 파지와이어부(32)가 압박되면서 보상부(15)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탄성부(34)는 탄성장착부(341)와, 탄성가이드부(342)와, 탄성걸림부(343)와, 탄성삽입부(344)와, 탄성스프링부(345)를 포함한다.
탄성장착부(341)에는 파지측정부(35)가 장착된다. 일 예로, 파지고정부(31)의 우측방향으로 파지결합부(33)가 배치되고, 파지고정부(31)의 좌측방향으로 탄성장착부(341)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가이드부(342)는 탄성장착부(341)에 형성된다. 일 예로, 탄성가이드부(342)는 탄성장착부(341)에서 파지고정부(31) 방향으로 돌출되고,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탄성걸림부(343)는 탄성장착부(341)에 장착되고, 파지와이어부(3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일 예로, 탄성걸림부(343)는 탄성장착부(341)에서 파지고정부(31) 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부가 링 형상을 하는 링걸림부(3431)와, 링걸림부(341)를 통과하여 겹쳐진 파지와이어부(32)를 고정하는 체결걸림부(34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삽입부(344)는 파지고정부(31)에 지지되고, 탄성가이드부(342)를 관통한다. 일 예로, 탄성삽입부(344)는 탄성가이드부(342)에 삽입되고, 탄성장착부(341)가 이동됨에 따라 탄성가이드부(342) 및 탄성장착부(341)를 관통할 수 있다. 탄성삽입부(344)는 파지고정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스프링부(345)는 파지고정부(31)에 지지되고, 탄성장착부(341)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탄성스프링부(345)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여 탄성삽입부(344)와 탄성가이드부(342)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서 트리퍼부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위험을 알려주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제어부(50)와 경고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트리퍼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예로, 감지부(40)가 파지부(30)의 멀어짐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케이블부(10)에 장력이 형성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트리퍼부(10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트리퍼부(100)의 구동을 중지시키면서, 경고부(60)를 제어하여 케이블부(10)가 위험하다는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일 예로, 경고부(60)는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경고부(60)는 램프의 점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블부(10)의 일단부가 전원공급부(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트리퍼부(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트리퍼부(100)가 왕복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복수개의 빈(104)에 선택 공급한다. 케이블부(10)는 트리퍼부(100)에 장착된 권취부(20)에 감기고, 트리퍼부(100)가 이동됨에 따라 권취부(20)가 케이블부(10)를 감거나 풀어준다.
한편, 케이블부(10)의 보상부(15)는 곡선을 갖도록 형성되어 케이블부(10)의 장력 생성에 대한 보상을 해주고, 보상부(15)에는 파지부(30)가 장착되며, 감지부(40)는 파지부(30)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트리퍼부(100)가 전원공급부(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권취부(20)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면, 보상부(15)가 곡선에서 직선으로 변형되고, 보상부(15)에 장착된 파지부(30)가 감지부(40)에서 멀어진다.
감지부(40)가 파지부(30)의 멀어짐을 감지하면, 제어부(50)는 케이블부(10)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간주하고, 트리퍼부(10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트리퍼부(1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경고부(60)를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는 신속하게 케이블부(10)의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트리퍼부(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부(10)에 과도하게 장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파지부(30)가 케이블부(10)를 파지하고, 케이블부(10)의 장력 발생시 케이블부(10)와 연동되어 이동되므로, 감지부(40)는 파지부(30)의 위치 감지를 통해 케이블부(10)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가결합부(331)가 파지와이어부(32)를 케이블부(10)에 가결합시키고, 본결합부(332)가 파지와이어부(32)를 케이블부(10)에 고정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파지탄성부(34)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케이블부(10)를 지지함으로써, 케이블부(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케이블부(10)에 대한 장력 발생시 제어부(50)의 제어로 트리퍼부(100)의 구동이 중지되어, 케이블부(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1)는 케이블부(10)에 대한 장력 발생시 제어부(50)의 제어로 경고부(60)가 작업자에게 알려주므로, 작업자가 케이블부(10)의 장력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블부 11 : 전원공급부
15 : 보상부 20 : 권취부
30 : 파지부 31 : 파지고정부
32 : 파지와이어부 33 : 파지결합부
34 : 파지탄성부 35 : 파지측정부
40 : 감지부 50 : 제어부
60 : 경고부 100 : 트리퍼부
331 : 가결합부 332 : 본결합부
341 : 탄성장착부 342 : 탄성가이드부
343 : 탄성걸림부 344 : 탄성삽입부
345 : 탄성스프링부

Claims (8)

  1.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각각의 빈에 공급하는 트리퍼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부;
    상기 트리퍼부에 장착되고, 상기 트리퍼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부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부;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파지고정부;
    상기 파지고정부를 관통하는 파지와이어부;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를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하는 파지결합부;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파지고정부에 탄성 지지되는 파지탄성부; 및
    상기 파지탄성부에 장착되고, 상기 감지부에 감지되는 파지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결합부는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와 상기 케이블부를 가결합하는 가결합부; 및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일단부를 상기 케이블부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본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결합부는
    상기 파지와이어부가 외측에 부착된 상기 케이블부를 감싸는 한 쌍의 본결합클램프부; 및
    한 쌍의 상기 본결합클램프부를 서로 결합하여, 상기 파지와이어부를 고정시키는 본결합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고정부는
    상기 고정물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베이스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와이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고정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탄성부는
    상기 파지측정부가 장착되는 탄성장착부;
    상기 탄성장착부에 형성되는 탄성가이드부;
    상기 탄성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파지와이어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탄성걸림부;
    상기 파지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가이드부를 관통하는 탄성삽입부; 및
    상기 파지고정부에 지지되고, 상기 탄성장착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트리퍼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부의 위험을 알려주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KR1020150116127A 2015-08-18 2015-08-18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KR10177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27A KR101770027B1 (ko) 2015-08-18 2015-08-18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127A KR101770027B1 (ko) 2015-08-18 2015-08-18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70A KR20170021570A (ko) 2017-02-28
KR101770027B1 true KR101770027B1 (ko) 2017-08-21

Family

ID=5854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127A KR101770027B1 (ko) 2015-08-18 2015-08-18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36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카에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의 절단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04B1 (ko) * 2009-07-14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피딩장치
KR101388022B1 (ko) 2012-02-28 2014-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704B1 (ko) * 2009-07-14 2011-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피딩장치
KR101388022B1 (ko) 2012-02-28 2014-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36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카에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의 절단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9271B1 (ko) 2018-09-03 2020-04-09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카에 전원 공급을 위한 케이블의 절단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570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908B1 (ko) 테이핑 및 밴딩장치
US10343231B2 (en) Wire feeding system
JP6102925B2 (ja) 接合要素を給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70151964A1 (en) Welding wire storage device
AU2012207539B2 (en) Assembly for assisting the removal from storage and transfer of wire
KR101770027B1 (ko) 트리퍼용 케이블 감지장치
KR101429639B1 (ko) 벨트 컨베이어 티어링 검출 장치
US9808857B2 (en) Continuous fastener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210318A (zh) 一种管道内壁检查用爬行器
CN112849577B (zh) 一种服务器包装入箱方法和系统
KR201400565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WO2014098758A1 (en) Device and method in respect of a rock drill rig, drill string component, handling device and rock drill rig
KR101411843B1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295742B1 (ko) 철편 검출장치
US11541474B2 (en) Wire shaping device for bulk packaged welding wire
KR20180126637A (ko) 트리퍼카 장치
KR101344336B1 (ko) 체인 지지장치
KR101917950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20150246407A1 (en) Wire feeding system
CN216352750U (zh) 一种全自动打捆机的换线报警自锁装置
KR101597449B1 (ko) 선박용 선적장치
KR101707303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슬립방지장치
US11280432B1 (en) Hose and cable sling support device
CN210762912U (zh) 入料导正机构
JP2013188778A (ja) 自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